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25Y1 - 강관 말뚝용 덮개판 - Google Patents

강관 말뚝용 덮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25Y1
KR200158925Y1 KR2019970000852U KR19970000852U KR200158925Y1 KR 200158925 Y1 KR200158925 Y1 KR 200158925Y1 KR 2019970000852 U KR2019970000852 U KR 2019970000852U KR 19970000852 U KR19970000852 U KR 19970000852U KR 200158925 Y1 KR200158925 Y1 KR 200158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steel pipe
plate
dis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138U (ko
Inventor
이기홍
Original Assignee
정숭렬
한국도로공사
이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숭렬, 한국도로공사, 이기홍 filed Critical 정숭렬
Priority to KR2019970000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25Y1/ko
Publication of KR970018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등 건축물의 시공시 지반을 다지기 위한 지정(地釘) 작업중 특히 강관에 의한 지정 작업시 강관 상부로의 기초콘크리트를 위한 배근에 있어 안전한 강도 유지를 위해 안출된 강관 말뚝용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반 다지기의 일환으로 설치되는 강관말뚝의 상부에 씌워지는, 하부에 +자형 보강판을 부설한 덮개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덮개판의 원판 상부면 둘레에 외측으로 절곡된 철근 또는 환봉을 스터드 용접하여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판의 운반 등의 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철근 또는 환봉은 원판 상면과 스터드 용접된 상부 소정위치에 나사 결합 수단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강관 말뚝용 덮개판
본 고안은 교량등 건축물의 시공 시 지반을 다지기 위한 지정(地釘)작업중 특히 강관에 의한 지정 작업시 강관의 상부로 기초콘크리트를 치기 위해 배근에 있어서 강도 증대를 위해 안출된 강관 말뚝용 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건축물의 시공시 지반이 무른 경우에 지반의 강도 증대를 위해 지반 다지기를 하는데, 이러한 지반 다지기에는 보통지정(잡석지정, 모래지정, 긴주춧돌지정 등)과 말뚝지정(나무말뚝지정, 기성 콘크리트지정, 푸리 스트레스 콘크리트말뚝, 강제말뚝 등) 및 깊은 기초지정(우물식 기초지정, 잠수기초지정 등)이 있다.
그 중 본 고안은 말뚝지정 중 강제말뚝의 하나인 철관 즉 강관말뚝지정 시 그 상부의 베이스 구조물의 하중을 적절히 받을 수 있게 한 강관 말뚝용 덮개판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덮개판을 도 1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반에 매입되어 돌출된 강관(100)의 상부에 씌워지는 원판(11)의 하부로 +자형 보강판(12)을 부설한 덮개판(10)을 삽입하여 용접한 후, 상기 원판(11)의 가장자리 둘레 일정간격으로 철근(20)을 용접해서 이루어진다.
이 철근(20)은 그 상부가 외측으로 꺾은 구조로써 이에 결속될 다른 철근(도시안됨)과의 결속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덮개판(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11)의 하부에 보강판(12)이 부착 설치된 구조로 시공 현장에 공급됨으로써 철근(20)을 현장에서 절단 절곡 제작하여, 용접 부착함에 따라 시공성을 좋지 않게 할뿐만 아니라, 중요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철근(20)과 덮개판(10)의 원판(11)이 각각 그 측면이 맞대어져 용접됨으로 인하여, 즉 각각이 원형 단면을 가지고 접합 됨에 따라 부착 단면적이 적어 부착시 인장하중이 미약하여 추후 설치될 기초 베이스의 하중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덮개판의 제조시, 철근을 기 설치한 덮개판을 제작하여 시공 현장에 제공하되, 덮개판의 원판 상면 둘레 일정간격으로 철근을 스터드 용접하여서 부설된 구조로써 시공 현장에서의 사용편리와 특히 강도 증진에 그 목적을 둔 고안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반 다지기의 일환으로 설치되는 강관말뚝의 상부에 씌워지는, 원판의 하부에 +자형 보강판을 부착 설치한 덮개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원판 상부면 둘레 일정간격으로 외측으로 절곡된 철근을 스터드 용접하여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판의 운반 등의 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철근은 원판상면과 스터드 용접되는 상부 각각의 위치에 나사 결합 수단에 의해 착탈시킬 수도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덮개판을 보인 설치 상태도.
제2도는 종래의 철근 용접을 보인 요부 확대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덮개판을 보인 사시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덮개판을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덮개판 11 : 원판
12 : +자형 보강판 20,20a : 철근 또는 환봉
20a : 나사결합수단 20b : 암나사부
20c : 수나사부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지반 다지기의 일환으로 설치되는 강관 말뚝의 상부에 씌워지는, 원판(11)의 하부면에 +자형 보강판(12)을 부착 설치한 덮개판(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원판(11)의 상부면 가장자리 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터드 용접되고, 상단부가 외측 방사방향으로 배열된 철근(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덮개판(10)은 운반 등의 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철근(20)과 원판(11) 상면과 스터드 용접된 상부 각각의 위치마다 나사결합수단(20a)에 의해 착탈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원판(11)상에 스터드 용접되어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0b)와 외측으로 절곡된 철근(2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20c)가 착탈하게 한 것으로 상기의 구조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철근(20)은 이형철근을 지칭하나 로드형태의 환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덮개판(10)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면 지반에 박힌 강관(100)의 상부 개구로 덮개판(10)의 +자형 보강판(12)이 삽입되게 한 후, 원판(11)의 하부 둘레와 강관의 상부 선단면과의 사이를 용접하고, 상기 원판(11)상에 부설된 철근(20,20a)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강관(100) 지정의 상부에 구축될 기초 베이스의 내력철근을 결속하여 시공한 후, 기초 베이스의 콘크리트 타설을 이룬다.
따라서 기초 베이스의 하중이 덮개판(10), 즉 원판(11) 상면에 스터드 용접된 부위에 고르게 전달되어 전체 기초 베이스의 하중이 다수개의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체의 강관(100) 말뚝에 고르게 하중 분포되는 작용을 이룬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철근(20)의 단면과 원판(11)의 상면이 맞대어져 스터드 용접됨에 따라, 그 접합면적이 종래의 용접된 단면적 보다 큰 면적으로 용접됨에 따라서 그 강도의 증대 효과를 크게 볼 수가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철근(20)을 나사결합수단(20a)에 의해 착탈 가능케 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20a)의 수나사부(20c)가 미리 스터드 용접되어 있는 암나사부(20b)에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운반 및 취급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이 실험한 결과 철근 또는 환봉의 단면적이 384.4㎟일 때 인장하중이 16.103kgf에 달하며, 인장강도가 42kg/㎟에 달하는 것으로 종래에 비해 6 내지 8배의 증대를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강관 말뚝 지정에서 강관의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판의 상면에 철근 및 환봉을 직접 부착하여 제공하는 수단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서의 간편함을 이루며, 강도 또한 배가되는 덮개판을 제공하는 효과와 이들의 취급상의 편리함을 위하여 철근 또는 환봉이 착탈되게 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강관말뚝의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판에 있어서, 하부에 +자형 보강판을 부설한 덮개판의 상단 가장자리 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 스터드 용접되고, 상단부가 외측 방사방향으로 배열된 철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덮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철근의 하단부에는 스터드 용접대신에 수나사부를, 원판 상면에는 용접된 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서로 나사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19970000852U 1997-01-22 1997-01-22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0158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52U KR200158925Y1 (ko) 1997-01-22 1997-01-22 강관 말뚝용 덮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852U KR200158925Y1 (ko) 1997-01-22 1997-01-22 강관 말뚝용 덮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38U KR970018138U (ko) 1997-05-23
KR200158925Y1 true KR200158925Y1 (ko) 1999-10-15

Family

ID=1949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852U KR200158925Y1 (ko) 1997-01-22 1997-01-22 강관 말뚝용 덮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38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692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사용한 프리스트레스연결형 조립식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0495782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20100043728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들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US6254314B1 (en) Covering plate assembly for steel pipe piles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0728743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KR200158925Y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100262977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CN212801564U (zh) 一种基坑钢板桩支护结构
JP3930149B2 (ja) セグメントピース及び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229166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WO2002018725A1 (en) Crux-bar concrete structure
JP2004162345A (ja) 既製杭と基礎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20000061241A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JP3826348B2 (ja) 山留め芯材と地下外壁との合成壁の施工方法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CN210562273U (zh) 一种用于承载装配式电梯的地基
CN211973476U (zh) 一种方形桩基及快速连接组件
KR100281308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0172131Y1 (ko) 배근용 홀이 구비된 피.에스.씨.메인빔
KR200221910Y1 (ko) 말뚝지정용 에이치빔의 두부 보강장치
KR200245357Y1 (ko) 강관말뚝용 강재 결합구
KR960001240B1 (ko)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JPH022764Y2 (ko)
JP4464556B2 (ja) 中間杭の受替え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013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129

Effective date: 2002011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129

Effective date: 200201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