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708B1 -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708B1
KR100350708B1 KR1019990049358A KR19990049358A KR100350708B1 KR 100350708 B1 KR100350708 B1 KR 100350708B1 KR 1019990049358 A KR1019990049358 A KR 1019990049358A KR 19990049358 A KR19990049358 A KR 19990049358A KR 100350708 B1 KR100350708 B1 KR 10035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handrail
stair railing
shap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866A (ko
Inventor
신준식
신형호
최원준
김곤팔
이재원
양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산업개발
Priority to KR101999004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7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영구구조물을 미리 계단참에 묻어 임시계단난간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공장제작으로 시공이 편리한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은 크게 포스트부와 레일부로 구분되며, 상기 포스트부는 외부포스트, 4개의 높이조절링 및 포스트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는 4개의 엘보우, 2개의 핸드레일, 다수개의 난간살, 다수개의 난간살연결고리, 다수개의 난간살연결캡 및 다수개의 리벳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은 앵커를 미리 계단참에 묻어 임시계단난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구구조물을 제공하며, 각 부재를 공장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순조립 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공정이 간단하고 설치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계단의 경사 또는 계단참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엘보우가 자유로이 회전하고, 계단의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핸드레일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링을 회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Handrail of the stair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영구구조물을 미리 계단참에 묻어 임시계단난간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공장제작으로 시공이 편리한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축공사 시에 이용하기 위한 임시계단난간으로 계단의 측면에 클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에 난간을 부착하여 임시계단난간을 만들어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임시계단난간은 상기 클램프가 계단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많아 위험하고, 실제로 안전사고도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비록 임시구조물이긴 해도 임시계단난간은 적지 않은 몇 년의 공사기간동안 안전하게 사용되야 할만큼 튼튼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계단의 구조물과 일체로 연결되는 임시난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인 건축의 수장공사에 있어서, 계단난간공사는 일반적으로 제일 나중에 행해진다. 이는 아무리 보양재를 설치하여 보양한다고 해도 부피가 큰 건축자재를 옮기거나 계단 물갈이 및 도색 등으로 계단난간이 상하거나 오염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일단 모든 건축공사가 끝나갈 무렵 마지막 수장공사를 할 때는 신속히 임시계단난간을 수장용 계단난간으로 교체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종래의 임시계단을 지지하고 있던 클램프를 제거하고 나면 상기 클램프가 있던 자리를 다시 마감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기존의 수장용 계단난간은 현장에서 힐티못을 박아 난간포스트를 설치하거나 미리 철근을 계단참에 조금 돌출되도록 묻어 난간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난간포스트 사이에 핸드레일을 연결하여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존의 수장용 계단난간은 각 부재의 조인트에 융통성이 없어서, 계단참에 설치된 난간포스트와 난간포스트 사이의 간격이나 계단의 경사가 조금만 변화하더라도 작업자가 일일이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계단난간의 각 연결부가 부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미관이 상하고, 시공이 불편하여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시계단난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구구조물을 제공하는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부재를 공장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순조립 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공정이 간단하고 설치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단의 경사 또는 계단참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단의 꺽이는 각도에 상관없이 핸드레일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앵커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높이조절링의 정면도이다.
도3B는 도3A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난간살, 난간살연결고리, 난간살연결캡 및 리벳의 결합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엘보우의 평면도이다.
도5B는 도5A의 정면도이다.
도5C는 도5A의 우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핸드레일 및 먼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포스트부 11: 외부포스트
12: 높이조절링 13: 포스트캡
14: 사각띠 15: 원형돌기
16: 바닥마감커버 20: 레일부
21: 엘보우 22: 핸드레일
23: 원주돌기 24: 난간살
25: 난간살연결고리 26: 난간살연결캡
27: 연결재 28: 먼지마개
30: 앵커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사용 상태도로써, 좌·우측이 서로 대칭이 되므로 우측 한 부분만 떼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은 크게 포스트부(10) 및 레일부(20)로 구분된다.
상기 포스트부(10)는 외부포스트(11), 4개의 높이조절링(12) 및 포스트캡(13)으로 구성된다.
외부포스트(11)는 전체적으로 중공이 형성된 사각파이프이다.
높이조절링(12)은 전체적으로 사각파이프를 절단한 형상의 사각띠(14) 및 원통형상으로 상기 사각띠(14)의 한쪽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 원주를 따라 일정 깊이의 홈이 파진 원형돌기(15)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포스트(11)의 외부에 상기 원형돌기(15)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차례로 엇갈리게 삽입되어 2개는 상기 외부포스트(11)의 하단부에 다른 2개는 상기 외부포스트(11)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포스트캡(13)은 상기 외부포스트(11) 상단부의 개구부를 막아 먼지를 막고 미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스트부(10)는 바닥마감커버(16)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마감커버(16)는 중앙에 사각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외부포스트(11)의 상단부 외부로 삽입되어 바닥마감면에 설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오므려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수직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다.
레일부(20)는 4개의 엘보우(21), 2개의 핸드레일(22), 다수개의 난간살(24), 다수개의 난간살연결고리(25), 난간살연결캡(26) 및 다수개의 리벳(27)으로 구성된다.
엘보우(21)는 전체적으로 길이가 짧은 원형파이프를 직각으로 구부린 형태로 그 내경이 상기 높이조절링(12)의 원형돌기(15)의 외경과 거의 일치한다. 상기 엘보우(21)의 각 단부 쪽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링(12)의 4개의 원형돌기(15) 위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나사구멍을 통해 상기 원형돌기(15)의 홈에 나사가 파고들도록 체결된다.
핸드레일(22)는 전체적으로 반원통파이프 형상으로 원주와 평면이 만나는 두 개의 지점에 상기 원주의 반경을 유지하면서 상기 원주를 일정길이 연장한 두 개의 마주보는 원주돌기(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엘보우(21)의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 등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난간살(24)은 전체적으로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마주보는 두 면은 수평단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만곡되고, 다른 두 면은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난간살연결고리(25)는 사각판 및 가운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각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두 개의 날개로 구성되며, 상기 핸드레일(22)의 두 개의 마주보는 원주돌기(23)에 삽입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부착된다.
난간살연결캡(26)은 전체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통 형상으로 하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난간살(24)의 양단부가 삽입되며, 상단부에 수평으로 구멍이 뚫린 고리가 돌출되어 상기 고리가 상기 난간살연결고리(25)의 두 개의 날개 사이에 삽입된다.
연결재(27)는 주로 리벳을 이용하며, 상기 난간살연결고리(25)의 두 개의 날개의 구멍과 상기 난간살연결캡(26)의 고리의 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레일부(20)는 먼지마개(28)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먼지마개(28)는 상기 핸드레일(22)에 다수개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상기 난간살연결고리(25)와 난간살연결고리(25)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핸드레일(22)의 마주보는 두 개의 원주돌기(23)에 체결된다. 상기 먼지마개(28)는 상기 핸드레일(22)과 함께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어 보행자가 계단에 설치된 핸드레일(22)을 손으로 잡을 때 이물감이 없고 상기 핸드레일(22)의 내부를 감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을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층의 계단참의 철근 배근 위에 소정의 위치를 잡아 다수 개의 앵커(30)를 각각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앵커(30)의 사각파이프가 노출되도록 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미리 필요한 치수대로 공장제작한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포스트부(10)와 레일부(20)를 설치장소로 옮긴다. 상기 포스트부(10)를 상기 앵커(30)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어서 레일부(20)의 상부 및 하부 핸드레일(22)을 계단참에 설치된 포스트부(10)의 길이에 맞게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핸드레일(22)의 양단부에 엘보우(21)를 체결하여 상기 포스트부(10)의 높이조절링(12)의 원형돌기(15)에 체결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은 앵커(30)를 콘크리트 타설단계부터 설치하여 영구구조물로 이용이 가능하므로, 임시난간을 상기 앵커(30) 위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엘보우(21)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어떠한 경사의 계단이라도 자유로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앵커(30)는 주로 철재 사각판 위에 수직으로 0.9m정도의 사각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0.9m 이하가 되더라도 무관하다. 미리 계단참에 상기 사각판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사각파이프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앵커(30)는 콘크리트 타설 당시에 계단참의 철근 위에 설치하여 영구구조물로 이용하여 임시가설난간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특허 제128809호에는 상기 앵커(30)와 비슷한 내부지주를 1m 길이로 하여 상기 내부지주의 상단부에 구멍을 뚫어 임시계단 난간의 포스트로 이용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앵커(30)는 상기 특허와 같은 방법으로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주로 상기 앵커에 파이프를 끼워 포스트의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하여 연장하고 상기 파이프에 핸드레일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지금 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계단난간은 계단참의 너비가 좁은 곳에서 상기 외부포스트(11)를 중심으로 상기 핸드레일(22)의 각도를 180도 바꾸어 주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외부포스트(11)와 높이조절링(12)의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일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링(12)을 90도 회전시켜 상기 외부포스트(11)에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동선이 90도 꺽이는 곳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외부포스트(11) 및 높이조절링(12)의 수평단면이 직사각형일 때는 상기 높이조절링(12)을 상기와 같이 회전 시켜 삽입할 수 없으므로, 상기 높이조절링(12)의 상기 원형돌기(15)를 사각띠(14)의 인접한 다른 면에 형성시켜 보행자의 동선이 90도 꺽이는 곳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계단참의 너비가 넓은 계단실의 상기 계단참에 평행하게 상기 핸드레일(22)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핸드레일(22)의 각도를 외부포스트(11)를 중심으로 90도 바꾸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구성부재인 앵커(30), 바닥마감커버(16), 높이조절링(12) 및 포스트캡(13)의 수평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단면을 원형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링(12)의 회전이 가능하여 어떠한 계단의 회전반경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상기 앵커(30)는 주로 철재를 사용하나 그 밖의 부재들은 운반이 쉽고 값이 싸며 설치가 간편하도록 일정강도 이상의 PVC 또는 합성수지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각 부재들의 연결 및 결합은 현장에서 즉석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주로 각 부재의 연결부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나사못을 체결하여 행한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은 임시계단난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구구조물을 제공하며, 각 부재를 공장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순조립 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공정이 간단하고 설치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본 발명의 계단난간 및 이를 이용한 계단난간 시공방법은 계단의 경사 또는 계단참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고, 계단의 회전 각도에 상관없이 핸드레일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전체적으로 사각파이프 형상인 외부포스트(11);
    전체적으로 사각파이프를 절단한 형상의 사각띠(14) 및 원통형상으로 상기 사각띠(14)의 한쪽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 원주를 따라 일정 깊이의 홈이 파진 원형돌기(15)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포스트(11)의 외부에 상기 원형돌기(15)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차례로 엇갈리게 삽입되어 2개는 상기 외부포스트(11)의 하단부에 다른 2개는 상기 외부포스트(1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4개의 높이조절링(12); 및,
    상기 외부포스트(11)의 상단부의 개구부를 막는 포스트캡(1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부.
  2. 제1항에서, 중앙에 사각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포스트(11)의 외부에 삽입되며 상부로 갈수록 오므려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수직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바닥마감커버(16)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앵커(30), 높이조절링(12) 및 포스트캡(13)의 수평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부.
  4. 제2항에서, 상기 바닥마감커버(16)의 수평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외부포스트(11)의 길이를 1.0 내지 1.5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부.
  6. 전체적으로 길이가 짧은 원형파이프를 직각으로 구부린 형태로 그 내경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높이조절링(12)의 원형돌기(15)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며 각 단부 쪽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4개의 원형돌기(15) 위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나사구멍을 통해 상기 원형돌기(15)의 홈에 나사가 파고들도록 체결되는 4개의 엘보우(21);
    상기 엘보우(21)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반원통파이프 형상으로 원주와 평면이 만나는 두 개의 지점에 상기 원주의 반경을 유지하면서 상기 원주를 일정길이 연장한 두 개의 마주보는 원주돌기(23)가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핸드레일(22);
    전체적으로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마주보는 두 면은 수평단면상에서 바깥쪽으로 만곡되고, 다른 두 면은 안쪽으로 만곡된 다수개의 난간살(24);
    상기 핸드레일(22)의 두 개의 마주보는 원주돌기(23)에 삽입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부착되며, 사각판 및 가운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각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두 개의 날개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난간살연결고리(25);
    전체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통 형상으로 하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난간살(24)의 양단부가 삽입되며, 상단부에 수평으로 구멍이 뚫린 고리가 돌출되어, 상기 고리가 상기 난간살연결고리(25)의 두 개의 날개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난간살연결캡(26); 및,
    상기 난간살연결고리(25)의 두 개의 날개의 구멍과 상기 난간살연결캡(26)의 고리의 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개의 리벳(2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부(20).
  7. 제6항에서, 상기 핸드레일(22)에 다수개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상기 난간살연결고리(25)와 난간살연결고리(25)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핸드레일(22)의 마주보는 두 개의 원주돌기(23)에 체결되며, 상기 핸드레일(22)과 함께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는 먼지마개(28)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부(20).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포스트부(10); 및
    제6항 또는 제7항의 레일부(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9. 상부 및 하부 계단참의 철근 배근 위에 소정의 위치를 잡아 앵커(30)를 상부 및 하부 계단참에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30)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고;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포스트부(10)를 상기 앵커(30)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그리고,
    제6항 또는 제7항의 레일부(20)를 상기 포스트부(10)에 설치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시공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앵커(30)로 철재사각판 위에 사각파이프를 일체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시공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서, 상기 앵커(30)의 길이를 0.9m 정도로 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
KR1019990049358A 1999-11-09 1999-11-09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 KR10035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358A KR100350708B1 (ko) 1999-11-09 1999-11-09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358A KR100350708B1 (ko) 1999-11-09 1999-11-09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66A KR20000006866A (ko) 2000-02-07
KR100350708B1 true KR100350708B1 (ko) 2002-08-28

Family

ID=1961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358A KR100350708B1 (ko) 1999-11-09 1999-11-09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53B1 (ko) 2015-12-10 2017-01-05 (주)진양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난간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52B1 (ko) * 2000-07-22 2003-06-25 박유복 조립식 난간
KR100743517B1 (ko) * 2006-04-27 2007-07-27 (주)신광 난간 시공방법 및 시스템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53B1 (ko) 2015-12-10 2017-01-05 (주)진양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난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66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92A (en) Non-corrosive security railing
KR100350708B1 (ko) 계단난간 및 그 계단난간 시공방법
KR101966440B1 (ko)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HUT69493A (en) Barrier fastening device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KR20220138259A (ko) 코너 연결구
CN113027053A (zh) 一种梯井内用预制装配式楼梯及吊装施工工艺
KR100608096B1 (ko) 건축물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구조
KR200209007Y1 (ko) 난간가설용지지구
EP1479851A1 (en) Railing anchor and accompanying railing support
CN219973738U (zh) 一种宽度可调的装配式建筑用预制楼梯
KR200270240Y1 (ko) 도로변 비탈면에 설치되는 계단 겸용 배수로
KR200248963Y1 (ko) 계단 난간 고정장치
KR200291271Y1 (ko) 시공건물의 계단난간용 지주장치
JP3038456U (ja) 安全手摺自在継手
KR102526473B1 (ko) 안전난간
KR20230077696A (ko) 고정 장치
KR19980010326U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CN218205320U (zh) 一种加固式混凝土双向预制楼梯
KR0128809B1 (ko) 계단난간용지주구조물과이를이용한난간시공방법
KR100440172B1 (ko) 개량 매설사다리
KR950003717Y1 (ko) 가설안전 난간
KR100586487B1 (ko) 난간지주 장착구
KR200352486Y1 (ko) 안전 계단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