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336B1 -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336B1
KR100365336B1 KR1020000037525A KR20000037525A KR100365336B1 KR 100365336 B1 KR100365336 B1 KR 100365336B1 KR 1020000037525 A KR1020000037525 A KR 1020000037525A KR 20000037525 A KR20000037525 A KR 20000037525A KR 100365336 B1 KR100365336 B1 KR 100365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725A (ko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3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33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한 지역(홈-존)에 대해 과금을 달리하기 위한 영역의 갱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소정의 주기로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홈-존 관리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과, 소정 주기로 상기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과정은 :
상기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의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된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가 둘 이상인 경우 최대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RTD(Round Trip Delay)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으로 5칩(chip)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검사결과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가 1개인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큰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작은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을 비교하여 제4단계의 합이 큰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카운트 값이 큰 쪽으로 5칩(chip) 카운트 값이 작은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과 가까운 쪽을 모두 4.5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홈-존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 위한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PGRADING DATA-BASE OF HOME-ZONE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DB:Data-Base)를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존의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으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무선 단말을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이라 함은 특정한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영역에서 행하는 통화에 대하여 과금을 달리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홈-존 서비스는 이동통신 요금의 체계를 다양화하여 더 많은 가입자들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서비스업체에서 서비스되는 종류를 다양화하기 위한 개념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홈-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가입자의 종류를 구분하면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3종류의 가입자를 살펴보면, 첫째로 일반적인 이동통신 가입자와, 둘째로 홈-존의 서비스만을 받는 가입자와, 셋째로 이동통신 및 홈-존에 동시에 등록된 가입자가 있다. 첫 번째의 경우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가입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두 번째의 경우는 홈-존 영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가입자이며, 세 번째 경우는 홈-존 영역에서와 홈-존이 아닌 영역에서의 서비스로 구분하여 과금되는 가입자이다.
또한 상기한 홈-존 서비스는 서비스를 받는 지역을 기준으로 2가지의 형태가있다. 첫 번째는 섹터에 근거한(Sector-Based) 홈-존 서비스이고, 두 번째는 서브 섹터에 근거한(Sub-sector-Based) 홈-존 서비스이다. 이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섹터에 근거하여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섹터별 홈-존 서비스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서브 섹터에 근거하여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 섹터의 홈-존 서비스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섹터형인 경우 대체로 3개의 섹터를 가진다. 그러므로 가장 기본적으로 섹터를 기준으로 해서 해당 섹터 내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홈-존 영역으로 구분하게 된다. 즉, 홈-존의 영역이 기지국(10)의 안테나를 기준으로 상기 3으로 구분된 α섹터 영역 또는 β섹터 영역 또는 γ섹터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홈-존 영역으로 구분된 섹터에서 호를 시도하면 이를 홈-존 모두 홈-존 영역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 실제로 가입자의 홈-존이 섹터와 섹터간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정할 경우 매우 넓은 지역이 홈-존 영역으로 구성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서브 섹터의 홈-존 영역이 필요하게 되었다.
서브 섹터의 홈-존 영역은 홈으로부터 거리를 100m로 하고, 홈의 위치로부터 1.1Km의 영역 내를 홈-존 영역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서로 다른 두 섹터에 홈-존의 영역이 분포하는 경우에도 이를 적절히 수용할 수 있다. 상기한 홈-존 서비스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홈-존 영역을 명확히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초기 홈-존 데이터 베이스는 무선망 설계 툴(Tool)과, 진단감시기(Diagnostic Monitor:DM) 및 존 데이터 베이스 변환 툴(Tool) 등을 이용하여 홈-존 관리 서버에 등록한다. 그러면 홈-존 관리 서버는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홈-존 영역으로 등록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를 근거로 하여 홈-존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초기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에 전파환경은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즉, 가입자의 집 주변에 건물의 신축 또는 변경 등으로 인해 전파환경이 변경되는 경우나 또는 기지국의 증설 및 이설 또는 소단위 기지국(Pico_BTS) 등의 증설 및 이설 등으로 인해 전파의 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파의 환경 또는 기지국의 이설 및 증설로 인해 호를 수용하는 기지국의 변경 또는 전파 도달거리의 변경 등이 있는 경우에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존 영역이 기지국 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경우 가입자 또는 서비스 업자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이설 및 증설로 인해 홈-존의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된 전파의 환경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 가입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불이익을 초래한다. 즉, 홈-존의 영역이 전파의 환경 변화에 의해 달라지는 경우 가입자는 자신의 홈-존 영역에서 정상적으로 통화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또는 잘못된 과금이 부과되게 된다. 이는 서비스 사업자 측에도 홈-존 영역이 아닌 지역에서 홈-존 영역으로 잘못 과금이 부여되는 경우에 서비스 사업자에게 손실이 돌아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홈-존 영역으로 등록된 최초의 데이터만으로 홈-존 영역이 결정되면, 주위의 환경의 변화 또는 홈-존 영역의 잘못된 설정 등으로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가입자의 손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들에게 전파환경에 적응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홈-존 확인 호 신호 수신시 홈-존 확인 호 정보 및 섹터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함께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며 상기 홈-존 확인 호가 설정되면 소정 시간 단위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변화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지국 제어기 정보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홈-존 확인 호의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 홈-존 호와 이동통신 호를 구분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수신되는 호의 정보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정보를 소정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홈-존 확인 호 정보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여 HLR로 전달하는 상기 홈-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홈-존 확인 호 뿐만 아니라 발신, 착신 및 위치 등록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존 관리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과, 소정 주기로 상기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과정은 :
상기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의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된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가 둘 이상인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RTD(Round Trip Delay)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으로 5칩(chip)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검사결과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가 1개인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큰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작은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을 비교하여 제4단계의 합이 큰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카운트 값이 큰 쪽으로 5칩(chip) 카운트 값이 작은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과 가까운 쪽을 모두 4.5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정 또한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섹터에 근거하여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섹터별 홈-존 서비스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서브 섹터에 근거하여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 섹터의 홈-존 서비스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확인 호의 채널 설정 및 홈-존 확인 호의 정보 수집 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존 관리 서버에서 데이터의 수신 시 저장과정과 누적 과정 및 홈-존 데이터의 갱신에 따른 과정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을 갱신할 경우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들(BTS1, BTS2, BTS3)(101, 102, 103)은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가입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일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상기한 기지국들(101, 102, 103)의 내에 홈-존 영역을 가지게 된다. 이때 기지국들(101, 102, 103)은 소단위 기지국이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기지국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기지국(BTS)이라 하여 설명한다. 각 기지국들(101, 102, 103)은 기지국 제어기(BSC)(104)와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며, 각 기지국들(101, 102, 103) 중 소단위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 모 기지국인 일반 기지국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104)와 연결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각 기지국들(101, 102, 103)이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104)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다른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MSC)(105)은 다수개의 기지국 제어기(BSC)와 연결되며, HLR(106) 및 공중 교환망(PSTN) 또는 이동 통신망(108)에 연결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초기 홈-존 영역을 HLR(Home Location Register)(106)로부터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VLR(Vistor Location Register)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의 초기 설정 및 갱신을 수행하는 홈-존 관리 서버(107)와 연결된다. 그리고 홈-존 관리 서버(107)는 운용자 단말(109)과 연결되어 홈-존 영역을 계산하는 툴에 계산된 의해 홈-존 서비스의 초기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취합하며, 상기 취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다. 또한 홈-존 관리 서버(107)는 HLR(106)과 연결되어 초기 홈-존 데이터를 HLR(106)로 전달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새로이 갱신된 홈-존 데이터를 HLR(106)로 전달하여 갱신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홈-존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을 위한 데이터가 수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홈-존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는 자신의 홈-존 영역에서 홈-존을 확인하기 위해 설정된 특정 기능 키를 이용하여 송신을 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홈-존 확인을 위한 일련의 키들 예를 들어 "*65"의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상기 번호를 다이얼링 하듯이 호를 요구하여 홈-존 확인 호를 설정한다. 이를 통해 제2기지국(102)과 이동통신 단말(20)간에 통화 채널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통화채널이 설정되면 제2기지국(102)은 일정한 시간 주기(Guard Time)로 채널이 설정된 기지국의 ID와 섹터의 ID, RTD(Round Trip Delay) 등을 기지국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전달된 데이터는 다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 전달되며,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는 이를 홈-존 관리 서버(107)와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 외부 통신장치(ENIP)를 통해 홈-존 관리 서버(107)로 전달한다. 그러면 홈-존 관리 서버(107)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테이블화 하고, 상기 테이블화한 데이터를 누적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누적된 데이터를 소정 주기 예를 들어 1달의 주기마다 특정한 날짜를 정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예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매월 1일 또는 15 또는 30일 등과 같이 특정한 날자를 정하여 매월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확인 호의 채널 설정 및 홈-존 확인 호의 정보 수집 시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의 설정과정 및 홈-존 확인 호의 정보 수집 시의 신호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홈-존 확인 호를 위해 미리 설정된 번호 또는 기능 키를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20)은 200단계에서 제2기지국(102)으로 활성화 채널(ACH)을 이용하여 개시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2기지국(102)은 202단계에서 개시 신호를 송신한 단말기의 번호 및 송신한 번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Msg_Mob_orig_Bc)를 기지국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기지국 제어기(104)는 상기한 신호를 수신하면 204단계에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 상기 제2기지국(102)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구 신호(Comp1_l3_Info(CM_Service_request))를 전달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206단계에서 접속 확인 신호(SCCP Connection confirmed)를 기지국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104)는 208단계에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 셋업 신호(SetUp)를 송신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210단계에서 호의 진행 신호(Call Proceeding)를 송신하고, 212단계로 진행하여 내부에 구비된 VLR로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한다. 상술한 과정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호를 수행할 경우와 동일한 과정이다.
그러면 홈-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에 따라 달리지는 부분을 중점으로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의 내부에 구비된 VLR은 214단계에서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로 전달한다. 이때 홈-존 가입자인 경우 HLR(106)로부터 수신한 홈-존 서비스 영역에 대한 정보(Sector List, CLS)를 함께 전달하게 된다.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216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 제어기(104)로 홈-존 서비스의 영역 정보(Sector List, CLS)와 함께 할당요구 신호(AssignmentRequest)를 송신한다. 그러면 기지국 제어기(104)는 상기 수신된 홈-존 서비스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이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20)가 홈-존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사하여 상태를 결정한다. 기지국 제어기(104)는 상기 결정된 데이터에 따라 218단계에서 홈-존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Flash with Information)를 제2기지국(102)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2기지국(102)은 220단계에서 상기한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Flash with Information)를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104)는 222단계에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 채널의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할당 완료 메시지(Assignment Complete)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홈-존 영역의 확인을 위한 특정한 호의 발호가 있으면,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7)은 224단계에서 상기한 호의 정보 및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의 섹터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하여 이를 호 종류에 따른 정보와 함께 홈-존 관리 서버(107)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7)은 226단계에서 호의 연결을 확인하는 확인 톤(Confirm Tone)을 송신한다. 그러면 기지국 제어기(104)는 제2기지국(102)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20)로 확인 톤을 송신한다. 기지국 제어기(104)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Guard Time) 단위로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 변화 정보 예를 들어 홈-존 정보와 활성화되어 있는 셀의 리스트와 같은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교환시스템(105)은 232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를 호 타입의 정보로 변환하여 홈-존 관리 서버(107)로 전달한다. 이때 전달되는 홈-타입 정보는 발신, 착신, Reg, Ordered Reg 및 홈-존 확인을 위해 발신한 특정한 키 정보(*65)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상기 230단계 및 232단계의 과정은 상술한 설정 시간단위로 수행되며, 동시에 1회의 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된다. 이와 같은 횟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8회 정도의 횟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의 흐름도는 홈-존 확인 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홈-존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또는 위치 등록 등의 과정에서도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수행된 호에 대하여도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은 정보를 수집하여 홈-존 관리 서버(107)로 전달한다. 따라서 홈-존 관리 서버(107)는 상기한 정보를 서로 다른 테이블에 구분하여 저장하며,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에 따른 정보는 제1호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홈-존 확인 호의 정보에 대하여는 제2호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홈-존 관리 서버에서 데이터의 수신 시 저장과정과 누적 과정 및 홈-존 데이터의 갱신에 따른 과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홈-존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수신, 수신된 데이터의 누적 및 홈-존 데이터의 갱신에 따른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300단계에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로부터 데이터의 수신 또는 데이터 갱신을 위한 주기가 도래하는가를 검사하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302단계로 진행하면 홈-존 관리 서버(107)는 데이터의 갱신 주기인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갱신 주기는 서비스의 사업자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나, 대체로 매월 1회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302단계의 검사결과 갱신 주기가 도래한 경우 즉, 갱신을 위한 플래그가 1로 셋되어 있는 경우 3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4단계로 진행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302단계에서 304단계로 진행하면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5)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306단계로 진행하고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312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먼저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07)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306단계에서 홈-존 확인호 에 따른 데이터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홈-존 확인 호에 따른 데이터인 경우 31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8단계로 진행한다. 홈-존 확인 호가 아닌 경우 즉,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의 경우 홈-존 관리 서버(107)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제1호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홈-존 확인 호의 경우 홈-존 관리 서버(107)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제2호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제2호 정보 테이블을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순서 NSN NID BTS_ID SECTOR_ID RTD
1 *694567 0 123 2 42
2 1234567 0 123 2 41
3 1234567 0 123 2 41
4 1234567 0 123 2 40
5 1234567 0 123 2 42
6 1234567 0 123 2 45
7 1234567 0 123 2 42
8 1234567 0 123 2 45
9 1234567 0 123 2 42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을 "제2호 정보 테이블"이라 칭한다.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에서 순번은 상기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부가한 번호이며, 상기한 번호의 순서로 홈-존 확인을 위한 검사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에서 NSN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코드가 되며, NID는 네트워크의 식별을 위한 ID가 된다. 보통 NID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 단위 또는 소정의 그룹 단위의 기지국 제어기들로 또는 기지국 제어기마다 설정되는 번호가 된다. 그리고 BTS_ID는 기지국의 식별을 위한 ID가 되며, SECTOR_ID는 기지국이 섹터형인 경우 섹터를 구분하기 위한 ID가 된다. RTD는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 신호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한 신호로 상기 신호를 송신한 후 다시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을 제2호 정보 테이블이라 칭하였으나, 제1호 정보 테이블도 상기 <표 1>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는 호 정보 중 다른 내용은 도시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상기 304단계에서 312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홈-존 관리 서버(107)는 데이터의 누적 주기가 도래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누적 주기란, 상기 제1호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과 같은 호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누적 테이블에 이를 상기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매 호 정보 테이블의 수신이 완료될 때마다 또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상기 312단계의 검사결과 데이터의 누적 주기로 검사되는 경우 3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0단계로 진행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31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1호 정보 테이블 또는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각각 제1호 정보 누적 테이블과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누적하면 하기 <표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순서 NSN NID BTS_ID SECTOR_ID RTD COUNT
1 1234567 0 123 2 42 4
2 1234567 0 123 2 41 2
3 1234567 0 123 2 40 1
4 1234567 0 123 2 45 2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은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누적한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표 2>에서 COUNT는 동일한 값의 카운트 값이 된다. 그런데 홈-존 관리 서버(107)는 홈-존 데이터를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게 되므로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여러 횟수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호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계속하여 누적할 필요가 있다. 즉, 제2호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계속하여 소정의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누적한 테이블을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이 되며, 제1호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계속하여 소정의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누적한 테이블을 제1호 정보 누적 테이블이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이 누적된 값을 가지는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을 도시하면 하기 <표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순서 NSN NID BTS_ID SECTOR_ID RTD COUNT
1 1234567 0 123 2 42 12
2 1234567 0 123 2 41 10
3 1234567 0 123 2 40 7
4 1234567 0 123 2 45 3
5 1234567 0 123 2 47 2
6 1234567 0 123 2 43 10
7 1234567 0 123 2 38 1
8 1234567 0 123 2 49 1
상기 <표 3>은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1호 정보 누적 테이블도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에서 호에 관련된 다른 내용은 도시하지 않았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316단계에서 상기 <표 2>의 데이터를 상기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한 후 300단계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홈-존 관리 서버(107)는 302단계에서 31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표 3>과 같은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 또는 제1호 정보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다. 그리고 홈-존 관리 서버(107)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HLR(106)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을 갱신할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을 위한 316단계로 진행하면 도 6의 루틴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을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가 갱신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400단계에서 상기 <표 3>과 같은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을 읽어와서 상기 각 순번에 해당하는 필드에서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를 검사한다. 그리고 홈-존 관리 서버(107)는 402단계로 진행하면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가 2 이상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가 2 이상인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08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최대 카운트 값이 2 이상인 경우를 설명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40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RTD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상기 <표 3>에서 순번 3번째에 저장되어 있는 RTD 값이 40인 카운트 값이 12로 가정하고, 다른 값들은 상기 <표 3>에 저장된 값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가 2개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의 RTD는 42와 40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두 값을 평균을 구하면 RTD의 평균값은 41이 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이와 같이 평균값을 계산한 후 406단계로 진행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406단계에서 상기한 RTD 값의 데이터에서 기지국의 반대 방향으로 5칩(chip)의 거리와 기지국의 방향으로 4칩(chip)의 거리까지를 홈-존 영역으로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 후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루틴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홈-존 영역을 갱신하는 것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실제의 홈-존 영역이 상기 도 2의 1.1Km 이내의 거리로 설정한 경우 전파의 환경 및 주변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A 방향(기지국의 반대방향)으로 0.5칩 또는 B 방향(기지국 방향)으로 0.5 칩 정도 벋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지국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주위 환경의 변화 등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약 0.5칩 정도의 거리 변경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제어 흐름도를 통해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402단계에서 40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408단계로 진행하면,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의 RTD보다 큰 RTD를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한다. 그리고 상기 408단계에서 합산된 값을 S1이라 한다. 그리고 홈-존 관리 서버(107)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의 RTD 보다 작은 RTD를 가지는 필드의 카운트 값을 합산한다. 그리고 상기 410단계에서 합산된 값을 S2라 한다. 그런 후 412단계 내지 416단계에서 상기 두 합산 값들 S1과 S2의 크기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S1의 값이 S2의 값보다 큰 경우 414단계로 진행하고, S2의 값이 S1의 값보다 큰 경우 418단계로 진행하며 두 값이 서로 같은 경우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홈-존 관리 서버(107)는 상기 최대 값을 가지는 RTD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으로 5칩 거리를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4칩의 거리를 홈-존 영역으로 갱신한 후 상기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41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에 홈-존 관리 서버(107)는 상기 최대 RTD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5칩의 거리를 그리고 기지국 측으로부터 먼 쪽의 거리를 4칩의 거리를 홈-존 영역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 후 상기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상기 계산한 S1의 값과 S2의 값이 동일한 값일 경우에는 420단계로 진행한다. 홈-존 관리 서버(107)는 402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된 RTD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 방향으로 4.5칩과 기지국 반대 방향으로 4.5칩의 거리를 홈-존 영역으로 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 후 상기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이와 같이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2호 정보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누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계속적으로 상기한 데이터를 누적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비와 같이 기지국에서 RTD 값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홈의 위치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홈의 위치로부터 홈-존 영역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홈-존 확인 호의 연결이 요구되는 경우 홈-존 호와 이동통신 호를 구분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며, 수신되는 호의 정보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정보를 소정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홈-존 확인 호 정보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여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로 전달하는 상기 홈-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홈-존 확인 호 신호 수신시 홈-존 확인 호 정보 및 섹터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함께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며 상기 홈-존 확인 호가 설정되면 소정 시간 단위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변화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지국 제어기 정보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3.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 정보 수신시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 정보를 홈-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정보를 소정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홈-존 확인 호 정보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여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로 전달하는 상기 홈-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상기 가입자 정보 및 홈-존 정보를 전달하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할 경우 섹터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함께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지국 제어기 정보를 부가하여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을 위한 시스템.
  5. 홈-존 관리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홈-존 확인 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과,
    소정 주기로 상기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소정 주기가 매월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이,
    상기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의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된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가 둘 이상인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RTD(Round Trip Delay)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으로 5칩(chip)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검사결과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가 1개인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큰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작은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을 비교하여 제4단계의 합이 큰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카운트 값이 큰 쪽으로 5칩(chip) 카운트 값이 작은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과 가까운 쪽을 모두 4.5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하는 제7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11. 홈-존 관리 서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발신 및 위치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제1호 정보 누적 테이블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과,
    소정 주기로 상기 홈-존 확인 호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과정과,
    상기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소정 주기가 매월 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갱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누적 테이블의 데이터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이,
    상기 제1호 정보 누적 테이블의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된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가 둘 이상인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RTD(Round Trip Delay)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으로 5칩(chip)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검사결과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가 1개인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큰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4단계와,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의 필드보다 작은 RTD 값을 가지는 필드들의 카운트 값을 합산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을 비교하여 제4단계의 합이 큰 경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카운트 값이 큰 쪽으로 5칩(chip) 카운트 값이 작은 쪽으로 4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홈-존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합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최대 카운트 값을 가지는 RTD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먼 쪽과 가까운 쪽을 모두 4.5칩(chip)의 영역을 홈-존 영역으로 하는 제7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KR1020000037525A 2000-07-01 2000-07-01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KR10036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525A KR100365336B1 (ko) 2000-07-01 2000-07-01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525A KR100365336B1 (ko) 2000-07-01 2000-07-01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725A KR20020003725A (ko) 2002-01-15
KR100365336B1 true KR100365336B1 (ko) 2002-12-18

Family

ID=1967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525A KR100365336B1 (ko) 2000-07-01 2000-07-01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91B1 (ko) * 2008-10-08 2011-0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감지기의 보호 커버용 작업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153A (en) * 1995-05-30 1996-10-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dividually defined personal home area for subscriber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1999012226A2 (en) * 1997-09-01 1999-03-11 Nokia Networks Oy A system of controlling subscriber data in a cellular telephone system
KR20010047419A (ko) * 1999-11-19 2001-06-15 윤종용 홈존 리스트 갱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153A (en) * 1995-05-30 1996-10-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dividually defined personal home area for subscriber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1996039000A1 (en) * 1995-05-30 1996-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dividually defined personal home area for subscriber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1999012226A2 (en) * 1997-09-01 1999-03-11 Nokia Networks Oy A system of controlling subscriber data in a cellular telephone system
KR20010047419A (ko) * 1999-11-19 2001-06-15 윤종용 홈존 리스트 갱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725A (ko) 200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0748B1 (en) A method for improving charging criteria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US5845211A (en) Wireless digital network
US6115600A (en) Method for improving charging criteria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CN101115266B (zh) 一种拨测方法,装置及其系统
EP1014673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ge information
EP2008475B1 (en) A method, apparatus or software for managing a call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365336B1 (ko)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및 갱신을위한 시스템
CN101529879B (zh) 使用公共陆地移动网络的专用移动网络综合服务系统及其呼叫处理方法
KR100932248B1 (ko) 인바운드 로밍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로밍 부가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6672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0844799A2 (en) Integration of manual registration and personal base station registration
KR100924111B1 (ko) 아웃바운드 해외 로밍 서비스에서의 음성호 과금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78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US201201423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Group Intelligence Service of Mobile Access Hunting
KR100350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 갱신 방법
KR10036533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영역의 데이터 베이스갱신 방법
CN101635906A (zh) 灵活振铃群组智能业务的触发方法与装置
KR100744780B1 (ko) 이동통신망에서 지역기반 가상 사설망 서비스의 묵음방지안내 방송 방법
CN100428861C (zh) Mah群触发智能业务的方法及系统
KR1003504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데이터 베이스의 실시간갱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0477830C (zh) 在“移动终端的源自pstn/isdn”呼叫中使用的传输业务中的反向信令的方法
KR100744287B1 (ko) 씨디엠에이시스템에서 일반 콜을 이용한 홈 존 리스트 업데이트방법
KR100706987B1 (ko) 이동통신망의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번호이동성에 따라발생하는 트래픽을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23872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금지 처리방법
KR100220342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