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849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849B1
KR100617849B1 KR1019990045404A KR19990045404A KR100617849B1 KR 100617849 B1 KR100617849 B1 KR 100617849B1 KR 1019990045404 A KR1019990045404 A KR 1019990045404A KR 19990045404 A KR19990045404 A KR 19990045404A KR 100617849 B1 KR100617849 B1 KR 10061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call
zone area
home zo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735A (ko
Inventor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849B1/ko
Priority to AU66612/00A priority patent/AU746292B2/en
Publication of KR2001003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홈 존 내에 위치된 이동 단말의 호 요구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와, 홈 위치 등록기에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해 상기 갱신된 홈 존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홈-존 서비스, 호 기록 정보, RTD.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METHOD FOR HOME-ZONE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존 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별 홈-존 영역 갱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홈-존 세부 영역이 이동국별로 관리되는 홈-존 영역 리스트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국별 홈-존 영역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더 많은 가입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시간별, 위치별로 과금체계를 달리하는 등의 여러 가지 서비스를 개발중에 있다. 그리 고 최근에는 홈-존(Home-Zone)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홈-존 서비스는 각 가입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특정 주소등(예:집, 근무처등)을 지정하면, 그 주소를 중심으로 해당 거리 안(이하 상기 각 가입자들이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한 해당 거리 안의 영역을 "홈-존 영역"이라 한다.)의 통화에 대해서는 통화요금을 싸게 과금(예:유선통화요금)하는 것이다.
한편,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가입자별로 해당 홈-존 영역이 할당 되어야 한다. 또한 소정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에 가입할 당시에 할당되는 해당 홈-존 영역에 대한 정보는 초기 이동통신 네트웍을 설계하는 시점의 셀 플래닝(Cell Planning) 과정에서 생성되는 위도, 경도, 기지국 구분 정보 및 RTD(Round Trip Delay) 정보등에 의해 결정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RTD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된 전파가 이동국에게 도착한 뒤 다시 상기 기지국으로 되돌아 가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 이동국 까지의 거리 개념이 된다. 또한 셀 플래닝 과정에서 생성되는 상기 정보들은 이동통신 서비스가 행해지는 지역을 바둑판 모양으로 나누었을 때, 각 바둑판 별로 지정되는 위도, 경도, 기지국 구분정보, 섹터 구분정보, RTD 최소값, RTD 최대값 정보들(이하 "존(Zone) 데이터"라 한다.)이 될 수가 있다.
그런데 존 데이터등과 같이 셀 플래닝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은 시뮬레이션(Simulation) 결과에 의해 산출되는 것들이므로 그 정확도가 높지가 않다. 또한 이동무선환경의 특성상 가입자들의 실제 통화 위치가 예측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정보들에 의해 각 가입자별 홈-존 영역이 설정되고 각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경우, 가입자들로부터 불평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특정 가입자가 자신이 지정한 사무소 또는 집등 주위에서 통화를 하였을 때 상기 가입자는 그 통화에 대하여 유선통화요금이 과금될 것이라고 예상을 할 수가 있는데, 실제로는 무선통화요금이 과금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가입자들이 동일한 홈-존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에도 해당 가입자들이 실제로 통화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셀 플래닝 과정에서 생성된 홈-존 영역에 대한 정보들이 상기 해당 가입자들에게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각 가입자별로 지정된 홈-존 영역에 대한 정보는 가입자가 실제로 통화하는 위치에 따라서 갱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과금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통화 뿐만 아니라 '*, 6, 9'등의 특정한 다이얼을 이용하는 특별 통화를 통해서도 각 이동국별 홈-존 영역에 대한 정보가 갱신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 여기서 상기 특별 통화 서비스는 통화 요금 지급이 없이도, 가입자가 직접 자신의 홈-존 영역을 정확하게 갱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 통화요금의 통화 서비스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각 가입자가 실제로 통화하는 위치에 따라 이동국별 홈-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홈-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홈-존 영역에서 발생하는 호 정보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별 통화를 이용하여 자신이 실제 통화하는 위치에 따라 홈-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홈-존 영역 밖에 위치하는 이동국에서 발생된 호 정보를 이용하여 홈-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홈 존 내에 위치된 이동 단말의 호 요구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와, 홈 위치 등록기에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해 상기 갱신된 홈 존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 이동국별로 지정된 홈-존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가입자가 실제로 통화하는 위치에 따라서 갱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과금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통화나 위치등록 등과 같은 인증절차의 경우 뿐만 아니라 특정한 다이얼을 이용하는 특별 통화(이하 '홈-존 영역 갱신 요 구 호'라 한다.)를 통해서도 각 가입자별 홈-존 영역이 갱신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를 통한 각 이동국별 홈-존 영역 갱신의 필요성은 이하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존 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크게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나뉘어 질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이동국들간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전송시스템(120)(Base Transmission System:이하 BTS라 한다.)과 복수개의 기지국전송 시스템을 제어하며 호처리와 관련된 호 이동성 제어(Call 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130)(Base Sation Controller:이하 BSC라 한다.)로 구분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80)(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등과 같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와 데이터와 제어신호의 송/수신경로를 담당하는 이동교환기(140)(Mobile Switching Center)가 포함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VLR(160)(Visitor Location Register)은 이동 교환기(140)와 1:1로 대응하여 구비되는 레지스터로서, 이동무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등록하여 저장한다. 또한 VLR(160)은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 내에 실장되는 프로세서로써 구성될 수가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VLR(160)이 가입자 번호등에 대한 검색 동작이나 HLR(170)(Home Location Register)로 해당 이동국에 대한 위치등록 요구등과 같은 문의 동작의 주체가 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대한 일반적인 인증 절차의 일 예를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이동국(110)이 위치를 등록하거나 또는 호의 착/발신등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 교환기(140)는 BTS(120) 및 BSC(130)를 통하여 이동국(110)의 NSN(National Switching Number)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등과 같은 이동국 구분정보와, NID(Network Identification), BTS ID, Sector ID등과 같은 발신 기지국 구분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한 정보들을 검색키로 하여 VLR(160)에 현재 등록된 가입자 번호등과 같은 해당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검색 결과 이동국(110)이 VLR(160)에 현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한 이동국(110)의 인증이 확립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이동 교환기(140)는 해당 NSN등을 임시로 VLR(160)에 저장한 후, HLR(170)로 이동국(110)에 대한 문의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이동 교환기(140)는 이동국(11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 것과 동일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HLR(170)은 이동 교환기(140)로부터 이동국(110)에 대한 인증의 요구가 있는 경우, 구비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그리고 HLR(170)은 이동국(110)의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동 교환기(140)로 알리게 된다. 또한 HLR(170)은 저장된 해당 가입자 정보(예:전화번호, ESN, 본 발명에 따른 홈-존 서비스등과 같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등)를 이동 교환기(140)로 송신한다. 이를 통해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한 이동국(110)의 고유 번호 및 해당 가입자정보 데이터들을 VLR(160)에 저장하며, 이후에는 VLR(160)을 검색하여 이동국(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교환기(140)는 이동국(110)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이동국 구분정보, 발신 기지국 구분정보를 BTS(120) 및 BSC(130)를 통하여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교환기(140)는 이동국(110)에 대한 위치추적을 위해 제공되는 RTD 정보를 BTS(120) 및 BSC(130)를 통하여 입력한다. 상기 RTD 정보가 생성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이동국 구분정보, 발신 기지국 구분정보 및 RTD 정보들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것들로서, 이하 상기 정보들을 "호 정보"라 한다. 그리고 이동 교환기(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별 홈-존 영역을 갱신하기 위해 상기한 이동국(110)에 대한 호 정보를 홈-존 영역 갱신기(150)로 출력한다.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각 이동국들에 대한 홈-존 영역 리스트를 관리한다. 즉,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각 이동국들에 대한 호 정보들을 저장하며, 각 이동국별로 해당 개수 이상이 되거나 일정 시일이 지나면 상기 정보들을 분석하여 홈-존 영역 리스트를 갱신한다. 상기 홈-존 영역 정보 리스트는 복수개의 세부적인 영역 정보들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그리고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갱신된 각 이동국들에 대한 홈-존 영역 정보 리스트를 이동 교환기(140)를 통하여 HLR(170)에 저장한다.
이동 교환기(140)는 이동국(110)이 통화를 요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 호에 대한 정보들과 HLR(170)에 저장된 홈-존 영역 정보 리스트를 비교한다. 그리고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 호가 홈-존 영역 내에서의 통화 요구에 해당하면, 홈-존 서비스를 수행한다.
한편,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이동국의 홈-존 영역 리스트를 나타낸다.
각 가입자별 홈-존 영역 리스트
hz_unm(1) NSN National Switching Number (1234567)
nid #1 Network Identifier (MSC)(0)
bts #1 (N=1)BTS_ID(123)
sector #1 (N=1)SECTOR_ID(2)
rtd_min #1 (N=1)RTD_MIN
rtd_max #1 (N=1)RTD_MAX
ㆍㆍㆍㆍㆍㆍㆍ
hz_unm(8) nid #8 (N=8)BTS_ID
bts #8 (N=8)BTS_ID
sector #8 (N=8)SECTOR_ID
rtd_min #8 (N=8)RTD_MIN
rtd_max #8 (N=8)RTD_MAX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이동국의 홈-존 영역 리스트는 각 가입자 마다 8개의 세부 영역 정보들을 가진다.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하여 호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다.
call_info table : 각 이동국의 호 정보들을 분석하기 위한 테이블
nsn Calling Subscriber Number
nid Network Identification
bts_id BTS_ID
sector_id SECTOR_ID
rtd RTD Value that Call Created
cnt 착발신,위치등록, ,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통화수
hz_num 홈-존 세부 영역들의 우선순위
상기 <표 2>에서 cnt는 동일한 NSN, NID, BTS_ID, SECTOR_ID 및 RTD값을 가 지는 호가 수신된 회수의 누적된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호는 착/발신 또는 위치등록 또는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가 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hz_num은 상기 <표 1>의 각 세부 영역 정보들의 우선 순위의 번호가 될 수가 있다.
하기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별 호 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일 예이다.
NSN NID BTS_ID SECTOR_ID RTD
1234567 0 123 2 42
1234567 0 123 2 41
1234567 0 123 2 41
1234567 0 123 2 40
1234567 0 123 2 42
1234567 0 125 1 45
1234567 0 123 2 42
1234567 0 125 1 45
1234567 0 123 2 42
2345678 0 125 1 43
하기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 3>에 의해 생성되는 이동국별 호 정보들을 분석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다.
NSN NID BTS_ID SECTOR_ID RTD CNT HZ_NUM
1234567 0 123 2 42 4 1
1234567 0 123 2 41 2 3
1234567 0 123 2 40 1 4
1234567 0 125 1 45 2 9
2345678 0 125 1 43 1 2
하기 <표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별 호 정보들을 분석하여 홈-존 영역 리스트의 해당 RTD 최대값 및 RTD 최소값을 갱신하는 경우, 각 BTS의 특성에 맞는 홈-존 영역 범위를 미리 지정한 해당 RTD 최대값 및 RTD 최소값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도시한다.
chip_num 테이블:각 BTS의 특성에 맞는 홈-존 영역 범위 지정
bts_id BTS_ID
chip_no1 (-)갱신 RTD 최소값을 위해 감해지는 칩값
chip_no2 (+)갱신 RTD 최대값을 위해 더해지는 칩값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별 홈-존 영역 갱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는 크게 홈-존 영역 내에서 발생한 일반 호에 대한 처리과정 및 홈-존 영역 밖에서 발생한 일반 호에 대한 처리과정 그리고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에 대한 처리과정으로 나뉘어 질 수가 있다. 먼저 상기 일반적인 통화 호에 대한 처리과정을 상기 도 1과 상기 <표 1> 내지 <표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10단계에서 호를 수신하면, 220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 수신된 호가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 인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호가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가 아니면, 230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HLR(170)을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호가 홈-존 영역 내에서 발생한 통화 호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수신된 호가 홈-존 영역 밖에서 발생된 것이면, 240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무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무선 통화 서비스는 일반적인 이동 교환기(140)의 통화 서비스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230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호가 홈-존 영역 내에서 발생한 통화 호에 해당하면, 250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유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유선 통화 서비스는 일반적인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지만 유선 통화 요금으로써 과금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260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 수신된 호의 정보를 홈-존 영역 갱신기(150)로 송신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교환기(140)는 수신된 호가 일반적인 통화 호에 해당하면, 홈-존 영역 내에서 발생된 호에 대해서만 그 호 정보를 홈-존 영역 갱신기(150)로 송신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는 홈-존 영역과 상관이 없는 즉, 가입자가 지정한 지역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호의 정보에 의해 홈-존 영역이 갱신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교환기(140)가 이동국(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호에 대하여 그 호 정보를 홈-존 영역 갱신기(150)로 송신한다면 불필요한 전송 데이터가 많아지게 되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270단계에서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각 이동국별로 호 정보들을 저장하며 이를 분석한다. 이때,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표 2>와 같은 호 정보 저장 및 분석을 위한 테이블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280단계에서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이동국별로 관리하는 홈-존 영역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때 상기 홈-존 영역 리스트는 상기 <표 1>과 같은 리스트가 이용될 수가 있다. 그리고 290단계에서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갱신된 새로운 이동국별 홈-존 리스트를 이동 교환기(140)를 통하여 HLR(170)에 저장한다. 이로인해, 이후에 새로운 통화 호가 수신되면,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 갱신된 새로운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에 따라 상기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홈-존 서비스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일반적인 통화 호에 대한 처리과정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수신된 호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를 갱신하여, 가입자의 실제로 통화하는 위치에 따라서 홈-존 영역이 갱신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삭제
다른 한편, 상기한 일반적인 통화 호의 처리 과정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수신된 호가 일반적인 통화 호에 해당하면, 홈-존 영역 내에서 발생된 호에 대해서만 그 호 정보를 홈-존 영역 갱신기(150)로 송신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260단계 참조) 따라서 상기 일반적인 통화 호의 처리 과정은 각 가입자가 최초 홈-존 서비스 가입할 때 셀 플래닝등에 의해 할당받은 세부 영역들에 대해서만 갱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동무선환경의 특성상 상기 할당받은 세부 영역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제 통화 위치에 따른 근처(상기 할당받은 세부 영역들)의 다른 세부 영역들에 대해서도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 관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에 대한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210단계에서 호를 수신하면, 220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 수신된 호가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 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는 일반적인 통화 호나 위치 등록 호와는 관계가 없으며, 각 이동국별로 세부적으로 관리되는 홈-존 영역을 갱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입자는 자신이 직접 원하는 위치에서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통화를 수행하여 세부 홈-존 영역 정보를 갱신할 수가 있으며, 또한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홈-존 서비스 사업자가 가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통화를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 수신된 호가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이면, 260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 230 단계 내지 250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상기 260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이동 교환기(140)는 상기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에 대한 정보를 홈-존 영역 갱신기(150)로 전송한다. 이로인해, 상기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의 정보는 홈-존 영역 내의 정보 또는 홈-존 영역 밖의 정보가 되게 된다.
270단계에서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각 이동국별로 호 정보들을 저장하며 이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호 정보들은 각 이동국별로 홈-존 영역 내의 일반적인 통화 호에 대한 정보들과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에 대한 정보들로 이루어 진다.
280단계에서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각 이동국별로 홈-존 영역 정보들을 갱신한다. 이때,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홈-존 영역 밖에서 발생한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의 정보들을 분석하여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다른 세부 영역을 이동국별로 관리되는 홈-존 영역 리스트에 삽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홈-존 영역 리스트에 미리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소정 세부 영역을 새로운 다른 세부 영역들로 대체할 수가 있다. 그리고 290단계에서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갱신된 새로운 이동국별 홈-존 리스트를 이동 교환기(140)를 통하여 HLR(170)에 저장한다.
한편, 가입자가 실수 또는 고의로, 자신이 지정한 홈-존 영역과 관계없는 위치에서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통화를 하는 경우가 고려될 수가 있다. 이러한 통화를 배드 통화(Bad Call)라 한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대한 처리 과정이 생략이 되어 있으나, 이동 교환기(140)는 수신된 홈-존 영역 갱신 요 구 호의 정보를 셀 플래닝 시의 해당 홈-존 지역에 대한 모든 존-데이터들(예:NID정보, BTS 구분정보 및 섹터 구분정보등)과 비교를 하며, 상기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의 정보가 상기 존-데이터들에 포함되지 않으면 에러 처리를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 통화 호에 대해서만 설명이 되었으나, 위치 추적등과 같은 일반적인 인증절차시 이동국(110)이 발생하는 모든 호에 대해서도 수행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홈-존 세부 영역이 이동국별로 관리되는 홈-존 영역 리스트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조부호 310 내지 참조부호 330은 홈-존 영역 갱신기(150)가 현재 이동국(110)에 대하여 관리하고 있는 세부 영역들(가는 실선으로 도시된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홈-존 영역의 근접된 밖에서 발생한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의 정보들을 분석하고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하는 새로운 세부 영역(참조부호 340)(점선으로 도시된 영역)을 이동국(110)에 대하여 관리하는 홈-존 영역 리스트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참조부호 330의 세부 영역(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영역)이 홈-존 영역 리스트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상기 참조부호 350은 가입자가 정해진 일정한 조건 이상으로 실제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 수행 위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별 호 정보들을 분석하여 홈-존 영역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상기 <표 1> 내지 <표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표 2>에 대하여 부연 설명을 하면, 상기 <표 2>에서 cnt는 동일한 NSN, NID, BTS_ID, SECTOR_ID 및 RTD값을 가지는 통화 호 또는 위치등록 호 또는 홈-존 영역 갱신 요구 호가 수신된 회수의 누적된 값이 된다. 그리고 hz_num은 상기 <표 1>의 각 이동국의 홈-존 영역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세부 영역들의 우선 순위의 번호로서, '1'부터 '8'까지의 값을 가질 수가 있다. 또한 상기 hz_num은 '9'의 값을 가질 수가 있다. 즉, 즉, 예를 들어, 상기 <표 2>에서 소정 이동국에 대한 호 정보의 NID, BTS_ID 및 SECTOR_ID 값이 상기 이동국의 홈-존 영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면, 해당 hz_num은 1~8사이의 값 중에서 어느 한 개가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표 2>에서 소정 이동국에 대한 호 정보의 NID, BTS_ID 및 SECTOR_ID 값이 상기 이동국의 홈-존 영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이때의 hz-num의 값은 '9'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표 4>에 대하여 부연 설명을 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 3>에 의해 생성되는 이동국별 호 정보들을 분석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것으로써, 이동국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NSN이 예컨대, '1234567'인 이동국이 발생한 호 정보들에 대하여 동일한 NID, BTS_ID, SECTOR_ID, RTD별로 그 호의 수신 회수(cnt)를 카운트한 테이블이 될 수가 있다.
이제, 상기한 <표 1> 내지 <표 5>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별 호 정보들을 분석하여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각 이동국들에 대한 호 정보들을 분석하며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의 해당 RTD 최대값과 RTD 최소값을 갱신한다.
먼저 상기 <표 4>에서 hz_num의 값이 '1'부터 '8'사이인 호 정보들에 대하여,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표 4>의 각 이동국별 호 기록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테이블의 각 행들 중에서 cnt가 가장 큰 MAX(cnt)값 및 MAX(cnt)의 개수를 구한다. 상기 <표 4>에서의 MAX(cnt)는 첫 번째 행에 해당하는 cnt(4)가 되며 cnt값이 '4'인 개수는 하나가 존재하므로 MAX(cnt)의 개수는 '1'이 된다.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MAX(cnt)의 개수가 '1'이면 이때의 RTD값 즉, '42'를 구한다. 그리고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표 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BTS_ID 즉, '123'의 chip_no1 및 chip_no2의 값에 따라, 상기 <표 1>의 hz_num(1)의 제1 RTD 최소값과 제1 RTD 최대값의 값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5>에 저장되어 있는 chip_no1과 chip_no2의 값이 각각 '-4' 및 '+5'인 경우, 갱신된 새로운 제1 RTD 최소값과 제1 RTD최대값은 각각 '38(42-4)' 및 '47(42+5)'가 된다. 그리고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표 1>의 hz_num(1)의 제1 RTD 최소값과 제1 RTD 최대값을 상기 구하여진 '38' 및 '47'로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MAX(cnt)의 개수가 '2'보다 크거나 같으면,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이때의 RTD값들의 평균을 구한다. 그리고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평균에 해당하는 RTD값을 구하고 상기 MAX(cnt)에 해당하는 각 홈-존 세부 영역의 RTD 최소값과 RTD 최대값들을 해당 각 BTS_ID의 chip_no1 및 chip_no2의 값에 따라 갱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표 4>에서 hz_num의 값이 '9'인 경우,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표 4>의 이동국별 호 정보들을 저장 및 분석하기 위한 테이블로부터 hz_num의 값이 '9'인 NID, BTS_ID, SECTOR_ID 및 RTD별 호 정보들에 대하여 cnt값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분류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현재 관리되고 있는 이동국별 홈-존 세부 영역들이 5개가 존재하며, 상기 hz_num의 값이 '9'인 NID, BTS_ID, SECTOR_ID 및 RTD별 호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한 정보의 cnt값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서비스 사업자가 설정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NID, BTS_ID, SECTOR_ID 및 RTD별 호 정보들에 해당하는 새로운 세부 영역들을 해당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에 삽입한다. 그리고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hz_num의 값이 '1'부터 '8'사이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당 RTD 최소값과 RTD 최대값을 구하여 상기 이동국별 홈-존 영역 정보 리스트를 갱신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hz_num의 값이 '9'인 NID, BTS_ID, SECTOR_ID 및 RTD별 호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한 정보의 cnt값이 전체 <표 2>의 cnt값의 합계의 소정 % 이상이 되면, 홈-존 영역 갱신기(150)는 상기 일정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에 부여된 가입자별 홈-존 영역의 부정확성을 실제 가입자의 통화 위치에 따라 갱신하여, 가입자로부터의 불평 제기의 소지를 줄일 수가 있으며 홈-존 서비스의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홈-존 영역 정보 갱신 요구 통화에 의하여 가입자는 실제 통화를 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이동 국별 홈-존 영역을 갱신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홈-존 영역 정보 갱신 요구 통화를 이용하는 방법은 셀 플래닝등에 의해 미리 할당받은 해당 세부 영역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제로 통화를 하는 위치에 따른 근처(상기 할당받은 세부 영역들)의 다른 세부 영역들에 대해서도 이동국별 홈-존 영역 리스트 갱신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불평의 요소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홈 존 내에 위치된 이동 단말의 호 요구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와,
    홈 위치 등록기에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해 상기 갱신된 홈 존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가 있는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정보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기저장된 호 정보를 비교하여 홈-존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홈 존 영역 밖에서 발생된 상기 이동 단말의 다수 호들의 정보들을 분석하고,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경우 기존 홈 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세부 영역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홈 존 영역 밖에서 발생된 상기 이동 단말의 다수 호들의 수신 비율이 소정 값을 넘어선 경우 기존 홈 존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홈 존 영역을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통화 위치에 근거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다수 통화에 의한 호 정보가 상기 홈 존의 특정 영역에서 수행됨을 지시하는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가 있는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정보가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홈 존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가 상기 홈 존 영역 내에서 발생되었는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가 상기 홈 존 영역 외부에서 발호된 경우 일반적인 무선 통화 요금으로 과금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존 영역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홈 존 영역 밖에서 발생된 상기 이동 단말의 다수 호들의 정보들을 분석하고,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존 홈 존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세부 영역을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구는 위치 등록, 착발신, 호 해제 요구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교환기로부터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스위칭 번호(National Switching Number : NSN)와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을 포함하는 이동국 구분정보와,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entification : NID)와, BTS ID 및 섹터 ID를 포함하는 발신 기지국 구분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존 영역 갱신 방법.
KR1019990045404A 1999-10-19 1999-10-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KR10061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04A KR100617849B1 (ko) 1999-10-19 1999-10-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AU66612/00A AU746292B2 (en) 1999-10-19 2000-10-19 Method of performing home zone service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04A KR100617849B1 (ko) 1999-10-19 1999-10-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35A KR20010037735A (ko) 2001-05-15
KR100617849B1 true KR100617849B1 (ko) 2006-08-28

Family

ID=1961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404A KR100617849B1 (ko) 1999-10-19 1999-10-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7849B1 (ko)
AU (1) AU74629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926A (ko) * 2000-06-01 2001-12-08 윤종용 홈존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346223B1 (ko) * 2000-09-25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리스트 자동생성 방법
AU2008301216A1 (en) * 2007-09-17 2009-03-26 Seeker Wireless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iggering location based voice and/or data communications to or from mobile radio termina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153A (en) * 1995-05-30 1996-10-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dividually defined personal home area for subscriber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1999012226A2 (en) * 1997-09-01 1999-03-11 Nokia Networks Oy A system of controlling subscriber data in a cellular telephone system
KR19990029042A (ko) * 1995-07-17 1999-04-15 모토로라,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역 등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WO1999020064A1 (en) * 1997-10-15 1999-04-2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ellular radio system with home area definition
KR20010027328A (ko) * 1999-09-13 2001-04-06 윤종용 홈 존 서비스를 위한 존 데이터 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90183A (fi) * 1999-02-01 2000-08-02 Nokia Networks Oy Solukkoradiojärjestelm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153A (en) * 1995-05-30 1996-10-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dividually defined personal home area for subscriber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9990029042A (ko) * 1995-07-17 1999-04-15 모토로라,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역 등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WO1999012226A2 (en) * 1997-09-01 1999-03-11 Nokia Networks Oy A system of controlling subscriber data in a cellular telephone system
WO1999020064A1 (en) * 1997-10-15 1999-04-2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ellular radio system with home area definition
KR20010027328A (ko) * 1999-09-13 2001-04-06 윤종용 홈 존 서비스를 위한 존 데이터 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6292B2 (en) 2002-04-18
AU6661200A (en) 2001-04-26
KR20010037735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7510B (fi) Menetelmä puhelun hinnan laskentaperusteiden parantamiseksi matkapuhelinverkossa
AU7533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location services
CA2311889C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positioning
CA223964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rtitioned telecommunication services
EP0801874B1 (en) A method for improving charging criteria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US20060135160A1 (en) Border roaming gateway
KR20010022480A (ko)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의 지리적 제한 방법 및 장치
JP2006101523A (ja) 移動ユニットのモビリティ・インデックス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KR20010023354A (ko)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6738629B1 (en) Method for flood paging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2129666A1 (en) System for implementating extension phones within a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EP2149275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shared network having one mobile network code
WO20000134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completion to a roamer without routing through the home network
US20090253441A1 (en) Accessing core network services
KR1006178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KR101537392B1 (ko) 홈 기지국에서 시그널링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방법
KR0135920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68396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확인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
CN100455121C (zh) 一种呼叫实现方法及系统
KR100576012B1 (ko) 가입자 통화기록 정보를 이용한 홈존 정보 갱신 방법
KR101002284B1 (ko) 가입 통신망 식별자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0135910B1 (ko) 여러교환기 인접한 영역에서 가입자 위치추적방법
CA2255847C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roamer port calls in multiple radio telecommunication switches
KR10065141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선불 서비스 가입자를 위한 착신 과금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20020015869A (ko) 지능망을 이용한 음성전화광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