KR100355416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416B1
KR100355416B1 KR1019990017845A KR19990017845A KR100355416B1 KR 100355416 B1 KR100355416 B1 KR 100355416B1 KR 1019990017845 A KR1019990017845 A KR 1019990017845A KR 19990017845 A KR19990017845 A KR 19990017845A KR 100355416 B1 KR100355416 B1 KR 100355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pair
injector
hole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886A (ko
Inventor
윤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1999001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4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2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be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는 평면상에 부착되는 판재형상으로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1)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압돌기(14)를 갖는 고정판(10)과, 이 고정판(10)의 관통공(11)에 결합될 수 있게 일측이 돌출형성된 주입구(21)를 가지며 그 타측이 개방된 결합캡(20)과, 상기 주입구(21)에 설치되어 보수제의 출입을 단속하는 첵밸브(30)와, 상기 결합캡(20)의 개방부로 일측이 결합되고 보수제의 입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벨로우즈 형태의 용기(60) 및 신축변형이 가능한 링형상의 구조를 이루고 그 일측에 상기 결합캡의 주입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캡과 용기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체결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압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가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수제가 주입구 등에 묻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전후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포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Injector for repairing of concrete crack}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발생된 크랙의 틈새로 에폭시 수지등의 보수제를 주입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을 보수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완벽한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구축 후 경화과정, 경화 후 온도, 외부압력의 변화 등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크랙은 외면에서 그 틈새 폭이 크고 내부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연속성장되므로 이러한 크랙의 계속적인 진행을 막기 위해서 크랙보수용 주입기를 사용하여 점착성이 강한 에폭시 수지 등의 보수제를 크랙발생 부위에 주입한 후 응고시키는 방식의 보수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크랙보수 방식을 진행하기 위하여 주사기 형태의 보수제 주입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주입기들은 보수제 저장통으로부터 실린더 내부에 보수제를 흡입할 때 작업자가 한 손으로 실린더의 몸체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피스톤 로드를 잡아당겨 보수제를 실린더내부로 적정량 흡입한 후 이 주입기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발생 부위에 고정하여 보수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수제 흡입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또한 적량의 보수제를 흡입시키기가 어려우며 상기 수작업시 주입구 주변과 작업자의 장갑 등에 보수제가 묻게 되어 보수제의 낭비 및 작업환경의 청결성에 대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보수작업 정도에 따라 많은 양의 보수제를 주입하여야 할 경우, 상기 주입기의 보수제 흡입작업을 수천회 이상 반복하게 되므로 많은 시간 및 노동력이 소요되고, 작업현장까지 다량의 주입기를 적층운반할 때 상기 주입기의 단위 용적이 커 포장, 운반 및 사용 후 폐기과정에서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수작업시 발생되었던 보수제의 낭비를 없애는 동시에 주입기구의 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및 운반이 간편하고,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크랙보수용 주입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크랙보수용 주입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크랙보수용 주입기내에 보수제가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크랙보수용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크랙보수용 주입기에 적용된 첵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11, 92 : 관통공
12 : 체결부 13 : 부착홀
14 : 가압돌기 20 : 결합캡
21 : 주입구 30, 90 : 첵밸브
40 : 지지관 50 : 충전체
51, 61, 71 : 걸이홈 52 : 유입홈
60 : 용기 70 : 지지판
80 : 탄성가압체 81 : 관통홀
91 : 절개부
이와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는 평면상에 부착되는 판재형상으로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압돌기를 갖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관통공에 결합될 수 있게 일측이 돌출형성된 주입구를 가지며 그 타측이 개방된 결합캡과, 상기 주입구에 설치되어 보수제의 출입을 단속하는 첵밸브와, 상기 결합캡의 개방부로 일측이 결합되고 보수제의 입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벨로우즈 형태의 용기 및 신축변형이 가능한 링형상의 구조를 이루고 그 일측에 상기 결합캡의 주입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캡과 용기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체결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압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가압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유입된 보수제가 잔량없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의 신축시 내부공간을 충전시켜주는 충전체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는 상기 용기의 밀폐면 외측에 보수제의 유출과 아울러 탄성가압체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이 용기를 원활히 수축시킬 수 있도록 밀착설치되는 별도의 지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에서 상기 고정판의 가압돌기는 보수제가 유출될 수 있게 내부가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첵밸브는 가압돌기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관통되고 그 단부는 밀폐되어 있다가 삽입되는 가압돌기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는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1) 내부에 가압돌기(14)를 갖는 고정판(10)과, 일측에 주입구(21)를 갖으며 그 타측이 개방된 결합캡(20)과, 상기 주입구(21)내에 설치된 첵밸브(30)와, 상기 결합캡(20)의 개방부로 결합되는 용기(60)와 이 용기(60)내부에 배치되는 충전체(50)와 용기(60) 배면에 부착되는 지지판(70) 및 일측에 관통홀(81)이 형성된 링형상의 탄성가압체(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10)은 얇은 원판형상으로 중앙에 보수제가 통과될 수 있게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0)의 일측면 중앙에 결합캡(20)이 체결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관형상의 체결부(12)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체결부(12)의 내부 중앙에는 결합캡(20)의 주입구(21)내에 설치된 첵밸브(30)를 밀어낼 수 있게 축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가압돌기(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캡(20)은 용기(60)에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형상으로 그 타측 중앙에는 고정판(10)의 체결부(12)에 체결될 수 있게 돌출된 가느다란 원관형상의 주입구(21)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첵밸브(30)는 용기(60)의 내부로 보수제가 출입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해 상기 주입구(21)의 관통된 내측 단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볼과 스프링으로 되어있으며 이 볼과 스프링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의 측부에 지지관(40)이 주입구(21)의 내주면에 밀착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볼은 금속으로 제작되며 또한 볼 형상 이외에도 단부가 원추형상으로 된 합성수지, 합성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포핏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첵밸브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판(10)의 가압돌기(14)의 내부가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보수제가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92)이 형성되어 있고, 첵밸브(90)는 결합캡(20)의 주입구(21) 선단에 밀착결합되고 그 내부가 축방향으로 관통되다가 그 후단이 밀폐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 후단부는 고정판(10)의 가압돌기(14)가 삽입되어 밀어들어오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60)는 보수제가 입출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주름관 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결합캡(20)이 체결될 수 있게 가느다란 원관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면에는 지지판(70)이 고정부착될 수 있게 중앙부에 걸이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가압체(80)는 용기(60)의 길이방향 외부를 둘러싸 이용기(60)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얇은 링형밴드 형상으로 일측부에는 결합캡(20)의 주입구(21)가 관통될 수 있게 관통홀(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체(50)는 용기(60)가 탄성가압체(8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압수축됨에 따라 이 용기(60)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보수제가 결합캡(20)의 주입구(21)를 통해 잔량없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완전수축된 상태의 상기 용기(60) 내부 공간을 충전시킬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그 후단부에 상기 용기(60)의 걸이홈(61)과 결합되는 걸이홈(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체(50)는 용기(60)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수제가 처음으로 충전될 경우 이 충전체(50)에 의해 보수제의 충전이 방해되지 않고 용기(60)내로 원활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체(50)의 전면에서부터 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길게 유입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70)은 용기(60)가 탄성가압체(80)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용기(60)의 배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상으로 중앙부에는 상기 용기(60)의 걸이홈(61)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되어 있으며 그 타단면에 오목하게 패여있는 걸이홈(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오목하게 패여있는 걸이홈(71)에 탄성가압체(80)가 둘러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는 결합캡(20)의 주입구(21)에 첵밸브(30)를 설치하고 용기(60)의 내부에 충전체(50)를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킨 후 상기 결합캡(20)을 용기(60)에 결합시킨다. 그런다음 이 용기(60)의 배면에 지지판(70)을 부착시키고 탄성가압체(80)를 용기(60)와 지지판(70)의 길이방향 외주로 둘러씌운다. 이렇게 하여 주입기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같이 조립이 완성된 주입기의 용기(60)내로 보수제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주입장치를 결합캡(20)의 주입구(21)로 연결시켜서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용기(60) 내부로 보수제를 충전시킨다.
그러면 도 3에서와 같이 주입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보수제에 의해 결합캡(20)의 주입구(21)내에 설치된 볼이 밀리면서 주입구(21)가 개방되고 용기(60) 내부로 보수제가 밀려들어오면서 주름관형상인 용기(60)와 이 용기(60)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탄성가압체(80)가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신장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6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체(50)도 충전되는 보수제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렇게 보수제가 충전되다가 적정량이 용기(60)내로 충전되면 주입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며 이와 동시에 강압적으로 밀려들어오는 보수제에 의해 반발력을 갖고 밀려있던 볼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그러면서 주입구(21)를 가로막아 용기(60)의 내부에 충전된 보수제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입장치는 용기(60)의 주입구(21)를 이 주입장치의 충전구에 결합시키고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등의 전자장치가 피스톤을 왕복운동 시키면서 보수제를 용기(60)내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주입장치는 상기 용기(60)의 주입구(21)가 주입장치의 충전구에 결합이 완료되는 동시에 스위치가 작동되어 자동적으로 보수제의 충전작업이 이루어지고, 매회 충전시마다 일정량의 보수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수제의 충전작업이 완료된 주입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발생부위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판(10)이 부착되는 부위이외의 크랙발생부위에 에폭시 씰링제등을 사용하여 밀폐작업을 한 후 상기 고정판(10)을 부착시킨다. 이때 이 고정판(10)은 그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에폭시실링제를 도포한 후 크랙이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압착시킴으로써 이 고정판(10)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홀(13)을 통해 에폭시실링제가 침투되면서 견고히 고정된다.
그 다음에는, 결합캡(20)의 주입구(21)를 고정판(10)의 체결부(12) 내로 나사결합시켜 주입기를 설치한다. 이때 고정판(10)의 체결부(12) 내부에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던 가압돌기(14)는 주입구(21)가 체결됨에 따라 이주입구(21)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첵밸브(30)의 볼을 가압시켜 주입구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용기(6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보수제가 탄성가압체(8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쪽으로 가압되는 용기(60)의 수축과 함께 고정판(10)의 관통공(11)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발생 부위로 주입되어 충전 및 응고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수제의 주입작업이 완료된 주입기는 탄성가압체(80)에 의해 주름진 형상의 용기(60)가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어 부피가 많이 줄어든 상태를 유지하므로 간단히 폐기처리 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우선 고정판(10)을 크랙발생부위에 부착시키고 나서 결합캡(20)의 주입구(21)를 고정판(10)의 체결부(12)내로 나사결합시키면 이와 동시에 고정판(10)의 가압돌기(14)가 첵밸브(90)의 관통된 내부로 삽입되어 밀고들어가서 상기 첵밸브(9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절개부(91)를 벌리면서 이 첵밸브(90)의 외부, 즉 용기(60)의 내부로 돌출개통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 용기(6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보수제가 상기 가압돌기(14)의 내부 관통공(92)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발생 부위로 주입되어 충전 및 응고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크랙보수용 주입기에 의하면, 주입장치에 의해 적정량의 보수제를 용기내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작업과는 달리 보수제가 주입구등에 묻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주입기의 용기는 보수제의 주입작업 전후의 상태에서 수축하여 부피가 줄어들게 됨으로 사용전후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포장 및 운반이 간편하고,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의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평면상에 부착되는 판재형상으로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1)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압돌기(14)를 갖는 고정판(10);
    상기 고정판(10)의 관통공(11)에 결합될 수 있게 일측이 돌출형성된 주입구(21)를 가지며 그 타측이 개방된 결합캡(20);
    상기 주입구(21)에 설치되어 보수제의 출입을 단속하는 첵밸브(30);
    상기 결합캡(20)의 개방부로 일측이 결합되고 보수제의 입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벨로우즈 형태의 용기(60); 및
    신축변형이 가능한 링형상의 구조를 이루고 그 일측에 상기 결합캡의 주입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캡과 용기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체결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압축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가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60)의 내부로 유입된 보수제가 잔량없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60)의 신축시 내부공간을 충전시켜주는 충전체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60)의 밀폐면 외측에는 보수제의 유출과 아울러 탄성가압체(8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이 용기를 원활히 수축시킬 수 있도록 밀착설치되는 지지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의 가압돌기(14)는 보수제가 유출될 수 있게 내부가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92)이 형성되고, 상기 첵밸브(30)는 가압돌기(14)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관통되고 그 단부는 밀폐되어 있다가 삽입되는 가압돌기(14)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9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KR1019990017845A 1999-05-18 1999-05-18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KR10035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845A KR100355416B1 (ko) 1999-05-18 1999-05-18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845A KR100355416B1 (ko) 1999-05-18 1999-05-18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886A KR19990064886A (ko) 1999-08-05
KR100355416B1 true KR100355416B1 (ko) 2002-10-18

Family

ID=3748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845A KR100355416B1 (ko) 1999-05-18 1999-05-18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77B1 (ko) * 2014-09-22 2015-04-17 유지씨 주식회사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804A (zh) * 2021-01-12 2021-05-28 闫全义 一种既有钢筋砼柱头结构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77B1 (ko) * 2014-09-22 2015-04-17 유지씨 주식회사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886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7097B (zh) 混凝土結構物的注入塡充材的注入方法及其注入器
CN100586802C (zh) 可变有效容积容器的填充方法和填充装置
EP1749645A1 (en) Sealing pump-up device
KR1003554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용 주입기
US7367478B2 (en) Dosing device for at least one medium
US6179506B1 (en) Caulking accessory
KR20090012162U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KR20160142993A (ko) 자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주입장치
KR890004622B1 (ko) 콘크리이트 구조물의 균열등에 접착재를 주입하는 접착재 주입장치 및 방법
JP6143639B2 (ja) 流動性補修材注入器
US5626313A (en) Engine assembly including fuel storage bladder
US5881899A (en) Adhesive injection apparatus
JP6021266B2 (ja) 流動性補修材注入器
JP299928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補修材注入器具
JPH0412931Y2 (ko)
KR910002430Y1 (ko) 구리스 (Grease) 주입 펌프
KR20020023940A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2606585B1 (ko)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KR200493047Y1 (ko) 실리콘주입기와 그리스주입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그리스 카트리지
KR20023368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조립체
KR200212727Y1 (ko) 그리스 용기
KR19990035562U (ko) 스프레이
KR100330389B1 (ko) 콘크리트 크랙 보수액 충전장치
KR016905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약액 주입기구
KR910002431Y1 (ko) 구리스 (Grease) 주입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