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052B1 - 헤드결함 검출장치 및 그의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결함 검출장치 및 그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052B1
KR100349052B1 KR1019997004851A KR19997004851A KR100349052B1 KR 100349052 B1 KR100349052 B1 KR 100349052B1 KR 1019997004851 A KR1019997004851 A KR 1019997004851A KR 19997004851 A KR19997004851 A KR 19997004851A KR 100349052 B1 KR100349052 B1 KR 10034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electrode
value
main
current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7345A (ko
Inventor
사또히또시
호리까와다까시
우에노노보루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574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614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574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57188A/ja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4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electrographic printing, e.g. xerography; by magnet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electrostatic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서, 적어도 1개 군의 주전극들에 공급되는 주전극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주전극전류의 피크치에 대응하는 값을 유지하며, 상기 유지되어 있는 값을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주전극전류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여, 상기 주전극전류가 단락전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전기록 헤드유닛은, 다수의 방전용 주전극 및 이 주전극에 대향되게 설치된 복수의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헤드 어셈블리, 상기 주전극에 접속된 접속부 및 이 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이 실장되는 연결보드, 상기 주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주전극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주전극 구동보드, 보조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보조전극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보조전극 구동보드, 및 상기 주전극 구동보드와 보조전극 구동보드를 상기 연결보드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헤드결함 검출장치 및 그의 방법 {A HEAD FAULT DETEC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정전기록장치는 정전기록헤드에 의해 기록매체상에 정전 잠상 (latent image) 을 형성한 다음, 현상 처리부의 액체 토너에 의한 현상에 의해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하, 도 14 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정전기록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4 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기록장치의 정전기록헤드 및 이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장치의 현상 처리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롤 형태로 감겨있는 기록매체 (1) 가 도면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전기록헤드 (2) 에 의해 제 1 단계인 정전 잠상이 형성된 다음, 현상 처리부 (3) 로 이송된다.
정전기록헤드 (2) 는 기록매체 (1) 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정렬된 다수의 바늘 형태의 주전극들 (도시되지 않음), 및 이 주전극들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보조전극들을 포함한다. 기록매체 (1) 상에 나타난 화상은 다수의 픽셀들(pixels)로 형성된다. 기록매체 (1) 가 정전기록헤드 (2) 를 통과할 때, 각 주전극은, 이에 대향하는 기록매체상의 화상 부분의 각 픽셀 밀도에 대응하는 전압이 인가되며, 기록매체를 통해 대향하는 하나의 보조전극을 향하여 방전함으로써, 기록매체의 화상 부분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정전기록헤드 (2) 를 통과한 기록매체 (1) 에, 형성될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게 된다.
정전기록헤드 (2) 를 통과한 기록매체 (1) 에는 현상 처리부 (3) 의 토너 롤러 (31) 에 의해 액체 토너 (32) 가 도포된다. 이 액체 토너 (32) 는 솔벤트에 용해되는 토너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토너 입자들은 기록매체 (1) 상의 정전 잠상과는 반대의 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다. 그 후, 토너 롤러 (31) 에 의해 기록매체 (1) 상에 도포된 토너 입자는, 정전기력에 의해 정전 잠상에 흡착되고, 기록매체 (1) 의 표면층과 결합됨으로써, 정전 잠상이 현상되게 된다.
현상된 기록매체 (1) 의 표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액체 토너 (32) 를 제거하기 위하여, 토너 흡인부 (34) 에서 액체 토너 (32) 를 흡착한 후, 건조기 (4) 를 통과하여 솔벤트를 증발시킨다.
도 15 는 싱글 패스 (single pass) 방식의 컬러 정전기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와 동일한 구성요소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도 14 에서는, 정전 기록 헤드 (2), 현상 처리부 (3) 등, 단지 한 세트만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5 에서는, 4색의 정전기록헤드 (2a, 2b, 2c 및 2d) 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정전기록장치에서는, 기록매체 (1) 를 1회 이송하는 동안, 컬러를 하나씩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첩함으로써, 컬러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안색(cyan), 마젠타색(magenta), 황색 및 검정색의 4가지 컬러를 중첩함으로써, 컬러 화상을 생성한다.
상술한 정전기록장치에서, 정전 잠상은, 정전기록헤드 (2) 에 형성된 주전극과 보조전극간의 방전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원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주전극이 정확히 방전하여 기록매체를 대전시키도록 요구된다.
기록매체의 표면에 부착된 전도성 먼지 등으로 인해, 정전기록장치의 헤드부의 주전극들간에 단락이 발생되면, 주전극과 보조전극들간에 충분한 방전이 불가능해져, 화상이 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없게 된다. 또한, 단락은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악영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과전류로 인해 헤드를 태워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해 발생된 헤드 결함을 검출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최근, 정전기록장치의 기록속도를 높이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기록속도가 높아지면, 주전극들을 가압할 타이밍 간격이 짧아지게 된다. 최근에 늘어난 또다른 요구는 화상 형성용 기록매체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다. 후술될 바와 같이, 주전극들을 가압할 타이밍 간격을 짧게 하는 것과 기록매체의 폭을 넓게 하는 것 모두가, 주전극들간의 단락을 검출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주전극들을 가압할 타이밍 간격이 짧아지거나기록매체의 폭이 넓어질 경우에도,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해 발생된 헤드 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정전기록장치의 헤드부를 갖는 헤드 유닛은, 주전극 및 보조전극을 갖는 헤드 어셈블리, 및 복수의 회로보드를 포함한다. 각 회로보드는, 주전극용 신호선이 실장된(mounted; 장착된, 탑재된) 내부보드, 주전극 구동회로 및 보조전극 구동회로가 실장된 구동보드, 및 스트라이에이션 (striation) 억제용 헤드 제어회로 및 전원부가 실장된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보드는 커넥터를 통하여 신호선 케이블에 서로 접속된다. 또한, 헤드 어셈블리 및 이들 회로보드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하나의 헤드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회로보드와는 독립적으로 배치되므로, 이들을 상호접속하는 데는 많은 케이블이 사용된다. 따라서, 헤드 유닛 어셈블리는 비교적 부피가 커지게 된다.
한편, 정전기록장치에서 화질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주전극들을 가압하는 기간을 소정의 최단 시간보다 더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록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동시에 가압할 주전극의 수를 증가시켜, 모든 주전극을 가압하는 시간을 짧게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모든 주전극들이 분할될 군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구동회로에 의해 동시에 가압될 주전극의 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기록매체의 폭을 넓히는 것에 대해서도, 주전극들이 분할될 군의 수는 증가시키지 않고서, 1개의 구동회로에 의해 동시에 구동될 주전극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유닛 구성에서는, 구동회로의 수가 증가되면, 전극을 접속하는 커넥터의 수도 증가되어, 패키징은 가능하지만, 유닛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전체 장치의 증대된 구조 크기가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그 대안으로, 회로보드의 양면에 주전극 구동회로를 실장하여, 패키징 밀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지만, 보수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부품의 고장시에는 보드 전체를 교환해야하므로, 각 회로보드의 크기가 증대되어, 보수비용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정전기록장치의 헤드유닛 구조에서는, 많은 신호 케이블 및 내부 보드를 통하여, 주전극 구동회로 및 주전극들이 접속된다. 그 결과, 길어진 배선 길이로 인해 부유 용량이 커져, 구동회로의 부하로 되어버리기 때문에, 고속화를 달성하는 데는 부적절하였다. 기록매체의 이동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주전극들을 가압하는 시간 간격이 길어져, 부유 용량에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동 속도를 높이고자 하면, 구동회로의 출력회로의 특성으로 인해, 종종 실패하였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주전극 구동회로의 수가 증가되더라도, 콤팩트한 구성을 가지며, 부품을 교환하는 데 드는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전기록 헤드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 결함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는, 1 군 이상의 주전극에 공급되는 주전극전류를 검출하는전류검출기,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주전극전류에 대응하는 값을 유지하는 수단,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된 값을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주전극전류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여, 상기 주전극전류가 단락 전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비교 수단, 및 상기 제 1 비교 수단에 의해 상기 주전극전류가 단락회로로 판단된 경우의 회수와 소정값을 비교하여, 단락 전류가 발생됐다고 판단된 경우의 회수가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주전극군에서 헤드 결함이 발생됐다고 판단하는 제 2 비교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은, 기록될 기록매체가 통과할 경로를 따라 정렬된 다수의 방전용 주전극, 및 상기 주전극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헤드 어셈블리, 상기 주전극에 접속된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이 실장되는 연결보드, 상기 주전극을 구동하는 주전극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주전극 구동보드, 상기 보조전극을 구동하는 보조전극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보조전극 구동보드, 및 상기 주전극 구동보드 및 보조전극 구동보드를 연결보드에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록 헤드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요 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1b 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보조전극 구동보드, 절연 보드 및 스트라이에이션 억제 보드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은 정전기록헤드의 주전극전류를 측정하는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8b 는 고속 및 저속의 기록속도에 대한, 주전극들간의 단락이 없는 정상전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해 발생된 헤드 결함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결함 검출장치의 시퀀서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a) 및 도 11(b) 는 도 9 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 결함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해 발생된 헤드 결함을 검출하는 장치의 주요부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해 발생된 헤드 결함을 검출하는 장치의 주요부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 및 도 15 는 정전 기록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정전기록장치의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a 에 도시된 정전기록 헤드유닛은, 헤드내부에 주전극용 신호선 및 보조전극용 신호선을 포함하는 헤드 어셈블리 (11), 주전극용 신호선과 접속되는 연결보드 (12), 보조전극용 신호선과 접속되는 보조전극 구동보드 (15), 제어회로가 실장되는 절연보드 (14), 및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를 포함한다. 연결보드 (12) 와 주전극 구동보드 (13) 는 커넥터 (50) 에 의해 접속된다. 헤드 어셈블리 (11) 의 보조전극용 신호선의 접속부 (48) 와 보조전극 구동보드 (15) 는, 후술될 도 4 및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에 의해 접속된다. 이 보드들은 커버아래에 배치된다.
도 1a 의 정면도에서, 절연보드 (14), 보조전극 구동보드 (15) 및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는, 헤드 어셈블리 (11) 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들 보드의 뒷면에는, 헤드 어셈블리 (11) 로부터의 주전극용 신호선 및 보조전극용 신호선 (도시되지 않음), 및 주전극용 신호선들에 접속된 연결보드들 (12) 의 일부가 위치한다. 이 정면도의 하부에는, 3개의 연결보드 (12) 및 이들 보드에 접속된 6개의 주전극 구동보드 (13) 가 배치된다. 하기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연결보드 (12) 뒷면에는, 또다른 3개의 연결보드가 유사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b 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선들은 헤드 어셈블리 (11) 로부터 주전극 구동보드들 (13) 로 연장되며, 이 보드들은 연결보드 (12) 에 직접 접속된다. 헤드 어셈블리 (11) 에 인접하게, 금속 보강재가 배치된다. 연결보드 (12) 와 주전극 구동보드 (13) 는 커넥터에 의해 접속된다. 보조전극 구동보드 (15), 절연보드 (14) 및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전기적 접속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도 2 및 도 3 에서, 원으로 둘러싼 숫자 (① 내지) 는, 2개 도면상에서의 신호선들의 접속을 나타낸다.
제어용 보드, 즉, 절연보드 (14) 는, 형성될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계산된 주전극 구동신호 및 보조전극 구동신호를 RS422 레벨신호로 수신하고, 이신호의 레벨을 TTL 신호레벨로 변환하는 레벨변환부 (141), 및 변환신호를 후단의 고압회로로부터 절연시키는 절연회로 (142) 를 포함한다. 레벨변환부의 출력은 후술될 보조전극 구동보드 (15) 의 절연회로 (151) 에 인가된다. 레벨변환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3개의 절연회로의 출력들 중의 하나는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에 인가된다. 나머지 2개의 출력은 P-채널 버퍼 (143) 및 N-채널 버퍼 (144) 에 인가된다. N-채널 버퍼 (144) 는, 주전극 구동회로의 푸시-풀 구동회로에 의해 잠상을 형성할 수 있는 전위로, 주전극 전위를 충전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P-채널 버퍼 (143) 는, 주전극 구동회로의 푸시-풀 구동회로에 의해, 주전극 전위를 제로 (0) 볼트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헤드결함 검출회로 (145) 가 제공된다. 이 헤드결함 검출회로는, 주전극들의 가압후에 이 주전극들의 전위가 충분히 방전되기도 전에, 바람직하지 않게도 다음 가압이 시작되어버려, 주전극들이 단락됨으로 인해 주전극들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헤드결함 검출회로는, 단락의 발생전에 결함을 검출하여 알린다.
P-채널 및 N-채널 버퍼는 각각 6개의 채널을 갖는다. 각 채널의 신호는 각 주전극 구동보드에 인가된다. 각 채널마다,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다. 여기서는, 고전압계인 주전극 구동측에는 -300V 의 소스전압이 사용되며, 저전압계인 입력측에는 +5V 의 전압이 사용된다.
보조전극 구동보드 (15) 는, 구동해야 할 보조전극 구동신호를 N-채널 및 P-채널의 2개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로서 수신하기 위한 2개의 절연회로 (151), 및 이 절연회로들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레벨을 변환하는 레벨변환부 (152) 를 포함한다. 절연회로로의 입력신호는 상술한 절연보드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레벨변환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보조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푸시-풀 구동부 (153) 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서도, 각 회로의 소스전압이 절연회로의 양면에서 서로 달라서, 고전압측에는 +300V 가 사용되고, 저전압측에는 +5V 가 사용된다.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는, 절연보드의 절연회로들 중의 한 절연회로로부터 8비트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8비트 D/A 변환기 (161), 및 이 D/A 변환기의 출력신호를 스트라이에이션 억제 제어전압으로 변환하는 파워연산증폭기 (162) 를 포함한다. 이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의 출력은, 각 주전극 구동보드의 각 주전극의 출력단에 배치된 저항체 및 다이오드로부터 구성된 저항체/다이오드 어레이부 (17) 에 인가되어, 스트라이에이션 억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는 헤드 제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이에 비해, 이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는 헤드제어회로만을 포함하며, 아래에서 설명되겠지만, 저항체/다이오드 어레이는 연결보드내에 배치되며, 전원단자를 통해 외부소스로부터 전력을 얻는다. 따라서, 이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가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저항체/다이오드 어레이 (17) 는 연결보드상에 또는 연결보드내에 배치되며, 예를 들면, 보조전극과 주전극들간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보정할 수 있도록 선택된 저항값 및 다이오드 특성을 갖는다.
연결보드 (12) 는, 절연보드로부터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신호, 및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로부터의 스트라이에이션 억제 제어전압을 수신받아, 주전극 구동보드 또는 저항체/다이오드 어레이부 (17) 로 이 신호들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보드의 주역할은 전원공급, 및 주전극 구동보드와 헤드 어셈블리간의 제어 및 데이터 신호의 전송이다.
각 주전극 구동보드 (13) 는, 절연보드로부터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아, 5V 신호를 12V 신호로 변환하는 레벨 변환기 (131), 및 이 레벨 변환기의 출력신호를 주전극들로 공급하는 128 도트의 푸시-풀 구동회로 (132) 를 포함한다. 이 회로의 출력은, 최종적으로는, 상술한 저항체/다이오드 어레이에 의한 스트라이에이션 보정후에, 주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쉽게하기 위하여, 도 4,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보드들간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 및 도 6 에서, 원으로 둘러싼 숫자 (① 내지) 는, 복수의 도면들상에서의 신호선들의 접속을 나타낸다.
각 단자에는, 2개의 전원단자, 예를 들면, +300V 용의 한 단자 (22), -300V 용의 다른 단자 (21) (도6) 가 있다. 이들 단자는, 직접 또는 전원단자 (20) 를 통하여, 절연보드 (14), 보조전극보드 (15),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 (16) 및 연결보드 (12) 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5V 단자 (23) 는 제어 또는 데이터 입력회로용의 저압전원단자이며, 각 보드의 저압측 전원으로 사용된다. 도면부호 24 는 데이터가 공급되는 커넥터 단자를 나타낸다.
다수의 주전극들 (40) 은 기록매체 (도시되지 않음) 가 진행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정렬되며, 복수의 각 보조전극 (42) 은 소정 개수의 주전극들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주전극들에는, 연결보드 (12) 에 설치된 접속부 (46) 를 통하여, 주전극 구동보드 (13) 로부터 주전극 구동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보조전극들에는, 접속부 (48) 를 통하여 보조전극보드 (15) 로부터 보조전극 구동전압이 인가된다.
이하, 절연보드, 보조전극보드 및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사이의 접속을 설명한다.
절연보드의 커넥터 (CN9) 및 보조전극보드의 커넥터 (CN1) 에 의하여, 절연보드로부터 보조전극보드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이 보드들은,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어셈블리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된다.
보조전극보드의 출력신호는, 커넥터 (J1 및 J2) 를 통하여, 헤드 어셈블리의 보조전극에 인가된다. 도 5 에서, 헤드 어셈블리의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접속은 쉽게 이루어진다.
스트라이에이션 억제 제어신호는, 스트라이에이션 억제보드의 커넥터 (CN3) 를 통해, 각 연결보드에 인가된다. 제어신호는, 연결보드에 배치된 저항체/다이오드에 공급된다.
제어 및 데이터 신호는, 절연보드의 커넥터 (CN1, CN2, CN3, CN4, CN5 및 CN6) 를 통하여, 연결보드에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연결보드에는, 2개의 주전극 구동보드용의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제공된다. 이들 신호는,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고, 연결보드상에 탑재된 주전극 구동보드에 공급된다. 주전극 구동보드에서 처리된 신호는, 커넥터를 통해, 연결보드 및 이 연결보드와 접속된 주전극용 신호선들로 인가된다.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드는, 주전극 구동보드가 위치한 절연보드아래 및 헤드 어셈블리 하부에 위치한다. 도 1 의 측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보드와 주전극 구동보드를 접속하는 2개의 커넥터 중에서, 헤드어셈블리에 더 가까운 커넥터가, 주전극 구동보드로부터 주전극용 신호선에 신호를 공급하는 커넥터이다. 하부의 커넥터는, 절연보드로부터 수신된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연결보드로부터 주전극 구동보드로 인가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서, 종래의 헤드블록에 비해, 주전극들과 구동회로들간의 신호선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어셈블리의 양측에는, 6개의 연결보드가,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주전극에 각각 3개씩 배치되어 있다.
이 정전기록헤드에서는, 기록매체가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하게, 즉, 이 기록매체의 횡단방향을 따라, 주전극 (40) 및 보조전극 (42) 이 나란히 배치된다. 이 바늘 형태의 주전극들은 약 0.2 mm 간격으로 배치되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주전극 근방의 보조전극들로 방전한다. 순차적으로 배치된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의 주전극들은, 헤드 어셈블리의 양면상의 연결보드에 의해 구동된다.
예를 들면, 각 주전극 구동보드는 한번에 128개의 주전극들을 가압한다. 연결보드상의 2개의 주전극 구동보드는, 이 중의 하나가 구동되면, 나머지 하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위 핑퐁 (Ping-Pong) 버퍼 구조를 갖는다. 연결보드상에서는, 한번에 1개의 주전극 구동보드가 가압된다. 홀수측의 주전극에서는, 3개의 연결보드가 있어, 한번에 384개 (128의 3배) 의 주전극이 가압된다. 따라서, 양측에서는, 768개 (384의 2배) 의 주전극이 한번에 가압되게 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전극과 주전극 구동회로를 접속하는 유일한 역할을 하는 종래의 내부보드가 제거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보드에 스트라이에이션 전압을 결정하는 저항체/다이오드 어레이가 설치되고, 외부소스로부터 스트라이에이션 전원이 확보되며, 나머지 스트라이에이션 제어용 논리회로만이 별도의 보드에 설치된다. 또한, 주전극 구동회로는 모듈로 세분화되며, 보드들은 계층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고속화의 요구에 의해, 구동회로의 수가 증가될 경우에도, 구동회로가 보드의 양면에 실장가능하므로, 헤드유닛이 콤팩트하게 유지되며, 구성요소의 오작동시에도, 모듈내의 결함보드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전극 구동보드의 구동회로의 출력단자와 헤드 어셈블리의 선단에 위치한 주전극들간의 거리가 짧아져, 구동회로의 부유 용량이 더 작아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조전극들이 주전극열의 양측에 배치되었지만, 본 발명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이 보조전극들이 주전극열의 한쪽에만 배치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수의 연결보드 및 주전극 구동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가능한 커넥터 대신에,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적당한 접속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기록장치의 기록속도 증가에 비해, 헤드유닛의 전체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며, 각 회로의 모듈식 구성에 의해, 구성요소의 오작동시에도 모듈내의 결함보드만의 교체가 가능해짐으로써, 보수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종래에는,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에 공급된 전류를 정상 전류와 비교한 다음, 그 차를 적분하여, 이 적분값이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 주전극들간에 단락이 발생됐다고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정전기록장치의 기록속도가 빨라지면, 주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타이밍 간격이 짧아져, 고압회로의 인덕턴스의 영향이 증대된다. 또한, 기록매체의 폭이 넓어지면, 헤드의 늘어난 횡단 길이만큼 주전극의 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헤드 용량이 증대되어, 주전극의 정상 전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방법에 따르면, 빠른 기록속도에서는, 주전극의 단락회로 전류와 정상 전류간의 차를 검출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도 7 을 참조하여, 정전기록장치의 주전극들을 가압하는 회로를 설명한다.
도 7 은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 및 보조전극을 가압하는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정전기록 헤드유닛은, 도 2 내지 도 6 에서는 주로 기계적인 구조로 설명되었지만, 도 7 에서는 그 구성을 전기적인 기능측면에서 도시하고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정전기록장치의 헤드유닛은, 기록될 화상 데이터에 따라 주전극을 가압하고, 주전극과 보조전극간의 방전을 유발함으로써, 상기 화상에 해당하는 잠상을 기록매체상에 형성한다. 도 7 의 구성요소들은 도 2 내지 도 6 의 구성요소와 부분적으로 동일하나, 구성요소중의 일부는 다른 참조번호로 표시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공지 방법에 따라 기록될 화상 (도시되지 않음) 에 기초하여, 주전극이 가압되어야 할지 아닐지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기억회로 (205) 에 저장된다. 또한, A군 주전극 구동회로 (219) 및 B군 주전극 구동회로 (221) 에는, 라인 (227) 을 통해 전원회로 (201) 로부터 주전극을 가압하기 위한 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보조전극 구동회로 (211) 에는, 라인 (229) 을 통해 전원회로 (201) 로부터 보조전극을 가압하기 위한 전압이 인가된다.
A군 주전극 구동회로 (219) 는, A군 화상 데이터 버퍼 (207) 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타이밍 펄스발생유닛 (203) 으로부터 공급된 타이밍 펄스에 의해 결정된 타이밍에서, A군 주전극들 중 선택된 하나의 주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한편, B군 주전극 구동회로 (221) 는, B군 화상 데이터 버퍼 (209) 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타이밍 펄스발생유닛 (203) 으로부터 공급된 타이밍 펄스에 의해 결정된 타이밍에서, B군 주전극들 중 선택된 하나의 주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A군 주전극들이 가압되는 기간동안, 보조전극 구동회로 (211) 는, 타이밍 펄스발생유닛 (203) 으로부터 공급된 타이밍 펄스에 의해, A군 주전극들 중 하나이상의 주전극에 대응하는 보조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한편, B군 주전극들이 가압되는 기간동안, 보조전극 구동회로(211) 는, B군 주전극들 중 하나이상의 주전극에 대응하는 보조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A군 주전극들이 가압되는 기간동안, B군 화상 데이터 버퍼 (209) 는, 화상 데이터 기억유닛 (205) 으로부터 다음 기간동안 B군의 주전극들을 가압하는 데 사용될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와 유사하게, B군 주전극들이 가압되는 기간동안, A군 화상 데이터 버퍼 (207) 는, 화상 데이터 기억유닛 (205) 으로부터 다음 기간동안 A군 주전극들을 가압하는 데 사용될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들 타이밍은, 타이밍 펄스발생유닛 (203) 으로부터의 타이밍 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화상 데이터 전송회로 (204) 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전송회로 (204) 는, 도시되지 않은 전단 (preceding stage)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주전극을 가압하는 데 이용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기억유닛 (205)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동작도 행한다.
전원회로 (201) 로부터 주전극 구동회로 (219 및 221) 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라인 (227) 은, 저항체 (223) 와 접속된다. 이 저항체 양단의 전압 (225) 에 의해 주전극들로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어, 후술될 바와 같은 주전극들의 단락 검출에 이용된다.
이하, 도 8b 를 참조하여, 정전기록헤드의 주전극들의 단락을 검출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한다.
도 8b 에서, 참조번호 301 은 정상상태에서의 주전극전류값을, 303 은 단락시의 주전극전류값을 나타낸다. 통상, 주전극전류는, 방전 초기단계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방전이 끝날 때에 소정의 값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단락전류는 정상전류보다 더 크며, 방전이 끝날 때에도 정상전류와의 차 (d) 를 갖는다. 종래에는, 실제 주전극전류와 측정된 정상전류를 미리 비교한 다음, 방전이 끝날 때에, 실제 주전극전류와 정상전류 (301) 간에 소정의 차가 검출되면, 단락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기록속도가 증가하면,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방전 기간의 주전극전류 (307) 가 충분히 감소되기 전에, 다음 방전 기간의 주전극전류 (309) 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 고속의 기록속도에 대한 주전극전류의 파형은 저속의 기록속도에 대한 주전극전류 (301) 의 파형과 매우 다르다. 따라서, 방전이 끝날 때에 주전극전류의 크기로부터 단락을 검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종래의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상술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해결된다.
이하,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 의 전류검출기 (111) 의 출력은 도 7 의 전압계 (225) 의 출력, 즉, 측정된 2개의 군 "A" 및 "B" 의 주전극전류를 제공한다. 피크 유지기 (112) 는 전류검출기 (111) 로부터의 주전극전류출력의 피크치를 유지하며, 연산기 (117) 는 피크치를 소정의 연산작업으로 연산처리하고, 이에 따른 출력을 비교기 (113) 로 공급한다. 이 소정의 연산작업은, 0.2 또는 0.1 등과 같은 "1" 이하의 소정 계수로 피크치를 곱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산작업은, 출력이피크치를 초과하지 않고서 피크치가 커지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커진 출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어떤 연산작업이 선택될 지는, 하기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 실제로 관찰된 단락 주전극전류 및 정상 주전극전류의 파형들로부터, 단락을 검출할 수 있는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류검출기 (111) 로부터의 주전극전류 출력은, 비교기 (113) 에 의해 연산기 (117) 의 출력과 비교된다. 비교기 (113) 는, 주전극전류값이 연산기 (113) 의 출력값보다 더 클 경우에는 HIGH 신호를 발생시키고, 주전극전류값이 연산기 (113) 의 출력값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는 LOW 신호를 발생시킨다.
시퀀서A (114) 및 시퀀서B (115) 는, 주전극의 군 A 및 B 에 각각 해당되며, 후술될 바와 같이, 펄스를 카운트하고 비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설정기 (116) 는 시퀀서A (114) 및 시퀀서B (115) 에 공급될 비교용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설정기 (116) 에 의해 설정된 값은 3자리 이진수로 주어진다.
도 10 은, 시퀀서 (114 및 115) 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카운터 (118) 는, 예를 들어, 비교기 (113) 의 출력이 HIGH 일 경우, 샘플링 클록 (161) 이 인가되면, 카운트수를 "1" 만큼 증분하고, 비교기 (113) 의 출력이 LOW 일 경우, 샘플링 클록 (161) 이 인가되면 카운트를 클리어한다. 따라서, 주전극전류값이 샘플링시의 비교기 (113) 의 출력보다 더 작은 값으로 감소되는 한, 카운터 (118) 는 클리어된다. 즉, 샘플링 시점에서, 주전극전류가 비교기 (113) 의 출력보다 더 큰 상태가 연속하여 발생되지 않는 한, 카운터(118) 의 카운트는 증가되지 않는다.
샘플링 클록 (161) 은 도 7 에 도시된 타이밍 펄스 발생유닛 (203) 에 의해 발생된다. 이 타이밍은, 각 주전극에 대한 전압의 인가가 종료되기 직전, 즉, 주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는 각 사이클의 개시시점 직전, 또는 도 11(a) 의 시점 p1 직전에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왜냐 하면, 전압 인가가 종료되기 직전에, 과도전류의 감쇠가 가장 크고 정상전류의 비율이 가장 높아져서, 정상전류가 존재하는지, 즉, 주전극들이 단락되었는지를 판단하기가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피크 유지기 (112) 에는 각 주전극에 대한 전압 인가의 각 사이클의 개시시점 p1 에서 발생된 펄스신호 (162) 가 공급되어, 이 피크 유지기에 유지되어 있는 피크치가 리세트된다. 이 펄스신호 (162) 는 샘플링 클록 (161) 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비교기 (119) 는, 카운터 (118) 의 카운트수가 설정기 (116) 에 의해 설정된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출력을 발생시키는 데, 이 출력이 헤드결함을 나타내게 된다. 비교기 (119) 는, 리세트 신호 (163) 가 인가될 때까지, 출력을 유지한다. 리세트 신호 (163) 는, 사용자가 헤드결함의 발생을 인지했을 때, 카운터 (118) 및 비교기 (119) 에 인위적으로 인가된다.
이하, 도 11(a) 및 11(b) 를 참조하여, 이 동작을 설명한다.
전류검출기 (111) 는, 주전극들이 정상인 경우에는 실선 (171) 으로 표시된 파형을 출력하고, 주전극들에 단락이 발생되면, 1점 파선 (172) 으로 표시된 파형을 출력한다. 주전극전류의 피크치의 소정 비율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하는 연산기 (117) 는, 주전극들이 정상일 때에는 점선 (181) 으로 표시되는 출력을 발생시키고, 주전극들에 단락이 발생되면, 점선 (182) 으로 표시되는 출력을 발생시킨다. 도 9 의 비교기 (113) 는 전류검출기 (111) 의 출력을 연산기 (117) 의 출력과 비교하여, 전류검출기 (111) 의 출력이 연산기 (117) 의 출력보다 클 경우, HIGH 출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극들이 정상인 경우, 전류파형 (171) 이 파형 (181) 보다 낮아지는 시점p1 에서 시점s0 까지의 기간동안에는 HIGH 신호가 발생되는 반면, 시점s0 에서 다음 시점p1 까지의 기간동안에는 LOW 신호가 발생된다. 또한, 주전극들에 단락이 발생되면, 전류파형 (172) 이 파형 (182) 보다 낮아지는 시점p1 에서 시점s1 까지의 기간동안에는 HIGH 신호가 발생되는 반면, 시점s1 에서 다음 시점p1 까지의 기간동안에는 LOW 신호가 발생된다.
그 결과, 도 11(b) 에서, 기간 T1, T2 및 T3 동안에는 출력이 HIGH 이고, 기간 t1, t2 및 t3 동안에는 출력이 LOW 이다. T1 은 A군의 주전극들에 대한 가압기간이며, T2 는 B군의 주전극들에 대한 가압기간이다. A군과 B군은 교대로 가압된다. 대응하는 주전극들의 가압 타이밍에 따라서, 각 시퀀서는 독립적인 샘플링 클록을 가지므로, 다른 주전극군의 가압에 의해서는 어떠한 샘플링도 행하여지지 않는다.
A군의 주전극에 단락이 발생되었다고 가정하면, T1 및 T2 의 기간동안에 비교기 (113) 의 출력파형이 상승한다. 그 결과, 비교기 (113) 의 출력이 LOW로 되는 시점이 지연되게 된다. 한편, 샘플링 클록이 인가되는 시점s1 또는 s3 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기간 T1 이 "d" 만큼 길어져, 비교기 (113) 의 출력이 HIGH 로 될 때 샘플링 클록이 인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운터 (118) 가 "1" 만큼 증분된다. 이와 유사하게, 다음 기간T3 동안에도 HIGH 타이밍 에서 샘플링 클록을 수신하면, 카운터 (118) 는 "1" 만큼 증분된다. 이런 식으로 카운터 (118) 가 계속 증분되어, 설정치 이상의 값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비교기 (119) 가 헤드결함을 출력한다.
도 12 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퀀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카운터a (321) 는, 비교기 (113) 의 출력이 LOW 일 때, 즉, 도 11(a) 에서의 시점s0 또는 s1 으로부터 그 직후의 타이밍 펄스 (162) 가 발생되는 시점p1 까지의 기간동안, 소정 주파수의 클록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기 (322) 로부터의 출력펄스를 카운트한다. 또한, 카운터a (321) 는 도 11(a) 의 시점p1 직후에 카운트를 클리어한다. 펄스 발생기 (322) 는 시퀀서 내부에 없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외부소스로부터의 펄스 출력을 사용할 수 있다.
비교기a (323) 는, 카운터a (321) 의 카운트수와 설정기 (116) 에 의해 설정된 레지스터 (324) 내의 설정치a 를 비교하여, 카운터a (321) 의 카운트수가 시점p1 에서 설정치a 이하로 감소하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카운터b (325) 는 비교기a (323) 의 출력을 카운트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기b (326) 는, 카운터b (325) 의 카운트수를 설정기 (116) 에 의해 설정된 레지스터 (327) 내의 설정치b 와 비교하여, 카운터b (325) 의 카운트수가 설정치b 이상으로 증가하면,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신호가 헤드결함 검출의 출력을 구성한다. 설정치a 는 주전극들간의 단락시의 전류파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반면, 설정치b 는 실제 기록장치의 동작상태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 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시퀀서A (114) 는, 군A 의 주전극들이 가압되는 기간동안 동작한다. 주전극들의 각 가압 사이클에서, 펄스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펄스는, 비교기 (113) 의 출력이 LOW 인 기간동안, 즉, 시점s0 또는 s1 에서 시점p1 까지의 기간 t1 동안, 카운터a (321) 에 의해 카운트된다.
주전극들간의 단락이 없을 경우, 카운터는 설정치a 이하로 감소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교기a (323) 의 출력은 HIGH 로 된다. 그러나, 주전극들간에 단락이 발생되면, 도 11(b) 의 기간 t1 이 더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카운터a (321) 의 카운트수가 설정치a 보다 더 작아지게 되며, 예를 들어, 비교기a (323) 의 출력이 HIGH 로 된다. 대응하는 주전극군 및 반대의 주전극군에 대한 전압 인가시점p1 에서, 비교기a (323) 의 출력이 HIGH 이면, 비교기b (325) 가 카운트를 1만큼 증분한다. 한편, 이 시점에서 비교기a (323) 의 출력이 LOW 이면, 비교기b (325) 의 카운트가 클리어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감분 (decrement) 되는 카운터 타입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교기a (323) 의 출력이 연속해서 HIGH 로 되면, 카운터b (325) 가 카운트수를 증가시킨다. 카운터b (325) 의 카운트수가 설정치b 에 의해 소정의 수 이상으로 되면, 비교기b (326) 는 헤드결함의 검출을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퀀서에서도, 대응하는 주전극군의 가압 타이밍에 따라서 각 시퀀서가 독립적으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점이나, 일단 헤드결함이 검출되면, 리세트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출력이 계속 유지되는 점은 공통이다.
상술한 시퀀서의 구성은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아날로그 회로보다도 검출속도가 정확하다.
군A 의 가압 기간이 종료되고, 군B 의 가압 기간이 시작되면, 시퀀서B 가 구동된다. 이 시퀀서의 동작은, 도 7 에 도시된 정전기록장치의 타이밍 펄스 발생기 (203) 로부터 생성된 타이밍 펄스를 이용하여 스위치된다.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피크 전류는 다이내믹하게 변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정확하게 주전극의 단락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단락 검출의 원하는 상황에 따라, 펄스수, 및 주전극의 단락 발생수를, 설정기에 의해 설정할 수 있으므로,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전극전류가 도 8a 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도, 도 9 의 연산기 (117) 에 의한 출력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확실히 단락을 검출할 수가 있다.
이하, 도 13 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 은, 전류검출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샘플링회로 (441), 이 샘플링된 전류파형의 값을 데이터로서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442), 주전극의 단락이 없을 경우, 설정기에 의해 설정된 전류파형을 임시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443) 를 나타낸다.
제 1 메모리 (442) 는, 전류검출기의 출력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얻어진 전류의, 복수의 순간 디지털값을, 시간순으로 저장한다. 한편, 제 2 메모리 (443) 는,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주전극전류의 순간치들의 타이밍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주전극단락이 없을 때의 각종 전류파형의 각 순간치를 시간순으로 저장한다. 비교기 (444) 는,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파형들 중의 선택된 하나의 값을 비교한다. 이 과정에서, 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합계치를 비교하여, 제 1 메모리의 합계치가 제 2 메모리의 합계치보다 소정값 이상으로 큰 경우에, 단락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출력을 발생한다. 또는, 같은 타이밍에 제 1 메모리와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각각의 대소를 판단한다.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합계치의 소정비율이, 같은 타이밍에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합계치보다 더 큰 경우, 단락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메모리는, 선택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출력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전류파형은 플로트 (plotted) 데이터에 의해서 변하기 때문에, 각 종류의 플로트 데이터와 관계된 전류파형의 데이터가 제 2 메모리내에 저장되므로, 이 저장된 플로트 데이터 정보중의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다. 모든 경우의 플로트 데이터를 고려한 전류파형의 임시 데이터를 제 2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용량이 필요하므로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대표적인 전류파형의 임시 데이터만 제 2 메모리 (443) 에 저장시켜, 이들중에서 참조치에 기초하여 적당한 것을 선택한다.
참조치는 플로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된 값이며, 예로서는, 플로트 데이터의 밀도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1회의 가압기간에 실제로 가압된 주전극의 수가 전체 주전극의 수를 나타내는 비율이 참조치로 된다.
제 2 메모리 (443) 는, 서로다른 밀도의 플로트 데이터에 대한 대표적인 전류파형을 나타내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임시 데이터는 대응하는 밀도를 나타내는 참조치에 의해서 구분되므로, 외부소스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의해서 그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기록해야 할 플로트 데이터가 결정되면, 그 밀도를 구하여, 구한 밀도에 대응하는 참조치를 갖는 임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선택신호 (446) 에 의해, 제 2 메모리 (443) 에 저장된 임시 데이터중 1개가 선택된다. 이 제 2 메모리 (443) 에 의해 선택된 임시 데이터는, 제 1 메모리 (442) 에 저장되어 있는 실제의 주전극전류파형과 비교기 (444) 에서 비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록장치의 헤드결함 검출기 및 장치, 및 기록헤드유닛은, 기록속도의 고속화 또는 기록매체의 광폭화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문제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정전기록장치의 본래의 기능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삭제
  2.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주전극들 중 1개군 이상의 주전극들에 공급되는 주전극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전극전류의 피크치에 대응하는 값을 유지하는 수단;
    상기 유지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값과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전극전류에 대응하는 값을 비교하여, 상기 주전극전류가 단락전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비교수단; 및
    상기 제 1 비교수단에 의해 상기 주전극전류가 단락전류라고 판단된 회수를 소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단락전류라고 판단된 회수가 상기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주전극군에 헤드결함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제 2 비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결함 검출장치.
  3.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에 있어서,
    1개군 이상의 주전극들에 공급되는 주전극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전극전류의 피크치에 대응하는 제 1 값을 유지하는 수단;
    상기 제 1 값을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전극전류에 대응하는 제 2 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 2 값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아지는 제 1 타이밍을 소정의 제 2 타이밍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타이밍보다 빨리 상기 제 1 타이밍이 발생되지 않을 때 출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비교수단; 및
    상기 제 1 비교수단으로부터 출력이 발생된 회수를 소정의 제 3 값과 비교하여, 상기 회수가 상기 제 3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주전극군에 헤드결함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제 2 비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결함 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밍은, 상기 주전극군이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값이 거의 제로로 될 때의 타이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결함 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교수단은, 상기 제 1 비교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출력에 응답하여 "1" 만큼 증분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수를 상기 제 3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결함 검출장치.
  6.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에 있어서,
    1개군 이상의 주전극들에 공급되는 주전극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전극전류의 피크치에 대응하는 제 1 값을 유지하는 수단;
    상기 제 1 값을,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전극전류에 대응하는 제 2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값이 상기 제 1 값보다 작아지는 제 1 타이밍을 검출하는 제 1 비교수단;
    상기 제 1 타이밍과 소정의 제 2 타이밍 사이의 시간간격을 측정하는 시간간격 측정수단;
    상기 제 1 타이밍과 소정의 제 2 타이밍사이의 제 1 시간간격을, 소정의 제 2 시간간격과 비교하여, 상기 제 l 시간간격이 상기 제 2 시간간격보다 작을 때 출력을 발생시키는 제 2 비교수단; 및
    상기 제 2 비교수단으로부터 출력이 발생된 회수를 소정의 제 3 값과 비교하여, 상기 회수가 상기 제 3 값보다 클 때, 상기 주전극군에 헤드결함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제 3 비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결함 검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밍은, 상기 주전극들 중의 1개군이 정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값이 실질적으로 제로로 될 때의 타이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결함 검출장치.
  8.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에 있어서,
    1개군 이상의 주전극들에 공급되는 주전극전류를 복수의 소정 타이밍에서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전류값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값을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주전극이 정상인 때에 상기 군에 공급된다고 가정되는 상기 주전극전류의 상기 복수의 타이밍에 대응하는 시점에서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제 2 값을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및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제 1 값과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 2 값을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결함 검출장치.
  9. 정전기록 헤드유닛의 주전극들간의 단락으로 인한 헤드결함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1개군 이상의 주전극들에 공급된 주전극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주전극전류의 피크치에 대응하는 값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되어 있는 주전극전류의 피크치를, 상기 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전극전류에 대응하는 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주전극에 단락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헤드결함 검출방법.
  10. 기록될 기록매체의 경로를 따라 정렬된 다수의 방전용 주전극, 및 상기 주전극에 대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헤드 어셈블리;
    상기 주전극에 접속된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선이 실장되는 연결보드;
    상기 다수의 주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주전극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주전극 구동보드;
    상기 복수의 보조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보조전극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보조전극 구동보드; 및
    상기 주전극 구동보드 및 보조전극 구동보드를 상기 연결보드에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록 헤드유닛.
KR1019997004851A 1996-12-05 1997-12-02 헤드결함 검출장치 및 그의 방법 KR100349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574696A JPH10161429A (ja) 1996-12-05 1996-12-05 ヘッドフォールト検出器およびその検出方法
JP96-325745 1996-12-05
JP32574596A JPH10157188A (ja) 1996-12-05 1996-12-05 静電記録ヘッドユニット
JP96-325746 1996-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345A KR20000057345A (ko) 2000-09-15
KR100349052B1 true KR100349052B1 (ko) 2002-08-21

Family

ID=2657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851A KR100349052B1 (ko) 1996-12-05 1997-12-02 헤드결함 검출장치 및 그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63851A4 (ko)
KR (1) KR100349052B1 (ko)
CN (1) CN1122604C (ko)
AU (1) AU5068398A (ko)
BR (1) BR9714132A (ko)
WO (1) WO199802463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0355A (en) * 1991-04-10 1993-06-15 Ricoh Company, Ltd. Resistive sheet thermal transfer printer
US5239318A (en) * 1991-11-15 1993-08-24 Delphax Systems Finger driver and printer
JPH0595758U (ja) * 1992-06-01 1993-12-27 マックス株式会社 ドットマトリックスプリンタに於ける異常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4665A (ja) * 1983-05-23 1984-12-04 Fuji Xerox Co Ltd 静電記録ヘツドの放電空隙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0355A (en) * 1991-04-10 1993-06-15 Ricoh Company, Ltd. Resistive sheet thermal transfer printer
US5239318A (en) * 1991-11-15 1993-08-24 Delphax Systems Finger driver and printer
JPH0595758U (ja) * 1992-06-01 1993-12-27 マックス株式会社 ドットマトリックスプリンタに於ける異常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345A (ko) 2000-09-15
BR9714132A (pt) 2000-02-29
EP0963851A4 (en) 2000-03-01
WO1998024633A1 (fr) 1998-06-11
EP0963851A1 (en) 1999-12-15
CN1239917A (zh) 1999-12-29
CN1122604C (zh) 2003-10-01
AU5068398A (en) 199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9284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voltage
JP3395952B2 (ja) 電気自動車用組み電池の電圧検出装置
KR100480911B1 (ko) 전지전압 측정장치
JP2004090500A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のヘッド駆動装置
US10800169B2 (en) Print head and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CN101654022B (zh) 曝光装置、发光装置、图像形成装置以及故障诊断方法
US4625220A (en) Monitoring apparatus for liquid jet recording head
EP0446829A2 (en) Light emitter array diagnostic apparatus
US5198833A (en) Variable density ink-jet dot printer
KR100349052B1 (ko) 헤드결함 검출장치 및 그의 방법
JP3226161B2 (ja) 組み電池の電圧検出装置
KR100193704B1 (ko) 정전기록장치 및 정전잠상 측정장치
EP0615221A2 (en)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US20020109414A1 (en) Capacitive load driving uni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same
US5239318A (en) Finger driver and printer
US5380975A (en)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US4438444A (en) Multi-stylus head
EP0751003B1 (en) Printing apparatus using detachable printing head
JP3259370B2 (ja) コンデンサの絶縁抵抗測定装置
US20020041190A1 (en) Current measuring method and current measuring apparatus
JP2005098235A (ja) 容量放電点火装置
JPS58136451A (ja)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駆動方式
EP0779153A2 (en) Electrostatic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jecting ink using electric fields
JP2003211665A (ja) インクジェット式プリンタのヘッド駆動装置
JPH10157188A (ja) 静電記録ヘッド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