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463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463B1
KR100350463B1 KR1020000059750A KR20000059750A KR100350463B1 KR 100350463 B1 KR100350463 B1 KR 100350463B1 KR 1020000059750 A KR1020000059750 A KR 1020000059750A KR 20000059750 A KR20000059750 A KR 20000059750A KR 100350463 B1 KR100350463 B1 KR 10035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zone
base station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640A (ko
Inventor
김영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63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을 정확하게 갱신하며, 동시에 실시간으로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홈-존 영역의 갱신 장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으로, 홈-존 확인 호의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 홈-존 호와 이동통신 호를 구분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수신되는 호의 정보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정보를 소정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홈-존 확인 호 정보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여 HLR로 전달하는 상기 홈-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영역을 갱신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 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REAL TIME UP-GRADING METHOD AND SYSTEM OF HOME-ZONE DATA BA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베이스(DB:Data-Base)를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존의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으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무선 단말을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이라 함은 특정한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영역에서 행하는 통화에 대하여 과금을 달리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홈-존 서비스는 이동통신 요금의 체계를 다양화하여 더 많은 가입자들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서비스업체에서 서비스되는 종류를 다양화하기 위한 개념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홈-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가입자의 종류를 구분하면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3종류의 가입자를 살펴보면, 첫째로 일반적인 이동통신 가입자와, 둘째로 홈-존의 서비스만을 받는 가입자와, 셋째로 이동통신 및 홈-존에 동시에 등록된 가입자가 있다. 첫 번째의 경우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가입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두 번째의 경우는 홈-존 영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가입자이며, 세 번째?? 경우는 홈-존 영역에서와 홈-존이 아닌 영역에서의 서비스로 구분하여 과금되는 가입자이다.
상기한 홈-존 서비스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홈-존 영역을 명확히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초기 홈-존 데이터 베이스는 무선망 설계 툴(Tool)과, 진단 감시기(Diagnostic Monitor:DM) 및 존 데이터 베이스 변환 툴(Tool) 등을 이용하여 홈-존 관리 서버에 등록한다. 그러면 홈-존 관리 서버는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홈-존 영역으로 등록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를 근거로 하여 홈-존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초기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에 전파환경은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즉, 가입자의 집 주변에 건물의 신축 또는 변경 등으로 인해 전파환경이 변경되는 경우나 또는 기지국의 증설 및 이설 또는 소단위 기지국(Pico_BTS) 등의 증설 및 이설 등으로 인해 전파의 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파의 환경 또는 기지국의 이설 및 증설로 인해 호를 수용하는 기지국의 변경 또는 전파 도달거리의 변경 등이 있는 경우에 홈-존 영역이 기지국 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실제로 거리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전파의 도달 시간상의 거리를 말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경우 가입자 또는 서비스 업자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이설 및 증설로 인해 홈-존의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된 전파의 환경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 가입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불이익을 초래한다. 즉, 홈-존의 영역이 전파의 환경 변화에 의해 달라지는 경우 가입자는 자신의 홈-존 영역에서 정상적으로 통화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또는 잘못된 과금이 부과되게 된다. 이는 서비스 사업자 측에도 홈-존 영역이 아닌 지역에서 홈-존 영역으로 잘못 과금이 부여되는 경우에 서비스 사업자에게 손실이 돌아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홈-존 영역으로 등록된 최초의 데이터만으로 홈-존 영역이 결정되면, 주위의 환경의 변화 또는 홈-존 영역의 잘못된 설정 등으로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가입자의 손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를 전파 환경에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은, 홈-존 확인 호의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 홈-존 호와 이동통신 호를 구분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수신되는 호의 정보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정보를 소정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홈-존 확인 호 정보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여 HLR로 전달하는 상기 홈-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홈-존 관리서버로 데이터 갱신을 위한 신호 흐름 시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살시 예에 따라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시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RTD 값을 추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위치 판단을 위한 제어 흐름 도,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지국과 홈의 거리 및 기지국의 섹터로부터의 각도 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홈-존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9는 도 3의 RTD의 최소 및 최대 값을 계산을 위한 과정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들(BTS1, BTS2, BTS3)(101, 102, 103)은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가입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일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상기한 기지국들(101, 102, 103)의 내에 홈-존 영역을 가지게 된다. 이때 기지국들(101, 102, 103)은 소단위 기지국이 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기지국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기지국(BTS)이라 하여 설명한다. 각 기지국들(101, 102, 103)은 기지국 제어기(BSC)(104)와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며, 각 기지국들(101, 102, 103) 중 소단위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 모 기지국인 일반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104)와 연결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각 기지국들(101, 102, 103)이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104)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될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들(101, 102, 103)은 하기 <표 1>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순번 구분 타입 길이 형태 저장타입 설명
1 bts_id char 16 NOT NULL 기지국 ID
2 lati char 10 NOT NULL 위도
3 long char 11 NOT NULL 경도
4 angle1 smallint 2 NOT NULL α섹터의 각도
5 angle2 smallint 2 NOT NULL β섹터의 각도
6 angle3 smallint 2 NOT NULL γ섹터의 각도
7 s_delay smallfloat 4 NOT NULL α섹터의 시스템 지연
8 s_delay2 smallfloat 4 NOT NULL β섹터의 시스템 지연
9 s_delay3 smallfloat 4 NOT NULL γ섹터의 시스템 지연
10 svc_ran1 smallfloat 4 NOT NULL α섹터의 서비스 영역
11 svc_ran2 smallfloat 4 NOT NULL β섹터의 서비스 영역
12 svc_ran3 smallfloat 4 NOT NULL γ섹터의 서비스 영역
13 exp_ran smallfloat 4 NOT NULL 칩 번호의 예외 경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MSC)(105)은 다수개의 기지국 제어기(BSC)와 연결되며, HLR(106) 및 공중 교환망(PSTN) 또는 이동 통신망(108)에 연결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초기 홈-존 영역을 HLR(Home Location Register)(106)로부터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VLR(Vistor Location Register)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초기 설정 및 갱신을 수행하는 홈-존 관리 서버(107)와 연결된다. 그리고 홈-존 관리 서버(107)는 운용자 단말(109)과 연결되어 홈-존 영역을 계산하는 툴에 계산된 의해 홈-존 서비스의 초기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취합하며, 상기 취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다. 또한 홈-존 관리 서버(107)는 HLR(106)과 연결되어 초기 홈-존 데이터를 HLR(106)로 전달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새로이 갱신된 홈-존 데이터를 HLR(106)로 전달하여 갱신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을 위한 데이터가 수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홈-존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는 자신의 홈-존 영역에서 홈-존을 확인하기 위해 설정된 특정 기능키를 이용하여 송신을 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홈-존 확인을 위한 일련의 키들 예를 들어 "*65"의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상기 번호를 다이얼링 하듯이 호를 요구하여 홈-존 확인 호를 설정한다. 이를 통해 제2기지국(102)과 이동통신 단말(20)간에 통화 채널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통화채널이 설정되면 제2기지국(102)은 일정한 시간 주기(Guard Time)로 채널이 설정된 기지국의 ID와 섹터의 ID, RTD(Round Trip Delay) 등을 기지국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전달된 데이터는 다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로 전달되며,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이를 홈-존 관리 서버(107)와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 외부 통신장치(ENIP)를 통해 홈-존 관리 서버(107)로 전달한다. 그러면 홈-존 관리 서버(107)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테이블화 하고, 상기 테이블화 한 데이터를 누적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누적된 데이터를 소정 주기 예를 들어 1달의 주기마다 특정한 날짜를 정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예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매월 1일 또는 15일 또는 30일 등과 같이 특정한 날짜를 정하여 매월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상술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즉시 홈-존 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홈-존 관리서버로 데이터 갱신을 위한 신호 흐름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2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202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확인 정보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위치 확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204단계로 진행하여 홈-존 관리 서버(107)로 위치 확인 정보를 전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00단계의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또한 상기 홈-존 관리 서버(107)는 206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하고, 208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홈-존 관리 서버(107)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하나의 호에 대한 정보가 모두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위치 확인 정보는 단말기의 소유자가 이동하면서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계속적으로 다른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호에 대한 정보가 모두 수신된 이후에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이용하여 처리해야 한다. 상기 홈-존 관리 서버(107)는 21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DB)를 갱신한다. 이러한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과정은 후술되는 도 3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홈-존 관리 서버(107)는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이 완료되면 이를 다시 홈 위치 등록기(106)로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적용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홈-존 영역 갱신을 위한 매 호에 대하여 홈-존 영역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즉시 홈 위치 등록기(106)에 저장함으로서 갱신된 데이터가 즉시 적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살시 예에 따라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시의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홈-존 관리 서버(107)는 300단계에서 거리(D)와 이격거리(ΔD)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사용 가능한 RTD를 추출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4의 제어 흐름도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사용 가능한 RTD 값을 추출한 후 302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 안테나와 홈-존 영역을 통해 홈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5의 제어 흐름도와 도 6 및 도 7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홈-존 위치가 판단되면, RTD 값의 최소 값과 최대 값을 계산한다. 이는 홈-존 영역의 범위를 확정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상기한 바와 같이 RTD의 최대 및 최소 값이 결정되면 계산된 데이터로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테이블은 상기 단말에 대한 홈-존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테이블이 된다. 이와 같이 홈-존 영역이 결정되면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DB)에 적용하여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RTD 값을 추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RTD 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400단계에서 기지국과 홈의 거리(D)를 계산한다. 이러한 계산은 지도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미리 계산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베이스에 각 홈에 대한 거리의 계산을 수행하여 미리 메모리 등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의 데이터를 읽어와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거리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홈의 촤표는 (xhome, yhome)이며, 가입자의 홈 위치 Lat/Long(단위 Second)가 되며, 기지국의 좌표는 (xbts, ybts)이며, 홈-존 확인 호를 수행한 기지국의 Lat/Long 단위 Second)가 된다. 또한 상기 dlat은 특정 지역 위도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 예를 들어 시드니 지역의 경우 30.63m가 되며, dlon은 특정 지역의 경도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 예를 들어 시드니 지역의 경우 25.9m가 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상기 거리의 계산이 완료되거나 또는 독취를 완료한 경우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975 이하인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경우는 예외적인 경우로 244*4가 되는 경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예외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40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즉, 예외의 경우에는 홈-존 확인 호를 성공한 모든 섹터의 리스트를 취하고, 상기한 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정상적인 경우로 406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즉, 계산된 거리 또는 독출된 거리가 974 이상인 경우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이용하여 이격거리(ΔD)를 계산한다. 상기 이격거리(ΔD)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다.
상기 <수학식 2>에서 s_delay는 시스템 지연 시간이며, 30.5는 ~이고, svc_ran은 ~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ΔD가 계산되면 홈-존 관리서버(107)는 408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모든 RTD 값이 0인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이 RTD 값이 모두 0인 경우는 불량 프레임(Bad Framd)인 경우이므로 410단계로 진행하여 delta_RTDmin 값에 64를 더한 값으로 갱신한다. 이와 달리 수신된 모든 RTD 값이 0이 아닌 경우 즉, 모든 RTD 값이 불량 프레임이 아닌 경우 412단계로 진행하여 허용 이격거리 이내의 RTD 값만을 추출하고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루틴이 종료되면 상기 도 3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302단계의 기지국 안테나와 홈-존 영역을 통해 홈의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면 도 5를 참조하여 홈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홈 위치 판단을 위한 제어 흐름 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위치 판단 시의 제어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500단계에서 홈과 기지국간의 거리(D)를 계산하기 위한 과정을 거친다. 즉, Xh-Xb와 Yh-Yb를 계산한다. 그러면 삼각함수의 공식에 의해 홈과 기지국간의 거리(D)가 계산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지국과 홈의 거리 및 기지국의 섹터로부터의 각도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홈과 기지국간의 거리(D)는 기지국의 위치를 좌표화하고, 홈의 위치를 좌표화하면 X축 방향의 거리와 Y축 방향의 거리가 계산된다. 그러면 실제의 기지국과 홈의 거리(D)는 상기한 두 거리의 빗변에 해당하므로 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가 계산되면 홈-존 관리서버(107)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홈과 기지국의 특정 섹터를 기준으로 한 각도(θ)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아크 탄젠트(arctan)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도의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홈-존 섹터를 결정한다. 상기 홈-존 섹터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홈-존 섹터를 결정한 이후 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된 홈-존 섹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류 섹터 리스트를 삭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통해 홈-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을 참조하여 홈-존 섹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홈-존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600단계에서 상기 도 5에서 계산된 각도가 안테나 각도와 동일한 각도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안테나와 동일한 각도에 위치한 경우 6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리스트에 관리된 모든 홈-존 리스트를 취한다. 그러나 상기 각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6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신호가 수신된 각도가 α각도보다 크고, β각도보다 작은 영역에 위치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각도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6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6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606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해당하지 않는 안테나인 γ 안테나에 포함된 리스트들을 삭제한다.
이와 달리 상기 604단계에서 60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홈-존 위치 확인 호가 수신된 영역의 안테나 각도고 β각도와 γ각도의 사이에 위치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상기 검사결과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61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하지 않는 각도의 안테나인 α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리스트들을 삭제한다. 반면에 상기 600단계에서 특정한 안테나와 일치하지 않고, 604단계 608단계에서 검사된 2가지 안테나 각도의 사이가 아닌 경우 즉, 상기 홈-존 확인 호가 수신된 데이터가 γ섹터의 안테나 또는 α섹터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경우 해당하지 않는 안테나는 β섹터가 된다. 따라서 상기 β섹터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홈-존 확인 호를 리스트로부터 삭제한다.
도 9는 상기 도 3의 RTD의 최소 및 최대 값을 계산을 위한 과정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RTD 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700단계에서 남은 리스트의 RTD 값으로 합을 계산한다. 이때 남은 RTD는 상기 도 4 내지 도 8의 과정을 통해 삭제된 후 실제 홈-존 영역으로 검사되어 남은 데이터가 된다. 상기 RTD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RTD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달하는 데이터로 기지국에서 송신한 시각부터 다시 수신되는 시각까지를 계산한다. 즉, 기지국에서 단말로 RTD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은 RTD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인지하여 다시 기지국으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에서는 상기 RTD 메시지를 송신한 시각부터 수신한 시각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반적으로 홈-존과 거리는 계산이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홈-존 영역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시간의 값을 1/2로 나눈 후에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까지의 송달 시간이 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되는 시간 값과 이동 단말에서 처리되는 지연시간은 미리 뺀 값을 상기 RTD 송달시간으로 계산한다. 이와 같이 송달 값이 계산되면, 상기 데이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 및 홈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계산할 수 있다.
그러면 다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상기 남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합을 계산한 후 702단계로 진행하여 합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704단계로 진행하여 편차(σ)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값들을 이용하여 706단계 내지 708단계에서 최소 RTD(rtd_min)와 최대 RTD(rtd_max)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계산이 이루어진 후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710단계로 진행하여 최대 RTD 값과 상기 최소 RTD 값의 차가 120보다 큰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두 값의 차가 120보다 큰 경우 7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7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71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계산된 값으로 홈-존 영역을 처리한다.
이와 달리 상기 홈-존 관리서버(107)는 712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최대 RTD 값을 최소 RTD 값에 120이 더해진 값으로 결정하여 최대 RTD 값을 갱신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홈-존 관리 서버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위치를 적용하여 즉시 적용함으로 홈-존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홈-존 확인 호의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 홈-존 호와 이동통신 호를 구분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수신되는 호의 정보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정보를 소정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홈-존 확인 호 정보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여 HLR로 전달하는 상기 홈-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홈-존 확인 호 신호 수신시 홈-존 확인 호 정보 및 섹터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함께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며 상기 홈-존 확인 호가 설정되면 소정 시간 단위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변화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지국 제어기 정보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3.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 정보 수신시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 정보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정보를 소정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홈-존 확인 호 정보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여 HLR로 전달하는 상기 홈-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할 경우 섹터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함께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지국 제어기 정보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5. 홈-존 관리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홈-존 관리 서버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거리와,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RTD 값을 추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홈-존 영역과 기지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을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RTD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계산하는 제3과정과,
    상기 계산된 데이터들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검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갱신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존재하는 홈-존 데이터 베이스에 적용하여 갱신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실시간 갱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과정의 거리의 계산이 하기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실시간 갱신 방법.
    상기 <수학식 4>에서 홈의 촤표는 (xhome, yhome)이며, 가입자의 홈 위치 Lat/Long(단위 Second)가 되며, 기지국의 좌표는 (xbts, ybts)이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1과정의 이격거리의 계산이 하기 <수학식 5>를 통해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실시간 갱신 방법.
    상기 <수학식 5>에서 s_delay는 시스템 지연 시간이고, svc_ran은 서비스 영역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이격거리가 허용된 이격거리 이내의 RTD 값만을 추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실시간 갱신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
    기지국과 홈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홈과 기지국간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값을 이용하여 홈-존 섹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홈-존 섹터 이외의 데이터들은 오류 섹터 리스트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실시간 갱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존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와 홈의 위치가 일치하는 영역에 홈이 존재하는 경우 모든 홈-존 리스트를 취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의 안테나와 홈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홈-존이 위치할 수 없는 영역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리스트를 제거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실시간 갱신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제3과정에서 계산된 RTD 값의 최대 값과 최소 값의 차가 소정의 데이터 보다 큰 경우 상기 최대 RTD 값을 최소 값의 데이터에 상기 소정의 값을 합산한 값을 RTD의 최대 값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실시간 갱신 방법.
KR1020000059750A 2000-10-11 2000-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35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750A KR100350463B1 (ko) 2000-10-11 2000-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750A KR100350463B1 (ko) 2000-10-11 2000-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640A KR20020028640A (ko) 2002-04-17
KR100350463B1 true KR100350463B1 (ko) 2002-08-28

Family

ID=1969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750A KR100350463B1 (ko) 2000-10-11 2000-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39B1 (ko) * 2002-10-01 2005-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지능망 서비스에서의 가입자 데이터 불일치개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318A (en) * 1996-07-31 1999-11-16 Ericsson Inc. Call conference within a home zone
WO2000013449A1 (en) * 1998-09-01 2000-03-0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Home zone extension phone service
WO2000047009A1 (en) * 1999-02-01 2000-08-10 Nokia Networks Oy A method of defining a home zone of a cellular radio system
KR20000051745A (ko) * 1999-01-26 2000-08-1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318A (en) * 1996-07-31 1999-11-16 Ericsson Inc. Call conference within a home zone
WO2000013449A1 (en) * 1998-09-01 2000-03-0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Home zone extension phone service
KR20000051745A (ko) * 1999-01-26 2000-08-1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를 위한 핸드오프 제어방법
WO2000047009A1 (en) * 1999-02-01 2000-08-10 Nokia Networks Oy A method of defining a home zone of a cellular radio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39B1 (ko) * 2002-10-01 2005-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지능망 서비스에서의 가입자 데이터 불일치개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640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78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sition data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5953667A (en) Location updating in a cellular radio network
US6119012A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nd periodically updating mobile station location data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2311889C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positioning
JP2784268B2 (ja) セルラ移動体電話システムの呼信号フレームを再構築する方法
EP1058466A2 (en) Reducing calling costs for wireless phones using multiple mobile indentification numbers
US6738629B1 (en) Method for flood paging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20030057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1176964B1 (ko) 연속 포지셔닝 과정에서 포지셔닝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3504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350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CN100544521C (zh) 基于移动交换中心地址的定位方法
US7120451B2 (en) Method for optimizing home location register quer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84288B1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01332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등록 갱신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030036383A1 (en) Support for massive subscriber profile chang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119013A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eparate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KR1006178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JP2000270360A (ja) 課金情報通知装置、方法、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365336B1 (ko)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WO2002096140A1 (en) Subscribers database proofing using a checksum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6533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갱신 방법
WO2002003336A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billing-system verification
JP3443015B2 (ja) 電話番号情報記録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744287B1 (ko) 씨디엠에이시스템에서 일반 콜을 이용한 홈 존 리스트 업데이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