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107B1 - 신발창 - Google Patents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107B1
KR100351107B1 KR1019960702529A KR19960702529A KR100351107B1 KR 100351107 B1 KR100351107 B1 KR 100351107B1 KR 1019960702529 A KR1019960702529 A KR 1019960702529A KR 19960702529 A KR19960702529 A KR 19960702529A KR 100351107 B1 KR100351107 B1 KR 10035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pace
sole
recess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491A (ko
Inventor
마티스 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다이히만-슈헤 게엠베하 운트 코 훼르트립스 카게
엔그로스-슈하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히만-슈헤 게엠베하 운트 코 훼르트립스 카게, 엔그로스-슈하우스 아게 filed Critical 다이히만-슈헤 게엠베하 운트 코 훼르트립스 카게
Publication of KR96070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도관을 거쳐서 연통하고 있으며 그리고 매질을 포함하고 있는 2개의 공간부들을 가지며 이들 중에서 하나는 발꿈치범위에 있으며 그리고 발꿈치에 의한 압력작용하에 압축할 수 있는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이 신발창이 충격을 잘 흡수하고 그리고 발의 이동시에 특히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으며 그리고 에너지의 부분을 다시 발에 방출하기 위하여 두번째 공간부가 발의 만곡부의 범위에 존재하며 그의 재료장력에 대항하여 풍선모양으로 확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Description

신발창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유동이 가능한 매질을 함유하고 있는 2개의 공간부를 갖는 신발창은 WO 93/18677에 공지되어 있다. 제 1 공간부는 발꿈치 영역에 있으며 한편 제 2 공간부는 발의 만곡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유체는 보행하는 동안 발을 이동할 때 먼저 발꿈치 영역에 있는 공간부로부터 다른 공간부로 펌핑되고 발 만곡부의 부하의 경우 이동 운동의 다른 시기에 다시 역펌핑된다. 이것에 의해 발 만곡부의 지지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이것은 이동 운동에서 자주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더 큰 부하시에 납작하게 눌려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신발창은 발 만곡부의 영역에 있는 공간부로부터 발꿈치 영역에 있는 공간부로 유체의 역펌핑을 위해 에너지가 결국 신발 착용자에 의해 소비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미국 특허 공보 US 4,446,634호로부터, 예를 들면 보행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신발창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탄성 중합체 공간부를 갖는 신발은 잘 공지되어 있다. 제 1 공간부는 발꿈치 영역에 있고 2개의 평행한 채널을 지나 대체로 둥근 부분 영역에 존재하는 제 2 공간부와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채널은 횡단면의 변동을 위해 조절될 수 있고, 1개의 역지 밸브를 가지며, 그 결과 발을 내디딜 때 유체는 1개의 채널을 통하여 발꿈치로부터 둥근 부분영역으로 펌핑되고 발을 들어올릴 경우에 유체는 둥근 부분 영역으로부터 다른 채널을 통하여 발꿈치 영역으로 역펌핑된다.
상기 공지된 신발에 있어서, 압력 부하하에서의 유체가 양 공간부 사이에서 발에 의해 펌핑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에너지는 발꿈치를 올린 경우에 및 발을 이동할 경우에 즉 발의 둥근 부분을 올리는 경우에 또한 흡수된다. 계속해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있는 신발창은 점토질 바닥과 같이 작용하여 유체가 발의 둥근 부분에서 발꿈치 영역으로 역펌핑되어야 하므로 충격 에너지는 대체로 흡수되나 운동은 역시 방해된다.
상술한 선행 기술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발을 내디딜 때 충격을 잘 흡수하지만 발을 이동할 때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으며 특히 발을 내디딜 때 흡수된 에너지의 일부를 다시 발에 전달하는 개량된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제는 발 만곡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공간부가 유연한 재질로 된 신발창 재질의 텐션에 대항하여 풍선 모양으로 확대될 수 있고 밑창 및 안창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창에 형성된 오목부내에 수용되며, 이것에 의해 제 2 공간부가 이완된 상태에서 최소 가능 체적을 차지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이러한 형성으로 인하여, 발꿈치를 사용하는 제 1 공간부의 부하의 경우에 상기 펌핑된 유체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가 이 경우에 상당한 힘을 중간창으로 또는 발로 전달되는 것없이 풍선 모양으로 확대될 수있다. 발의 이동 동안 보행시에 이루어진 제 1 공간부의 이완의 경우 제 2 공간부에 존재하는 유체가 이 경우에 발에 의해 제 2 공간부의 압력 부하를 필요로 하는 것없이 자동적으로 제 1 공간부로 역펌핑된다. 이렇게 풍선 모양으로 확대된 제 2 공간부로부터 제 1 공간부로 유체의 귀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은 발의 이동시 점토질 지면과 같은 지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제 2 공간부 내에서 이의 재질의 텐션에 대항하여 풍선 모양으로 확대되므로 저장된 에너지가 발꿈치 영역의 이완의 시작에서 발로 되돌아 전달될 것이다.
이용가능한 본 발명에 있어서, 우수한 충격 흡수가 발의 이동을 유해롭게 하는 것없이 얻어질 수 있고 나아가 이동하는 동안 발꿈치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추가적인 에너지가 발에 전달된다. 보행은 이것에 의해 지지되고 덜 피로해진다.
유리한 구성은 종속항의 대상이다.
유체가 신속하게 제 1 공간부로 환류되도록 하기 위해, 유체 공간부 사이에 다른 채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채널은 역지 밸브에 의해 다른 공간부의 방향으로 닫힐 수 있다. 상기 다른 채널은 이 때 발꿈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부로 유체의 환류시 소위 "바이패스"로 작용한다.
완충 특성은 조절될 수 있는 채널 횡단면에 의해 조절된다. 채널의 횡단면이 더 작아짐에 따라 이 때 발꿈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공간부의 완충 작용이 증가된다.
유체가 다른 공간부로 배제되기 전에 미리 가해진 텐션 여하에 따라 먼저 일정한 압력이 공간부 내에 구성되어야 하므로 채널에서 미리 텐션이 가해질 수 있는역지 밸브에 의해 더 큰 에너지량이 흡수된다.
유체의 압축은 가스의 압축보다 더 작은 스프링력 및 스프링 행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펌핑되는 매체는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는 비교적 온도에 독립적인 점성을 가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생물 분해성 오일 또는 부동액과 혼합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에 있어서, 유체의 제 1 공간부는 실린더형이거나 또는 회전 대칭형이고, 반경 방향으로 변형될 수 없으며, 그 결과 이것은 수직 방향으로만 변형되는 손풍금 모양의 주머니 형태를 갖는다.
유체 공간부가 존재하는 오목부는 특허청구범위 제 14 항에 따라 동시에 환기 시스템을 위한 펌프실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펌프실의 경우에 공기는 대기와 연결되어 있고 압력 부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공기 안내 채널을 지나 신발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도움으로 개별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제 2 도의 I-I선단면도이며,
제 2 도는 제 1 도의 신발창에 대한 II-II선 종단면도이고,
제 3 도는 제 1 도와 유사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발꿈치 영역의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신발창(10)은 밑창(12), 안창(14) 및 그 사이에 놓여있는 중간창(16)으로 되어 있다. 제 1 도에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중간창(16)은 발꿈치 영역(18)에 제 1 오목부(20), 및 발꿈치 영역(18)과 둥근 영역(22) 사이의 중앙 측면에 즉 발 만곡부의 영역(24)에 제 1 오목부(20)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오목부(26)를 갖는다.
제 1 오목부(20)는 제 1 공간부(28)의 수용을 위해 사용되며, 이것은 발꿈치에 의한 압력 부하로 축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제 1 공간부(28)는 실린더형이거나 또는 회전 대칭형이고, 반경 방향으로 대체로 변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한 구성에 있어서, 제 1 공간부(28)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는 일종의 주머니이다. 제 2 오목부(26)는 재질의 텐션에 대항하여 풍선 모양으로 확대될 수 있는 제 2 공간부(30)의 수용을 위해 사용된다.
제 2 공간부(30)는 이완된 상태에서 최소 가능 체적을 차지한다. 양 공간부(28 및 30)는 제 1 채널(3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결과 매체를 제 2 공간부(30)로 펌핑되어 옮겨지는 경우에 이것이 펌프로 넣어진다. 제 1 채널(32)의 횡단면은 예를 들면 외부에서 조작될 수 있는 조리개(33)를 형성하는 나사(34)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수단이 단순화를 위해 설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나사(34)를 회전시켜서 횡단면의 변동을 방지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제 1 채널(32)과 평행한 제 2 채널(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채널(36)은 역지 밸브(38)에 의해 제 2 공간부(32)의 방향으로 닫힐 수 있으며, 그 결과 공간부(28 및 30)에 함유된 매체는 발꿈치에 의한 압력 부하시 다만 제 1 채널(32)을 지나 제 1 공간부로부터 제 2 공간부로 펌핑될 수있으나, 발꿈치에 의한 부하 제거시 양 채널(32 및 36)에 의해 제 1 공간부(28)로 환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채널(36)은 매체를 제 1 공간부(28)로 환류시키는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다.
매체를 신속하게 환류시키기 위해, 제 2 채널(36)은 제 1 채널(32)보다 더 큰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환류 속도에 영향을 주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수단으로 제 2 채널(36)의 횡단면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채널은 1개의 다른 역지 밸브를 가지며, 상기 역지 밸브는 제 2 공간부의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 때 매체는 발꿈치에 의한 압력 부하시 제 1 채널을 지나 제 1 공간부로부터 제 2 공간부로 펌핑되고 압력 이완시 다만 제 2 채널을 지나 제 1 공간부로 환류된다. 또한, 이러한 역지 밸브는 제 1 채널에서 압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것은 제 1 공간부에서 상기 압축에 의해 정해진 압력이 구성된다면 비로서 개방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더 큰 에너지 흡수 및 이것으로 인하여 더 우수한 충격 흡수가 가능해진다. 상기 압축은 어떤 수단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흡수는 한편으로 조리개(33)에 의해 및 다른 한편으로 제 1 채널(32)에서의 역지 밸브의 텐션을 가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펌핑되는 매체는 비교적 온도에 독립적인 점성을 갖는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부동액과 혼합된 물 또는 생물 분해성 오일이 우선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28 및 30)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0 및 26)는 환기 시스템에 있는 펌프실(40)의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펌프실(40)은 한편으로 오목부(20 및 26)에 의해 및 다른 한편으로 안창(14)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안창(14)은 밸브 텅(valve tongue)(44)에 의해 닫힐 수 있는 공기 진입 개구부(42)를 갖는다. 공기는 공기 진입 개구부(42)를 지나 펌프실(40) 내로 들어가며, 상기 펌프실은 압력 부하시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공기 배출 개구부(46)와 역지 밸브(48)를 지나 공기 안내채널(50)에서 공기를 압축한다. 공기 안내 채널(50)은 각부 중간 영역에서 제 1 및 제 2 채널(32 및 36)에 대체로 평행하고 제 2 오목부(26)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안창(14)은 발가락 내지 엄지발가락 둥근 부분 영역에 천공되어 있거나 구멍(51)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 공기 안내 채널(50) 내의 압축된 공기는 신발의 전방 부분에서 압축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은 흡수성을 받아서는 안되므로, 환기 시스템의 모든 개구부 및 채널은 대단히 큰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발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각각의 걸음걸이로 공간부(28 및 30) 사이가 따뜻해짐으로써 신발창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유체가 유동된다.

Claims (14)

  1. 밑창(12) 및 안창(14) 사이에 놓여 있는 중간창(16)을 포함하며, 발꿈치 영역(18)에 제 1 공간부(28) 및 상기 발꿈치 영역(18)과 마주보며 향해 있는 제 2 공간부(30)가 설치되며, 유체 매체를 포함하는 상기 공간부는 제 1 채널(3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간창(16)에 속하는 각각 1개의 오목부(20, 26)에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오목부(28)는 발꿈치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의 결과로서 압축되기 쉽고, 상기 제 2 오목부(30)는 신발창 재질의 텐션에 대항하여 상기 제 1 오목부(28)로부터 옮겨지는 매체에 의해 확대될 수 있는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부(30)는 발 만곡부의 영역(24)에서 전적으로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공간부(30)는 이완된 상태에서 제 2 오목부(26)의 최소 가능 체적을 차지하고 풍선 모양으로 상기 매체에 의해 확대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채널(32)은 발을 펴는 이동 동안일 때 완전히 침투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부(28, 30) 사이에 제 2 채널(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채널(36)은 제 2 공간부(30)의 방향으로 역지 밸브(38)에 의해 닫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3. 제 2 항에 있어서,
    다른 역지 밸브는 제 2 공간부(30)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 1 채널(3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32)에 있는 역지 밸브는 미리 텐션이 가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5.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32)의 횡단면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36)은 제 1 채널(32)보다 더 큰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채널(36)의 횡단면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생물 분해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부동액과 혼합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창(16)의 발꿈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공간부(28)는 실린더형이거나 또는 회전 대칭형이고, 반경 방향으로 대체로 변형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부(28, 30)는 교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부(28)는 제 1 오목부(20)에 설치되고 공간부(28, 30)를 수용하는 두 오목부(20, 26)는 환기 시스템을 위한 펌프실(40)의 부분이며, 여기에서 공기는 대기와 연결되어 있고 신발의 내부 영역으로 공기 안내 채널(50)을 지나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상기 펌프실(40)을 지나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1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채널(50)은 발의 중간 영역에 설치되고 공기는 공기 배출 개구부(46)를 지나 공기 안내 채널(50)로 운반되며, 상기 옹기 배출 개구부(46)는 제 1 공간부(28)를 수용하는 제 1 오목부(20)의 출구이고 역지 밸브(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KR1019960702529A 1993-11-16 1994-11-10 신발창 KR100351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39105.2 1993-11-16
DE4339105A DE4339105C2 (de) 1993-11-16 1993-11-16 Schuhsohle
PCT/EP1994/003712 WO1995013718A1 (de) 1993-11-16 1994-11-10 Schuhsoh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491A KR960705491A (ko) 1996-11-08
KR100351107B1 true KR100351107B1 (ko) 2002-11-09

Family

ID=650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529A KR100351107B1 (ko) 1993-11-16 1994-11-10 신발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729307B1 (ko)
KR (1) KR100351107B1 (ko)
AT (1) ATE218820T1 (ko)
DE (2) DE4339105C2 (ko)
WO (1) WO1995013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4657A1 (en) * 2003-07-12 2005-01-20 E & O Korea Co., Ltd. Pumping device of sho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1843D0 (en) * 2000-09-06 2000-10-18 Courtney William A Fluid filled impact absorber
GB2376415A (en) * 2001-06-12 2002-12-18 Huntleigh Technology Plc Inflatable pad having restrictively interconnected bladder sections for stimulating blood flow via dorsal & plantar flexion of the foot
JP6823190B2 (ja) 2017-02-27 2021-01-27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流体充填ブラダチャンバを含む調節可能な足支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0359A1 (de) * 1978-01-05 1979-07-12 Will Peter Dr Fussbettung fuer ein aktives fusstraining und zur funktionellen behandlung von beinschaeden
FR2452889A1 (fr) * 1979-04-03 1980-10-31 Reber Walter Dispositif destine a faciliter la locomotion de l'homme se deplacant a pied sur le sol
SE8102124L (sv) * 1981-04-02 1982-10-03 Lars Gustaf Birger Peterson Skosula
GB2114425B (en) * 1982-02-05 1985-05-30 Clarks Ltd Sole units for footwear
US4446634A (en) * 1982-09-28 1984-05-08 Johnson Paul H Footwear hav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DE3417497A1 (de) * 1984-05-11 1985-11-14 Walter A. Dr.med. 4920 Lemgo Laabs Schuh mit einer abstuetzung der fussgewoelbekuppel
GB9010336D0 (en) * 1990-05-09 1990-06-27 Seymour Robert A sports shoe
SE515945C2 (sv) * 1992-03-23 2001-10-29 Sporttrauma Ab Skosul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4657A1 (en) * 2003-07-12 2005-01-20 E & O Korea Co., Ltd. Pumping device of 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410138D1 (de) 2002-07-18
WO1995013718A1 (de) 1995-05-26
EP0729307A1 (de) 1996-09-04
DE4339105A1 (de) 1995-05-18
DE4339105C2 (de) 1998-10-08
KR960705491A (ko) 1996-11-08
ATE218820T1 (de) 2002-06-15
EP0729307B1 (de)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4137A (en) Shoe having hydrodynamic pad
EP3886636B1 (en)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filled bladders with movement of fluid between bladders
US5406719A (en) Shoe having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US6282815B1 (en) Method of controlling fluid flow transfer in shoes
US4999932A (en) Variable support shoe
KR20030063363A (ko) 스프링 쿠션 신발의 유체유동 시스템
US7409780B2 (en) Bellowed chamber for a shoe
US4219945A (en) Footwear
US4977891A (en) Variable support ankle brace
KR100753881B1 (ko) 단일 밀봉 챔버를 구비한 신발 밑창 요소
US4995173A (en) High tech footwear
US8850718B2 (en) Shoe with support system
CN117356793A (zh) 用于鞋类物品的缓冲构件
US20040134098A1 (en) Shoe inner sole
US4799319A (en) Device for warming the foot of a wearer
US20070033832A1 (en) Cushioning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NO156192B (no) Binnsaale.
KR100351107B1 (ko) 신발창
KR10124134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US20090019728A1 (en) Adjustable Arch Support
EP0994659A4 (en) SELF-INFLATABLE AIR CUSHION
CA2124368C (en) Shoe having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MXPA01000640A (es) Plantilla de regulacion de humedad y temperatura del pie para ser usada en la fabricacion de calzado y metodo de fabricacion del mismo.
KR101130826B1 (ko)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