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371B1 - 매체자동지급기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371B1
KR100353371B1 KR1020000064722A KR20000064722A KR100353371B1 KR 100353371 B1 KR100353371 B1 KR 100353371B1 KR 1020000064722 A KR1020000064722 A KR 1020000064722A KR 20000064722 A KR20000064722 A KR 20000064722A KR 100353371 B1 KR100353371 B1 KR 10035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edia
unit
roll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089A (ko
Inventor
윤기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967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533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to KR102000006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37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1001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089A/ko
Priority to CA002360017A priority patent/CA2360017C/en
Priority to GB0125785A priority patent/GB2368962B/en
Priority to US09/984,312 priority patent/US6520375B2/en
Priority to AU85518/01A priority patent/AU759575B2/en
Priority to BR0105002-8A priority patent/BR0105002A/pt
Priority to MXPA01011188A priority patent/MXPA01011188A/es
Priority to CNB011344350A priority patent/CN1239362C/zh
Publication of KR10035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2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 B41J29/32Type members
    • B41J29/34Type members repeated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7/00Inking apparatus
    • B41J27/10Inking apparatus with ink applied by rollers; Ink supply arrangements therefor
    • B41J27/1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54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 B41J29/58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and automatically actuated
    • B41J29/70Interlocks between any two-carriage-moving mechanisms, e.g. character-space, back space, tabulation, carriage return or carriage- releas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B41J31/09Ink ribbons characterised by areas carrying media for obliteration or removal of typing e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02Ribbon arrangements
    • B41J33/04Ribbon arrangements mounted on moving carriage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급되는 매체의 권종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유니트(100)에 다수개의 권종확장유니트(200)를 차례로 적층 설치하여 지급되는 매체의 권종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유니트(100)에 하나의 구동모터(110)를 설치하여 메인유니트(100) 뿐만 아니라 전체 권종확장유니트(200)까지도 구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가 하나의 경로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불량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함(105)이 상기 이송경로에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별도로 매체의 회수를 위한 경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The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를 원하는 매수만큼 고객에게 자동으로 지급하는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카세트(10), 피드모듈(20), 두께검지유니트(30), 딜리버리모듈(40) 및 회수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0)는 지급하기 위한 매체를 보관하여 두는 곳으로, 그 내부에 보관된 매체를 한장 씩 상기 피드모듈(20)로 전달하기 위해 분리하는 매체분리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매체분리부(12)는 상기 피드모듈(20) 측에 구비된 직류모터(25)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0)에서 방출되는 매체는 피드모듈(20)에 의해 상기 매체검지유니트(3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피드모듈(20)에서는 다수개의 풀리(p)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20v)와 롤러(20r)에 의해 매체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두께검지유니트(30)에서는 롤러(30r)에 의해 매체가 이송되면서 두께검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두께검지유니트(30)에서는 2장의 매체가 한번에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두께검지유니트(30)를 통과한 매체는 딜리버리모듈(40)에서 이송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40)에서는 고객에서 매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출부(42)로 매체를 전달하게 되고, 불량매체와 2장이 한꺼번에 이송된 매체를 회수하여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회수함(50)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딜리버리모듈(40)에도 다수개의 풀리(40p)와 벨트(40v) 및 롤러(40r)에 의해 매체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모듈(20), 두께검지유니트(30) 및 딜리버리모듈(40)의 각각의 풀리와 벨트 및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45)가 상기 딜리버리모듈(4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45)의 동력은 구동풀리(46)에 걸어감아진 벨트(47)에 의해 종동풀리(48)로 전달되고, 상기 종동풀리(48)에서 각각의 풀리와 롤러로 벨트와 기어등을 사용하여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상기 매체카세트(10) 내에 들어 있는 매체가 상기 직류모터(25)에 의해 구동되는 지폐분리부(12)에 의해 한장씩 분리되어 상기 피드모듈(20)로 전달되고, 상기 피드모듈(20)을 거쳐 두께검지유니트(30)에서 2장이 동시에 전달되는 것을 검지하여 딜리버리모듈(40)로 전달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40)에서는 고객의 접근이 가능한 방출부(42)로 매체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불량매체나 2장 이상이 동시에 전달된 매체는 상기 회수함(50)으로 회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는 미리 정해진 종류의 권종의 매체만을 지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권종의 매체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없고, 별도로 매체자동지급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매체카세트(10)에서 매체를 분리하여내고 피드모듈(20)에서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은 직류모터(25)가 제공하고, 상기 딜리버리모듈(40) 등에서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은 구동모터(45)가 제공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가의 모터(25,45)가 많이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회수함(50)으로 매체가 전달되는 경로가 방출부(42)로 이송되는 경로와 전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매체의 회수를 위한 동작이 번거롭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취급되는 권종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동원으로 다수개의 권종의 매체를 방출하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 경로를 따라 매체가 이송되고 회수되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배면에서 보인 배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매체의 이송경로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유니트 101,101': 가이드플레이트
102: 도어 110: 구동모터
112: 구동풀리 112t: 타이밍벨트
120: 제1분리풀리 122: 분리구동풀리
122t: 타이밍벨트 126: 안내풀리
128: 하단연결풀리 130: 픽업롤러
132: 러버부 134: 이송롤러
136: 분리롤러 137: 연동벨트
138: 이송가이드 140: 클러치
150: 연결가이드 155: 제1이송벨트
156: 제2이송벨트 160: 제1이송롤러
161: 제2이송롤러 162: 제3이송롤러
163: 제4이송롤러 165: 연결롤러
166: 제2안내롤러 168,168': 방출롤러
169: 제3안내롤러 170: 광센서
172: 리젝트센서 174: 방출센서
175: 두께검지부 180: 다이버터
185: 회전휠 186: 회전감지센서
200: 권종확장유니트 201,201': 가이드플레이트
203: 지폐케이스 226: 상단연결풀리
228: 하단연결풀리 230: 픽업롤러
232: 러버부 234: 이송롤러
236: 분리롤러 238: 이송가이드
240: 클러치 250: 연결가이드
260: 제1이송롤러 261: 제2이송롤러
265: 연결롤러 266: 구동롤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는 메인매체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매체케이스에서 꺼내진 매체를 하나의 구동원의 동력으로 이송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메인유니트와,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는 확장매체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적층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확장매체케이스의 매체를 상기 메인유니트를 통해 이송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권종확장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유니트는,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고 메인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매체케이스와, 상기 매체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매체케이스의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는 매체방출부와, 상기 매체방출부에서 한장씩 방출된 매체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롤러와 벨트를 사용하여 이송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매체이송부와, 상기 매체이송부의 다수곳에 구비되어 매체의 이송을 검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동일 경로상에 위치하면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매체이송부를 통해 전달되는 매체중 불량매체나 2장이상이 동시에 전달되는 등 비정상적인 것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체이송부중 매체의 이송경로로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는 상기 벨트에 의해 파지되어 이송되는 매체가 굴곡되지 않게 지지하는 원판상의 윙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회수수단은 회수되는 매체가 모여지는 회수함과, 상기 매체이송부의 경로상에 위치되어 매체이송경로를 상기 회수함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다이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종확장유니트는,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고 권종확장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매체케이스와, 상기 메인유니트의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확장매체케이스의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는 확장매체방출부와, 상기 매체방출부에서 한장씩 방출된 매체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롤러와 벨트를 사용하여 이송시켜 상기 메인유니트의 매체이송부로 전달하는 확장매체이송부와, 상기 확장매체이송부 상에 구비되어 매체의 이송을 검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매체케이스에서 매체가 방출되는 경로와 하부의 권종확장유니트에서 전달되는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가 만나는 부분에는 각각의 경로에서 이송되어 오는 매체를 각각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면과 수직가이드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가이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원을 사용하면서도 지급되는 매체의 권종확장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지급되는 권종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매체의 이송경로와 회수경로가 가 단일화되어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유니트(100)의 양단에 가이드플레이트(101,101')가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101')의 사이에 해당되는 내부에는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와 밸트 등의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의 외면에는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101')의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 중 일부를 설명한다. 매체자동지급기의 전방(F)으로는 도어(102)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02)는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케이스(103)에 외부인이 임의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102)에는 별도의 잠금구조(1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매체케이스(103)는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02)의 개방에 의해 상기 매체케이스(103)에 동시에 접근가능하도록 회수함(105)이 설치된다. 상기 회수함(105)은 상기 매체케이스(103)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회수함(105)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방출되지 못한 매체가 회수되어 보관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매체케이스(103)의 하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파워보드(10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파워보드(107)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매체자동지급기의 각종 전장부품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구동모터(110)를 사용하여 매체자동지급기 전체의 동력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축(111)에는 구동풀리(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112)는 타이밍벨트(112t)에 의해 제1분리풀리(120)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분리풀리(12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회전중심과 동심으로 분리구동풀리(1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리구동풀리(122)에는 타이밍벨트(122t)가 걸어감아져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다양한 부분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타이밍벨트(122t)와 연결되는 풀리로는 방출풀리(124), 안내풀리(126), 하단연결풀리(128) 및 텐션풀리(129,129') 등이 있다.
상기 방출풀리(124)는 매체를 최종적으로 방출시키는 방출롤러(168')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방출롤러(168)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풀리(1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이송롤러(161)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제2이송롤러(16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 안내풀리(126)의 하방에 대응되는 가이드플레이트(101)에는 하단연결풀리(128)가 구비된다. 상기 하단연결풀리(128)는 상기 타이밍벨트(12t)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으로 제1이송롤러(160)를 회전시키고, 아래에서 설명될 권종확장유니트(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단연결풀리(128)는 연결벨트(128t)가 걸어감아지는 별도의 풀리부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케이스(103)에 들어 있는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매체케이스(103)의 일측을 통해 그 내부로 일부가 들어가도록 픽업롤러(130)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130)에는 러버부(132)가 일정 구간 형성되어 있어, 매체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매체케이스(103)에서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여 내게 된다. 상기 픽업롤러(130)에서 상기 러버부(13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매끄럽게 형성된다. 상기 픽업롤러(130)에 의해 매체케이스(103)에서 분리되어 나온 매체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이와 같은 픽업롤러(130)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상기 하단연결풀리(128)를 통해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단연결풀리(128)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하단연결풀리(128)에는 기어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게 연결기어(142)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기어(142)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롤러(134)와 기어로 연결되어 이송롤러(134)로 동력을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롤러(134)와 동축으로 설치된 클러치(140)와 연결된 클러치기어(143)를 통해 상기 픽업롤러(130)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140)에 의해 동력이 선택적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130)의 하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이송롤러(134)와 분리롤러(13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134)와 분리롤러(136)는 각각 동축으로 설치된 풀리에 감겨진 연동벨트(137)에 의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134)와 분리롤러(136) 사이로 2장의 매체가 한꺼번에 들어오게 되면 이들이 분리되어 한장씩 이송된다.
상기 이송롤러(134)와 분리롤러(136)의 하단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이송가이드(1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138)는 매체의 이송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롤러(134)와 분리롤러(136)에 의해 하방으로 이송되던 것을 상방으로 이송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가이드(138)의 하류부에는 연결가이드(15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가이드(150)는 상기 이송가이드(138)에서 이송되어 나온 매체를 안내함과 동시에 하부의 권종확장유니트(200)에서 전달되는 매체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가이드(150)에는 상기 이송가이드(138)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경사가이드면(151)과 권종확장유니트(200)에서 전달되는 매체를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가이드면(152)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가이드면(151)과 수직가이드면(152)은 그 하류부가 서로 만나게 된다.
다음으로 매체를 직접 이송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매체의 이송은 다수개의 롤러와 이송밸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 롤러와 이송밸트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매체의 양단에 밀착되어 매체를 이송시키게 된다. 먼저, 제1이송벨트(155)가 걸어감아지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이송벨트(155)는 제1이송롤러(160), 제2이송롤러(161), 제3이송롤러(162), 제4이송롤러(163) 및 제1안내롤러(164)에 걸어감아져 구동된다. 이와 같은 롤러들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101')에 그 양단이 지지되는 축(p)들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롤러(160)는 상기 하단연결풀리(128)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구동되고, 상기 제2이송롤러(161)도 상기 안내풀리(126)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안내풀리(128)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롤러(162)는 상기 제1분리풀리(120)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분리풀리(120)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 제4이송롤러(163)는 상기 제1이송벨트(155)의 구동을 안내하면서 공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이송벨트(155)와 함께 매체를 이송시키게 되는 제2이송밸트(156)가 걸어감아지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이송벨트(156)는 연결롤러(165), 제2안내롤러(166), 제5이송롤러(167), 방출롤러(168) 제3안내롤러(169)에 걸어감아져 구동된다. 이와 같이 걸어감아진 제2이송벨트(156)의 구동은 아래에서 설명될 방출롤러(168)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아래에서 설명될 방출롤러(168')가 방출풀리(124)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방출롤러(168,168')가 설치된 축(p)사이는 기어로 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연결롤러(165)는 상기 제2이송벨트(156)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면서 공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안내롤러(166)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101')의 상단 일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역시 제2이송벨트(156)를 안내하면서 공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5이송롤러(167)도 상기 제2이송벨트(156)를 안내하면서 공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5이송롤러(167)와 방출롤러(168)의 사이에 해당되는 제2이송벨트(156)의 부분은 제3안내롤러(169)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된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 중에서 매체의 이송상태를 검출하여 한장씩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이송롤러(160)를 통과하는 매체를 감지하는 광센서(170)가 구비된다. 상기 광센서(170)는 상기 매체케이스(103)에서 매체가 방출되어 광센서(170)의 위치에 까지 이송된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감지신호를기초로 상기 클러치(140)를 통해 상기 픽업롤러(130)로 동력이 다시 전달되도록 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두께검지부(175)에서 두께검지를 준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센서(170)에서 감지된 신호를 사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다이버터(18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회수함(105)의 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리젝트센서(172)가 구비된다. 상기 리젝트센서(172)는 상기 회수함(105)으로 전달되는 매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리젝트상태를 검지하고, 리젝트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 다이버터(180)의 동작이 오프되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고, 다시 새로운 매체의 이송을 위해 상기 클러치(140)를 통해 상기 픽업롤러(130)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출롤러(168,168')의 전방에는 방출센서(174)가 구비된다. 상기 방출센서(174)는 최종적으로 방출되는 매체(174)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 이송경로상에 걸린 매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방출센서(174)는 상기 검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다이버터(180)의 동작과 클러치(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170)를 통과한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는 두께검지부(175)가 상기 감지센서(170)를 통과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두께검지부(170)는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실제로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여 2장의 매체가 동시에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께검지부(170)의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4이송롤러(163)의 근방에는 다이버터(180)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버터(180)는 이송되는 매체중 정상적으로 방출되어야 할 것과 상기 회수함(105)으로 전달되어야 할 것을 분리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이송벨트(155)와 제2이송벨트(156)의 연결이 끝나는 부분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다이버터(180)는 솔레노이드(182)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5이송롤러(167)와 동축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에는 회전휠(185)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휠(185)은 상기 제5이송롤러(167)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5이송롤러(167)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휠(185)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감지센서(186)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 상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186)는 상기 회전휠(185)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가 직선이 아닌 구간에서는 매체가 그 양단의 상하면을 눌러주는 이송밸트(155,156)의 사이에서 평평하게 지지되지 않고, 약간 굴곡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매체의 이송경로가 급격하게 바뀌는 부분에 해당되는 제1이송롤러(160)의 부분과 제3이송롤러(162)가 설치된 축(p)에는 다수개의 윙(29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하단에는 권종확장유니트(200)가 설치된다.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는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매체케이스(103)에 넣어지는 매체와는 다른 권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는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가이드플레이트(101,101')와 대응되게 가이드플레이트(201,201')가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1,201')의 사이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1)의 외면에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는 별도의 매체케이스(203)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매체케이스(203)의 매체를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연결롤러(165)에 감겨진 제2이송벨트(156)의 부분으로 안내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방출롤러(168,168')를 통해 고객에게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종확장유니트(200)의 매체케이스(203)에는 상기 매체케이스(103)와는 다른 권종의 매체, 예를 들면 지폐의 경우 액면가가 다른 것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매체케이스(203)는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에서의 매체 이송을 위한 동력은 상기 메인유니트(100)로부터 전달된다. 이를 위한 동력전달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1)의 외측면에는 상단연결풀리(226)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에는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하단연결풀리(128)에 일단부가 걸어감아지는 연결벨트(128t)가 걸어감아져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와 타이밍벨트(226t)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단연결풀리(228)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와 하단연결풀리(228)의 사이에는 텐션풀리(227)가 구비되어 상기 타이밍벨트(226t)의 텐션을 유지하고 상기 상단연결풀리(226) 및 하단연결 풀리(228)와 타이밍벨트(226t)의 물림길이를 길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케이스(203)의 내부에 있는 매체를 한장 씩 꺼내기 위한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매체케이스(203)에 있는 매체를 한장 씩 꺼내기 위해서 픽업롤러(230)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230)는 상기 픽업롤러(13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픽업롤러(230)의 하단에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롤러(234)와 분리롤러(23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234)와 분리롤러(236)는 상기 픽업롤러(230)에 의해 2장의 매체가 매체케이스(203)로부터 빠져나온 것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롤러(234)와 분리롤러(236)의 사이를 지나온 매체는 이송가이드(238)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이송가이드(238)는 소정의 곡률을 가져서 상기 픽업롤러(23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던 매체의 이송방향을 상방으로 바꾸어 준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230)와 이송롤러(234) 및 분리롤러(236)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이는 상기 메인유니트(100)에서와 동일하며, 하단연결풀리(228)와 동축으로 설치된 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연결기어(242), 상기 이송롤러(234)와 동축으로 설치된 클러치(240)와 맞물리는 클러치기어(24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238)를 지나온 매체는 연결가이드(250)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연결가이드(250)는 상기 매체케이스(203)에서 빠져나와 이송되는 매체가 안내되는 경사가이드면(251)과 권종확장유니트(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별도의 권종확장유니트로부터 이송되는 매체가 안내되는 수직가이드면(252)으로 구성되고, 상기경사가이드면(251)과 수직가이드면(252)은 그 하류부가 서로 만나게 된다.
다음으로 권종확장유니트(200)에서 매체를 이송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매체는 각각 쌍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이송벨트(255,256)에 의해 이송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이송벨트(255,256)가 각각 걸어감아지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이송벨트(255)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260,261)에 각각 감겨져 구동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260)는 상기 하단연결풀리(228)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단연결풀리(228)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롤러(261)는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2이송벨트(256)는 연결롤러(265), 구동롤러(266) 및 텐션롤러(267)에 걸어 감아져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벨트(256)는 상기 구동롤러(266)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266)는 상기 제2이송롤러(262)와 동축으로 설치된 기어(261g)와 맞물려 구동되는 기어(266g)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롤러(265)는 가이드플레이트(20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가이드(250)의 수직가이드면(252)과의 사이에서 매체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텐션롤러(267)는 상기 제2이송벨트(256)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이송벨트(256)를 지지하면서 공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벨트(255,256)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를 감지하는 광센서(270)가 상기 연결롤러(265)와 텐션롤러(267)의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광센서(270)는 매체의 이송을 감지하여 상기 두께검지부(175)의 구동준비및 클러치(240)의 동작 등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롤러(260)가 설치되는 축(p)에는 윙(290)이 동축으로 설치되어, 이송경로가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서 매체가 굴곡진 상태로 이송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권종확장유니트(200)는 차폐로 다수개가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지급될 수 있는 매체의 권종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구동모터(11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111)에 설치된 구동풀리(112)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분리풀리(120)가 상기 타이밍벨트(112t)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분리풀리(120)와 동축으로 설치된 분리구동풀리(122)가 회전된다. 상기 분리구동풀리(122)가 회전되면 이에 걸어감아져 있는 타이밍벨트(122t)가 구동된다. 상기 타이밍벨트(122t)는 상기 안내풀리(126), 하단연결풀리(128) 및 방출풀리(124)에 걸어감아져 있어, 이들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하단연결풀리(128)와 연결기어(1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클러치(140)로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클러치(140)는 상기 광센서(170), 리젝트센서(172) 및 방출센서(174)의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140)를 통해 동력은 선택적으로 상기 클러치기어(143)를 통해 상기 픽업롤러(13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방출풀리(124)로 전달된 동력은 기어를 통해 상기 방출롤러(168)로 전달되어 상기 제2이송벨트(156)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벨트(155)는 상기 하단연결풀리(128)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1이송롤러(160)에 의해 구동된다. 물론 상기 제1이송벨트(155)가 걸어감아져 있는 제2 및 제3 이송롤러(161,162)에 의해서도 구동된다.
한편,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매체케이스(103)에 저장된 매체가 방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매체케이스(103)의 매체는 상기 픽업롤러(13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한장 씩 취출된다. 상기 픽업롤러(130)에 의해 취출된 매체는 상기 이송롤러(134)와 분리롤러(136)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이송가이드(138)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34)와 분리롤러(13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2장이 겹쳐져 매체가 이송되는 것을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픽업롤러(130)는 한장의 매체를 매체케이스(103)로부터 분리하여 낸 후에는 상기 클러치(140)에 의해 동력 전달이 차단된 상태가 되어 회전하지 않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롤러(13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송가이드(138)를 따라 이송되는 매체는 상기 연결가이드(150)의 경사가이드면(154)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벨트(155,156)의 사이로 들어가 이송된다.
상기 매체가 제1 및 제2 이송벨트(155,156)의 사이로 들어가 이송되다가 상기 광센서(170)에 감지되면, 상기 광센서(170)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클러치(140)를 통해 동력이 상기 픽업롤러(130)로 전달되어 다시 상기 픽업롤러(130)가 회전하여 다음의 매체를 꺼내게 된다. 한편, 상기 광센서(170)에매체가 감지되면 상기 두께검지부(175)가 동작 대기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매체는 제1 및 제2 이송벨트(155,156)의 구동에 의해 계속해서 이송되고 상기 두께검지부(175)에서 두께가 검지된다. 상기 두께검지부(175)에서는 이송되는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여 매체가 두장 겹쳐져 이송되는 것과 불량매체가 이송되는 것을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이송되는 매체가 두장이라던가 불량인 것이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다이버터(180)가 동작된다. 즉 상기 다이버터(180)가 들어올려지면서 이송되는 매체가 회수함(105)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다이버터(180)의 선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벨트(155,156)의 접촉이 끝나는 부분에 위치되어 이송되어온 매체를 상기 방출롤러(168,168') 측이나 회수함(105) 쪽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송되는 매체가 정상적인 것이면 상기 다이버터(180)에 의해 상기 제3안내롤러(169)와 제2이송벨트(156)의 사이에서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2이송벨트(156)와 상기 방출롤러(168')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매체가 외부로 방출되면 이는 상기 방출센서(174)에 의해 감지된다.
한편, 이송되는 매체가 비정상적인 것이라든지, 이송 도중에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회수함(105)으로 전달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다이버터(180)가 상기 솔레노이드(182)에 의해 구동되어 그 선단부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벨트(155)와 제2이송벨트(156) 사이를 통과하여 나온 매체는 상기 제3안내롤러(169) 측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다이버터(180)의 하단면을 따라 안내되어회수함(105)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회수함(105)으로 회수되는 매체는 상기 리젝트센서(172)에 의해 감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의 매체케이스(203)에 저장된 매체가 방출되어 고객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매체케이스(203)에는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매체케이스(103)와는 다른 매체가 들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선택에 따라 특정한 매체케이스(103,203)에 있는 매체가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로의 동력전달은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하단연결풀리(128)와 권종확장유니트(200)의 상단연결풀리(226)에 동시에 걸어감아진 연결벨트(128t)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와 하단연결풀리(228)에 동시에 걸어감아지는 타이밍벨트(226t)에 의해 동력이 또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와 동축으로 설치된 기어(261g)와 맞물린 기어(266g)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구동롤러(266)가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연결풀리(226)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2이송롤러(261)와 상기 하단연결풀리(228)와 동축으로 설치된 제1이송롤러(260)에 동시에 걸어감아진 제1이송벨트(255)가 구동되고, 상기 구동롤러(266)와 연결롤러(265)에 동시에 걸어감아진 제2이송벨트(256)가 구동되면서 권종확장유니트(200)에서의 매체 이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매체케이스(203)에 있는 매체는 상기 픽업롤러(230)의 구동에 의해 꺼내어진다. 상기 픽업롤러(230)의 러버부(232)에 의해 꺼내진 매체는이송롤러(234)와 분리롤러(236)의 사이를 거쳐 이송가이드(238)로 안내된다. 상기 이송롤러(234)와 분리롤러(236)를 거치는 과정에서 2장이 겹쳐져 꺼내진 매체는 분리되어 한장 씩 이송된다.
상기 이송가이드(238)를 따라 안내된 매체는 연결가이드(250)의 경사가이드면(251)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1이송벨트(255)와 제2이송벨트(256)의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롤러(260)와 동축으로 설치된 윙(290)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는 굴곡됨이 없이 펴진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벨트(255,256)의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매체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벨트(255,256)를 따라 이송되어 구동롤러(266)와 제2이송롤러(261)의 위치를 지나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연결롤러(165)와 연결가이드(150)의 수직가이드면(152)의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수직가이드면(152)과 상기 연결롤러(165)의 사이로 전달된 매체는 상기 메인유니트(100)내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한편,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에 있는 상기 광센서(270)는 상기 메인유니트(100)에 있는 광센서(170)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240)의 구동과 상기 두께검지부(175)의 구동준비를 위한 신호 및 상기 다이버터(18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숫자만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가지 권종의 매체를 지급하도록 하려면,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하단에 권종확장유니트(200)를 설치하고, 다시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의 하단에 별도의 권종확장유니트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모두 3가지 권종의 매체를 지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3가지 권종의 매체를 지급할 수 있도록 매체자동지급기를 설정하여 사용하다가 2가지 권종의 매체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하단의 권종확장유니트를 분리하여 내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경로가 하나로 이루어진다는 점에도 특징이 있다. 즉 매체를 이송하여 고객에게 방출하고 불량인 경우에는 회수를 하게 되는데, 특히 매체의 회수가 상기 매체의 이송을 위한 경로 상에서 상기 다이버터(180)의 승강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체의 회수를 위한 별도의 경로를 구성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10)를 사용하여 메인유니트(100) 뿐만아니라 확장되는 권종확장유니트(200)들의 구동을 위한 동력까지도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유니트(100)에만 파워보드(107)와 구동모터(110)가 있고 권종확장유니트(200)에는 별도의 모터나 전원 제공을 위한 구성이 없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은 메인유니트(100)의 하단연결풀리(128)와 권종확장유니트(200)의 상단연결풀리(226) 사이를 연결벨트(128t)로 연결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어를 위해서, 상기 권종확장유니트(200)의 광센서(270)와 클러치(24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상기 메인유니트(100)의 메인보드(도시되지 않음)와 분리하여 별도의 더미보드(도시되지 않음)로 분리하여권종확장유니트(200)에 각각 제공하면 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는 메인유니트에 다수개의 권종확장유니트를 차례로 적층하여 설치하여 원하는 종류의 매체를 자동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권종확장유니트를 장착 또는 분리하여 편리하게 지급되는 매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단일 경로의 일측에 다이버터를 설치하여 매체이송경로와 회수함이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하여 간단하게 불량 매체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경로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으로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메인유니트 뿐만 아니라 확장되는 확장유니트 전체의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사용하므로 고가의 구동모터의 추가사용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으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는 메인매체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매체케이스에서 꺼내진 매체를 하나의 구동원의 동력으로 이송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메인유니트와,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는 확장매체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적층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확장매체케이스의 매체를 상기 메인유니트를 통해 이송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권종확장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니트는,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고 메인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매체케이스와,
    상기 매체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매체케이스의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는 매체방출부와,
    상기 매체방출부에서 한장씩 방출된 매체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롤러와 벨트를 사용하여 이송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매체이송부와,
    상기 매체이송부의 다수곳에 구비되어 매체의 이송을 검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동일 경로상에 위치하면서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매체이송부를 통해 전달되는 매체중 비정상적인 것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이송부중 매체의 이송경로로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는 상기 벨트에 의해 파지되어 이송되는 매체가 굴곡되지 않게 지지하는 원판상의 윙이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은
    회수되는 매체가 모여지는 회수함과,
    상기 매체이송부의 경로상에 위치되어 매체이송경로를 상기 회수함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다이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종확장유니트는,
    소정 권종의 매체가 저장되고 권종확장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매체케이스와,
    상기 메인유니트의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확장매체케이스의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는 확장매체방출부와,
    상기 매체방출부에서 한장씩 방출된 매체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롤러와 벨트를 사용하여 이송시켜 상기 메인유니트의 매체이송부로 전달하는 확장매체이송부와,
    상기 확장매체이송부 상에 구비되어 매체의 이송을 검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매체케이스에서 매체가 방출되는 경로와 하부의 권종확장유니트에서 전달되는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가 만나는 부분에는 각각의 경로에서 이송되어 오는 매체를 각각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면과 수직가이드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가이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
KR1020000064722A 2000-11-01 2000-11-01 매체자동지급기 KR10035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722A KR100353371B1 (ko) 2000-11-01 2000-11-01 매체자동지급기
CA002360017A CA2360017C (en) 2000-11-01 2001-10-24 Media dispenser
GB0125785A GB2368962B (en) 2000-11-01 2001-10-26 Media Dispenser
US09/984,312 US6520375B2 (en) 2000-11-01 2001-10-29 Media dispenser
AU85518/01A AU759575B2 (en) 2000-11-01 2001-10-30 Media dispenser
MXPA01011188A MXPA01011188A (es) 2000-11-01 2001-10-31 Distribuidor de medios.
BR0105002-8A BR0105002A (pt) 2000-11-01 2001-10-31 Dispensador de meio
CNB011344350A CN1239362C (zh) 2000-11-01 2001-11-01 介质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722A KR100353371B1 (ko) 2000-11-01 2000-11-01 매체자동지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89A KR20010016089A (ko) 2001-03-05
KR100353371B1 true KR100353371B1 (ko) 2002-09-18

Family

ID=1969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722A KR100353371B1 (ko) 2000-11-01 2000-11-01 매체자동지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3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89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216B2 (en) Bill handling machine
JP2947461B2 (ja) 自動機群管理装置
JP5255573B2 (ja) 硬貨処理機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WO2007114361A1 (ja) 硬貨入出金機
KR100353371B1 (ko) 매체자동지급기
US7540483B2 (en) Customer access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KR20010044111A (ko) 지폐 방출장치
KR100779525B1 (ko) 매체자동지급기
KR10038930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방법
KR100333616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자동지급방법
KR100555828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픽업롤러 위치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66418B1 (ko) 지폐자동지급기
KR10062640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0171296B1 (ko) 현금 자동 지급기의 잼 제거 장치 및 잼 제거 방법
JP3026982B2 (ja) 遊技設備の紙幣類搬送装置
KR10060352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고객취납장치
KR10034704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제어회로
JPS6112535A (ja) 紙葉類供給装置
KR20000007041A (ko) 지폐자동지급기
KR200379151Y1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KR101181436B1 (ko) 불량매체 및 미수취 매체의 회수기능을 갖는 매체 인출기용 매체 회수함
KR940001008Y1 (ko) 현금 자동 지급기
JP2007279909A (ja) 硬貨繰出装置
KR10136384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분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09

Effective date: 200609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109

Effective date: 2007100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026

Effective date: 200802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11

Effective date: 20080312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