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951B1 -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951B1
KR100350951B1 KR1020000041335A KR20000041335A KR100350951B1 KR 100350951 B1 KR100350951 B1 KR 100350951B1 KR 1020000041335 A KR1020000041335 A KR 1020000041335A KR 20000041335 A KR20000041335 A KR 20000041335A KR 100350951 B1 KR100350951 B1 KR 100350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re
passage
heater cor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826A (ko
Inventor
김인갑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9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25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e.g. change of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09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transversal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로서의 히터 코어가 소정의 갭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케이스로 송풍되는 모드가 내/외기 분리유동모드일 때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서로 혼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따르면, 튜브(14)들중 중앙부의 서로 인접하는 두 튜브 사이에는 전열핀(15)이 적층되지 않은 채 갭(16)이 형성되어, 열교환기 코어(10)가 상기 갭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 코어(11,12)로 구획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열교환기(1)를 히터 코어로 채용하여 이루어진다. 히터 코어가 내장되는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는 상,하부공기유로(21,22)로 구획된다. 즉, 상기 갭(16)을 관통하여 제1분리벽(231)이 설치되고, 그 전단부에 제2분리벽(232)의 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히터 코어의 상류측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제1분리벽의 후단부에 제3분리벽(233)의 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히터 코어의 하류측도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BY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가 상하의 열교환기 코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매체와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공기조화케이스로 송풍되는 모드가 내/외기 분리유동모드일 때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유로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서로 혼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냉방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91)에 의하여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92)로 보내고 이 응축기(92)에서 냉각팬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시킨 다음 이 냉매를 리시버 드라이어(93), 팽창팰브(94) 및 증발기(95)를 차례로 거치도록 하여 다시 압축기(91)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공기조화케이스(90)의 입구단에 설치되는 블로어 유니트(96)의 송풍팬(961)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와 증발기(95)를 거치는 냉매를 열교환시켜 송풍공기를 냉기 상태로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난방장치는 엔진의 냉각수를 히터 코어(97)를 거쳐 엔진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니트(96)의 송풍팬(961)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와 히터 코어(97)를 거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켜 송풍공기를 온기 상태로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공기조화장치중 히터 코어(9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양측 헤더 탱크(971,971)와, 상기 양측 헤더 탱크(971,971)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병렬배치되어 양측 헤더 탱크(971,971)를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양측 헤더 탱크(971,971)간에 열교환매체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튜브(972)와, 상기 튜브(972)들 사이에 적층되어 튜브(972)들과 함께 열교환기 코어(970)를 이루는 다수의 전열핀(9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 코어(970)의 최외측은 서포트 플레이트(974)에 의하여 각각 보강되며, 양측 헤더 탱크(971,971)중 어느 한 헤더 탱크에는 냉각수유입구(975) 및 냉각수유출구(976)가 설치된다. 또한, 입구측 헤더 탱크(971)에는 유출입되는 냉각수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배플(979)이 설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공기조화장치에 채용되는 공기조화케이스(90)의 경우 내기, 외기 또는 내/외기의 혼합공기를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되어 있고 내/외기를 분리하여 송풍할 수는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의 가동시 블로어 유니트(96)의 외기흡입구(963)를 통하여 외기만을 실내로 공급할 경우, 난방시에 난방효율 및 급난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내/외기를 분리하며 자동차 실내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내/외기 2층 분리 공기유동구조의 공기조화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 일본 특개평 제 9-86638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공기조화장치가 있다(언급한 것 이외에도 내/외기 2층 분리 공기유동구조에 대한 기술은 많이 있음).
하지만, 종래 2층 공기유동구조의 공기조화장치들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히터 코어가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분리벽이 히터 코어를 관통하여 히터 코어를 상하로 반분하면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를 2층 공기유동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히터 코어의 전후방에 인접하여 전방 분리벽 및 후방 분리벽이 차례로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가 2층 유동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분리벽의 히터 코어쪽 인접단부와 히터 코어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외기 분리유동시 상기 갭을 통하여 내기 및 외기가 서로 혼입됨에 따라 내/외기 분리유동의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즉, 내/외기 유동공기의 리크 현상이 발생하면서 난방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특히 푸트 모드에서의 유리창의 착상 제거 효과가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열교환기로서의 히터 코어가 소정의 갭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케이스로 송풍되는 모드가 내/외기 분리유동모드일 때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서로 혼입되지 않도록 한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채용된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교환기(히터 코어), 2 : 공기조화케이스,
4 : 증발기, 5 : 블로어 유니트,
10 : 열교환기 코어, 11 : 상부 코어,
12 : 하부 코어, 13 : 헤더 탱크,
14 : 튜브, 15 : 전열핀,
16 : 갭, 21 : 상부공기유로,
22 : 하부공기유로, 24 : 푸트 벤트,
25 : 디프로스트 벤트, 26 : 페이스 벤트,
28 : 상부토출로, 29 : 하부토출로,
31 : 제1온도조절도어, 32 : 제2온도조절도어,
33 : 제3온도조절도어, 131 : 유입구,
132 : 유출구, 133 : 배플,
231 : 제1분리벽, 232 : 제2분리벽,
233 : 제3분리벽, 234 : 삽입슬릿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좌우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양측 헤더 탱크와, 상기 양측 헤드 탱크중 어느 한 헤더 탱크의 양쪽에 설치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양측 헤더 탱크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병렬배치되어 양측 헤더 탱크를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양측 헤더 탱크간에 열교환매체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들 사이에 적층되어 튜브들과 함께 열교환기 코어를 이루는 다수의 전열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튜브들중 중앙부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튜브 사이에는 전열핀이 적층되지 않고 갭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들 및 전열핀들의 조립체가 상기 갭을 사이에 두고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상기한 열교환기가 히터 코어로 기능하도록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공기조화케이스에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즉, 이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에 전후로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 코어는 상기 내부 유로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히터 코어 후방까지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가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로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상,하부공기유로의 출구단쪽에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 벤트 및 푸트 벤트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공기유로의 후방은 상부공기유로와 통하는 상부토출로와 하부공기유로 및 푸트 벤트와 통하는 하부토출로로 구획되고; 상기 히터 코어의 하반부 전후방에는 제1온도조절도어 및 제2온도조절도어가 차례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 코어의 상반부 전방에는 상부공기유로 또는 히터 코어쪽의 송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도어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상,하부공기유로쪽으로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에 블로어 유니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는, 상기 히터 코어를 구성하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와의 사이에 형성된 갭을 관통하여 제1분리벽이 설치되고, 상기 갭 밖으로 돌출된 제1분리벽의 전단부에 제2분리벽의 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증발기 및 히터 코어 사이의 공간이 상,하부로 구획되며, 상기 갭 밖으로 돌출된 제1분리벽의 후단부에 제3분리벽의 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히터 코어의 하류측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됨으로써,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즉, 히터 코어)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히터 코어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분리벽에 의하여 공기조화케이스의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가 틈이 없이 차단되므로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로 서로 다른 공기, 즉 내/외기가 분리된 상태로 유동할 때 내기 및 외기가 상,하부공기유로로 서로 혼입되는 일이 방지되므로 내/외기 분리유동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는, 예컨대 히터 코어로 기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좌우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양측 헤더 탱크(13,13)와, 상기 양측 헤더 탱크(13,13)중 어느 한 헤더 탱크(13)의 양쪽에 설치되는 유입구(131) 및 유출구(132)와, 상기 양측 헤더 탱크(13,13)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병렬배치되어 양측 헤더 탱크(13,13)를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양측 헤더 탱크(13,13)간에 열교환매체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튜브(14)와, 상기 튜브(14)들 사이에 적층되어 튜브(14)들과 함께 열교환기 코어(10)를 이루는 다수의 전열핀(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기 코어(10)의 최외측은 서포트 플레이트(17)로 보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튜브(14)들중 중앙부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튜브(14,14) 사이에는 전열핀(15)이 적층되지 않고 갭(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갭(16)에 의하여 상기 튜브(14)들 및 전열핀(15)들의 조립체(즉, 열교환기 코어(10))가 상기 갭(16)을 사이에 두고 상부 코어(11) 및 하부 코어(12)로 구획된다.
한편, 열교환매체의 출입을 위한 유입구(131) 및 유출구(132)가 설치된 쪽의 헤더 탱크(13)(이하, 이 헤더 탱크를 "제1헤더 탱크(13a)"라 칭하고 다른 쪽 헤더 탱크를 "제2헤더 탱크(13b)"라 칭함)의 내부 중앙(즉, 상기 갭(16)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플(133)이 설치됨으로써 제1헤더 탱크(13a) 내부에서는 유출구(132) 및유입구(131)가 서로 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131)는 상부 코어(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유출구(132)는 하부 코어(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컨대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가 유입구(131)를 통하여 제1헤더 탱크(13a)에 유입되면, 이 냉각수는 상부 코어(11)를 구성하는 튜브(14)들을 통하여 제2헤더 탱크(13b)로 유동하고, 제2헤더 탱크(13b)로 유동한 냉각수는 다시 하부 코어(12)를 구성하는 튜브(14)들을 통하여 제1헤더 탱크(13a)로 유동하여, 유출구(132)를 통하여 엔진으로 복귀된다. 즉, 히터 코어(1)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U자형 유동을 하는 과정에서 송풍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다음 엔진으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교환매체가 상부 코어(11)로 유입되어 송풍공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된 다음 하부 코어(12)로 유입되어 송풍공기와 2차적으로 열교환되므로 초기 열교환매체 유입영역과 열교환매체 배출영역이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12)와의 사이에 형성된 갭(16)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열교환기(1) 내부에서 온도영역이 서로 다른 열교환매체끼리의 열교환이 방지되므로 열교환매체와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3'는 헤더이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케이스(2)의 내부공기유로에 전후로 증발기(4) 및 히터 코어로 기능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가설치되고, 상기 증발기(4)는 공기조화케이스(2)의 내부공기유로 입구단의 면적을 거의 차지하도록 설치되고, 히터 코어(1)는 공기조화케이스(2)의 내부공기유로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케이스(2)의 내부공기유로는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로 구획된다. 즉, 상기 히터 코어(1)를 구성하는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12)와의 사이에 형성된 갭(16)을 관통하여 제1분리벽(231)이 설치되고, 상기 갭(16) 밖으로 돌출된 제1분리벽(231)의 전단부에 제2분리벽(232)의 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히터 코어(1)의 상류측(즉, 증발기(4)와 히터 코어(1)와의 사이의 공간)이 상하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갭(16) 밖으로 돌출된 제1분리벽(231)의 후단부에 제3분리벽(233)의 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히터 코어(1)의 하류측도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리벽(231)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2분리벽(232) 및 제3분리벽(233)의 각 일단부에는 상기 제1분리벽(231)의 각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슬릿(234)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분리벽(231), 제2분리벽(232) 및 제3분리벽(233)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히터 코어(1)가 공기조화케이스(2)의 내부공기유로의 중앙부에 설치됨으로써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히터 코어(1)의 상반부를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 코어(1)의 상단과 공기조화케이스(2)의 상반부 내벽면과의 사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히터 코어(1)의 하반부를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 코어(1)의 하단과 공기조화케이스(2)의 하반부 내벽면과의 사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공기유로(22)의 출구단쪽에는 자동차의 플로어쪽으로 향하는 푸트 벤트(24)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공기유로(21)의 출구단쪽에는 자동차 유리창 쪽으로 향하는 디프로스트 벤트(25)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향하는 페이스 벤트(26)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25)는 디프로스트 도어(251)의 선회각도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페이스 벤트(26)는 페이스 도어(261)의 선회각도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분리벽(233)의 후단으로부터 디프로스트 벤트(25)와 페이스 벤트(26)와의 사이의 방향쪽으로 안내벽(27)이 굴곡연장됨에 따라, 상기 안내벽(27)에 의하여 하부공기유로(22)의 후방은 상부공기유로(21)와 통함과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쪽과도 통하는 상부토출로(28)(즉, 안내벽(27)의 뒤쪽 송풍통로)와, 하부공기유로(22) 및 푸트 벤트(24)와 통하는 하부토출로(29)로 구획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공기유로(22)의 출구단과 하부토출로(29)의 입구단과의 경계부에는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부토출로(28) 또는 하부토출로(29)로 유도하기 위한 배플(30)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토출로(28)의 입구단에는 상부토출로(28)의 입구단 및 하부토출로(29)의 입구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푸트 도어(241)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푸트 도어(241)가 선회하여 그 자유단이 배플(30)의 자유단에 접촉하면 하부공기유로(22)와 하부토출로(29)는 서로 통하지 않게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하부공기유로(22)와 푸트 벤트(24)는 서로 통하지 않게 차단됨과 아울러 하부공기유로(22)는 상부토출로(28)와 통하게 된다. 또한, 푸트 도어(241)가 선회하여 그 자유단이 제3분리벽(233)의 후단에 접촉하면 하부공기유로(22)와 상부토출로(28)는 서로 통하지 않게 차단되고, 하부공기유로(22)와 하부토출로(29)는 서로 통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하부공기유로(22)와 푸트 벤트(24)가 서로 통하게 된다.
한편, 히터 코어(1)의 하반부 전후방에는 하부 코어(12)쪽의 송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가 차례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가 하부 코어(12)쪽 송풍통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경우 증발기(4)를 거쳐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중 일부는 하부 코어(12)를 거쳐 유동하고, 증발기(4)를 거쳐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중 나머지 일부는 하부 코어(12)를 거치지 않고 하부 코어(12) 아래쪽 송풍통로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유동하는 공기는 푸트 도어(241)의 선회각도에 따라 상부토출로(28) 또는 하부토출로(29)로 유동하지만, 하부 코어(12)를 거치지 않고 하부 코어(12) 아래쪽 송풍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2온도조절도어(32)가 완전개방작동하여 그 선단이 배플(30)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부토출로(28) 또는 하부토출로(29)로 유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가 하부 코어(12)쪽 송풍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는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히터 코어(1)를 거치지 않고 하부 코어(12) 아래쪽 송풍통로를 통과하여 푸트 도어(241)의 선회각도에 따라 상부토출로(28)를 거쳐 디프로스트 벤트(25) 또는 페이스 벤트(26)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되거나 하부토출로(29)를 거쳐 푸트 벤트(24)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 코어(1)의 상반부 전방에는 상부 코어(11)쪽의 송풍통로 및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3온도조절도어(33)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3온도조절도어(33)가 상부 코어(11)쪽의 송풍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또는 페이스 벤트(26)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3온도조절도어(33)가 상부 코어(11)쪽의 송풍통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부 코어(11)를 거쳐 안내벽(27)의 앞면을 따라 안내되어 디프로스트 벤트(25) 또는 페이스 벤트(26)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케이스(2)의 입구단에는 블로어 유니트(5)가 설치되어 공기조화케이스(2)의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로 내/외기를 송풍하도록 되어 있다. 즉, 공기조화케이스(2)의 입구단에는 스크롤 케이스(5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롤 케이스(51)는 제4분리벽(54)에 의하여 공기조화케이스(2)의 상부공기유로(21)와 통하는 상부 스크롤부(511) 및 공기조화케이스(2)의 하부공기유로(22)와 통하는 하부 스크롤부(512)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부 스크롤부(511)에는 상부 송풍팬(5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 스크롤부(512)에는 하부 송풍팬(5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송풍팬(52) 및 하부 송풍팬(53)은 하부 스크롤부(512)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상,하부 스크롤부(511,512)는 상단에 전환도어(미도시)로 그 개폐가 전환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 및 외기유입구(미도시)를 가진 에어 가이드 덕트(미도시)로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환도어가 소정의 위치로 선회하였을 때 상부 스크롤부(511)와 하부 스크롤부(512)의 연통을 차단함으로써 내/외기 2층 분리유동모드시 상부 스크롤부(511)에는 외기만 유입되고 하부 스크롤부(512)에는 내기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스크롤부(511)의 상부 일측에는 내/외기 구획벽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4는 증발기(4)의 하부쪽 공기조화케이스(2)에 형성되어 증발기(4)에 맺히는 응축수를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이고, 참조부호 35는 냉방 모드시 히터 코어(1)의 삽입부 케이스(36)의 하부로 흐르는 응축수를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배출구(34)로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케이스(2)의 하부공기유로(22)쪽 바닥에 응축수 배출구(34)와 연결되도록 쐐기형으로 설치되는 배플을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의 공기유입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외기유입모드에서는, 통상 난방모드에 적용되어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하여 내기 유입구(미도시)는 막히고 외기 유입구(미도시)는 개방된다. 따라서, 외기 유입구를 통해서만 신선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 외기는 상부스크롤부(511)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512)로도 유입되고, 이에 따라 상부 송풍팬(52) 및 하부 송풍팬(53)에 의하여 외기가 공기조화케이스(2)의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 쪽으로 송풍될 수 있다. 외기가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 쪽으로 송풍되면 증발기(4) 및 히터 코어(1)를 거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외기가 열교환되어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난방에 주로 사용된다. 온도조절은 온도조절도어의 조작에 따른 풍량조절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내기유입모드에서는, 통상 냉방모드에 적용되어 전환도어에 의하여 외기 유입구는 막히는 반면에 내기 유입구는 개방된다. 따라서, 내기 유입구를 통해서만 내기가 유입되고, 이 내기는 상부 스크롤부(511)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512)로도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송풍팬(52) 및 하부 송풍팬(53)에 의하여 내기가 상부공기유로(21) 뿐만 아니라 하부공기유로(22) 쪽으로 송풍된다. 내기가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 쪽으로 송풍되면 증발기(4) 및 히터 코어(1)를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내기가 열교환되어 찬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방에 사용된다.
한편, 내/외기 2층 분리모드는 난방모드에 적용되어(푸트 모드 및 믹스 모드), 전환도어가 외기 유입구 및 내기 유입구를 모두 개방하도록 선회하지만, 외기 유입구는 상부 스크롤부(511)쪽으로만 통할 수 있고, 내기 유입구는 하부스크롤부(512)쪽으로만 통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외기 유입구를 거쳐 상부 스크롤부(511)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부 송풍팬(52)에 의하여 상부공기유로(21) 쪽으로만 송풍되고, 내기 유입구를 거쳐 하부 스크롤부(512)로 유입되는 외기는 하부 송풍팬(53)에 의하여 하부공기유로(22) 쪽으로만 송풍된다. 이와 같이, 상부공기유로(21)로 송풍되는 외기 및 하부공기유로(22)로 송풍되는 내기는 증발기(4) 및 히터 코어(1)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상부공기유로의 외기에 의한 성에 방지 및 하부공기유로의 내기에 의한 난방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외기 복합모드는 주로 냉방모드에 적용되어, 상술한 내/외기 분리모드에서와 같이 전환도어가 외기 유입구 및 내기 유입구를 모두 개방하도록 선회한다. 그러나, 이 내/외기 복합모드에서는 전환도어의 개방각도 때문에 내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기는 하부 스크롤부(512)쪽 뿐만 아니라 상부 스크롤부(511)쪽으로도 쉽게 유동할 수 있지만 외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는 하부 스크롤부쪽으로는 유동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부 스크롤부(511)에는 외기 및 내기가 혼합되어 유입되고, 하부 스크롤부(512)에는 거의 내기만 유입되므로, 상부 송풍팬(52)에 의하여 상부공기유로(21)로 송풍되는 공기는 내/외기 혼합공기이고, 하부 송풍팬(53)에 의하여 하부공기유로(22)로 송풍되는 공기는 내기이다. 이와 같이 내/외기의 흡입, 혼합에 의한 온도 및 습도차가 감소되어 유입된 후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4)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찬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21) 및 하부공기유로(2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될 때, 백무현상 발생이 방지되면서 냉방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내/외기 복합모드는 냉방시 내기모드로 지속적으로 작동할 경우 실내공기가 오염되므로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서 간헐적으로 신선한 외기 도입이 필요할 때 유용하다. 종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내기를 외기모드로 전환할 때 고온다습한 외기가 유입되면 저온저습한 증발기(4) 부위와 혼합되면서 벤트들의 토출구쪽으로 백무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기와 내기가 에어 가이드 덕트 내부에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온다습한 외기와 저온저습한 내기의 혼합에 의하여 외기와 내기와의 온도 및 습도 차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혼합공기가 송풍팬에 의하여 송풍되면 백무현상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공기유입 모드의 설정상태에서 각 모드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모드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방 페이스 벤트 모드의 경우,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는 폐쇄작동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하부 코어(12)를 거치지 않는다. 또한, 푸트 도어(241)는 그 자유단이 배플(30)의 자유단에 접촉함으로써 푸트 벤트(24)가 하부공기유로(22) 및 상부토출로(28)와 통하지 않도록 폐쇄됨과 아울러 하부공기유로(22)는 상부토출로(28)로 통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푸트 벤트(24)로는 토출되지 못하고 상부토출로(28)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또한, 제3온도조절도어(33)는 상부 코어(11)쪽 송풍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함으로써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부 코어(11)를 거치지 않고,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디프로스트 도어(251)는 디프로스트 벤트(25)를 폐쇄하도록 작동함과 아울러 페이스 도어(261)는 페이스 벤트(26)를 개방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21)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하부공기유로(22) 및 상부토출로(28)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페이스 벤트(26)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방에 사용된다.
바이 레벨 모드의 경우에는,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는 히터 코어(1)의 하반부쪽 송풍통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하부 코어(12)를 거칠 뿐만 아니라 하부 코어(12)의 하부쪽 송풍통로를 거치게 된다. 또한, 푸트 도어(241)는 그 자유단이 제3분리벽(233)의 후단과 배플(30)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작동함으로써 푸트 벤트(24) 및 상부토출로(28)가 모두 하부공기유로(22)와 통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중 일부는 하부토출로(29) 및 푸트 벤트(24)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되고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중 나머지 일부는 상부토출로(28)를 거쳐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또한, 제3온도조절도어(33)는 그 자유단이 히터 코어(1)의 상부 코어(11)와 공기조화케이스(2)의 상단과의 사이의 중립위치에 놓이도록 작동함으로써 상부 코어(11)쪽 송풍통로 및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가 모두 개방되는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중 일부는 상부 코어(11)를 거쳐 안내벽(27)을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하고,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중 나머지 일부는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디프로스트 도어(251)는 디프로스트 벤트(25)를 폐쇄하도록 작동함과 아울러 페이스 도어(261)는 페이스 벤트(26)를 개방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 및 상부토출로(28)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상부공기유로(21)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페이스 벤트(26)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된다.
난방 푸트 모드의 경우에는,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는 하부 코어(12)쪽 송풍통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하부 코어(12)를 거칠 뿐만 아니라 하부 코어(12)의 하부쪽 송풍통로를 거치게 된다. 또한, 푸트 도어(241)는 그 자유단이 제3분리벽(233)의 후단에 접촉함으로써 하부공기유로(22)와 상부토출로(28)가 서로 통하지 않게 폐쇄함과 아울러 하부공기유로(22)와 하부토출로(29)는 서로 통하게 함으로써,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푸트 벤트(24)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제3온도조절도어(33)는 상부 코어(11)쪽 송풍통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함과 아울러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는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히터 코어(1)를 거쳐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디프로스트 도어(251)는 디프로스트 벤트(25)를 일부 개방하도록 작동함과 아울러 페이스 도어(261)는 페이스 벤트(26)를 폐쇄하도록 작동함으로써 히터 코어(1)를 거쳐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디프로스트 벤트(25)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된다.
또한, 난방 디프로스트 모드의 경우에는,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는 하부 코어(12)쪽 송풍통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하부 코어(12)의 하부쪽 송풍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히터 코어(1)를 거치게 된다. 또한, 푸트 도어(241)는 그 자유단이 배플(30)의 자유단에 접촉함으로써 하부공기유로(22)와 하부토출로(29)가 서로 통하지 않게 차단한다. 따라서, 히터 코어(1)를 거친 공기는 모두 상부토출로(28)를 통하여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한편, 제3온도조절도어(33)는 상부 코어(11)쪽 송풍통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는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상부 코어(11)를 거쳐 안내벽(27)을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디프로스트 도어(251)는 디프로스트 벤트(25)를 개방하도록 작동함과 아울러 페이스 도어(261)는 페이스 벤트(26)를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 및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히터 코어(1)를 거친 다음 디프로스트 벤트(25)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된다.
난방 믹스 모드의 경우에는, 외기가 모두 유입되는 경우로서, 제1온도조절도어(31) 및 제2온도조절도어(32)는 하부 코어(12)쪽 송풍통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하부 코어(12)의 하부쪽 송풍통로를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하부 코어(12)를 거치게 된다. 또한, 푸트 도어(241)는 그 자유단이 제3분리벽(233)의 후단에 접촉함으로써 상부토출로(28)를 폐쇄함과 아울러 하부공기유로(22)와 하부토출로(29)가 서로 통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하부공기유로(22)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하부 코어(12)를 거친 후 하부토출로(29) 및 푸트 벤트(24)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제3온도조절도어(33)는 상부 코어(11)쪽 송풍통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부 코어(11)의 상부쪽 송풍통로는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상부 코어(11)를 거쳐 안내벽(27)을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25) 및 페이스 벤트(26) 쪽으로 유동한다. 또한, 디프로스트 도어(251)는 디프로스트 벤트(25)를 개방하도록 작동함과 아울러 페이스 도어(261)는 페이스 벤트(26)를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상부공기유로(21)를 유동하는 공기는 모두 상부 코어(11)를 거쳐 디프로스트 벤트(25)를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된다.
내/외기 분리 모드시의 난방 푸트 모드의 경우, 내/외기가 분리되어 유입되며, 그 중 외기는 상부공기유로(21)로 유입되고 내기는 하부공기유로(22)로 유입된다. 이 난방 푸트 모드에서는 디프로스트 벤트(25)의 개도가 전술한 난방 믹스 모드의 경우보다 작아 디프로스트 벤트(25)를 통한 공기토출량이 적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작용은 모두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히터 코어(1)로 기능하는 열교환기가 소정의 갭(16)을 두고 상부 코어(11) 및 하부 코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갭(16)을 통하여 제1분리벽(231)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부 코어(11)의 내부유로를 흐르는 유입측 열교환매체와, 하부 코어(12)의 내부유로를 흐르는 배출측 열교환매체가 서로 열교환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내/외기 분리모드의 경우 상부공기유로(21) 쪽으로 송풍되는 신선한 외기와, 하부공기유로(22) 쪽으로 송풍되는 내기가 제1분리벽(231)에 의하여 서로 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실내로 바이 레벨 상태로 공기가 토출되므로 자동차 실내의 쾌적한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히터 코어로 기능하는 열교환기(1)가 소정의 갭(16)을 두고 배치된 상부 코어(11) 및 하부 코어(12)를 가짐으로써 열교환기(1) 내부의 서로 다른 온도영역(11,12)을 유동하는 열교환매체끼리 서로 열교환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므로, 열교환매체와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조화케이스(2)로 송풍되는 모드가 내/외기 분리유동모드일 때 공기조화케이스(2)의 내부공기유로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서로 혼입되지 않으므로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유리의 착상 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 효율이 우수하므로 열교환기(1)의 크기 및 공기조화케이스(2)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조화장치의 자동차에 대한 장착성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좌우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되는 양측 헤더 탱크와, 상기 양측 헤더 탱크 중 어느 한 헤더 탱크의 양쪽에 설치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양측 헤더 탱크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병렬배치되어 양측 헤더 탱크를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열교환매체를 유통시키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들 사이에 적층되어 튜브들과 함께 열교환기 코어를 이루는 다수의 전열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튜브들 중 중앙부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튜브 사이에는 상기 전열핀이 적층되지 않은 채 갭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 코어가 상기 갭을 사이에 두고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로 구획되며;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가 설치된 헤더 탱크의 내부는 배플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가 서로 통하지 않도록 구획되고;
    상기 배플은 전열핀이 적층되지 않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투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에 전후로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 코어는 상기 내부 유로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히터 코어 후방까지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가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로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상,하부공기유로의 출구단쪽에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푸트 벤트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공기유로의 후방은 상부공기유로와 통하는 상부토출로와 하부공기유로 및 푸트 벤트와 통하는 하부토출로로 구획되고, 상기 히터 코어의 하반부 전후방에는 제1온도조절도어 및 제2온도조절도어가 차례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 코어의 상반부 전방에는 상부공기유로 또는 히터 코어쪽의 송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도어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상,하부공기유로쪽으로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에 블로어 유니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코어를 구성하는 튜브들 중 중앙부의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튜브 사이에는 전열핀이 적층되지 않고 갭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들 및 전열핀들의 조립체가 상기 갭을 사이에 두고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로 구획되고,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내부공기유로는, 상기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와의 사이에 형성된 갭을 관통하여 제1분리벽이 설치되고, 상기 갭 밖으로 돌출된 제1분리벽의 전단부에 제2분리벽의 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증발기 및 히터 코어 사이의 공간이 상,하부로 구획되며, 상기 갭 밖으로 돌출된 제1분리벽의 후단부에 제3분리벽의 전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히터 코어의 하류측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됨으로써, 상부공기유로 및 하부공기유로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벽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2분리벽 및 제3분리벽의 각 일단부에는, 상기 제1분리벽의 각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벽, 제2분리벽 및 제3분리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00041335A 2000-07-19 2000-07-19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035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335A KR100350951B1 (ko) 2000-07-19 2000-07-19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335A KR100350951B1 (ko) 2000-07-19 2000-07-19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826A KR20020007826A (ko) 2002-01-29
KR100350951B1 true KR100350951B1 (ko) 2002-08-28

Family

ID=1967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335A KR100350951B1 (ko) 2000-07-19 2000-07-19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72B1 (ko) * 2002-09-17 2008-1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히터 코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72B1 (ko) * 2002-09-17 2008-1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히터 코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826A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2007602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50120155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0626712B1 (ko) 자동차용 박형 공기조화장치
KR10131905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50952B1 (ko)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350951B1 (ko)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21458B1 (ko) 자동차용 트리플 존 공기조화장치
CN215001922U (zh) 空调室内机
KR10035288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WO2021002288A1 (ja) 空気調和ユニット、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759424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KR100640068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100683565B1 (ko) 자동차용 멀티-존 공기조화장치
JP3692481B2 (ja) 空調ユニット
KR100603806B1 (ko)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92698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23002191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65534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토출온도 개선 장치
KR2023013969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47746Y1 (ko) 열교환기
KR2024006238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148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