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653B1 -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 - Google Patents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653B1
KR100350653B1 KR1020007003213A KR20007003213A KR100350653B1 KR 100350653 B1 KR100350653 B1 KR 100350653B1 KR 1020007003213 A KR1020007003213 A KR 1020007003213A KR 20007003213 A KR20007003213 A KR 20007003213A KR 100350653 B1 KR100350653 B1 KR 10035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bridge
glasses
lens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708A (ko
Inventor
잭 스펜서
찰리 헤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스타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스타광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스타광학
Publication of KR2001003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클립온형 선글라스는 선글라스프레임의 브릿지부가 이 선글라스를 장착하는 안경의 브릿지의 뒤에 결합되도록 하여 역시 한 쌍의 장착클립을 구비하는 장착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개량된 장착구조를 구비한다. 하나의 장착클립은 렌즈의 대략 중간에 상당하는 각 아이와이어의 바닥에 위치하며,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프레임의 하측엣지를 수용한다. 이 장착구조의 일부로서 선글라스의 브릿지부를 사용하면 클립을 선글라스프레임의 상측부에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브릿지부재와 선글라스렌즈의 후면사이의 간격과 브릿지의 중앙부의 하측아암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재의 배향으로 인하여 단일 및 이중브릿지요소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 다양한 안경프레임에 선글라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CLIP-ON SUNGLASSES WITH BRIDGE MOUNTING}
대부분의 공지된 클립온형 선글라스에 있어서, 선글라스렌즈가 장착되는 아이와이어(eyewire), 또는 와이어레스안경의 경우에 선글라스렌즈자체는 그 상측엣지가 탄성, 가요성재료의 바 또는 스트립형태의 브릿지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통상 이 브릿지부재는 렌즈위로 연장되며 렌즈로부터 약간 외부로 휘어져서 렌즈를 서로의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런 종류의 클립온형 선글라스를 안경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렌즈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릿지부재를 휜다. 그 후 렌즈를 안경렌즈와 병렬배치하고 나서 해제하면, 선글라스렌즈의 외측엣지에 제공된 클립이 안경프레임과 결합하여 선글라스를 안경에 고정한다. 이 선글라스는 클립을 안경프레임과 결합시키는 브릿지부재의 탄성에 의해 안경 상에 제자리에 유지된다.
통상적으로 클립온형 선글라스는 4개의 이런 클립을 구비하는데, 그 중에 2개는 좌측선글라스렌즈의 외측엣지중에 위치하며 2개의 클립은 우측선글라스렌즈의외측엣지중에 위치한다. 이 선글라스를 제거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단지 선글라스의 상측엣지와 바닥엣지를 잡고 렌즈를 서로에 대하여 외부로 회전시키면 이 작용으로 클립이 안경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런 종류의 클립온형 장착부는 선글라스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제거할 수 있게 하지만, 이 장착구조의 단점은 착용자가 운동이나 그 외의 활동에 참가하는 경우 통상 생길 수 있는 바와 같이 선글라스렌즈중의 일측이나 양측에 외향의 힘이 가해질 때마다 일측이나 양측의 클립이 우연히 분리되어 선글라스가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이런 종류의 클립온형 장착부는 선글라스를 안경에 고정하는데 4개의 클립을 필요로 한다. 많은 선글라스는 선글라스의 무게가 주로 프레임과 클립에 의해 결정되도록 경량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렌즈를 갖는다. 이처럼 클립은 선글라스의 무게의 상당부를 차지한다. 클립온형 선글라스는 그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에 무게를 부가하기 때문에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고려할 점은 대부분의 안경착용자가 그 얼굴을 가장 잘 보완하는 안경프레임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현재 매우 인기 있는 안경은 단일브릿지프레임을 갖는데, 이 브릿지는 렌즈의 상측엣지의 아래의 높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지된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브릿지는 렌즈위로 연장된다. 따라서 단일브릿지프레임을 갖는 안경에 착용하는 경우 이런 클립온형 선글라스는 안경에 이중바의 프레임의 외관을 부여한다.
상술한 이유 때문에, 그리고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는 중에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후술하는 그 외의 이유 때문에 그 선글라스가 사용되는 안경의 형상과 잘 일치하고 의도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한, 장착되는 안경으로부터 선글라스가 분리되는 것을 거의 방지하는 보다 견고한 장착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가 필요하다. 또한 무게가 줄어든 클립온형 선글라스가 필요하다.
다른 스타일의 안경은 이중브릿지(또는 이중바)의 프레임을 갖는다. 렌즈의 상측엣지아래의 높이에 있는 브릿지 외에 일반적으로 안경렌즈의 상측부를 연결하는 제 2브릿지(상측브릿지)가 있다. 이 제 2브릿지는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돌출하여 사용자가 이런 스타일의 안경에 맞는 클립온형 선글라스를 얻기가 어렵다. 클립온형 선글라스는 이중브릿지스타일의 프레임용으로는 아직 제조되지 않았다. 따라서 다양한 이중브릿지의 안경프레임에 사용할 수 있고 견고한 장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클립온형 선글라스가 필요하다. 이중브릿지의 안경프레임의 하측브릿지에 결합하며 상측브릿지와는 관계없이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클립온(clip-on)형 선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에 선글라스를 장착하도록 된 브릿지부재를 갖는 클립온형 선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글라스의 배면도.
도 3은 도1의 선글라스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선글라스의 저면도.
도 5는 브릿지부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 1의 선글라스의 일부의 확대사시도.
도 6은 장착클립중의 하나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 1의 선글라스의 다른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7은 안경에 조립된 본 발명의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조립체의 배면도.
도 9는 선글라스프레임과 안경프레임사이에 제공된 틈새를 나타내는 도 7의 조립체의 평면도.
도 10은 도 7의 조립체의 저면도.
도 11은 도 8의 선 11 - 11을 따라서 취한 확대수직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제 2구체예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선글라스의 배면도.
도 14는 도 12의 선글라스의 평면도.
도 15는 도 12의 선글라스의 저면도.
도 16은 브릿지부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 12의 선글라스의 일부의 확대사시도.
도 17은 당착클립중의 한 클립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 12의 선글라스의 다른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18은 안경에 조립된 본 발명의 제 2구체예에 의해 제공된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조립체의 배면도.
도 20은 선글라스프레임과 안경프레임사이에 제공된 틈새를 나타내는 도 18의 조립체의 평면도.
도 21은 도 18의 조립체의 저면도.
도 22는 도 19의 선 22 - 22를 따라서 취한 확대수직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구체예에 의해 제공된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정면도.
도 24는 도 23의 선글라스의 배면도.
도 25는 도 23의 평면도.
도 26은 도 23의 선글라스의 저면도.
도 27은 브릿지부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 23의 선글라스의 일부의 확대사시도.
도 28은 이중브릿지의 안경에 조립된 본 발명의 제 3구체예에 의해 제공된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조립체의 배면도.
도 30은 선글라스프레임과 안경프레임사이에 제공된 틈새를 나타내는 도 29의 조립체의 평면도.
도 31은 도 28의 조립체의 저면도.
도 32는 도 29의 선 32 - 32을 따라서 취한 확대수직단면도.
본 발명은 브릿지요소를 구비하는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및 제 2안경렌즈를 갖는 안경에 장착할 수 있게 된 클립온형 선글라스를 제공한다. 이 선글라스는 브릿지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단일 구조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렌즈조립체를 구비한다. 이 브릿지부재는 두 개의 렌즈조립체의 상측엣지를 포함하는 면의 아래에 위치하는 두 개의 렌즈조립체사이로 연장되도록 구성배치된다. 제 1렌즈조립체는 그 하측엣지의 중간부근에 위치하며 제 1렌즈조립체의 후면으로부터 외부로연장되는 제 1장착클립을 구비한다. 제 2렌즈조립체는 그 하측엣지의 중간부근에 위치하며 제 2렌즈조립체의 후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 2장착클립을 구비한다.
선글라스프레임의 브릿지부재는 그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브릿지부의 뒤에 결합하여 역시 두 개의 장착클립을 구비하는 장착구조의 일부를 형성한다. 장착구조의 일부로서 브릿지부재를 사용하면 선글라스프레임의 상측부에 클립을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선글라스를 그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형상에 더 잘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점은 브릿지부재가 그 브릿지부재의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된 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중앙부를 갖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선글라스는 다양한 스타일의 안경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구체예는 지금까지 제조되지 않았던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스타일인 이중브릿지의 프레임을 갖는 안경에 사용할 수 있다. 이중브릿지의 안경에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은 하측브릿지에 유지되며 안경의 제 2(상측)브릿지와는 관계없다. 본 발명은 또한 단일브릿지스타일을 갖는 다양한 안경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글라스의 상측엣지를 안경에 고정하는데 브릿지부재를 사용하고 두 개의 장착클립을 아이와이어의 하측엣지의 중간부근에 위치시키면 선글라스를 안경에 고정하기 위해 안경프레임과 결합되는 안경렌즈의 외측엣지상의 4개의 클립을 구비하는 통상의 클립온형 선글라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견고한 장착이 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이후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특정구체예의 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그 외의 구체예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없이 구조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클립온(clip-on)형 선글라스(10)의 정면도이다. 이 선글라스는 브릿지부재(18)에 의해 연결된 좌측 아이와이어(eyewire)(14) 및 우측아이와이어(16)를 구비하는 전방프레임(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것처럼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사람의 좌우 측눈에 대한 선글라스의 배향을 나타낸다. 좌측아이와이어(14)는 제 1렌즈조립체를 형성하는 좌측선글라스렌즈(20)를 갖고 있으며 우측아이와이어(16)는 제 2렌즈조립체를 형성하는 우측선글라스렌즈(22)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선글라스는 선글라스렌즈(20, 22)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이와이어(14, 16)를 갖는 프레임(12)을 구비하지만, 당업자라면 아이와이어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브릿지부재(18)가 선글라스렌즈(20, 22)를 직접 연결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하는 것처럼 렌즈조립체라는 용어는 브릿지부재(18)에 의해 연결되는 아이와이어(14, 16)에 랜즈(20, 22)가 장착되는 도면에 도시한 구체예와 렌즈(20, 22)에 직접 연결되는 프레임 및 브릿지부재(18)를 구비하지 않는 구체예를 모두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브릿지부재(18)는 기다란 본체부(30)와, 좌측아이와이어(14)에 연결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장착탭(34)으로 끝나는 좌측아암(32)과, 우측아이와이어(16)에 연결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장착탭(38)으로 끝나는 우측아암(36)을 갖는 세선형의 요소이다. 브릿지부재의 본체부(30)는 도면부호 4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간부가 아이와이어(14, 16)의 후면엣지(40)의 후방, 즉 선글라스렌즈의 후면의 후방으로 벗어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본 구체예에 있어서, 브릿지부재(18)의 본체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그러나 브릿지부재(18)의 본체부는 상부로 휠 수 있다.
브릿지부재(18)는 아이와이어(14, 16)의 상측엣지(44)와 하측엣지(46)의 중간위치에서 아이와이어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브릿지부재(18)는 상측엣지(44)에서 하측엣지(46)까지의 거리의 약 1/3에서 아이와이어에 연결되며, 브릿지부재(18)는 아이와이어(14, 16)의 상측엣지를 포함하는 면의 아래로 연장되는 면에 위치한다.
도 1 - 도 4 및 도 6에서, 장착클립(50)은 좌측아이와이어(14)의 하측엣지(46)에 고정되며 하측엣지(46)의 중간부근 바람직하게는 하측엣지(46)의 중간에 위치한다. 다른 장착클립(52)은 우측아이와이어(16)의 하측엣지에 고정되며 하측엣지(46)의 중간부근 바람직하게는 하측엣지(46)의 중간에 위치한다. 예로서 장착클립(50, 52)은 짧은 와이어를 절반으로 휘어서 자유단부(58)가 아이와이어에 고정되게 하고 와이어의 다른 단부는 휘어져서 장착클립의 U형말단부(60)가 형성되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는 절편(54, 56)을 형성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장착클립은 예를 들어 이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프레임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무나 실리콘의 보호코팅(62)을 갖는다.
선글라스프레임의 아이와이어(14, 16)와 브릿지부재(18)는 통상의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브릿지부재(18)는 용접이나 그 외의 적절한 방식으로 아이와이어(14, 16)에 고정되어 프레임(12)을 형성한다. 또한 장착클립(50, 52)은 통상의 방식으로 형성되어 용접이나 그 외의 적절한 방식으로 아이와이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브릿지부재와 장착클립은 모넬메탈, 스테인레스강, 티타늄이나 니켈등의 모재금속으로 만들어져 예를 들어 금, 은, 스테인레스강, 니켈이나 티타늄으로 도금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이와이어, 브릿지 및 장착클립은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아이와이어, 브릿지 및 장착클립은 예를 들어 zyl 등의 비금속재료로 만들 수 있다.
도 2에서 구성된 선글라스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아이와이어(14, 16)의 폭 "w"은 대략 2인치이다. 상측부에서 바닥까지의 치수 "h"는 대략 1.5인치이다. 상측 엣지(44)로부터 브릿지부재(18)가 아이와이어에 고정되는 지점의 위치까지의 거리 "y"는 대략 0.5인치이다. 아이와이어의 외측엣지로부터 장착클립(50, 52)이 아이와이어에 부착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x"는 대략 1인치이다. 브릿지부재의 본체부는 아이와이어(14, 16)의 후방엣지(40)에 대하여 후방으로 1/8인치 벗어나 있도록 브릿지부재(18)의 본체부(30)의 길이는 대략 1인치이며 아암부(32, 36)의 길이는 대략 1/8인치이다. 장착클립(50, 52)의 길이는 대략 3/8인치이므로 그 상부로 절곡된 단부(60)는 아이와이어(14, 16)의 후방엣지(40)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3/8인치에 위치한다. 이들 치수는 하나의 특정구체예의 예로서 주어진 것이며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특정형상 및 크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 선글라스는 그 선글라스를 사용하는 안경의 형상과 크기에 보다 가깝게 일치하도록 여러 가지 형상 및 사이즈로 만들 수 있다.
도 7 - 도 11에 있어서, 선글라스(10)는 통상의 안경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안경(70)은 브릿지(80)에 의해 연결된 아이와이어(76, 78)를 포함하는 프레임이나 지지수단(75)에 나란히 지지된 좌우측안경렌즈(72, 74)를 구비한다. 이 프레임(75)은 안경다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장착부(82)를 갖는다. 안경(70)은 프레임(75)을 구비하지만 이 것은 단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선글라스의 응용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이 선글라스(10)는 프레임없는 안경에도 장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10)를 안경(70)에 장착하는 경우, 브릿지부재(18)는 통상의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경우에서처럼 안경위로 연장되지 않고 안경의 브릿지부재(80)와 병렬배치되어 안경과 선글라스가 복합된 이중브릿지의 디자인을 만든다. 또한 안경의 상측엣지에는 장착클립이 없으며 브릿지부재(18)와 중간부근의 하측엣지의 바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장착클립(50, 52)이 선글라스를 안경에 고정시킨다. 장착클립(50, 52)은 장착클립의 단부(60)와 안경프레임사이의 공간(84)(도 11)을 줄이거나 증대시키기 위해 내측이나 외측으로 휘도록 바늘코(needle nose)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10)의 브릿지부재(18)는 안경(70)의 브릿지(80)의 뒤에 결합된다. 장착클립(50, 52)은 각각 좌우측아이와이어(76, 78)의 바닥엣지(83)를 수용한다. 브릿지부재(18)의 후방변위와 장착클립(50, 52)의 후방연장으로 인하여 선글라스프레임(12)은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프레임(75)으로부터 이격되어 그사이에 틈새(86)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선글라스(10)를 극히 얇은 렌즈로부터 비교적 두꺼운 사이즈의 범위의 렌즈를 갖는 안경 뿐만 아니라 극히 얇은 렌즈를 갖는 안경, 비교적 두꺼운 렌즈를 갖는 안경에 사용할 수 있다.
도 7 - 도 11에 있어서, 선글라스(10)를 안경(7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선글라스를 착용한 상태나 착용자의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좌측렌즈조립체를 좌측안경렌즈(72)위에 겹치고 우측렌즈조립체를 우측안경렌즈(74)위에 겹쳐서 안경과 일치시키고 아이와이어(76)의 하측엣지에 위치하는 장착클립중의 하나, 이 경우는 장착클립(50)으로 선글라스의 좌측을 안경에 "걸게(hooking)" 된다. 그 후, 우측렌즈조립체를 좌측렌즈조립체의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브릿지부재(18)를 휘어서 다른 장착클립(52)이 아이와이어(78)의 측부로부터 자유롭게 하고 브릿지부재(18)를 안경의 브릿지(80)위로 약간 들어 올린다. 그 후 브릿지부재(18)를 브릿지부재(80)위와 뒤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우측렌즈조립체를 해제시킴으로써 브릿지부재(18)가 복귀하고 장착클립(52)을 우측안경아이와이어(78)의 아래에 위치하게 이동시킨다. 선글라스(10)를 안경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동일하지만 반대의 과정을 이용한다. 먼저 우측렌즈조립체 등의 렌즈조립체중의 하나를 다른 렌즈조립체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릿지부재(18)를 휜다. 브릿지부재가 휨에 따라서 장착클립(50, 52)이 안경프레임과의 결합에서 해제되고 선글라스(10)가 제거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이 선글라스(10)는 먼저 장착클립(50, 52)을 동시에 안경프레임의 바닥엣지에 결합한 후 브릿지부재(18)가 안경프레임의 브릿지요소(80)에 인접위치할 때까지 선글라스를 상방으로 피봇동작시킨다. 그 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위치, 예를 들어 브릿지부재(18)가 브릿지(80)의 뒤에 위치하는 위치까지 브릿지부재(18)를 브릿지(80)위로 엄지손가락으로 슬라이딩조작함으로써 브릿지(18)를 브릿지위로 움직일 수 있다. 선글라스를 제거하는데는 반대의 과정을 이용한다.
도 12 - 도 17에서, 도 12는 본 발명에 제공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100)의 정면도이다. 이 선글라스는 브릿지부재(118)에 의해 연결된 좌측아이와이어(114) 및 우측아이와이어(116)를 포함한 프레임(1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것처럼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사람의 좌우측눈에 대한 선글라스의 배향을 나타낸다. 좌측아이와이어(114)는 좌측선글라스렌즈(120)에 부착되어 제 1렌즈조립체를 형성하며 우측아이와이어(116)는 우측선글라스렌즈(122)에 부착되어 제 2렌즈조립체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선글라스(100)는 선글라스렌즈(120, 122)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이와이어(114, 116)를 갖는 프레임(112)을 구비하지만, 당업자라면 아이와이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브릿지부재(118)가 직접 선글라스렌즈(120, 122)를 연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여기서 사용하는 것처럼 렌즈조립체라는 용어는 브릿지부재(118)에 의해 연결되는 아이와이어(114, 116)에 렌즈(120, 122)가 장착되는 도면에 도시한 구체예와, 프레임(프레임레스형 또는 림레스형 안경)을 구비하지 않고 브릿지부재(118)가 직접 렌즈(120, 122)에 연결되는 구체예를 나타낸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좌측아이와이어(114)와 우측아이와이어(116)는 일부가 좌측선글라스렌즈(120)와 우측선글라스렌즈(122)를 감싸서 불완전프레임의 외관을 부여한다. 각각의 좌측선글라스렌즈(120)와 우측선글라스렌즈(122)는 나일론 등의 장력와이어(123)에 의해 각각의 좌측아이와이어(114)와 우측아이와이어(116)에 부착된다. 장력와이어는 무심결에 보아서는 쉽게 볼 수 없다. 장력와이어(123)의 단부들은 각각의 아이와이어중의 각각의 단부개구(114a, 114b, 116a, 116d), 바람직하게는 그 단부(114c, 114d, 116c, 116d)에 수용된다. 그 후 장력와이어(123)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각각의 개구(114a, 114b, 116a, 116b)에 고정되어 좌우측선글라스렌즈(120, 122)를 각각 좌우측아이와이어(114, 116)에 고정한다.
제 2구체예의 선글라스(100)의 모든 구성성분(요소)은 하기에 기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1 - 도 11의 선글라스(10)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재료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 2에서의 치수부호 "h", "w", "x", "y"는 또한 도 13에 도시한 각 치수 "h' ", "w' ", "x' ", "y' "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2구체예의 선글라스(100)는 도 16에 상세히 도시한 브릿지부재가 브릿지부재(18)와 다른 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1 - 도 11의 선글라스(10)와 다르다.선글라스(100)에는 장착클립(50, 52)도 사용하기 적합하지만 장착클립(150, 152)은 도 1 - 도 11에 도시한 것과는 약간 다르다. 게다가 장착클립(150, 152)의 위치결정은 프레임의 형상의 결과로서 약간 다르다.
도 12 - 도 17에서, 브릿지부재(118)는 기다란 본체부(130)를 갖는 세선형요소이다. 본체부(130)는 또한 절곡부재 또는 꼭지점(147)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하측아암(143, 145)으로 구성되는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141)를 갖는다. 좌측중간아암(132)과, 좌측아이와이어(114)에 연결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장착탭(134)으로 끝나는 좌측상부아암(133)은 절곡부재 또는 꼭지점(147)의 일측에 연결된다. 우측중간아암(136)은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147)의 타측에 부착된다. 우측중간아암(136) 및 우측상부아암(137)은 우측아이와이어(116)에 연결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장착탭(138)으로 끝난다.
브릿지부재(118)의 본체부(130)는 아이와이어(114, 116)의 후면엣지(140)의 후방으로, 즉 선글라스렌즈의 후면의 후방으로 벗어나 있다.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141)는 바람직하게는 V형이며, 각 선글라스렌즈조립체의 아이와이어(114, 116)의 하측엣지(146)(하측)쪽으로 하방으로 연장된다.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141)는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147)로 끝난다. 이 절곡중앙본체(141)는 그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147)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30)중의 중앙에 위치한다.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141)도 사각형, 원형 또는 그 조합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부재(118)의 본체부(130)는 절곡부재(147)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간에서 약간 전방으로, 즉 아이와이어의 후면엣지(140)쪽의 방향으로 휘어져있다. 약간 전방으로 휘어진 것 외에 절곡부재(147)는 하방으로, 즉 도면에 도시한 구체예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간아암(132, 136)에 의해 이루어진 면의 아래로 절곡된다. 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141)는 선글라스(100)가 착용자의 안경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 브릿지부재(118)가 안경의 브릿지요소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한다.
브릿지부재(118)는 아이와이어(114, 116)의 상측엣지(144)와 하측엣지(146)의 중간위치에서 아이와이어에 장착된다. 본 구체예에서, 브릿지부재(118)는 상측엣지(144)의 단부로부터 약 3/8인치의 위치에서(상측엣지(144)에서 하측엣지(146)까지의 거리의 대략 1/3의 위치에서) 아이와이어에 연결되며 이 브릿지부재(118)는 아이와이어(114, 116)의 상측엣지(144)에 의해 형성된 면의 아래도 연장되는 면에 위치한다.
중간아암(132, 136)은 수평상태에 대하여 상방 또는 평행하게 경사지며, 상측아암(133, 137)은 각 장착탭(134, 138)으로부터 본체부(130)측으로 후방으로(프레임(11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본체부(130)가 연결된 아암(132, 133, 136, 137)의 경사 및 후방연장에 의해 선글라스가 장착될 안경의 특정 브릿지의 여러 치수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 - 도 5에서 설명한 구체예와 비교하여 브릿지부재(118)는 선글라스의 전방면으로부터 더 멀리 절곡되어 있다. 이렇게 절곡되고 갭이 커지면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본 구체예를 도 1 - 도 5에 도시한 구체예보다 다양한 단일바의 안경프레임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암(132, 136)은 안경의 브릿지요소의 후방측이나 후방측을 지나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로 지나서의 위치에 상당하는 지점에서 본체부(130)에서 끝난다. 그러나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147)를 포함한 절곡중앙부 또는 딥부(141)의 일부만이 안경의 브릿지요소의 후면측의 위치나 후면측을 지난 위치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런 본체부(130),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141) 및 아암(132, 133, 136, 137)의 구조로 인해 안경의 브릿지요소에 대하여 그 상측 및 후측면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브릿지부재(118)에 의해 안경의 브릿지요소가 결합되며 상측 또는 후면측이나 상측 및 후면측중에 브릿지요소와 접촉하게 된다. 이 것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18 -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 장착클립(150)은 좌측아이와이어(114)의 하측엣지에 고정되며 좌측아이와이어(114)의 단부(114d)의 부근에 위치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클립은 아이와이어(114)의 단부부근에 부착되지만, 이 장착클립은 장착클립의 위치가 선글라스렌즈의 하측부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우선적으로 선글라스에 부착된다. 제 2장착클립(152)은 마찬가지로 유사한 위치와 방식으로 우측아이와이어(116)에 고정된다. 장착클립은 아이와이어에 고정된 단부(151 또는 153)를 갖는 짧은 와이어스트립으로 구성되며, 그 와이어의 타단부(160)는 안경렌즈조립체와 결합되기 위해 상방으로 굽어진다. 도 22에 예시한 구체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은 속이 찬 금속스트립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예일 뿐이다. 이 장착클립은 예를 들어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프레임의 흠집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해 고무나실리콘의 보호코팅(162)를 갖는다.
선글라스프레임의 아이와이어(114, 116)와 브릿지부재(118)는 통상의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브릿지부재(118)는 용접이나 그 외의 적절한 방식으로 아이와이어(114, 116)에 고정되어 프레임(112)을 형성한다. 장착클립(150, 152)은 통상의 방식으로 형성되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용접이나 그 외의 적절한 방법으로 아이와이어에 고정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프레임, 브릿지부재 및 장착클립들은 모넬메탈,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또는 니켈 등의 모재금속으로 만들어져 예를 들어 금, 은, 스테인레스강, 니켈 또는 티타늄으로 도금된다. 아이와이어, 브릿지 및 장착클립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아이와이어, 브릿지 및 장착클립은 예를 들어 zyl 등의 비금속(非金屬)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3은 아이와이어(114, 116)의 폭 "w' "이 대략 2인치인 선글라스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다. 상측에서 바닥까지의 치수 "h' "는 1.5인치이다. 상측엣지(144)로부터 브릿지부재(118)가 아이와이어에 고정되는 지점의 위치까지의 거리 "y' "는 대략 1/2인치이다. 아이와이어의 외측엣지로부터 장착클립(150, 152)이 아이와이어에 부착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x' "는 대략 1인치이다. 브릿지부재(118)의 본체부(130)의 길이는 대략 1인치이며 아암부(132, 136)의 길이는 브릿지부재의 본체부가 아이와이어(116, 114)의 후방엣지(140)에 대하여 후방으로 대략 1/8인치 벗어나도록 대략 1/8인치이다. 장착클립(150, 152)의 길이는 대략 3/8인치이므로 그 상향절곡단부(162)는 아이와이어(114, 116)의 후방엣지(140)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3/8인치에 위치한다. 이 치수들은 특정 구체예의 예로서 주어진 것으로서 첨부하는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특정 형상 및 사이즈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 선글라스는 이 선글라스가 사용되는 안경의 형상 및 사이즈에 보다 근접하게 일치하도록 여러 가지 다른 형상 및 사이즈로도 만들 수 있다.
도 18 - 도 21에서, 선글라스(100)는 통상의 안경(70)에 장착되어 있다. 이 안경(70)은 브릿지(80)에 의해 연결된 아이와이어(76, 78)를 포함하는 프레임이나 지지수단(75)에 나란히 지지된 좌우측안경렌즈(72, 74)를 구비한다. 이 프레임(75)은 안경다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장착부(82)를 갖는다. 안경(70)은 프레임(75)을 구비하지만 이 것은 단지 프레임없는 안경에 의해 제공되는 선글라스의 응용예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100)를 안경(70)에 장착하는 경우, 브릿지부재(18)는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안경의 브릿지부(80)와 병렬배치된다.
딥부(절곡부재)(141)와 하측엣지의 바닥의 중간부근에 위치하는 두 개의 장착클립(150, 152)을 갖는 브릿지부재(118)는 선글라스를 안경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장착클립(150, 152)은 장착클립(150, 152)의 단부(160)와 안경프레임사이의 공간(84)(도 22)을 줄이거나 증대시키기 위해 내측이나 외측으로 휘도록 바늘코(needle nose)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100)의 브릿지부재(118)는 연장되어 안경(70)의 브릿지(80)의 앞뒤에 결합된다.
아암(132, 133, 136, 137)은 브릿지요소(80)의 상측(80a)위로 연장되어 그 브릿지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절곡본체부(딥부)(141)는 안경(70)의 브릿지요소(80)(특히 브릿지요소(80)의 후면측(80b))의 뒤의 지점(지난 지점)에 상당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절곡본체부(또는 딥부)(141) 및/또는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147)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부(103)의 부분은 적어도 안경(70)의 브릿지부재(70)의 일부와 접촉하므로 안경(70)상의 선글라스(100)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절곡본체부 또는 딥부(141)는 약간 하방으로(아이와이어(114, 116)의 하측엣지쪽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147)는 브릿지요소(80)의 하측을 지나서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떤 스타일의 안경에서는 렌즈조립체에 대한 브릿지의 형상 및/또는 위치 때문에 이 것은 불가능하며, 이 경우 절곡본체부 또는 딥부(141) 및/또는 그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147)는 안경의 브릿지요소(브릿지의 하측)를 지나 하방으로 연장된다. 장착클립(150, 152)은 각각 좌우측아이와이어(76, 78)의 바닥엣지(83)를 수용한다. 도 1 - 도 11에 도시한 구체예에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브릿지부재(118)의 후방으로의 변위와 장착클립(150, 152)의 후방연장으로 인해 예를 들어 도 20 및 도 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프레임(112)이 안경프레임(75)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틈새(86)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극히 얇은 렌즈로부터 비교적 두꺼운 사이즈의 범위를 갖는 안경뿐만 아니라 극히 얇은 렌즈를 갖는 안경, 비교적 두꺼운 렌즈를 갖는 안경과 함께 선글라스(100)를 사용할 수 있다. 브릿지부재(118)의 절곡부재(141)의 조합과 안경의 브릿지요소에 대한 브릿지부재(118)의 배향으로 본 발명의 선글라스(100)는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에 설명된 선글라스보다 다양한 단일바의 안경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18 - 도 22에서, 선글라스(100)를 안경(7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선글라스(100)를 착용한 상태나 착용자의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안경(70)과 일치시키고 좌측렌즈조립체를 좌측안경렌즈(72)위에 놓고, 장착클립중의 하나, 이 경우에는 장착클립(50)을 아이와이어(76)의 하측엣지에 위치시키고 선글라스(100)의 좌측부를 안경(70)에 "걸게" 된다. 그리고 브릿지부재(118)의 본체부(130)가 안경의 브릿지요소(80)로부터 자유롭게 되도록 선글라스(100)를 약간 상방으로 회전시킨다. 그 후 선글라스(100)를 브릿지부재(118)가 안경의 브릿지요소(80)와 결합하는 위치까지 하방으로 회전시키고 본체부(130)의 절곡본체부 또는 딥부(141)를 브릿지요소(80)의 뒤, 특히 안경(70)의 브릿지요소의 후면측(80b)의 뒤에 위치시킨다. 우측렌즈조립체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우측장착클립(152)을 우측아이와이어(78)를 지난 지점까지 이동시킨다. 우측렌즈조립체를 해제하여 아이와이어(78)쪽으로 탄성복귀하게 하여 장착클립(152)이 우측아이와이어(78)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우측렌즈조립체를 안경에 "걸게" 한다. 이 탄력적이고 스프링 같은 거동은 선글라스(100)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전술하였음)의 성질이다. 이 장착과정은 장착클립(152)이 처음에 우측아이와이어(78)의 하측엣지에 위치하여 선글라스(100)의 우측이 안경에 "걸려"있다면 반대로 실시할 수 있다. 이후의 모든 장착과정은 동일하지만 바로 전에 설명한 것과는 반대이다.
선글라스(100)를 안경(70)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유사하지만 반대의과정을 사용한다. 먼저 우측렌즈조립체 같은 선글라스(100)의 렌즈조립체중의 하나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브릿지부재(118)를 휘게 한다. 브릿지부재(118)가 휨에 따라서, 선글라스(100)의 우측렌즈조립체는 전방으로(안경(70)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장착클립(152)이 안경프레임(75)으로부터 해제(걸림해제)된다. 그 후 선글라스(100)의 다른 렌즈조립체(좌측렌즈조립체)가 선글라스(100)의 우측렌즈조립체에 대하여 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해제시킨다. 그 후 선글라스(100)를 약간 상방으로 움직여서 브릿지부재(118)가 안경(70)의 브릿지요소(80)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선글라스(100)가 안경(70)으로부터 제거되어 분리되게 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처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조립체가 일치하도록 선글라스(100)를 안경(70)과 일치시키고 본체부(130)와 절곡본체부 또는 딥부(141)가 브릿지요소의 뒤에 오도록 브릿지부재(118)를 결합시켜 주본체(130)의 일부가 안경(70)의 후면측(80b)중에 안경의 브릿지요소(80)와 접하게 함으로써 선글라스(100)를 안경(70)에 장착할 수 있다. 그 후 선글라스의 각각 의 좌우렌즈조립체를 동시에 또는 한 번에 하나씩 하방으로 회전시켜 각각의 장착클립(150, 152)이 안경(70)의 각 아이와이어(76, 78)의 아래로 연장하게 한다. 브릿지부재(118)가 휨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아이와이어(114, 116)에서 선글라스(100)의 좌우측렌즈조립체를 안경(70)쪽으로 약간의 또는 부드러운 압력으로 가압한다. 각 렌즈조립체(114, 116)상의 압력을 동시에 또는 한번에 하나의 렌즈조립체에 대하여 해제하고, 스프링작용에 의해 각 렌즈조립체(114, 116)를 해제하며, 일단 해제되면 각 장착클립(150, 152)은 안경(70)의 각 아이와이어(76, 78)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안경(70)의 각 렌즈조립체를 "걸게" 된다. 안경(70)으로부터 선글라스(100)를 제거하는 것(궁극적인 분리)은 전술한 과정에 따른다.
제 3의 장착과정에서는, 선글라스(100)를 렌즈조립체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치하도록 안경(70)과 일치시킨다. 선글라스(100)의 장착클립(150, 152)을 선글라스(70)의 각 아이와이어(76, 78)의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브릿지부재(118)가 휘고 절곡본체부 또는 딥부(141)와 아암(132, 133, 136, 137)을 포함한 본체부(130)가 안경(70)의 브릿지요소(80)에서 자유로워질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아이와이어(114, 116)의 하측부에서 부드러운 압력을 가하여 선글라스(100)의 아이와이어(114, 116)를 상부로 밀어 올린다. 선글라스의 프레임(112)이 안경의 프레임(75)의 방향으로 후방으로 가압되는 동안 브릿지부재(118)는 휜 상태로 유지되므로 본체부(130)는 안경(70)의 브릿지요소(80)의 후면측(80b)을 지나서(후방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을 해제하여 본체부재(130)가 브릿지요소와 결합하고 절곡본체부 또는 딥부(141)가 안경의 브릿지요소(80)의 후면측(80b)의 후방지점(후면측은 지난 지점)에 위치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을 해제하여 본체부재(130)가 브릿지요소와 결합하고 절곡본체부 또는 딥부(141)가 안경의 브릿지요소의 후면측(80b)의 후방지점(후면측을 지난 지점)에 위치하게 한다. 안경(70)으로부터 선글라스(100)의 제거(궁극적으로는 선글라스의 분리)는 상술한 과정에 따른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 같은 이중브릿지(소위 "이중바(double bar)"라고 불림)를 갖는 안경은 클립온형 선글라스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드러나는 기계적인 어려움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구체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중브릿지의 선글라스에 성공적으로 잘 결합되며, 사용자가 안경의 상측브릿지요소의 간섭없이 이들 선글라스를 이중브릿지의 안경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이들 안경은 상기(도 7 - 도 11 및 도 18 - 도 22)에 설명하고 도시한 안경(70)과 유사하지만 구성요소의 형상과 치수가 다르며 특히 렌즈조립체의 상측엣지를 연결하는 제 2 또는 상측브릿지요소의 존재가 다르다.
이중브릿지의 안경(200)(도 28)은 제 1 또는 하측브릿지요소(212)에 의해 연결되는 아이와이어(208, 210)를 포함한 프레임 또는 지지수단(206)에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는 좌우측안경렌즈(202, 204)를 구비한다. 이 프레임은 안경다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수단(214)을 가진다. 제 2 또는 상측브릿지요소(216)는 좌우측아이와이어(208, 210)의 상측부(217, 218)의 사이에 부착된다.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사람의 좌우측눈에 대한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배향을 나타낸다. 안경(200)은 프레임(206)을 구비하지만, 이 것은 단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선글라스의 응용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 선글라스(300)를 프레임 없는 안경에 장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2브릿지요소(216)는 이런 스타일의 안경의 어떤 구체예에서 상부로부터 보는 경우(도 25) 아이와이어의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중브릿지의 안경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본 발명의 구체예를 도 23의 사시도에 도시한다. 이 개량된 선글라스(300)는 브릿지부재(316)에 의해 연결된 좌측아이와이어(312)와 우측아이와이어(314)를 포함한 프레임(310)을 구비한다. 좌측아이와이어(312)는 좌측선글라스렌즈(318)에 부착되어 제 1렌즈조립체를 형성하고 우측아이와이어(314)는 우측선글라스렌즈(320)에 부착되어 제 2렌즈조립체를 형성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선글라스(300)는 선글라스렌즈(318, 3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이와이어(312, 314)를 갖는 프레임(310)을 구비하지만, 프레임(310)은 선글라스렌즈를 완전히 둘러싸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브릿지부재(316)는 아이와이어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선글라스렌즈(318, 320)를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아이와이어가 선글라스렌즈를 완전히 둘러싸서 완전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선글라스렌즈를 연결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렌즈조립체라는 용어는 브릿지부재(316)에 의해 연결되는 아이와이어(312, 314)에 렌즈(318, 320)가 장착되는 도면에 도시한 구체예, 또는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고 브릿지부재(316)가 렌즈(318, 320)에 직접 연결되는 구체예, 또는 렌즈(318, 320)가 아이와이어에 완전히 장착되어 완전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3 - 도 27에서, 브릿지부재(316)는 기다란 본체부(322)를 갖는 세선형요소이다. 본체부(322)는 또한 서로 연결되어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330)를 형성하는 하측아암(326, 328)으로 구성되는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324)를 가진다. 좌측아이와이어(312)에 연결되는 하방으로 연장된 장착탭(336)으로 끝나는 좌측상부아암(334) 및 좌측중간아암(332)은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330)의 일측에 연결된다. 우측중간아암(338)은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330)의 타측에 부착된다. 우측중간아암(338)과 우측상부아암(340)은 우측아이와이어(314)에 연결되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탭(342)으로 끝난다.
브릿지부재(316)의 본체부(322)는 아이와이어(312, 314)의 후면엣지(후면)(344)의 후방으로, 즉 선글라스렌즈의 후면의 후방으로 벗어나 있다(도 27). 본 구체예의 상측아암(334, 340)의 길이는 도 5에 설명한 선글라스의 좌측아암(32) 및 우측아암(36)의 길이보다 크다. 브릿지부재(316)의 절곡부재(330)의 배향과 함께 상측아암(334, 340)의 증가된 길이로 인하여 본 구체예의 클립온형 선글라스는 이중바안경의 제 1 또는 하측브릿지요소(바)(212)의 뒤에 장착할 수 있다(도 28 - 도 32).
도 25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부재(316)의 본체부(322)와 중앙본체부 또는 딥부(324)는 절곡부재나 꼭지부(33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서 약간 전방으로, 즉 아이와이어의 후면엣지(344)쪽의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전방으로 약간 휘어져 있는 것 외에도,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330)는 도면에 도시한 구체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즉 중간아암(332, 338)에 의해 형성된 면의 아래로 절곡되어 있다(도 23 및 도 24).
브릿지부재(316)는 아이와이어(312, 314)의 상측엣지(346) 및 하측엣지(348)의 단부근처의 위치에서 아이와이어에 장착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브릿지부재(316)는 상측엣지(346)의 단부로부터 약 3/8인치의 거리에서 아이와이어에 연결되며, 브릿지부재(316)는 아이와이어(312, 314)의 상측엣지(370)에 의해 형성된 면의 아래로 연장되는 면상에 위치한다.
브릿지부재(316)의 본체와 선글라스렌즈의 후면과 절곡부재(330)조합체사이의 거리가 틈새를 증가시켜 본 구체예의 클립온형 선글라스를 도 1 - 도 5에 도시한 구체예보다 다양한 안경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제 2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좌측아이와이어(312)와 우측아이와이어(314)는 좌측 및 우측선글라스렌즈(318, 3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부분프레임의 외관을 제공한다. 각각의 좌측선글라스렌즈(318)와 우측선글라스렌즈(320)는 나일론 등의 장력와이어(123)에 의해 각각의 좌측아이와이어(312) 및 우측아이와이어(314)에 부착되어 렌즈를 완전히 둘러싼다. 이 장력와이어는 무심결에 관찰해서는 쉽게 볼 수 없다. 각 선글라스렌즈(318, 320)는 나일론 등의 장력와이어(123)를 사용하는 제 2구체예에서 설명한 선글라스의 부착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 아이와이어(312, 314)에 부착되며, 이 장력와이어(123)의 단부는 각 아이와이어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단부(312c, 312d, 314c 314d)에서 각 단부개구(312a, 312b, 314a, 314b)에 수용된다. 그 후 와이어(123)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각 개구(312a, 312b, 314a, 314b)에 고정되어 좌측선글라스(318) 및 우측선글라스(320)를 각각 좌측아이와이어(312) 및 우측아이와이어(314)에 고정한다. 여기에는 아이와이어를 통하여 파스너를 렌즈 속으로 박는 방법이나 당업자에게 알려진 그 외의 부착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좌측아이와이어(312)에는 좌측아이와이어(312)의 하측엣지(348)에는 장착클립(356)이 고정된다. 도 13 및 도 23에 도시한 구체예에서는 장착클립이 아이와이어(312)의 단부근처에 부착되지만, 이 장착클립은 바람직하게는 장착클립의 위치가 선글라스렌즈의 하측부의 중간부근이 되도록 선글라스에 부착된다. 우측아이와이어(314)에는 우측아이와이어(314)의 하측엣지(348)에서 제2장착클립(358)이 마찬가지로 고정된다. 이 장착클립은 아이와이어에 고정된 자유단부(360)를 갖는 짧은 금속스트립을 포함하며, 그 금속스트립의 타단부(362)는 안경렌즈조립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위로 휘어져 있다. 도 32에 도시한 구체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것은 속이 찬 금속스트립(364)이 될 수 있지만 이 것은 예시일 뿐이다. 이 장착클립은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프레임의 흠집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의 보호코팅(364)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프레임의 아이와이어(312, 314)는 종래의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브릿지부재(316)는 용접이나 그 외의 적절한 방법으로 아이와이어(312, 314)에 고정되어 프레임(310)을 형성한다. 이 장착클립(356, 358)은 통상의 방식으로 형성되어 용접이나 당업자에게 알려진 그 외의 적절한 방법으로 아이와이어에 고정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프레임, 브릿지부재 및 장착클립은 모넬메탈,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또는 니켈 등의 모재금속으로 만들어져 예를 들어 금, 은, 스테인레스강, 니켈 또는 티타늄으로 도금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이와이어, 브릿지 및 장착클립은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아이와이어, 브릿지 및 장착클립은 예를 들어 zyl 등의 비금속으로 만들 수 있다.
도 24는 선글라스렌즈(318, 320)의 폭 "w" "이 대략 2인치가 되도록 구성된 선글라스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다. 선글라스렌즈의 상측부에서 바닥까지의 치수 "h" "는 대략 1.9인치이다. 상측엣지(346)로부터 브릿지부재(316)가 아이와이어에 고정되는 지점의 위치까지의 거리 "y" "는 대략 0.5인치이다. 선글라스렌즈의 외측엣지로부터 장착클립(356, 358)이 아이와이어에 부착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x" "는대략 0.8인치이다. 브릿지부재(316)의 본체부(322)는 대략 0.6인치이고 아암부(344, 340)의 길이는 브릿지부재의 본체부가 아이와이어(312, 314)의 후면엣지(344)에 대하여 대략 1/4인치 후방으로 벗어나도록 대략 1/4인치가 된다. 장착클립(356)의 길이는 대략 3/8인치이므로 그 상향절곡단부(363)는 아이와이어(312, 314)의 후면엣지(344)로부터 대략 3/8인치 후방에 위치한다. 본 구체예의 아이와이어는 각 선글라스렌즈의 주위로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다(도 23). 이들 치수는 하나의 특정구체예의 예시로서 주어진 것으로서 첨부된 측허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특정형상 및 사이즈를 예시하였으나, 이 선글라스는 그 선글라스가 사용되는 안경의 형상 및 사이즈에 보다 근접하게 일치하는 다른 형상 및 사이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8 - 도 32는 이중브릿지의 안경(200)에 장착되는 선글라스(300)를 나타낸다. 이 선글라스(300)를 안경(200)에 대하여 장착하고 제거하는 방법은 제 2구체예의 선글라스(100)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른다. 선글라스(300)를 안경(200)에 대하여 부착하고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한 지지부로서 착용자는 상측브릿지요소(216)를 사용할 수 있다. 상측브릿지요소(216)는 본 구체예의 선글라스를 이중브릿지의 안경에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 30에 상부브릿지요소(216)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28 -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300)를 안경(200)에 장착하는 경우, 브릿지부재(316)는 통상의 클립온형 선글라스의 경우에서처럼 안경위로 연장되기보다는 안경의 하측브릿지요소(212)와 병렬배치된다. 안경의 상측엣지에는 장착클립이 없다. 브릿지부재(316)와, 중간부근의 하측엣지의 바닥에 위치하는 두 개의 장착클립(356, 358)은 선글라스를 하측브릿지요소(212)의 뒤에서 안경에 고정한다. 중앙부 또는 딥부(324)와 절곡부재 또는 꼭지부(330)는 안경의 하측브릿지요소(212)의 뒤에 위치한다. 따라서 선글라스(300)는 상측브릿지요소(226)와는 관계없이 이중브릿지의 안경(200)에 장착된다. 이 장착클립(356, 35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바늘코플라이어를 사용하여 내부 또는 외부로 휘어지게 조정할 수 있다.
도 28 -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300)의 브릿지부재(316)는 이중브릿지의 안경(200)의 하측브릿지요소(212)의 뒤에 결합된다. 브릿지부재(316)와 브릿지요소(212)의 상호작용은 본 발명의 제 2구체예에서 전술한 브릿지부재(118)와 브릿지요소(80)의 상호작용과 유사하다. 장착클립(356, 358)은 각각 좌우측아이와이어(208, 210)의 바닥엣지(312, 314)를 수용한다. 브릿지부재(316)의 후방변위와 장착클립(356, 358)의 후방연장으로 인하여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글라스프레임(312)이 안경프레임(206)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틈새(230)를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이 선글라스(300)는 극히 얇은 렌즈로부터 비교적 두꺼운 렌즈의 사이즈의 범위에 있는 렌즈를 갖는 안경뿐만 아니라 극히 얇은 렌즈를 갖는 안경과 비교적 두꺼운 렌즈를 갖는 안경과도 사용할 수 있다. 브릿지부재(316)의 절곡부재 또는 딥부(330)의 조합과 안경의 하측브릿지요소(212)에 대한 브릿지부재(316)의 배향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선글라스(300)는 다른 구체예에서 설명한 선글라스와는 대조적으로 이중브릿지의 안경프레임과도 사용할 수있다.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구체예의 다른 구체예는 도 12 - 도 32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한 것과는 다른 본체부, 절곡본체부나 딥부, 절곡부재나 꼭지부, 아암 및 장착탭의 치수(수평에 대한 각도도 포함)의 브릿지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다른 구체예의 선글라스는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가 요망되는 그 외의 특정안경의 여러 가지 브릿지요소 또는 단일 또는 이중브릿지프레임(프레임레스 또는 림레스스타일도 포함)과 일치하도록 상기 설명에 따라서 변형할 수 있다. 이들 발명은 상기에 제시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글라스프레임의 브릿지부가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브릿지의 뒤 및/또는 브릿지에 결합되도록 된 클립온형 선글라스를 제공한다. 이 장착구조는 또한 한 쌍의 장착클립을 구비하는데, 각각은 각 아이와이어의 바닥의 중간부근에 위치한다. 장착클립은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프레임의 하측엣지를 수용한다. 선글라스의 브릿지부를 장착구조물의 일부로서 사용하면 선글라스프레임의 상측부에 클립을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며 그 선글라스가 장착되는 안경의 형상에 선글라스가 보다 잘 일치하게 된다. 브릿지의 절곡부재를 사용하면 선글라스를 다양한 단일브릿지의 안경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의 선글라스도 절곡부재를 갖는 브릿지를 가지며 장착아암이 길어지면 이중브릿지의 프레임을 갖는 안경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브릿지요소를 구비하는 지지수단에 의해 나란한 상태로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안경렌즈를 갖는 안경에 장착되며 제 1 선글라스 렌즈를 구비하고 상측엣지, 하측엣지 및 후측면을 갖는 제 1 렌즈 조립체와; 제 2 선글라스 렌즈를 구비하며 상측엣지, 하측엣지 및 후측면을 갖는 제 2 렌즈 조립체와; 상기 제 1,2 렌즈 조립체의 사이로 연장 형성되며 제 1,2 렌즈 조립체의 상측엣지를 포함하는 면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 1,2 렌즈 조립체의 후측면에 대하여 내측으로 휘어 있는 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제 1,2 렌즈 조립체의 사이에 수직하게 상기 브릿지요소를 수용하는 틈새를 형성하는 브릿지 부재와; 상기 제 1 렌즈 조립체의 하측엣지의 중간부근에 위치하며 제 1 렌즈 조립체의 후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장착클립과; 상기 제 2 렌즈 조립체의 하측엣지에서의 중간부근에 위치하며 제 2 렌즈 조립체의 후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장착클립을 포함하는 클립 온형 선글라스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재의 본체부는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절곡된 하측아암으로 구성되는 V자 형상을 갖는 절곡중앙본체부 또는 딥부를 갖으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각 하측아암에 인접하는 중간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각 중간아암에 부착되고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브릿지부재를 상기 제 1,2 렌즈조립체에 부착하는 상측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 온형 선글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재는 상기 제 1,2 선글라스 렌즈의 후면쪽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07003213A 1997-09-25 1998-09-24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 KR100350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36,904 US6257718B1 (en) 1996-01-24 1997-09-25 Clip-on sunglasses with bridge moun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708A KR20010030708A (ko) 2001-04-16
KR100350653B1 true KR100350653B1 (ko) 2002-08-29

Family

ID=2546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213A KR100350653B1 (ko) 1997-09-25 1998-09-24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57718B1 (ko)
KR (1) KR100350653B1 (ko)
AU (1) AU9506898A (ko)
WO (1) WO1999015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201602T2 (tr) * 1999-09-24 2002-10-21 Chic Optic, Inc. Gözlük aparatı
FR2803670A1 (fr) * 2000-01-07 2001-07-13 Philippe Lavie Face supplementaire de lunettes universel et souple
AU2001259009A1 (en) * 2000-05-02 2001-11-12 Emsley Pte Ltd. An eyeglass accessory
EP1928049A1 (en) * 2006-11-23 2008-06-04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Thin solid oxide cell
KR100911869B1 (ko) * 2008-03-03 2009-08-11 김상환 흡착구조를 갖는 클립안경
EP2104165A1 (en) * 2008-03-18 2009-09-23 The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An all ceramics solid oxide fuel ce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571A (en) * 1996-01-24 1997-12-09 Made In The Shades Optical, Inc. Clip-on type sunglasses with bridge mount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196A (en) 1985-02-28 1987-04-21 Polaroid Corporation Optical accessory for use with spectacles
DE3734649A1 (de) 1987-10-13 1989-04-27 Zollitsch Gmbh Sportbrille
JPH09510796A (ja) * 1994-01-03 1997-10-28 クレブス、マルティン 眼鏡用のクリップ留めレンズ取付け具
DK176106B1 (da) 1995-04-21 2006-06-26 Lindberg Optic Design As Brilleforhæng
US5867244A (en) * 1995-08-03 1999-02-02 Revolution Eyewear Auxiliary clip-on eyeglasses for mounting on conventional eyeglasses
WO1997019384A1 (de) 1995-11-22 1997-05-29 Martin Krebs Randloser vorhänger für brill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571A (en) * 1996-01-24 1997-12-09 Made In The Shades Optical, Inc. Clip-on type sunglasses with bridge mou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708A (ko) 2001-04-16
WO1999015931A1 (en) 1999-04-01
AU9506898A (en) 1999-04-12
WO1999015931B1 (en) 1999-05-06
US6257718B1 (en) 2001-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6571A (en) Clip-on type sunglasses with bridge mounting
US7029114B2 (en) Eyewear assembly with auxiliary frame and lens assembly
US5418581A (en) Hinge system for eyewear
US8480226B2 (en) Frame construction for eyewear
US6474810B1 (en) Bridge for attaching auxiliary lenses
US8820921B1 (en) Assembly for retaining eyeglasses on the head of a user in multiple positions
JPS61203423A (ja) めがねと共用される日よけ装置
US6382787B1 (en) Spectacles set with a detachable sunglasses for mounting on a primary spectacle frame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nd interlocking engagement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JP2003043422A (ja) レンズ定置性の優れたリムレス眼鏡
US6296355B1 (en) Wire-frame eyewear assembly with transversely-lithe sidepiece element
US5920369A (en) Shield for clipping onto a pair of eyeglasses
KR100350653B1 (ko)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
US6099119A (en) Eyeglasses including threading means and mechanically bonded means
US6540348B1 (en) Spectacles set with detachable shelter frame
US6659605B2 (en) Clip-on eyewear
US6464352B1 (en) Detachable shelter frame for mounting in front of a primary spectacle frame
US6557994B1 (en) Frameless glasses attaching to body piercing studs
US6231180B1 (en) Detachable shelter frame for spectacles
US7066592B2 (en) Frameless glasses attaching to body
US20060139564A1 (en) Clip on visor
JP2003315742A (ja) メガネ
JP3032862U (ja) ブリッジ弾着式の前掛けフレーム
JP3224215U (ja) メガネフレーム
JP3052031U (ja) 簡易メガ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