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20B1 -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20B1
KR0135920B1 KR1019940034645A KR19940034645A KR0135920B1 KR 0135920 B1 KR0135920 B1 KR 0135920B1 KR 1019940034645 A KR1019940034645 A KR 1019940034645A KR 19940034645 A KR19940034645 A KR 19940034645A KR 0135920 B1 KR0135920 B1 KR 013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ervice
registration
call transfer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629A (ko
Inventor
정동수
박현화
조응래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20B1/ko
Publication of KR96002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20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부가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의 운용자에 의해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발신하여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하면 그 가입자가 정당한 가입자이고 등록 요구한 착신 가입자 번호는 정당한지 확인한 후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차가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하고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1과정과, 해당 가입자가 발신하여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확인 요구를 하면 해당 가입자가 정당한 가입자인지 확인한 후 상기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권한 자료를 요구하여 수신한 번호가 가입자가 다이얼하여 확인 요구한 번호와 같은지 비교하여 같은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제1과정 수행 후 상기 해당 가입자가 발신하여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취소 요구를 하면 해당 가입자가 정당한 가입자인지 확인한 후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취소 요구를 하고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가입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하고 다양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요구함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여러 가지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는 무조건 착신통화 전환과 부재중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기능만이 제공되고 있어, 셀룰러 이동통신 특성상 가입자가 전화기의 전원을 껐거나, 페이징을 하여도 응답이 없는 경우에 아무런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는 때가 많으므로, 무조건 통화중, 페이징 무응답 또는 가입자가 무응답의 경우에도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가 가능하게 효율적인 착신 통화 전환 등록/확인/취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제1도는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확인/취소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CDMA 방식의 디지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도.
제2도는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의 가입자에 의한 등록/확인/취소 처리의 간략적인 전체 흐름도.
제3도는 착신통화 전화 서비스 등록에 따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제4도는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확인에 따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제5도는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취소에 따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본 발명은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부가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에 대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의 등록/확인/취소시 정확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화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는 무조건 착신 통화 전환과 부재중 착신 통화 전화 서비스 기능이 제공되고 있어, 이 두가지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의 등록/취소 기능만이 가능하다.
그러나, 셀룰러 이동통신 특성상 가입자가 전화기의 전원을 껐거나, 페이징을 하여도 응답불능 지역에 상주하는 경우등으로 인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므로 아무런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므로 아무런 서비슬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 발생되어 가입자가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는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무조건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와 통화중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뿐만 아니라, 가입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끄거나, 페이징 무응답 또는 가입자가 무응답의 경우에도 착신 통화 저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디지를 셀룰러 이동통신망의 환경에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에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및 제어국와 이동 전환 교환기 그리고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를 구비하고 있는 CDMA방식의 디지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의 운용자에 의해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하면 그 가입자가 정당한 가입자이고 등록 요구한 착신 가입자 번호는 정당한지 확인한 후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차가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하고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제1과정 수행 후 상기 해당 가입자가 발신하여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취소 요구를 하면 해당 가입자가 정당한 가입자인지 확인한 후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취소 요구를 하고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확인/취소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CDMA 방식의 디지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도로서, CDMA 방식의 휴대용 또는 차량용 가입자 단말인 이동 단말기(MS)와, 상기 이동 단말기(MS)와 CDMA방식의 무선정합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템(BTS)과, 기지국과 이동 전환 교환기간의 정보의 루팅 및 각종 호처리와 소프트 핸드 오버를 제어하는 서브시스템(BSC)과, 기지국 및 제어국의 운용 보전 처리를 제어하는 서브시스템(BSM)으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전화 교환국(MX)에서는 교환기에서 각종 호처리 및 시분할 스위치, DTMF와 R2 신호 장치, 가입자 및 중계선 그리고 기지국 중계선을 제어하는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SS), 국번 번역 및 루팅, 녹음 안애와 회의 통화장치 그리고 공간 스위치를 제어하는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그리고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이 있는데, 상기 CCS 서브시스템에는 운용 중에 수집되는 각종 통계 및 과금 그리고 보전 정보를 운용자에게 출력시켜 주거나 마그네틱 테이프 또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는 운용 보전 서브시스템(AMS), 그리고 교환기가 제어하는 영역 내로 위치 등록한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기능을 제어하는 위치 등록기 서브시스템(LRS)이 있다.
그리고, 가입자 본 위치등록기(HLR)는 해당 사업자에게 가입한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등록 및 취소 등의 운용 관리를 하는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디지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의 가입자에 의한 등록/확인/취소 처리의 간략적인 전체 흐름도이다.
HLR 운용자에 의해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등록된 이동 가입자가 스텝 S201에서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의 등록/확인/취소 요구를 다이얼하고 센드키를 눌러 발신하면, 스텝 S202에서 강비자로부터 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 S203에서 VLR로 발신 가입자의 정보를 요구한 후 스텝 S204에서 발신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205로 진행하여 발신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발신으로 부터 수니산 번호를 분석하여(S206), 이동 가입자 또는 PSTN 가입자 번호와 같은 일반 가입자 번호일 경우에는 스텝 S207로 진행하여 해당 가입자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스텝 S206에서 분석된 결과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이면 스텝 S208로 진행하여 착신 통화 전환 등록을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스텝 S206에서 발신으로부터 수신한 번호를 분석한 결과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확인 요구이면 스텝 S209로 진행하여 착신 통화 전환 확인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고,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취소 요구이면 스텝 S210으로 진행하여 착신 통화 전환 취소를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중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에 따른 과정을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받으면 스텝 S301에서 그 이동 가입자의 착신 통화 전환 정보를 조사하여 HLR 운용자에 의해 착신 통화 전환 등록이 가능한가를 스텝 S302에서 판단하여 전환 등록이 가능한 가입자가 아니면 스텝 S303으로 진행하여 해당 가입자에게 오류옴을 연결하고, 그 가입자가 호를 절단하면(S304), 오류음을 절단(S305)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만약, 상기 스텝 S302에서 판단하여 전환 등록이 가능한 가입자인 경우 스텝 S306으로 진행하여 등록 요구된 착신 가입자의 번호를 분석하고 스텝 S307에서 셀룰러 이동 통신망 가입자 번호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307에서 셀룰러 이동 통신망 가입자 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스텝 S308로 진행하여 고정망의 국번인지 조사를 한다.
이때, 상기 스텝 S308에서 고정망의 국번도 아닌 경우에는 상시 스텝 S303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여 착신통화 전환 등록이 실패되었음을 처리하고, 만약 상기 스텝 S308에서 조사한 결과 고정망의 국번이면, 스텝 S312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스텝 S307에서 셀룰러 이동 통신망 가입자 번호이면 스텝 S309로 진행하여 HLR로 착신 가입자의 루팅 정보 조회를 하고, 스텝 S310에서 루팅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311에서 착신 정보를 조사한다.
이때, 상기 스텝 S311에서 착신이 불가능한 가입자이면 상기 스텝 S303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여 착신통화 전환 등록이 실패되었음을 처리하고, 착신이 가능한 가입자이면 발신 가입자가 이미 착신 통화 전환 등록을 했는지를 스텝 S312에서 조사한다.
상기 스텝 S312D에서 등록을 했으면 스텝 S313으로 진행하여 HLR로 부가 서비스 취소 요구를 하고, 스텝 S314로 진행하여 상기 HLR로 부가 서비스 등록 요구를 한다.
이후, 상기 HLR로부터 부가 서비스 등록 통보를 받으면(S315),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S316)하고, 그 가입자가 호를 절단(S317)하면, 확임음을 절단(S318)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제4도는 착신 통화 전환 확인 요구를 받았을 때의 처리 과정이다.
상기 제3도의 과정을 따라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자기가 등록한 번호를 다시 확인하려고 착신 통화 전환 확인 코드와 등록한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하면, 그 가입자가 착신통화 전화이 등록된 가입자인지 조사(S401)하여, 착신 통화 전환 등록이 안된 경우(S402)에는, 그 가입자에게 오류음을 연결(S403)하고, 그 가입자가 호를 절단(S404)하면, 오류음을 절단(S405)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상시 스텝 S402에서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HLR로 권한 자료를 요청(S406)하고, 상기 HLR로 부터 권한 자료를 수신(S407)하면, 가입자가 다이얼한 번호와 HLR에 등록되어 있는 번호를 비교(S408)하여, 같은 경우에는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S409)하고, 그 가입자가 호를 절단(S410)하면, 확인음을 절단(S411)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번호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403에서 S405의 실패 처리를 한다.
제5도는 착신 통화 전환 취소 요구를 받았을 때의 처리 과정이다.
상기 제3도의 과정을 따라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를 취소하려고, 착신 통화 전환 취소 요구를 하면, 그 가입자가 착신 통화 전환이 등록된 가입자인지 조사를 하여(S501), 착신 통화 전환 등록이 안된 경우에는 (S502), 그 가입자에게 오류음을 연결하고(S503), 그 가입자가 호를 절단하면(S504), 오류음을 절단하고(S505) 서비스를 종료한다.
착신 통화 전환 등록이 된 경우에는 HLR로 부가 서비스취소 요구를 하고(S506), 그 결과를 수신하였을 때(S507), 부가서비스 취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하고(S509), 그 가입자가 호를 절단하면(S510), 확인음을 절단하고(S511) 서비스를 종료하며, 부가서비스 취소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503)에서 S505의 실패과정을 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가입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하고 다양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요구함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여러 가지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는 무조건 착신 통화 전환과 부재중 착신통화 서비스 기능만이 제공되고 있어, 셀룰러 이동통신 특성상 가입자가 전환기의 전원을 껐거나, 페이징을 항도 응답이 없는 경우에 아무런 서비슬 받지 못하게 되는 때가 많으므로, 무조건 통화중, 페이징 무응답 또는 가입자가 무응답의 경우에도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가 가능하게 효율적인 착신 통화 전환 등록/확인/취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및 제어국와 이동 전환 교환기 그리고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를 구비하고 있는 CDMA방식의 디지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의 운용자에 의해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한 가입자가 발신하여,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하면, 그 가입자 정당한 가입자이고, 등록 요구한 착신 가입자 번호는 정당한지 확인한 후,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차가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록 요구를 하고,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1과정과; 해당 가입자가 발신하여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확인 요구를 하면, 해당 가입자가 정당한 가입자인지 확인한 후, 상기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권한 자료를 요구하여 수신한 번호가 가입자가 다이얼하여 확인 요구한 번호와 같은지 비교하여 같은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제1과정 수행 후 상기 해당 가입자가 발신하여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취소 요구를 하면, 해당 가입자가 정당한 가입자인지 확인한 후,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취소 요구를 하고,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경우 확인음을 연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940034645A 1994-12-16 1994-12-16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KR013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645A KR0135920B1 (ko) 1994-12-16 1994-12-16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645A KR0135920B1 (ko) 1994-12-16 1994-12-16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629A KR960028629A (ko) 1996-07-22
KR0135920B1 true KR0135920B1 (ko) 1998-07-01

Family

ID=6668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645A KR0135920B1 (ko) 1994-12-16 1994-12-16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27B1 (ko) * 2002-01-22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122B1 (ko) * 1996-10-31 2006-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호전환부가서비스실시방법
KR100226603B1 (ko) * 1996-11-30 1999-10-15 유기범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불량이용자 통신거부방법
KR100487237B1 (ko) * 1997-11-20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투과페이징모드의위성통신단말기를위한호전환방법
KR100551170B1 (ko) * 1998-12-29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KR100408183B1 (ko) * 2001-02-26 2003-1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27B1 (ko) * 2002-01-22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629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1430B2 (ja) 無線電話サービスにおける加入者への呼のルーティング方法
JP3544978B2 (ja) 移動機電話システム内の未登録移動機加入者に対する呼び出し取扱い方法
US6556823B2 (en) Location dependent service for mobile telephones
US7796989B2 (en) Integrated wireless/wireline registration
AU674733B2 (en) A method of completing a telephone call in a telephone system
US5440614A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specifying the manner in which calls to a roaming cellular telephone subscriber are to be handled
US6556831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EP1727383A1 (en) Mobile communications
KR20010023354A (ko)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XPA97000887A (es) Sistema de autorizacion para comunicacion fuera de area domestica
JP3529141B2 (ja) コール制御方法
EP0898852A2 (en) Intelligent call routing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with dual mode terminals
JPH09503360A (ja) 遠隔通信ネットワーク
US6044274A (en) Handling of mobile originated intelligent network calls from a non-intelligent capable mobile switching center
WO1993001677A1 (en) Call delivery service within a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KR0135920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에 의한 착신통화 전환서비스 제공 방법
KR017390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개인번호서비스 방법
KR980007063A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KR100219040B1 (ko) 이동전화 부가 서비스 원격 제어 방법
KR01453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6178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존 서비스 방법
US7636572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setup
KR0184176B1 (ko)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JPH05145963A (ja) パーソナル通信追跡接続方法
JPH07240960A (ja) 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