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421B1 -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421B1
KR100351421B1 KR1020000068119A KR20000068119A KR100351421B1 KR 100351421 B1 KR100351421 B1 KR 100351421B1 KR 1020000068119 A KR1020000068119 A KR 1020000068119A KR 20000068119 A KR20000068119 A KR 20000068119A KR 100351421 B1 KR100351421 B1 KR 10035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ual
power supply
unit
du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066A (ko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4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레벨의 이중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이중 공급부를 이용하여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전위차가 높은 전원을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정류기로 전원 공급을 이중화하고 케이블을 독립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시스템에 입력되는 전원 중단없이 고장난 전원장치를 교체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화시켜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DEVICE FOR STABILIZING OF POWER SUPPLY DSLAM USING DUAL POWER}
본 발명은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Digital Subscriber Loop Access and Multiplexing; 이하 "DSLAM"이라 칭함.)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을 이중화하고 케이블을 독립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시스템에 입력되는 전원 중단없이 정류기 및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SLAM은 광대역 전송망(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 ATM망)과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을 접속해 주는 장치로서 복수의 xDSL 회선에서의 신호를 이중화하여 고속 인터페이스에서 백본측 설비(예컨대, 라우터)로 송출하는 기능을 지닌 장치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와 전화국간의 통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상기 DSLAM 시스템내에 전원공급을 원할하게 하는 장치이다.
종래 전원 연결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기(1), 연결부(2), 셀프(3), 입력 커넥터(4), EMI 필터(5), 제 1 커넥터(6), 제 2 커넥터(7)로 구성되어있었다.
먼저, 상기 정류기(1)는 시스템에 일정 레벨의 전원을 상기 연결부(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부(2)는 일정 레벨의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전원의 정전기를 감쇠시켜 상기 셀프(3)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전원 연결 장치는 정류기 또는 연결부의 장애로 인해 상기 정류기 또는 연결부의 교체시에는 시스템에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 전화국과 사용자간의 통신이 단절되어 시스템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큰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운용자가 상기 연결부 교체시 상기 연결부를 잘못 연결하면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공급을 이중으로 공급함으로 시스템에 전원 중단없이 고장난 전원장치를 교체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화시켜주는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안정화 장치는 일정한 레벨의 이중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이중 공급부;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와 이중으로 접속하며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이중 전원의 정전기를 감소시켜 출력하는 다수개의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다음단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출력하는 한편, 전원 공급 중단시 상기 입력부와 케이블을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다수개의 출력부를 구비한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전위차가 높은 전원을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셀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연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의 외향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 이중 공급부 110 : 정류기
120 : 제 1 프로택트 커넥터 200 : 전원 연결부
210 : 입력부 211 : 제 2 프로택트 커넥터
212 : EMI 필터 213 : 제 3 프로택트 커넥터
220 : 케이블 연결부 221 : 제 4 프로택트 커넥터
222 : 제 5 프로택트 커넥터 230 : 출력부
231 : 제 6 프로택트 커넥터 232 : 제 7 프로택트 커넥터
300 : 셀프 310 : 제 8 프로택트 커넥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이중 공급부(100), 전원 연결부(200), 셀프(3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는 일정한 레벨의 이중 전원을 상기 전원 연결부(2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정류기(110), 제 1 프로택트 커넥터(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내(100)에 장착된 상기 정류기(110)는 시스템에 이중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정류기는 -48V, 0V, CGROUND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에 장착된 상기 제 1 프로택트 커넥터(120)는 상기 정류기(110)에 장착되어 운용자가 상기 전원 연결부(200)와 접속시 오결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1 프로택트 커넥터(120)란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와 상기 전원 연결부(20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부(200)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에서 출력한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상기 셀프(3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210), 케이블 연결부(220), 출력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연결부(200)내 장착된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와 접속하며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이중 전원의 정전기를 감소시켜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프로택트 커넥터(211), EMI 필터(212), 제 3 프로택트 커넥터(21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입력부(210)내에 장착된 상기 제 2 프로택트 커넥터(211)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의 상기 제 1 프로택트 커넥터(120)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2 프로택트 커넥터(211)란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와 상기 전원 연결부(20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210)내에 장착된 상기 EMI(Electro Magnetic Interface) 필터(212)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입력된 이중 전원의 정전기를 감소시켜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EMI 필터는 전원의 급작스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된 잡음 제거기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210)내에 장착된 상기 제 3 프로택트 커넥터(213)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200)와 상기 입력부(210)를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3 프로택트 커넥터(213)란 상기 입력부(2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부(200)내 장착된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는 상기 입력부(210)의 다음단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상기 출력부(230)로 출력하는 한편, 전원 공급 중단시 상기 입력부(210)와 케이블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프로택트 커넥터(221)와 제 5 프로택트 커넥터(2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에 장착된 상기 제 4 프로택트 커넥터(221)는 상기 입력부(2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4 프로택트 커넥터(221)란 상기 입력부(2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에 장착된 상기 제 5 프로택트 커넥터(222)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와 상기 출력부(23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5 프로택트 커넥터(222)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와 상기 출력부(23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부(200)내 장착된 상기 출력부(23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프로택트 커넥터(231)와 제 7 프로택트 커넥터(23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출력부(230)내 장착된 상기 제 6 프로택트 커넥터(231)는 상기 출력부(23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6 프로택트 커넥터(231)란 상기 출력부(23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230)내 장착된 상기 제 7 프로택트 커넥터(232)는 운용자가 상기 셀프와 접속시 오결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7 프로택트 커넥터(232)란 상기 출력부(230)와 상기 셀프(30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셀프(300)는 전원 연결부(20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전위차가 높은 전원을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셀프(300)내에 장착된 상기 제 8 프로택트 커넥터(310)는 상기 제 8 프로택트 커넥터(232)와 오결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내에 장착된 상기 정류기(110)는 일정한 레벨의 이중 전원을 상기 전원 연결부(200)로 출력한다.
반면에, 상기 제 1 프로택트 커넥터(120)는 상기 전원 연결부(200)내 장착된 제 1 프로택트 커넥터(211)와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와 상기 전원 연결부(200)를 오접속하면 시스템에 장애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프로택트 커넥터는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해야지만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이다.
그러면, 상기 전원 연결부(200)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에서 출력한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상기 셀프(300)로 출력하는 한다.
이 때, 상기 전원 연결부(200)내 장착된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와 접속하며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이중 전원의 정전기를 감소시켜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입력부(210)내에 장착된 상기 제 2 프로택트 커넥터(211)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의 상기 제 1 프로택트 커넥터(120)와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입력부(210)내에 장착된 상기 EMI(Electro-Magnetic Interface) 필터(212)는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10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입력된 이중 전원의 정전기를 감소시켜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입력부(210)내에 장착된 상기 제 3 프로택트 커넥터(213)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200)와 상기 입력부(210)을 접속시킨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정류기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제 2 프로택트 커넥터(211), 상기 EMI 필터(212), 상기 제 3 프로택트 커넥터(213)의 장애로 전원공급이 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프로택트 커넥터(120)와 상기 제 2 프로택트 커넥터(211)를 분리시키고 또한, 상기 제 3 프로택트 커넥터(213)와 상기 제 4 프로택트 커넥터(221)를 분리시켜 교체함으로써 시스템에 전원을 중단하지 않고 상기 고장난 장치를 교체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200)내 장착된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는 상기 입력부(210)의 다음단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상기 출력부(230)로 출력한다.
반면에,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에 장착된 상기 제 4 프로택트 커넥터(221)는 상기 입력부(21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에 장착된 상기 제 5 프로택트 커넥터(222)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와 상기 출력부(23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200)내 장착된 상기 출력부(230)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출력부(230)내 장착된 상기 제 6 프로택트 커넥터(231)는 상기 출력부(230)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220)를 결합한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정류기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제 4 프로택트 커넥터(221)와 상기 제 6 프로택트 커넥터(231) 사이의 케이블의 장애로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 3 프로택트 커넥터(213)와 상기 제 4 프로택트 커넥터(221)를 분리시키고 또한,상기 제 5 프로택트 커넥터(222)와 상기 제 6 프로택트 커넥터(231)를 분리시켜 교체함으로써 시스템에 전원을 중단하지 않고 상기 고장난 장치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230)내 장착된 상기 제 7 프로택트 커넥터(232)는 운용자가 상기 셀프(300)와 접속시 오결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7 프로택트 커넥터(232)란 상기 출력부(230)와 상기 셀프(300)를 연결할 때 접속면이 동일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는 커넥터를 말한다.
또한 상기 셀프(300)는 전원 연결부(200)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전위차가 높은 전원을 시스템으로 공급하며, 상기 셀프(300)내에 장착된 상기 제 8 프로택트 커넥터(310)는 상기 제 7 프로택트 커넥터(232)와 오결합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에 의하면, 전원 공급을 이중으로 공급함으로 시스템에 전원 중단없이 고장난 전원장치를 교체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화시켜주며, 또한 운용자가 전원 연결부를 교체시 프로택트 커넥터를 이용하여 오결합의 여지를 없애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정한 레벨의 이중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이중 공급부;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와 이중으로 접속하며 상기 전원 이중 공급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이중 전원의 정전기를 감소시켜 출력하는 다수개의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다음단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출력하는 한편, 전원 공급 중단시 상기 입력부와 케이블을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그 이중 전원을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다수개의 출력부를 구비한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전원 연결부로부터 이중 전원을 입력받은 후 전위차가 높은 전원을 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셀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원 안정화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68119A 2000-11-16 2000-11-16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KR10035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19A KR100351421B1 (ko) 2000-11-16 2000-11-16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19A KR100351421B1 (ko) 2000-11-16 2000-11-16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66A KR20020038066A (ko) 2002-05-23
KR100351421B1 true KR100351421B1 (ko) 2002-09-05

Family

ID=1969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119A KR100351421B1 (ko) 2000-11-16 2000-11-16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4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66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260B1 (en) Controlled routing to a plurality of signaling interfaces at a single telephonic switch
CA2255461A1 (en) A circuit to provide backup telephone service for a multiple service access system using a twisted pair
US4937823A (en) Ring network configuration
KR100351421B1 (ko) 이중 전원을 이용한 dslam 전원공급 안정화 장치
US78010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tandby
US6639894B1 (en) Communications interconnect with make-before-break signal routing
GB2143403A (en) Telecommunication exchange
US20020083365A1 (en) Segmente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68293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filtering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isco Troubleshooting
KR100532779B1 (ko) 이더넷 정합 장비에서의 링크 이중화 장치 및 방법
US7547991B2 (en) Redundancy power for communication devices
CN115426329A (zh) 具有功率共享的有源冗余y型线缆
EP1298864B1 (en) Single shelf network system capable of providing expansion to a multiple shelf mode
JP3795082B2 (ja) 通信システムに関する構成並びに方法
US5521903A (en) Port system for interfacing digital PBX to digital transmission facility
US6141414A (en) Data access arrangement having combined remote hang-up/ring detection circuitry
KR20010025818A (ko) 디에스엘에이엠 멀티 입력 동기 이중화 장치 및 방법
WO2003041384A2 (en) Gateway apparatus for transporting electrical telephony signals
KR0176393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복수 원격교환장치기능을 위한 통신경로 제공방법
KR100255373B1 (ko) 가입자 전송장치에서 이중화된 유니트 절체시 상대유니트탈장 인식회로
JPH09247268A (ja) ホスト交換機2重化システムサービス
CN100496051C (zh) 数字用户线的协商方法
EP0460087A1 (en) STAR DATA NETWORK WITH LOGICAL RING FUNCTION, PREFERABLY WITH TOKEN ACCESS.
JPH07177225A (ja) スイッチパッケージのバックアップ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