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142B1 -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142B1
KR100355142B1 KR1019990028073A KR19990028073A KR100355142B1 KR 100355142 B1 KR100355142 B1 KR 100355142B1 KR 1019990028073 A KR1019990028073 A KR 1019990028073A KR 19990028073 A KR19990028073 A KR 19990028073A KR 100355142 B1 KR100355142 B1 KR 10035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late
screw hole
reinforcing
fla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618A (ko
Inventor
이기홍
Original Assignee
양지수
이기홍
임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수, 이기홍, 임해식 filed Critical 양지수
Priority to KR101999002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1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B60N2/5685Resi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등 건축물을 시공할 때, 무른 지반을 다지기 위해, H빔에 의한 지정 작업에서 두부를 보강하는 말뚝지정용 H 빔의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 일정 간격으로 나사 홀을 형성한 사각판(1)을 H빔 상부 단면과 용접하고, 상기 나사 홀에는 철근 보다 큰 직경의 나사부를 하단부에 형성한 철근을 결합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 일정 간격으로 나사 홀을 형성한 사각판의 양측 저부에는 H빔의 플랜지 외측면과 접하여,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를 갖는 보강구(10)와, 상기 나사 홀에 결합되는 하단부가 후육된 직경의 나사부를 갖는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구는 사각판 하부의 플랜지 사이와 수직하며, H빔의 스템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하여,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보강판을 구비 한 것을 포함 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들에서, 사각판의 나사 홀 저면에는 나사결합 강도 증대를 위해 너트가 용접 고정된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A rein forcement unit for a head of H-beam used as a pile}
본 발명은 교량등 건축물을 시공할 때, 무른 지반을 다지기 위해 지정(地釘)작업을 하는데, 그 중 H빔에 의한 지정작업 후, H빔 상부로 기초 콘크리트를 치기 위한 배근에 있어서 안전한 강도 유지를 위해 안출된 말뚝지정용 H빔의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건축물을 시공할 때, 지반이 무른 경우에 지반의 강도 증대를 위해 지반 다지기를 하는데, 이러한 지반 다지기에는 보통지정(잡석지정, 모래지정, 긴주춧돌지정 등)과 말뚝지정(나무말뚝지정, 기성 콘크리트지정, 푸리 스트레스 콘크리트말뚝, 강제말뚝 등) 및 깊은 기초지정(우물식 기초지정, 잠수기초지정 등)이 있다.
그 중 본 발명은 말뚝지정중 강제 말뚝의 하나인 H빔 말뚝지정을 할 때, 그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구조물의 하중을 적절히 받을 수 있게 한 H빔 말뚝지정용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H빔 말뚝지정용 두부 보강장치를 도 1a 및 도 1b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항타장치 등에 의해 지반에 매입되어, 그 상부의 일부가 돌출된 H빔(100)의 플랜지(100F) 양측면에 철근(200)의 둘레 일부와 용접한다.(도 1a 참조)
그리고 종래 또 다른 예로써, 도 1b에서와 같이 H빔(100) 플랜지(100F)의 양측에 홀(100H)을 뚫어, 여기에 일정 길이의 철근(200)을 반대측 플랜지(100F)의 홀(100H)까지 관통시킨 후, 상부로 꺽어 이 꺽어진 철근과 플랜지의 맞닿은 곳에 용접을 하는 구조로 보강을 이룬다.
이후, 철근을 이용하여 도시안된 베이스 구조물의 배근을 위한 기초 철근을 설치하여 보강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H빔 말뚝지정용 두부 보강장치는 시공현장에서 철근을 절단, 절곡하고 H빔(100)에 직접 용접하여 부착함에 따라 시공성을 좋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중요하게는 도 1a에서와 같이 철근 각각이, H빔(100)의 플랜지(100F) 측면이 맞대어져 용접된다.
따라서 각각이 원형 단면을 가지고 접합됨에 따라, 부착 단면적이 적어 부착시 인장 하중이 미약하여 추후 설치될 기초 베이스의 하중은 물론 그 상부 구조물의 하중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H빔(100)의 단면 구조상 콘트리트의 타설을 사각기둥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힘의 고른 분포를 위해 그 사각 둘레의 등간격으로 주 철근을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베이스 구조물의 설계 강도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H빔의 상부에 상판을 설치하고, 그 상부 면에 고르게 배열되는 철근을 나사결합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사용의 편리성과 버팀 강도의 고른 분배와 강도를 증진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 일정 간격으로 나사홀을 형성한 사각판을 H빔 상부 단면과 용접하고, 상기 나사 홀에는 철근 보다 큰 직경의 나사부를 하단부에 형성한 철근을 결합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 일정 간격으로 나사 홀을 형성한 사각판의 양측 저부에는 H빔의 플랜지 외측면과 접하여,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를 갖는 보강구와,
상기 나사 홀에 결합되는 하단부가 후육된 직경의 나사부를 갖는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구는 사각판 하부의 플랜지 사이와 수직하며, H빔의 스템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하여,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보강판을 구비 한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들에서, 사각판의 나사 홀 저면에는 나사결합 강도 증대를 위해 너트가 용접 고정된 것을 포함한다.
물론 사각판(1)에 철근(20)이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또한 본 발명에서 철근을 나사결합하거나 용접함이 없이 그대로 사각판(1)만을 구성하여도 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또는 도 5a 및 도5b는 도 3a 및 도 3b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2b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2a 및 도2b에서와 같이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 일정 간격으로 나사 홀(11)을 형성한 사각판(1)을 H빔(100) 상부 단면과 용접하고, 상기 나사 홀(11)에는 철근보다 큰 직경의 나사부(21)를 하부에 형성한 철근(20)을 결합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 일정 간격으로 나사 홀(11)을 형성한 사각판(1)의 양측 저부에는 H 빔(100)의 플랜지(100F) 외측면과 접하여 체결공(H)을 통하여 체결부재(B)로 고정되는 플랜지(F)를 갖는 보강구(10)와,
상기 나사 홀(11)에 결합되는 하단부가 후육된 직경의 나사부(21)를 갖는 철근(20)을 포함하는 말뚝지정용 H빔의 두부 보강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강구(10)는 도 4a 및 도 4b 또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보강구 사각판(1)의 하부 플랜지(F) 사이와 수직하며, H빔(100)의 스템(100S)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하여, 체결공(H)을 통하여 체결부재(B)로 고정되는 보강판(f₁) 또는 보강판(f₁,f₂)을 구비한 것을 포함하는 말뚝지정용 H빔의 두부 보강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사각판(1)의 나사 홀(11) 저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나사결합의 강도 증대를 위해 너트(N)가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사각판(1)의 두께를 얇게 설계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한다. 물론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그들의 다른 실시예에 모두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사각판(1)의 나사홀(11)은 그 수가 일정 간격으로 여유가 있게하여, 상기 두부 보강장치들 상부로 구성되는 베이스 구조물의 설계 기준에 따라 본 발명 도면의 실시예들과 같이 철근(20)을 결합하거나, 경우에 따라 철근 결합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고, 나사홀(110의 전부에다 철근을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말뚝지정용 H빔의 두부 보강장치의 작용을 설치상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빔(100)을 항타장치 등에 의해 무른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설계에 따라 밖아 놓은 후, 지반에서 돌출된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그 상부에 일정 크기의 사각판(1)을 H빔(100)의 상부 단면과 용접한다.
이후 사각판(1)의 나사 홀(11)에 철근(20)의 나사부(21)를 체결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는 철근(20)을 고른 간격으로 균등히 분포되게 고정할 수 있고, 이 하중이 사각판(1)을 통해 H빔(100)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말뚝지정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번거로운 용접작업이 필요없이 이루어 지게 한 것으로써, 이를 도 3a 및 도 3b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판(1)의 하부 양측에 플랜지(F)를 갖는 보강구(10)를 용접수단이 필요없이, 상기 플랜지(F)와 H빔(100)의 플랜지(100F)가 맞대어져 체결공(H)을 통해서 체결부재(B)(볼트,와셔 및 너트)로써 현장에서 간단히 조립 고정된다.
물론 도 4a 또는 도4b 및 도 5a 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H빔(100)의 스템 (100S) 일면 또는 양면에 보강판(f₁) 또는 보강판(f₁,f₂)이 접하여, 역시 체결공(H)에 체결부재(B)로써 고정되게 함으로써, 보다 점진적으로 강도가 센 결합구조를 얻어 필요 하중의 분산에 적절한 계산을 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철근(20)을 나사결합하여 고정한 후에는, 상기 철근의 상부 일정간격으로 띠 철근(22)을 결속하고 이들 사이 사이에 횡으로 철근을 배근(도시안됨)하여, 기초 베이스 구조물(도시안됨)의 콘크리트 타설을 이룬다.
따라서 기초 베이스 구조물의 하중이 H빔(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사각판(1) 또는 플랜지(F)를 갖는 보강구(10), 보강판(f₁) 또는 보강판(f₁,f₂)을 포함하는보강구(10)에 고르게 전달되어, 전체 기초 베이스 구조물을 비롯한 그 상부 구조물의 하중이 전체의 H 빔(100) 말뚝지정에 고르게 분포되는 작용을 이룬다.
이때 본 발명은 단순히 사각판(1)과 철근(20)을 나사결합하는 것만으로도 복잡한 용접 등의 과다한 작업이 필요없이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하며, 이는 철근 보다 큰 직경의 나사부(21)로 결합됨으로써 달성된다.
물론 사각판(1)에 철근(20)이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H빔 말뚝지정에서 H빔의 상부에 씌워지는 사각판 또는 보강구의 상면에 철근을 직접 부착하여 제공하거나 별도로 제공하는 수단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서의 필요에 따른 간편함을 이루며, 특히 제작 과정 또는 현장에서 별도의 용접작업의 추가없이 간단히 조립 시공되는 효과와 이들의 취급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면 가장자리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나사 홀(11)을 형성한 사각판(1)과;
    상기 사각판(1)의 양측 저부에 결합되며, H빔(100)의 플랜지(100F) 외측면과 접하여 체결공(H)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플랜지(F)와;
    상기 사각판의 저부에서 상기 플랜지(F)와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H빔의 스템(100S)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하여 체결공(H)을 통하여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보강판(f1)(f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철근보다 큰 직경의 나사부(21)를 형성한 철근(20)의 하단부를 상기 사각판(1)의 나사홀(11)의 저면에 용접 고정된 너트(N)와 상기 나사홀(11)을 통하여 볼트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지정용 H빔의 두부 보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19990028073A 1999-07-12 1999-07-12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KR10035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073A KR100355142B1 (ko) 1999-07-12 1999-07-12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073A KR100355142B1 (ko) 1999-07-12 1999-07-12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85U Division KR200221910Y1 (ko) 2000-11-10 2000-11-10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618A KR20010009618A (ko) 2001-02-05
KR100355142B1 true KR100355142B1 (ko) 2002-10-11

Family

ID=1960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073A KR100355142B1 (ko) 1999-07-12 1999-07-12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1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408A (ko) * 1995-12-29 1997-07-24 전성원 범퍼 보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408A (ko) * 1995-12-29 1997-07-24 전성원 범퍼 보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618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904B1 (en) Fly clamp for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construction
US6254314B1 (en) Covering plate assembly for steel pipe piles
KR200221910Y1 (ko)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KR100554342B1 (ko)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55142B1 (ko)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JP2004124495A (ja) 既製杭の杭頭構造
KR100262977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WO2002018725A1 (en) Crux-bar concrete structure
KR100352983B1 (ko) 에이치형강 말뚝 머리 보강장치
JP3758173B2 (ja) 建築物用鉄骨基礎材と該鉄骨基礎材を用いた建築物用コンクリート基礎の形成方法。
KR100960610B1 (ko) 작용력 분산형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구조
KR100465287B1 (ko) 말뚝지정용 에이치 빔의 두부 보강장치
KR10044270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JPH0124200Y2 (ko)
JPS6035506B2 (ja) 鉄筋コンクリ−トの梁に設ける開口部のせん断補強方法
KR102354647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JP3744922B2 (ja) 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その接続構造
JP3161886B2 (ja) 小規模建築物用基礎
KR100281308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0380677Y1 (ko) 복공판
KR200172131Y1 (ko) 배근용 홀이 구비된 피.에스.씨.메인빔
JPS6278333A (ja) 高層建物の柱
KR200245357Y1 (ko) 강관말뚝용 강재 결합구
JP3026058B2 (ja) Pc合成床版
KR200158925Y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