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665B1 -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665B1
KR100348665B1 KR1020000035420A KR20000035420A KR100348665B1 KR 100348665 B1 KR100348665 B1 KR 100348665B1 KR 1020000035420 A KR1020000035420 A KR 1020000035420A KR 20000035420 A KR20000035420 A KR 20000035420A KR 100348665 B1 KR100348665 B1 KR 100348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handle
shape
edge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165A (ko
Inventor
김용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렉스
Priority to KR102000003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6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은,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일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를 길이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호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근접하는 부위의 상면에 양측 분할부 가장자리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레자를 덧대어 고주파 융착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링 형상의 모체 핸들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내피 외면에 대하여 상기 모체 핸들 커버 내면이 밀착 대응하도록 폭 방향으로 인장 굴곡시키는 단계; 및 상호 밀착된 상기 모체 핸들 커버와 내피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덧감을 대어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파지하는 부위에 다수의 융기 돌기가 형성됨에 의해 핸들링의 운전자의 손에서 땀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도 촉감이 우수하여 핸들링의 자연스러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 커버{method for formming handle cover of automobile and handle cover thereby}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 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파지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손에 땀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핸들링시 그 향상된 촉감으로 핸들링이 자연스럽도록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 커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에는 조향 장치로써 핸들(Handle)이 구비되고, 운전자는 손으로 핸들을 파지하여 자동차를 운전하게 되고, 이러한 핸들에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파지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른 촉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핸들 커버(1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핸들 커버(10)의 종래 기술구성 및 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12)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길이 방향 양측단부를 상호 대응하여 근접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단부를 재봉선(S)으로 재봉하여 링 형상의 모체 핸들 커버(M)로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모체 핸들 커버(M)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어 핸들(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생략함)의 외측 부위를 깜싸는 형상을 유지하는 일체로 형성된 내피(14)의 외면에 밀착 대응하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체 핸들 커버(M)와 내피(14) 사이에 내피(14)의 외측 부위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돌기부재(18)가 구비되고, 이 돌기부재(18)는 내피(14)의 외측에 밀착되는 모체 핸들 커버(M)의 표면을 돌출된 형상을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후, 상술한 모체 핸들 커버(M)와 내피(14)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상호 마주보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 부위에 소정 폭을 이루며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이루는 덧감(16)을 위치시켜 덧감(16)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재봉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핸들 커버(10)로서 완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가죽(12)의 표면이 비록 돌기부재(18)에 의해 부분적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게 되지만 그 표면이 매끄러워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손 표면과 가죽(12)이 밀착되어 운전자의 손에 땀의 생성을 촉진하게 되고, 이렇게 생성되는 땀은 운전자의 손과 가죽(12)의 표면 사이에서 핸들링시 미끄러짐을 유발하는 등 핸들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운전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보다 많은 힘을 들여 핸들을 파지해야 함으로 운전의 피로가 쌓이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매끄러운 표면을 이루는 가죽(12) 등의 표면은, 여름과 같이 고온 상태에서는 운전자 손의 땀 생성을 더욱 촉진시키게 될 뿐 아니라 겨울 차가운 온도에서는 핸들의 차가운 온도를 운전자의 손에 직접적으로 전달하게 되어 운전자의 손을 마비시키는 등 핸들링을 부자연스럽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핸들 부위를 파지함에 있어서, 그 촉감을 향상시키도록 할 뿐 아니라 핸들을 파지하는 손의 표면에 공기의 유동이 있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름 등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도 운전자의 손에 땀이 매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핸들링의 미끄러짐이 없이 정확한 핸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핸들을 자연스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줄이도록 하고, 겨울 등 차가운 핸들을 파지함에 있어서도 핸들의 차가운 기운이 운전자의 손에 전달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도록 하여 운전자의 손 마비 증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핸들링이 이루어진도록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핸들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핸들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커버의 제조 과정에 따른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들 커버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핸들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분할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모체 핸들 커버와 내피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각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핸들 커버 12: 가죽
14: 내피 16: 덧감
18: 돌기부 32: 융기 돌기
34: 분할부 36: 레자
38a, 38b: 고주파 주사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은,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를 길이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호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근접하는 부위의 상면에 양측 분할부 가장자리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레자를 덧대어 고주파 융착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링 형상의 모체 핸들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내피 외면에 대하여 상기 모체 핸들 커버 내면이 밀착 대응하도록 폭 방향으로 인장 굴곡시키는 단계; 및 상호 밀착된 상기 모체 핸들 커버와 내피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덧감을 대어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부는 연질 PVC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구성은,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와; 상호 근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의 일면에 덧대는 형상으로 접합되어 이웃하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시키는 레자와;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며, 외측에 상기 레자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분할부가 링 형상을 이룸에 따른 모체 핸들 커버의 내면이 밀착됨으로써 폭 방향 중심 가장자리 부위가 링 형상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내피와; 상기 모체 핸들 커버와 내피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상호 접합된 상태로 있도록 고정하도록 제봉되는 덧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자동차용 핸들커버의 제조방법은,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를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내피 외면을 따라 연속하여 밀착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할부와 상기 내피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덧감을 대어 제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구성은,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가 모체 핸들 커버의 내면이 밀착됨으로써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가 링 형상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내피의 외면을 따라 접합되고,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덧감이 상기 분할부와 내피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다라 제조되는 핸들 커버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핸들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분할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모체 핸들 커버와 내피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각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취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외측 표면에 복수개의 분할된 형상으로 융기 돌기(32)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핸들 커버(30)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32)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34)가 상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루도록 근접 배치되고, 상호 이웃하는 분할부(34)의 융기 돌기(32)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대응하여 소정의 레자(36)를 포개는 형상으로 덧대어 밀착된 상태로 있게 한다.'이러한 상태에서 레자(36)의 상·하측에서 고주파 주사기(38a, 38b)를 대응 위치시켜 가압함과 동시에 고주파 파워를 인가하게 됨에 따라 양측 분할부(34)는 상호 연결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정 개수의 분할부(34)는 레자(36)의 접합됨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링 형상을 이루는 모체 핸들 커버(M)로 형성된다.
한편, 이렇게 형성된 모체 핸들 커버(M)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생략함)의 외측 소정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내피(14) 외면에 밀착 대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체 핸들 커버(M)는 내피(14)의 형상과 같이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가 링 형상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모체 핸들 커버(M)와 내피(14)는, 상호 소정의 접착제수단을이용하여 접합된 상태로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모체 핸들 커버(M)와 내피(14)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호 접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덧감(16)이 제봉됨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핸들 커버(30)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분할부(34)의 재질은 그 유연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연질 PVC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질 PVC 재질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의 분할부(34)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융기 돌기(32)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융기 돌기(32)의 형성됨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일체의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없고 분할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형성되는 융기 돌기(32)는 돌출된 길이 정도와 그 개수에 의해 파지하는 운전자의 촉감을 부드럽게 형성할 뿐 아니라 운전자의 손 표면에 대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운전자의 손에 땀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핸들 커버는,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를 형성하고, 이들 분할부를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내피 외면을 따라 연속하여 밀착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또는 소정의 접착제수단을 이용하여 접합시키게 된다.
이후 상술한 분할부와 상기 내피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덧감을 대어 고주파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거나 제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핸들 커버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도면은 상술한 기술에 의해 충분히 예측 가능한 관계로 도면 및 그에 따른 도면 부호를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핸들 부위를 파지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손에 다수의 융기 돌기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그 촉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융기 돌기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핸들을 파지하는 손의 표면에 공기의 유동이 있게 되어 손에 땀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 땀이 생성되어도 이들 땀이 융기 돌기 사이로 스며들게 되어 핸들을 파지하는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핸들링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효과는 특히 여름 등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보다 증대되고, 이를 통해 운전자는 핸들을 자연스럽게 파지게 되어 피로를 줄이게 되며, 겨울 등 차가운 핸들을 파지함에 있어서도 융기 돌기가 이루는 간격에 의해 핸들의 차가운 기운이 운전자의 손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됨에 따라 운전자의 손 마비 증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핸들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를 길이 방향으로 나열하여 상호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근접하는 부위의 상면에 양측 분할부 가장자리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레자를 덧대어 고주파 융착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링 형상의 모체 핸들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내피 외면에 대하여 상기 모체 핸들 커버 내면이 밀착 대응하도록 폭 방향으로 인장 굴곡시키는 단계; 및
    상호 밀착된 상기 모체 핸들 커버와 내피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덧감을 대어 재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연질 PVC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자는 합성수지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 제조방법.
  4.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와;
    상호 근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의 일면에 덧대는 형상으로 접합되어 이웃하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시키는 레자와;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며, 외측에 상기 레자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분할부가 링 형상을 이룸에 따른 모체 핸들 커버의 내면이 밀착됨으로써 폭 방향 중심 가장자리 부위가 링 형상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내피와;
    상기 모체 핸들 커버와 내피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상호 접합된 상태로 있도록 고정하도록 제봉되는 덧감;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5.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분할부를 소정의 강성을 가지며 핸들의 가장자리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내피 외면을 따라 연속하여 밀착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할부와 상기 내피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덧감을 대어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외면에 대한 상기 분할부의 접합은, 고주파 주사기를 l용하여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 제조방법.
  7.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중심 부위에 다수개의 융기 돌기를 갖는 복수개의 분할부가 모체 핸들 커버의 내면이 밀착됨으로써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가 링 형상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내피의 외면을 따라 접합되고,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덧감이 상기 분할부와 내피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KR1020000035420A 2000-06-26 2000-06-26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커버 KR100348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420A KR100348665B1 (ko) 2000-06-26 2000-06-26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420A KR100348665B1 (ko) 2000-06-26 2000-06-26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165A KR20020001165A (ko) 2002-01-09
KR100348665B1 true KR100348665B1 (ko) 2002-08-13

Family

ID=1967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420A KR100348665B1 (ko) 2000-06-26 2000-06-26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591B1 (ko) * 2002-04-10 2005-03-28 강오영 자동차 핸들커버용지의 제조방법
KR100963156B1 (ko) * 2008-01-22 2010-06-15 이성훈 자동차용 핸들커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165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5649Y2 (ko)
CN111204370B (zh) 方向盘
US3588171A (en) Cycle saddle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0348665B1 (ko)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핸들커버
JP2001106090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2171551A (ja) ハンドル
JPH085115Y2 (ja) 二輪車等のハンドルのグリップヒーター装置
KR200340657Y1 (ko) 차량용 핸들커버
KR20110001163U (ko)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핸들커버 제조방법
JPS6334059B2 (ko)
KR200269605Y1 (ko) 자동차용 핸들커버
KR200393449Y1 (ko) 에어 통로가 형성된 핸들커버
JPH0145090Y2 (ko)
JP2022067875A (ja) ハンドル
KR200404935Y1 (ko) 자동차 핸들커버
JPH03227760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操作レバー
KR880000562Y1 (ko) 트자동차의 핸들카바
JP2000154414A (ja) かつら枠
JPH0210961Y2 (ko)
JP3085886U (ja) ファイル用綴じ具及びファイル
JPH038077U (ko)
KR200412404Y1 (ko) 보조손잡이를 갖춘 자동차의 핸들커버
JP3066213U (ja) ヘアバンド
KR200186012Y1 (ko) 착탈식 핸들커버
JPH10250588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カバー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