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522B1 - 물수건 제작기 - Google Patents

물수건 제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522B1
KR100353522B1 KR1019990056272A KR19990056272A KR100353522B1 KR 100353522 B1 KR100353522 B1 KR 100353522B1 KR 1019990056272 A KR1019990056272 A KR 1019990056272A KR 19990056272 A KR19990056272 A KR 19990056272A KR 100353522 B1 KR100353522 B1 KR 10035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distribution means
cutting
wet towel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169A (ko
Inventor
정낙원
Original Assignee
정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원 filed Critical 정낙원
Priority to KR2019990027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460Y1/ko
Priority to KR1019990056272A priority patent/KR100353522B1/ko
Priority to TW089104124A priority patent/TW431879B/zh
Priority to JP2000065329A priority patent/JP3355554B2/ja
Priority to US09/525,836 priority patent/US6343491B1/en
Priority to CN00105350.7A priority patent/CN1286067A/zh
Priority to EP00307244A priority patent/EP1078593B1/en
Priority to DE60017649T priority patent/DE60017649D1/de
Priority to AT00307244T priority patent/ATE287658T1/de
Priority to TR2000/02490A priority patent/TR200002490A2/xx
Publication of KR2001005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4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 B26D1/4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2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starting
    • B65H2301/521Stripping web from ro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루마기의 형태로 말아 접어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물수건 제작기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수건 원단이 두루마리의 형태로 감겨지게 되는 수건원단장착부와; 1회의 기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에 감겨진 상기 수건을 소정 길이로 인출하여 이하의 장치로 배급하는 배급수단과; 상기 배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건을 상기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물저장부의 물을 상기 커팅수단에 의해 절단된 수건에 공급하는 동시에 두루마리의 형태로 말아 공급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는 물수건제작기에 있어서, 상기 배급수단과 상기 커팅수단은 각각의 회전각도 또는 기동시기가 전자식 회전계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의해 측정 및 제어되는 것으로서, 별개의 원동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기동되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1개의 하우징에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의해; 사용자는 제공되는 물수건의 길이를 그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의 수리 내지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물수건 제작기{Apparatus for manufacturing wet towel}
본 발명은 일반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물수건을 제작 후에 포장작업의 전단계인 두루마기의 형태로 말아 접어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물수건 제작기에 관한 것이다.
물수건은 음식점, 비행기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손 등을 닦을 수 있도록 면재질의 종이류 또는 부직포에 물이 적셔진 상태로 제공된다.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 물수건은 보통 소정의 장치에 의해 제공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장치가 개발 되어 왔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물수건 제작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물수건 제작기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의해 공개특허공보 제 1998-022978호에 공개된 것을 도시한다.
롤러의 외주에 롤형태로 감겨진 수건 원단(100')은 롤러의 회전에 의해 풀려가며 소정의 커팅수단(132)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며, 절단된 개개의 수건은 권취수단의 컨베어(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노즐에 의한 물분사에 의해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젖은 물수건은 고무판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제작되는 컨베어 상에 올려져 이동되며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려지게 된다. 말려진 개개의 물수건은 장치 외부의 소정의 케이스에 적재되어 공급된다.
여기서, 롤형태로 감겨진 수건을 배급하는 배급수단과, 배급수단에 의해 배급되는 수건을 절단하는 커팅수단은 1개의 원동모터(125)에 연결되어 일체로 작동된다. 즉, 회전칼날치차(133)와 배급수단의 롤러치차(151)는 구동치차(125)와 함께 섭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급수단과 커팅수단은 1개의 원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므로, 절단되는 수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캠과 같은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장치의 소음이 심하였다.
한편, 사용자는 수건이 본인이 요구하는 길이 대로 공급되는 것을 필요로 할 때가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정한 길이로 제공되는 하나의 물수건에 의해 부족함을 느낄 때, 다시 장치를 가동하여 1장 또는 그 이상을 뽑아 내어야 한다. 이는 전력의 낭비를 가져오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일이었다.
다른 한편, 풀려져 배급되는 수건은 롤러에 감겨진 수 개의 고무밴드에 의해 압착 인출된다. 여기서, 수건은 고무밴드의 높은 마찰계수에 의해 미끄럼 내지 구겨짐 없이 인출되지만, 고무밴드는 회전중 그의 진동에 의해 수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구겨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물수건제작기에 사용되는 물은 사용온도에 적당하도록 가열 또는 냉각된 물수건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환과정을 거친다. 즉,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류의 물탱크와, 물탱크로부터 일정량을 인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가열 또는 냉각을 위해 물저장부와 일체 또는 그 주위에 제공되는 냉각 또는 가열수단과, 물저장부로부터 물을 배급하기 위한 분사수단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물저장부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이 사용되어 왔다. 이에 의해, 각 부품에 부식이 진행되어 물이 통과되는 수로가 폐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물을 정수하기 위한 종래의 필터는 물탱크와 별도로 설치되어 이를 분리 소제하기가 불편하였다. 즉, 필터를 교체하거나 하려면 필터 하우징의 캡을 열고 필터를 꺼내야 했다. 이를 위해 필터캡, 밸브 등의 부수적인 장치가 필요하였으며, 이는 장치의 복잡화 내지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상기한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제공되는 수건의 길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소음을 감소하고 작동이 정확한 물수건 제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급수단의 롤러에 감겨지는 고무밴드가 그의 자체 진동에 의해 수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게 함으로써, 수건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물수건 제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배급수단과 커팅수단을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리 또는 부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또한, 부식에 안정한 물저장부를 제공함에 의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수건 제작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급수단 및 커팅수단을 포함한 물수건제작기의 측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급수단과 커팅수단을 도시하기 위한 물수건제작기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수건제작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물탱크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a ; 물탱크
2 ; 하우징 20 ; 수건배급수단
30 ; 커팅수단 40 ; 권취수단
50 ; 물저장부 60 ; 커버
70 ; 필터 100 ; 수건원단
상기한 목적은, 장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수건 원단이 두루마리의 형태로 감겨지게 되는 수건원단장착부와, 1회의 기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에 감겨진 상기 수건을 소정 길이로 인출하여 이하의 장치로 배급하는 배급수단과, 상기 배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건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상기 커팅수단에 의해 절단된 수건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두루마리의 형태로 말아 공급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물수건 제작기에 있어서,
상기 배급수단과 상기 커팅수단은 각각의 회전각도 또는 기동시기가 전자식 회전계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의해 측정 및 제어되는 것으로서, 별개의 원동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기동됨에 의해 수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급수단과 상기 커팅수단은 장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1개의 하우징에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제작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급수단 및 커팅수단을 포함한 물수건제작기의 측부 구성도이다.
롤형태로 감겨져 있는 수건원단(10)은 장치의 후부 상단에 거치된다. 그 전방에는 제 1전동기(22)에 의해 기동되는 배급수단(20)이 설치된다. 배급수단(20)의 아래로는 제 2 전동기(32)에 의해 기동되는 커팅수단(30)과, 제 3 전동기(42)에 의해 기동되며 물분사공급수단을 가지는 권취수단(40)이 설치된다. 장치의 저부에는물수건에 분사되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을 가지는 물저장부
(50)가 설치된다.
이하의 구성 및 그에 의한 작동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일부분해 사시도로서, 이해의 편이를 위해 외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배급수단(20) 및 커팅수단(30)은 1개의 하우징(2)에 함께 장착된다. 하우징
(2)은 나사결합에 의해 본체(1)에 결합됨으로써 전체가 용이하게 제거 또는 설치될 수 있다.
배급수단(20)은 하우징(2)의 양측벽 상부에 걸쳐 장착되며, 커팅수단(30)은 하우징(2)의 전방 하단에 장착된다. 배급수단(20)은 수평으로 장착되는 컨베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수 개의 고무밴드(24)와 그 상면에 연접하여 회전되는 롤러(62) 사이로 수건을 압착하여 후송시킨다. 원형단면의 고무밴드(24)는 장치의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수 쌍의 밸트풀리(26)에 긴장된 상태로 걸려진다. 갈퀴형상의 가이드판(3)은 배급수단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도록 본체의 프레임에 나사결합된다. 가이드 홈(3a)은 가이드판(3)의 횡방향으로 고무밴드(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무밴드(24)는 가이드판(3)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직경을 가진다.
하우징의 상방향으로는 ㄱ자 형상의 커버(60)가 결합된다. 커버(60)는 저면에 자재하게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62)를 가진다. 롤러(62)는 커버(60)의 저면에고무밴드(24)와 대응되는 개수와 위치에 설치되어, 가이드판으로부터 돌출되는 고무밴드의 상면을 압박하게 된다. 롤러(62)는 커버(60)를 이루는 케이싱 내에 제공되는 소정의 탄성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건은 롤러(62)와 고무밴드(24) 사이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저부에는 배급수단을 구동하는 제 1 전동기(22)와 커팅수단을 구동하는 제 2 전동기(32)가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커팅수단(30)은 캠(33)에 배급수단의 선단부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커터(35)와 장치의 제어부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커터(36)로 구성된다.
양 커터(35,36)의 교차에 의한 절단방식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커터(36)는 장치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축부재의 일지점으로부터 축부재의 전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돌출형성된다. 수건은 상기 커터(35,36)가 오버랩됨으로써 절단된다. 이를 위해, 고정커터는 탄력을 가지고 약간의 유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특징은 배급수단(20)과 커팅수단(30)을 기동하는 전동기가 각각 분리되어 작동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리된 구성은 전자식 회전계(Tachometer)
와 함께, 사용자로 하여금 물수건의 길이를 자재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배급수단(20)은 회전축에 연결된 톱니형상의 회전판(27)과, 이에 연결된 제1 센서(28)를 가진다. 커팅수단은 커터축(35)과 연결된 캠원판(33)과 제 2 센서(34)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입력부는 장치의 전방에 제공되는 키패드 또는 버튼 등의 조작수단을 가진다. 입력부의 주요 구성요소는 수건의 길이 및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이다.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수치에 따라 물저장부의 냉각 또는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온도제어부와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하기 위한 길이제어부로 구성된다. 배급부와 커팅부는 각각의 구동을 위한 전동기와 센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어부와 상호 연관되어 작동된다.
이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입력수단을 통해 300mm가 입력되어 장치가 가동되면, 배급수단의 제 1 센서는 수건이 해당길이 만큼 인출되기 직전에,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받아 회전커터의 전동기를 구동하도록 한다. 회전커터는 단지 1회전만 하면 되므로, 제 2 센서는 커터축의 1회전 완료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는 제 2 전동기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어부는 수건이 커팅되는 동안 배급수단을 기동하는 제 1 전동기를 정지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에 관한 개선된 사항을 도시하는 물저장부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물탱크(1a)는 저부에 코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되는 필터부를 가진다. 필터는 물탱크 저부의 캡(72)을 개방한 후, 상방향으로 간단하게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물탱크의 물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냉각 또는 가열수단이 제공되는 물저장부로 보급된다. 이것은,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며, 장치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물수건제작기의 다른 측면을 제공한다. 즉, 동전을 투입함에 의해 가동되는 자동판매기 형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판매기 기능의 물수건제작기는 업소가 아닌 공공장소에서 특히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단지 동전만이 아닌 다른 약속된 소정의 투입부재를 투입함에 의해서도 기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부 및 물이 순환되는 주변부는 바람직하게도 스테인레스재질로 공급된다. 이는 물과 접촉되는 각종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공되는 물수건의 길이를 그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물수건제작기는 비교적 많은 양의 물수건을 단 1회의 작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게 되며, 사용자를 번거럽게 하지 않는다.
또한, 장치의 소음이 감소되고 정확하게 작동하며, 기계적인 섭동부(특히,캠수단)가 감소함에 의해 마모가 적게 된다.
또한, 배급수단의 고무밴드(24)가 롤러(62)의 압박에 의해 수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게 됨으로써, 수건이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물저장부가 부식에 강한 재질이 사용됨에 의해 장치의 내구성이 강화된다.

Claims (5)

  1. 장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수건 원단이 두루마리의 형태로 감겨지게 되는 수건원단장착부와; 1회의 기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에 감겨진 상기 수건을 소정 길이로 인출하여 이하의 장치로 배급하는 배급수단과; 상기 배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수건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수단과; 물탱크로부터 필터를 통과하여 냉각 또는 가열수단이 제공되는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커팅수단에 의해 절단된 수건에 공급하는 동시에 두루마리의 형태로 말아 공급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는 물수건제작기에 있어서,
    상기 배급수단과 상기 커팅수단은 각각의 회전각도 또는 기동시기가 전자식 회전계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의해 측정 및 제어되는 것으로서, 별개의 원동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제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급수단과 상기 커팅수단은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1개의 하우징에 함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제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급수단의 수건인출방식은, 컨베어방식으로 회전되는 수 개의 고무밴드와; 상기 고무밴드의 상면을 압착하는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수 개의 롤러와의 압착 회전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제작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물탱크로부터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물탱크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제작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공지의 자동판매기에서와 같이, 특정형상의 투입부재가 투입되는 것을 조건으로 작동되는 기능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제작기.
KR1019990056272A 1999-08-26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KR100353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07U KR200180460Y1 (ko) 1999-12-09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KR1019990056272A KR100353522B1 (ko) 1999-12-09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TW089104124A TW431879B (en) 1999-08-26 2000-03-06 An automatic wet tissue machine
JP2000065329A JP3355554B2 (ja) 1999-08-26 2000-03-09 濡れタオル自動供給装置
US09/525,836 US6343491B1 (en) 1999-08-26 2000-03-15 Automatic wet towel supplying apparatus
CN00105350.7A CN1286067A (zh) 1999-08-26 2000-03-30 含水毛巾自动供给装置
EP00307244A EP1078593B1 (en) 1999-08-26 2000-08-22 Automatic wet towel supplying apparatus
DE60017649T DE60017649D1 (de) 1999-08-26 2000-08-22 Automatischer Spender für feuchte Handtücher
AT00307244T ATE287658T1 (de) 1999-08-26 2000-08-22 Automatischer spender für feuchte handtücher
TR2000/02490A TR200002490A2 (tr) 1999-08-26 2000-08-25 Otomatik ıslak havlu besleme cihaz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72A KR100353522B1 (ko) 1999-12-09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07U Division KR200180460Y1 (ko) 1999-12-09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169A KR20010055169A (ko) 2001-07-04
KR100353522B1 true KR100353522B1 (ko) 2002-09-26

Family

ID=196246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272A KR100353522B1 (ko) 1999-08-26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KR2019990027707U KR200180460Y1 (ko) 1999-12-09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07U KR200180460Y1 (ko) 1999-12-09 1999-12-09 물수건 제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53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91B1 (ko) * 2002-02-23 2004-06-25 정대성 건수건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828A (ko) * 2000-06-02 2001-12-12 이종식 물수건제조장치가 부설된 냉온정수기
KR20020073975A (ko) * 2001-03-19 2002-09-28 정낙원 정수기와 결합된 물수건 제작기
CN108772871A (zh) * 2018-06-19 2018-11-09 浙江傲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切割装置的智能干巾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91B1 (ko) * 2002-02-23 2004-06-25 정대성 건수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60Y1 (ko) 2000-05-01
KR20010055169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491B1 (en) Automatic wet towel supplying apparatus
US4765555A (en) Roll paper dispenser
KR100353522B1 (ko) 물수건 제작기
KR100555593B1 (ko) 물수건 공급 장치
JP5130029B2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JP2009066138A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KR100231477B1 (ko)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JP2009066139A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JP3488231B1 (ja) おしぼり製造装置
KR200390511Y1 (ko) 즉석 물수건제조기
KR200331755Y1 (ko) 즉석 물수건 제조 장치
KR100256780B1 (ko) 물수건 제조기
JP3694387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清掃装置
KR100436891B1 (ko) 건수건 제조장치
JPH0399619A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の運転方法
JP3081592B2 (ja) 巻おしぼり製造装置
JP3234446U (ja) ウェットタオル自動製造装置
JP6171449B2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JP6094299B2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KR200273896Y1 (ko) 물수건 제조장치
KR100436893B1 (ko) 물수건 제조장치 및 그 동력전달방법
JP2009148432A (ja) おしぼり製造装置
KR102054078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JP2009090043A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KR0121905Y1 (ko) 습티슈지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