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326B1 -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326B1
KR100350326B1 KR1020000043628A KR20000043628A KR100350326B1 KR 100350326 B1 KR100350326 B1 KR 100350326B1 KR 1020000043628 A KR1020000043628 A KR 1020000043628A KR 20000043628 A KR20000043628 A KR 20000043628A KR 100350326 B1 KR100350326 B1 KR 10035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compound
shampoo composition
shampoo
phase stability
cationic acryl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941A (ko
Inventor
송명언
김진철
김태성
박현석
랑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to KR102000004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3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사용과 탄소수 16 내지 22의 직쇄 지방산알코올을 샴푸 조성물에 포함시켜 샴푸 사용시 컨디셔닝 효과 및 스타일링 효과를 가지면서 상안정성이 우수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를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총량 대비 10 내지 30중량%,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총량 대비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및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적용한 샴푸 조성물들이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 및 스타일링 효과를 제공하면서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Silicone compound containing shampoo composition having good phase stability}
본 발명은 상안정성이 우수한 모발 컨디셔닝 및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사용과 탄소수 16 내지 22의 직쇄 지방산알코올을 샴푸 조성물에 포함시켜 샴푸 사용시 컨디셔닝 효과 및 스타일링 효과를 가지면서 상안정성이 우수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래 전부터 샴푸(shampoo)를 사용함으로써 세정효과와 함께 모발에 컨디셔닝(conditioning)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샴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고, 그 결과 단 1회의 샴푸 사용으로 세정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샴푸가 흔하게 제품화 되어 있다. 이들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유효 물질로서 실리콘 화합물이 사용되어 왔다. 컨디셔닝 효과라 함은 샴푸의 적용, 사용 후 모발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는 효과를 지칭한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유기 규소 화합물의 중합체로서, 수용성 실리콘과 수불용성 실리콘, 휘발성 실리콘과 비휘발성 실리콘, 중합체의 중합도에 따라 저점도 실리콘(실리콘 오일)과 고점도 실리콘(실리콘 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적절한 용도에 따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양이온성 중합체 또는 양쪽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국제공개공보 제94-3152호, 동 제93-21293호, 동 제93-4161호, 미국 특허 제4,299,49호, 동 제4,272,515호, 동 제5,858,939호 및 제 동 제5,543,074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특허들에는 실리콘 함유 조성물에 양이온성 과검 및 그 유도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그 유도체, 양이온성 디메틸 디알킬 암모늄 클로라이드, 양이온성 피롤리돈 공중합체, 양이온성 아실 아미드 등을 사용하여 실리콘의 모발 또는 피부에 대한 흡착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들에서는 실리콘의 모발에 대한 부착능 효과를 기술하고 있지만 샴푸 제품 제조시 분산된 불용성 실리콘이 현탁된 상태로 전체 조성물을 안정하게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특허 제5,346,642호에는 탄소수 3 내지 45개의 고급 지방 알코올을 적용하여 샴푸내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탄소수 24개 이하의 고급 지방 알코올은 상안정성 효과가 떨어진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또 상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밝힌 탄소수 24개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은 용융점이 100℃ 이상의 고온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샴푸 제조공정상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언급한 특허들에 기술된 샴푸 조성물들에서는 특별히 스타일링 효과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스타일링 효과라 함은 샴푸의 적용, 사용 후 모발이 부시시 하지 않고, 차분하게 하며, 드라이 할 때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모발이 일정한 형상으로 고정(setting)되도록 하는 효과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분산된 실리콘 화합물에 흡착된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사슬끼리 브릿지(bridge)가 형성되어 서로 뭉치는 브릿지효과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은,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를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총량 대비 10 내지 30중량%, 하기 화학식 2의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총량 대비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에서, a 및 b는 5 내지 5,000의 자연수이고, M은 -O- 또는 -CO-이며, R 또는 R1은 -NH-(CH2)n-N(CH3)3X-또는 NH2이고, 여기에서 n은 1 내지 4의 자연수이며, X는 Cl, Br, CH3SO3 -이다.
상기 식에서, n은 15 내지 21의 자연수이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로는 시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oxane), 디메티콘(dimethicone), 아모디메티콘(amodimethicon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금속염 또는 에스테르유 들을 선택적으로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은,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를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총량 대비 10 내지 30중량%, 하기 화학식 2의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총량 대비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a 및 b는 5 내지 5,000의 자연수이고, M은 -O- 또는 -CO-이며, R 또는 R1은 -NH-(CH2)n-N(CH3)3X-또는 NH2이고, 여기에서 n은 1 내지 4의 자연수이며, X는 Cl, Br, CH3SO3 -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n은 15 내지 21의 자연수이다.
상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는 상기 실리콘 화합물이 모발이나 피부에 잘 달라붙도록 하는 부착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는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총량 대비 10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의 실리콘 화합물 총량 대비 1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향상된 실리콘 부착능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손에 부어 쓸 수있는 통상의 샴푸 제형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끈적거리고 잘 펴지지 않는 젤 제형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의 예로는 아크릴 아미드 또는 아크릴 아미드 프로필 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시바 사의 상품명 Salcare SC60)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은 특히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분산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그에 의하여 이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의 사용으로 샴푸의 상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은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총량 대비 10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이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총량 대비 1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샴푸 점도 특성 보다는 모발 린스 제품의 점도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샴푸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치 못하며, 5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의 적용으로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가 적용된 샴푸 조성물이 향상된 상안정성을 보이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생각되어진다. 즉, 샴푸에 적용된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가 분산된 실리콘 화합물 입자 표면에 흡착되고, 각 실리콘 화합물 입자 사이에 흡착된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사슬끼리 브릿지(bridge)가 형성되어 결국은 실리콘 화합물이 서로 뭉치는 소위 브릿지효과(bridging flocculation)가 발생된다(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2nd edition, Milton J. Rosen, John wiley Sons, pp. 352). 이를 도식화하면 도 1에 도시된바와 같다. 도 1에서는 원형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분산된 실리콘 입자를 의미하며, 그 주위에 들러붙은 형태의 나선은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적용시키면 이 고급 지방 알코올이 보조 계면활성제(Co-surfactant)로 작용하여 실리콘 화합물 입자 크기가 작아져 상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크리밍(creaming) 속도가 분산된 입자 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스토크 법칙(Stoke's law)에 의해 잘 설명된다(Colloid and Interface Chemistry, Robert D. Vold and Majorie J. Vold,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pp. 193).
상기 실리콘 화합물로는 시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oxane), 디메티콘(dimethicone), 아모디메티콘(amodimethicon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을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으로서, 이들 이외에 다른 실리콘 화합물도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및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의 선택 및 그 함량의 조절 등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전체 샴푸 조성물 중 0.1 내지 10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이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원활한 컨디셔닝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10 내지 5,000,000cst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점도가 10cst 미만인 것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샴푸의 점도를 얻을 수 없게 되며, 5,000,000cst 이상인 것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샴푸의 제조가 용이치 않고, 샴푸로서의 소정의 물성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금속염 또는 에스테르유 들을 선택적으로 함유한다. 이들 성분들은 소정의 물성을 갖는 샴푸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들로서 종래의 샴푸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비율로 물에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황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유동 파라핀, 디메티콘, 베헤닐알코올 또는 세틸알코올 또는 스테아릴알코올을 가하여 70℃가 될 때까지 가온한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교반시켰다. 다음 적당량의 물에 미리 분산시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를 투입하고, 45℃까지 교반 냉각시킨 후, 이 혼합물에 트리에탄올아민, 색소, 향료 및 구연산을 가하여 30분간 교반시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 20 20 20 2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황산나트륨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1 1 1 1 1 1 1 1 1
유동파라핀 1 1 1 1 1 1 1 1 1
디메티콘* 2.5 2.5 2.5 2.5 2.5 2.5 2.5 2.5 2.5
베헤닐알코올 1 1 1 - - - - 0.5 2
세틸알코올 - - - 1 - - - - -
스테아릴알코올 - - - - 1 - - -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0.2 0.2
아크릴아미드공중합체*** 0.1 0.25 0.5 0.5 0.5 - 0.5 0.5 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0.2 0.2
색소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향료 0.4 0.4 0.4 0.4 0.4 0.4 0.4 0.4 0.4
구연산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100중량%가 될 때까지 첨가시킴
* : 상품명 DC200F(104cst), 제조회사 : 디씨 실리콘(DC Silicone)** : 상품명 Carbopol 1342, 제조회사 : 구드리히(Goodlich)*** : 상품명 Salcare SC60, 제조회사 : 시바(Ciba)
각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로 샴푸를 제조한 결과, 비교예 4는 손바닥에 적용시 샴푸 제형이라기 보다는 끈적거리면서 뭉쳐지는 젤 제형으로 제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조성대로 제조된 샴푸들을 샴푸 퍼짐성(오실레이션 평가), 컨디셔닝 효과(마찰계수 측정), 스타일링 효과(모발 들뜨지 않음), 드라이 열에 의한 스타일 연출 용이성 및 상안정성을 하기 시험예 1 내지 5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1 : 오실레이션 평가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의 적용 함량별로 제조한 샴푸를 손바닥에 적용하고 문지른 결과 비교예 4는 잘 안 퍼지는 젤 제형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보다 확실하게 평가하기 위해 레오미터(Rheometer)로 회전 토오크(torque)별 복합 점도(Complex viscosity)를 측정하여 감소하는 기울기를 구하는 오실레이션 평가(Oscillation 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기울기 -1320 -1000 -526 -530 -528 -1440 -516 -519 -174
평가조건 ; 온도 : 25℃, 상대습도 : 50%, 토오크 증가율 : 0.1mNm/rev.
상기 결과에서 보듯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가 1% 적용된 비교예 4에서는 기울기 값이 떨어지는 폭이 다른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보다 현저히 낮아 매우 점탄성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 마찰계수 측정
컨디셔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샴푸가 적용된 모발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평가방법은 하기에서 명시하였다. 모발 트에스를 라우릴황산나트륨 5% 용액에 처리한 후 젖은 상태와 마른 상태에서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단, 젖은 상태에서 500g 로드(load) 하에 실리콘 고무와 모발과의 접촉면에서 마찰계수를 측정하였고, 건조 상태에서는 100g 로드 하에 이소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모발과의 접촉면에서 측정하였다. 상기의 모발 트레스를 샴푸 조성물(농도 5%) 제품 용액에 처리한 후 젖은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각각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컨디셔닝 평가는 젖은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샴푸 조성물을 처리한 모발의 마찰계수값과 라우릴황산나트륨 용액을 처리한 모발의 마찰계수값의 백분율(effect)를 구하였다. 즉, 백분율값이 크면 제품으로 처리할 때가 라우릴황산나트륨 용액으로 처리할 때보다 모발의 마찰력이 감소됨을 의미하며 따라서 컨디셔닝 효과가 크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wet* 35 36 37 35 34 10 36 35 37
dry** 55 57 60 60 59 30 54 53 59
* wet ; 젖은 상태의 effect(%)** dry ; 건조 상태의 effect(%)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가 적용되지 않은 비교예 1을 제외하고는 모든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마찰계수가 낮아져 모발이 매끄럽고, 부드러워지는 컨디셔닝 효과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폭 3㎝, 길이 20㎝, 무게 1.5g의 모발 타래를 만든 후, 5% 라우릴 황산 나트륨 용액에 5분간 침적시키고,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군 후, 25℃, 상대습도 50%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표 1의 성분비로 제조된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샴푸 조성물 5% 용액에 5분간 침적시키고, 흐르는 물에 1준간 헹군 후, 25℃, 상대습도 50%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계속해서 플라스틱 빗으로 모발 타래를 3회 빗질한 후, 모발 타래의 밑부분이 벌어진 너비를 모발의 들뜨는 정도로 평가하였다. 모발 타래의 밑부분의 너비가 길수록 모발의 들뜨는 정도가 큰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너비* 5.0 4.8 4.7 4.7 4.7 7.5 5.0 4.9 4.6
* 너비는 모발 타래의 밑부분이 벌어진 너비를 의미함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가 적용되지 않은 비교예 1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가 적용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과 비교해서 모발의 들뜨는 정도가 제일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평소 드라이어(dryer)를 자주 사용하는 20대의 성인 여성 15명에게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샴푸 제품을 공급하고, 각 제품에 대해서 2일간씩 총 12일을 사용토록 하고, 사용 시 통상의 헤어드라이어(hair dryer)로 자신의 평소 스타일을 연출토록 하게 했을 때, 드라이 열에 의해 모발 스타일 연출이 잘 되는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고, 그 값을 평균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스타일링* 3.9 4.0 4.1 4.1 4.1 2.5
* 스타일링은 사용자의 관능검사결과를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한 결과임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가 적용된 실시예들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가 적용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드라이 열에 의한 모발 스타일 연출이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2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용기(PET 용기)에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샴푸 조성물을 절반 정도 채운 후 아래의 보관 방법으로 보관한 후, 경시변화로서의 상분리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보관방법 1 ; 0℃의 항온기에 6개월간 보관
보관방법 2 ; 40℃의 항온기에 6개월간 보관
보관방법 3 ; 50℃의 항온기에 1개월간 보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보관방법1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관방법2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분리 상분리 양호
보관방법3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분리 상분리 양호
상기 표 6의 실시예들 비교예 4에서 나타났듯이 베헤닐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들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총량 대비 10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적용된 경우에서 상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 및 3에서는 상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및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적용한 샴푸 조성물들이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 및 스타일링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우수한 상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및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적용한 샴푸 조성물들이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 및 스타일링 효과를 제공하면서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를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총량 대비 10 내지 30중량%, 하기 화학식 2의 탄소수 16 내지 22의 장쇄 고급 지방 알코올을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아미드 공중합체 총량 대비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a 및 b는 5 내지 5,000의 자연수이고, M은 -O- 또는 -CO-이며, R 또는 R1은 -NH-(CH2)n-N(CH3)3X-또는 NH2이고, 여기에서 n은 1 내지 4의 자연수이며, X는 Cl, Br, CH3SO3 -임,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n은 15 내지 21의 자연수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화합물이 시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oxane), 디메티콘(dimethicone), 아모디메티콘(amodimethicon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 금속염 또는 에스테르유 들이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KR1020000043628A 2000-07-28 2000-07-28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KR10035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628A KR100350326B1 (ko) 2000-07-28 2000-07-28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628A KR100350326B1 (ko) 2000-07-28 2000-07-28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941A KR20020009941A (ko) 2002-02-02
KR100350326B1 true KR100350326B1 (ko) 2002-08-28

Family

ID=1968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628A KR100350326B1 (ko) 2000-07-28 2000-07-28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3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941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02491A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および引き立った輝きを付与するためのヘアケア組成物
KR20030094346A (ko) 분산 중합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EP3630294B1 (en) Composition for conditioning hair
EA013329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убстрата
GB2058103A (en) An aqueous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silicone polymer and a cationic polymer and method for conditioning hair
JP7271522B2 (ja) 含水ヘアケア組成物および方法
NZ236495A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thylalkylsiloxane as at least one of the conditioning agents
JP2002226332A (ja) ジ4級シリコーンポリマーを含有するヘアトリートメント剤
AU750931B2 (en) Hair care compositions
CN107405291A (zh) 含有阳离子聚合物的个人护理组合物
JP2003212735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JP5933174B2 (ja) 少なくとも1つの揮発性直鎖アルカン、少なくとも1つのシリコーン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脂肪物質を特定の脂肪物質/シリコーン比で含む化粧料組成物
KR100350326B1 (ko) 상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 화합물 함유 샴푸 조성물
US11666521B2 (en)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compounds, a silane compound and silica particles and methods for use
JP2017206483A (ja) 毛髪化粧料
MXPA06012325A (es) Composicion cosmetica que comprende un ester de sorbitano oxietilenado, un polimero cationico, un cuerpo graso solido y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cosmetico.
JP2006516582A (ja) 低分子量カチオン性コポリマーを含むアイケア化粧品組成物
US20050158262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agent, a polymer comprising a hetero atom and an oil,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JP2008273990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KR101071499B1 (ko)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KR102363134B1 (ko) 실리콘중수(w/s) 유화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168929B1 (ko) 컨디셔닝 효과가 개선된 모발 세정용 조성물
KR20100090894A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함유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TWI827617B (zh) 毛髮化妝料
KR100371030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