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289B1 -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289B1
KR100352289B1 KR1020000017295A KR20000017295A KR100352289B1 KR 100352289 B1 KR100352289 B1 KR 100352289B1 KR 1020000017295 A KR1020000017295 A KR 1020000017295A KR 20000017295 A KR20000017295 A KR 20000017295A KR 100352289 B1 KR100352289 B1 KR 10035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ound insulation
exhaust pipe
insulation device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963A (ko
Inventor
하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2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52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면에 그 내부로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도어를 설치하고, 세척, 헹굼, 건조의 과정에 의해 식기세척행정을 수행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관통설치된 배기관의 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시켜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각종 소음을 차단하며, 사용자에게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의 배출상태 여부를 인지시키기 위해 배기관의 출구가 도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차음장치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 전면의 배기관 출구가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므로써 차음장치의 오동작 발생이 감소되도록 하고, 외관이 미려해져 타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 배출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우려를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DISHES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이하, 식기세척기라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에 설치된 차음장치의 작동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하는 차음부재가 배기관의 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시키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를 수납하고, 수납된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주방기구이며, 도 1은 이러한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외부가 되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식기가 얹어지는 적재대(2)를 갖는 세척조(3)와, 적재대(2)의 하측에 구비되어 식기(A)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4)과, 상기 세척조(3)의 하측에 설치되어 세척조(3)에 공급된 세척수가 노즐(4)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압력을 제공하는 펌프(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는 식기(A)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전면에 설치된 도어(6)를 포함하며, 이 도어(6)의 상측에는 식기(A)의 세척 후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관(7)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식기세척기는 펌프(5)를 가동시켜 세척조(3)에 공급된 세척수를 식기(A)에 분사하여 세척과정을 수행하고, 세척된 식기(A)에 순수한 물을 분사하여 헹굼과정을 수행한 다음, 펌프(5)의 가동을 중지하고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된 히터(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켜 식기(A)에 남아있는 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을 수행한다.
도 2는 상기 건조과정이 수행될 때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가 도어의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기관(7)은 단지 건조과정의 수행 중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통로를 형성시킨 것이며, 이러한 배기관(7)의 형태는 전술된 세척이나 헹굼의 과정이 수행될 때 케이스(1) 내부에서 펌프(5)의 구동에 의한 진동소음이나, 세척수가 분사할 때 노즐(4)과의 마찰소음이 그대로 배출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진동소음과 마찰소음은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며, 특히 여러 부품이 결합된 기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음은 주지된 바와 같이 각 구성부품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배기관(7)의 소정위치에 차음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차음장치는 도어(6) 내측 배기관(7)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배기관(7)의 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는 차음판(8)과, 차음판(8)을 상, 하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차음장치는 세척이나 헹굼과정이 수행될 때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차음판(8)이 배기관(7)의 통로를 폐쇄시켜 전술한 마찰소음이나 진동소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건조과정이 수행될 때에는 차음판(8)이 배기관(7)의 통로를 개방시켜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차음장치가 도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배기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는 배기관의 출구가 단순한 통공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그 통공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차음장치의 고장발생이나 오동작의 경우 등 많은 문제점을 가졌다.
또한, 외부에서는 배기관의 출구로부터 증기가 배출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근처로 접근하다 화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도어 전면에 형성된 배기관의 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시키도록 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증기 배출시 차음판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 배출에 의해 화상을 입는 우려를 해소하도록 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전면의 배기관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차음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식기세척기에서 배기관의 설치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식기세척기에서 차음장치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에서 차음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에서 차음장치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케이스 16: 도어
20: 차음장치 21: 차음부재
22: 힌지축 23: 레버
25: 솔레노이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면에 그 내부로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도어를 설치하고, 세척, 헹굼, 건조의 과정에 의해 식기세척행정을 수행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관통설치된 배기관의 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시켜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각종 소음을 차단하며 사용자에게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의 배출상태 여부를 인지시키기 위해 배기관의 출구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차음장치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장치는, 배기관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도어의 전면에서 전, 후로 회동되어 배기관의 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음부재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차음부재의 힌지부분에 결합되어 차음부재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인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음부재에는 배기관과 결합되는 일측 힌지축이 연장되어, 힌지축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도록 레버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버에 솔레노이드의 유동축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 및 헹굼과정이 수행될 때에는 차음부재가 배기관의 출구를 폐쇄시킨 상태가 되어,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이 외부와 차단되고, 건조과정이 수행될 때에는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차음부재가 회동되어 배기관의 출구가 개방되므로써 식기건조 후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며, 이때 차음부재의 개방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아 증기가 배출되는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식기세척기는 외부가 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내부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식기가 얹어지는 적재대(12)를 갖는 세척조(13)와, 적재대(12)의 하측에 구비되어 식기(A)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14)과, 상기 세척조(13)의 하측에 설치되어 세척조(13)에 공급된 세척수가 노즐(14)을 통해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압력을 제공하는 펌프(15)로 이루어진 기본구성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11)는 식기(A)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전면에 설치된 도어(16)를 포함하며, 이 도어(16)의 상측에는 식기(A)의 세척 후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관(17)이 장착되고, 상기 배기관(17)의 출구가 도어(16) 전면 일측에 노출되어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음장치(20)가 설치된다.
도 5는 상기 차음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차음장치(20)는 배기관(17)의 단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축(22)이 설치된 차음부재(21)와, 차음부재(21)의 일측에 결합되고 도어(16)에 고정설치되는 동력발생수단인 솔레노이드(25)로 구성된다.
상기 차음부재(21) 하단부의 힌지축(22)은 배기관(17)과 힌지결합되도록 하며, 일측이 연장된 외주면에는 축방향과 직교되도록 판형의 레버(2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레버(23)에는 전, 후방으로 길게 장공(24)이 형성되고, 이 장공(24)에는 솔레노이드(25)의 유동축(26)이 관통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차음장치(20)가 식기세척기의 세척행정에 따라 동작되는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차음부재(21)가 배기관(17)의 출구를 폐쇄시킨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6a에서와 같이 차음부재(21)가 배기관(17)의 출구를 폐쇄시킨 상태는 식기세척행정중 세척과 헹굼의 과정에서 전술된 펌프(15)의 구동에 의한 진동소음과, 노즐(14)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마찰소음을 차단하도록 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상태는 배기관(17)의 출구가 막힌 상태이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여, 케이스(11)의 내부 기기에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진동발생이 적어져 각 구성부품의 기능저하를 감소시키게 된다.
도 6b는 차음부재(21)가 배기관(17)의 출구를 개방시킨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6b에서와 같이 차음부재(21)가 배기관(17)의 출구를 개방시킨 상태는 솔레노이드(25)가 작동되어 유동축(26)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레버(23)가 유동축(26)에 의해 상승되어 차음부재(21)가 도어(16)의 전방으로 회동됨으로 인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태는 식기세척행정 중 건조과정에서 케이스(11) 내부에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태이며, 이 때, 사용자는 차음부재(21)가 회동된 상태임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 전면의 배기관의 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므로써, 차음장치의 오동작 발생이 감소되도록 하고, 외관이 미려해져 타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식기건조시 발생되는 증기 배출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우려를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케이스(11)의 일측면에 그 내부로 식기(A)를 수납하기 위한 도어(16)를 설치하고, 세척, 헹굼, 건조의 과정에 의해 식기세척행정을 수행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16)에 설치된 배기관(17)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각종 소음을 차단하며, 사용자에게 식기건조시 발생된 증기의 배출상태의 여부를 인지시키기 위해 배기관(17)의 출구가 도어(16) 전면 일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차음장치(20)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장치(20)는
    배기관(17)의 출구에 힌지결합되고 도어(16)의 전면에서 전, 후로 회동되어 배기관(17)의 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음부재(21)와;
    상기 도어(16)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차음부재(21)의 힌지부분에 결합되어 차음부재(21)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21)는 배기관(17)과 결합되는 일측 힌지축(22)이 연장되고 연장된 외주면에는 레버(23)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버(23)에 솔레노이드(25)의 유동축(26)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KR1020000017295A 2000-04-03 2000-04-03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KR10035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295A KR100352289B1 (ko) 2000-04-03 2000-04-03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295A KR100352289B1 (ko) 2000-04-03 2000-04-03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963A KR20010093963A (ko) 2001-10-31
KR100352289B1 true KR100352289B1 (ko) 2002-09-12

Family

ID=1966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295A KR100352289B1 (ko) 2000-04-03 2000-04-03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696A1 (en) * 2015-07-24 2017-02-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020B1 (ko) * 2005-12-13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236055B1 (ko) * 2005-12-26 2013-02-21 주식회사 동양 식기세척기의 습증기 배출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696A1 (en) * 2015-07-24 2017-02-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0588482B2 (en) 2015-07-24 2020-03-1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963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7667B2 (en) Dishwasher
EP2052664B1 (en) Dishwasher
KR100352289B1 (ko) 도어에 차음장치가 설치된 식기세척기
JP6405535B2 (ja) 食器洗い機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JPH05245094A (ja) 食器洗浄器
KR20060109165A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JP2006263174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扉の開閉検知装置
JPH0545255B2 (ko)
JP6119613B2 (ja) 食器洗浄機
KR200395270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274914Y1 (ko) 식기세척기 건조장치
WO1999027836A1 (en) Dishwasher capable of jetting and discharging water stored in a sump case using a single motor
JP2008167961A (ja) 食器洗い機
KR102639321B1 (ko) 손 세정 장치
KR20000020038A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20110045761A (ko) 식기세척기
JPH10141295A (ja) ポンプおよびこのポンプを用いた食器洗浄機
KR101268780B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 배출 구조 및 식기 세척기
KR20150006261A (ko) 식기세척기
CN218552288U (zh) 一种用于清洗机的排水结构及清洗机
JP2001078948A (ja) 食器洗浄機
KR910008191Y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KR101257507B1 (ko) 식기 세척기
JP2010099218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