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253B1 -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253B1
KR100348253B1 KR1019990051718A KR19990051718A KR100348253B1 KR 100348253 B1 KR100348253 B1 KR 100348253B1 KR 1019990051718 A KR1019990051718 A KR 1019990051718A KR 19990051718 A KR19990051718 A KR 19990051718A KR 100348253 B1 KR100348253 B1 KR 10034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data
decoding
variable length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474A (ko
Inventor
정춘석
김계수
허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2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복호화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 장치는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일정 임계값이상으로 채워질 경우 그에 따른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버퍼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복호를 위한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를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버퍼부에서 경고 신호가 발생할 경우 로딩 신호를 출력하고 이 로딩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TR 코드에 상기 제공된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의 동기를 맞추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 구성되므로써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 버퍼부의 오동작에 의한 복호 장치의 동작 중단을 방지하여 복호화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Image de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복호화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술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인 차세대 이동 통신(IMT-2000)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차세대 이동 통신이 종래 이동 통신과는 달리 광대역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때 차세대 이동 통신을 위해 개발중인 이동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부호 및 복호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로 구성되는 비디오 코덱(Video codec)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며 이 비디오 코덱에 관한 기술 표준은 ITU-T의 H.263에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주목하는 것은 복호화기이므로 지금부터는 ITU-T의 H.263에 정의된 복호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호화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복호화기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버퍼부(100)와, 버퍼부(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헤더 정보와 데이터로 구분하여 시스템 제어부(103) 및 소스 복호화부(102)로 전송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Variable Length Decoder, VLD)(101)와,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시 동기 및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103)와, 가변길이 복호화기(101)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복호화하는 소스 복호화부(10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호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버퍼부(100)는 채널(미도시) 또는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로부터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변길이 복호화기(101)로 전송하고, 가변길이 복호화기(101)는 시스템 제어부(103)에서 제공하는 GOB_START 신호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GOB 단위로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데이터를 소스 복호화부(102)로 전송한다.
여기서 AFULL 신호는 버퍼부(100)가 임계값이상으로 채워졌음을 알리는 신호이고, AEMPTY 신호는 버퍼부(100)가 임계값이하로 비어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며, REQUEST 신호는 가변길이 복호화기(101)가 버퍼부(100)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3)에서 가변길이 복호화기(101)로 제공하는 FSO 신호는 초당 프레임율이 29.97fps 인 신호로서 송신기의 부호화기(미도시)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할 때 비트율 제어 및 시간 참조시 사용한 부호화 신호와 동일한 신호이고, FSR 신호는 가변길이 복호화기(101)가 FSO 신호에 동기되어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를 시작함을 알리는 신호이며, GOB_START 신호는 가변길이 복호화기(102)가 GOB 단위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도록 시스템 제어부(103)에서 제공하는 동기 신호이다.
도 2는 도 1에 보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제어부는 TR 코드를 복호하는 TR 복호화기(200)와, FSO 신호를 카운트하는 FSO 카운터(201)와, 복호화된 TR 코드값과 FSO 카운터(201)의 출력 값을 비교하는 비교기(202)로 구성된다.
여기서 TR 복호화기(200)는 버퍼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TR 코드를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FSO 카운터(201)는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FSO 신호를 카운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호화기는 부호화기(미도시)와 동기를 이루어 영상 데이터를 복호해야 하므로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부호화기와의 비트율 제어를 맞추기 위해서 영상 데이터로부터 시작 코드(START CODE)와 TR 코드(Temporal Reference code, 이하 TR 코드로 약칭함)를 찾아 TR 복호화기(200)를 통해 TR 코드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FSO 신호를 FSO 카운터(201)를 통해 카운트한 후 복호화된 TR 코드값과 FSO 카운터(201)로부터 출력되는 FSO 신호의 카운팅값을 비교하여 동일하면 시스템 제어부로 FSR 신호를 발생하고, 서로 다르면 VLD_STOP 신호를 발생하여 동작을 중단한다. 이때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복호화된 TR 코드값과 FSO 카운터(201)의 출력값이 같을 때까지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FSO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는 가변길이 복호화기로부터 FSR 신호가 수신되면, 영상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GOB_START 신호를 발생하고,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GOB_START 신호에 동기되어 GOB 단위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복호화기는 버퍼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버퍼부의 오동작에 의해 가변길이 복호화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영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면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정상적인 TR 코드 및 시작 코드를 검출하지 못하고 부호화기와 동기를 이루지 못하므로써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동작을 중단하게 되고 그에 따라 버퍼부가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채워지거나 또는 비게되므로써 정상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호화기를 이동 단말기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이동 통신의 특성상 무선 채널상에서 영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므로 사용자에게 낮은 품질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에러가 발생된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복호화하는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영상 복호 장치는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일정 임계값이상으로 채워질 경우 그에 따른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버퍼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복호를 위한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를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버퍼부에서 경고 신호가 발생할 경우 로딩 신호를 출력하고 이 로딩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TR 코드에 상기 제공된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의 동기를 맞추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로 구성된다.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영상 복호 방법은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가변길이 복호화기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부호화시 사용된 TR 코드(Temporal Reference cede)를 검출하는 단계와, 버퍼부로부터 자신이 일정 임계값이상으로 채워졌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가 발생할 경우 상기 가변길이 복호화기가 상기 검출된 TR 코드에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의 동기를 맞추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호화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보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제어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동작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퍼부 101 : 가변길이 복호화기
102 : 소스 복호화부 103 : 시스템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러가 발생된 영상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효율적으로 복호화하는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호 장치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정상적인 TR 코드 및 시작 코드를 검출하지 못하여 버퍼부가 일정 임계값 이상으로 채워질 경우에는 검출된 TR 코드에 동기를 맞추어 복호화를 수행하며, 버퍼부가 일정 임계값 이상으로 비게 되는 경우에는 가변길이 복호화기를 초기화하여 복호화 동작을 중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의 형태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의 종류와 그에 따른 복호화기의 오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첫 번째는 영상 데이터의 시작 코드(START CODE)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영상 데이터의 TR 코드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 번째는 시작 코드와 TR 코드를 제외하고 나머지 헤더 정보와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형태의 에러에 따라 복호화기의 버퍼부가 일정 임계값 이상으로 채워지거나 또는 비게되어 복호화기는 정상적인 복호화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첫 번째의 경우와 같이 시작 코드에 에러가 발생하면 정확한 TR 코드를 검출할 수 없다. 이는 복호화기가 시작 코드와 TR 코드를 검출하여 그에 따라 부호화기와 동기를 이루어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을 고려해볼때 검출한 TR 코드가 정상적인 TR 코드에 비하여 큰 차이를 갖게 되는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중단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정상적인 TR 코드가 '2'이고 검출한 TR 코드가 '100' 이라면 복호화기는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FSO 신호를 카운팅한 값이 '100'이 될 때까지 복호화 동작을 중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FSO 신호가 '100'이 될 때까지 버퍼부에는 영상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채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버퍼부가 FULL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편 시작 코드가 완전히 깨어진 경우에는 해당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을 버리게 된다.
두 번째로 TR 코드에 에러가 발생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퍼부가 FULL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세 번째로 헤더 정보와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면 영상 데이터에서 해당 GOB 부분을 복호화할 수 없어 영상 데이터가 깨지게 된다.
한편 버퍼부가 일정 임계값 이상으로 비게되는 상황 즉, EMPTY 되는 상황은 복호화기에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시간과 버퍼부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간과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즉 시스템 특성상 복호화기가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시간이 버퍼부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간보다 빠르므로 버퍼부는 시스템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한 FSO 신호의 영상 프레임 복호 기간 내에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모두 복호화기로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의 영상 데이터의 에러에 따라 버퍼부는 FULL 되거나 또는EMPTY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기는 이러한 버퍼부의 두 가지 에러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버퍼부가 FULL되는 상황에 대한 복호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검출된 TR 코드를 로딩하기 위한 로딩 신호를 출력하는 AND 게이트(301)와, AND 게이트(301)로부터 출력되는 로딩 신호에 따라 검출된 TR 코드를 입력받아 이를 FSO 신호의 카운팅 값으로 출력하는 FSO 카운터(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부호화기(미도시)와 동일한 주기를 갖는 FSO 신호의 카운팅값과 부호화기에서 부호화시 사용된 데이터율 제어를 나타내는 TR 코드가 서로 동일해지는 시점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시작한다.
이때 정상적인 TR 코드를 '2'로 가정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TR 코드가 '100'이었을 경우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FSO 신호의 카운팅값이 '100'이 될 때까지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복호를 중단하게 되고 그에 따라 버퍼부에는 영상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채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버퍼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버퍼부로부터 일정 임계값 이상으로 채워져서 채워졌음을 나타내는 AFULL 신호가 발생되면 AFULL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FSO 신호에 동기되어 검출된 TR 코드를 FSO 카운터(302)로 자동 로딩(Loading)한다.
즉,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자체적으로 FSO 카운터(302)에 검출된 TR 코드값 '100'을 자동으로 로딩하여 FSO 카운터(302)에서 출력하는 FSO 신호의 카운팅값과 검출된 TR 코드값이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FSO 카운터(302)의 출력값과 검출된 TR 코드가 서로 동일하므로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복호화 동작을 시작하고 그에 따라 버퍼부가 FULL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버퍼부로부터 AFULL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한 FSO 신호 중에서 영상 프레임 처리 주기내에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모두 복호화해야 하므로 버퍼부는 한 FSO 신호의 영상 프레임 처리 주기동안 자신에게 입력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양 만큼의 공간이 남는 시점에 AFULL 신호를 가변길이 복호화기로 발생한다.
지금부터는 버퍼부가 EMPTY되는 상황에 대한 복호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영상 프레임의 형식을 선택하는 먹스(MUX)(400)와, 선택된 영상 프레임의 형식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GOB_START 신호를 카운팅하는 제 1 카운터(401)와, 다음 영상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찾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제 2 카운터(403)와, 다음 영상 프레임의 PSC 코드가 검출되면 출력 신호를 내는 플립플롭(402)과, 제 1 카운터(401) 및 제 2 카운터(403) 그리고 플립플롭(40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초기화 신호(RESET signal)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AND 게이트(404) 및 제 2 AND 게이트(4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버퍼부에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고 버퍼부는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요구에 따라 일정 단위(예를 들면 24비트)의 영상 데이터들을 모아서 병렬로 가변길이 복호화기로 전송한다.
이때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FSO 신호를 받고 나면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시작 코드와 TR 코드를 찾은 후 동작을 일시 중단한다. 그리고, FSO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FSO 신호의 카운팅값과 검출된 TR 코드 값이 동일해지면 시스템 제어부로 FSR 신호를 보내고,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영상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일정 시간 단위로 제공되는 GOB_START 신호에 따라 GOB 단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한 FSO 신호의 영상 프레임 처리 주기내에 해당 영상 프레임의 복호화를 모두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복호화기의 특성상 버퍼부에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속도보다 가변길이 복호화기가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버퍼부가 비게되는 EMPTY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한 FSO 신호의 영상 프레임 처리 주기내에 해당 영상 프레임을 모두 복호화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영상 데이터의 형식(사이즈)에 따른 마지막 GOB_START 신호의 수신이후 다음 영상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찾는 소정 시간동안에 다음 영상 프레임의 PSC 코드와 TR 코드를 찾지 못할 경우에는 초기화 신호(RESET signal)를 발생하여 자동 초기화된다.
이어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버퍼부로 자신이 초기화되었음을 알리고 버퍼부가 일정 임계값까지 채워지기를 기다린다. 이어 버퍼부가 일정 임계값으로 채워지는 시점 즉, 복호화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영상 데이터가 버퍼부에 채워지는 시점이 되면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버퍼부에 채워진 영상 데이터 중에서 다음 영상 프레임의 PSC 코드와 TR 코드를 찾아 복호화를 시작한다.
이때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초기화시 복호화하지 못한 나머지 영상 프레임은 버리고 다음 영상 프레임의 PSC 코드와 TR 코드를 찾아 다음 영상 프레임을 복호화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먹스(400)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형식을 선택하여 그 정보를 제 1 카운터(401)로 제공하고, 제 1 카운터(401)는 먹스(400)에서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일정 시간 단위로 제공되는 GOB_START 신호를 카운팅하여 마지막 GOB_START 신호가 카운팅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제 2 카운터(403)는 마지막 GOB_START 신호가 카운팅된 이후부터 클럭을 카운팅하여 다음 영상 프레임의 헤더 정보 찾는데 소요되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플립플롭(402)은 다음 영상 프레임의 PSC 코드와 TR 코드를 검출하면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제 1 AND 게이트(404)와 제 2 AND 게이트(404)는 제 1 카운터(401), 제 2 카운터(403) 및 플립플롭(402)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변길이 복호화기에 대한 초기화 신호(RESET signal)를 발생한다.
이때 제 2 AND 게이트(405)는 제 1 카운터(401)와 제 2 카운터(403)로부터는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플립플롭(402)으로부터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초기화 신호(RESET signal)를 발생한다.
여기서 먹스(400)를 통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형식이 SQCIF일 경우에는 영상 프레임의 GOB가 6개 이므로 마지막 GOB_START 신호는 7 번째가 되며, QCIF일 경우에는 GOB가 9개 이므로 마지막 GOB_START 신호는 10 번째가 되고, CIF일 경우에는 GOB가 18개 이므로 마지막 GOB_START 신호는 19번째가 된다.
그리고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영상 프레임의 복호화시 다음 영상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미리 검출하므로 전술한 다음 영상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찾는 시간은 다음 영상 프레임의 PSC 코드를 찾는데 5 사이클, TR 코드를 찾는데 8 사이클 그리고 버퍼부에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5 사이클을 합하여 18 사이클이 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길이 복호화기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FSO 신호 중 영상 프레임 처리 주기동안 시스템 제어부는 영상 프레임의 형식에 따른 소정 개수의 GOB_START 신호를 발생하고,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다음 영상 프레임의 헤더 정보인 PSC 코드와 TR 코드를 미리검출한다. 이때 가변 길이 복호화기는 마지막 GOB_START 신호이후 18 사이클 동안 다음 영상 프레임의 PSC 코드와 TR 코드를 찾지 못하면 자동 초기화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 버퍼부의 오동작에 의한 복호 장치의 동작 중단을 방지하므로써 복호화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 장치는 무선 환경의 특성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이동 단말기에 적용하기에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영상 복호 장치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일정 품질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일정 임계값이상으로 채워질 경우 그에 따른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버퍼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복호를 위한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를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버퍼부에서 경고 신호가 발생할 경우 로딩 신호를 출력하고 이 로딩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TR 코드에 상기 제공된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의 동기를 맞추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 복호화기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GOB 단위로 복호하기 위한 제 2 복호화 신호(GOB_START signal)를 모두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다음 영상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자동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 장치.
  4.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가변길이 복호화기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부호화시 사용된 TR 코드(Temporal Reference cede)를 검출하는 단계와,
    버퍼부로부터 자신이 일정 임계값이상으로 채워졌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가 발생할 경우 상기 가변길이 복호화기가 상기 검출된 TR 코드에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 1 복호화 신호(FSO signal)의 동기를 맞추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 방법.
KR1019990051718A 1999-11-20 1999-11-20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 KR100348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718A KR100348253B1 (ko) 1999-11-20 1999-11-20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718A KR100348253B1 (ko) 1999-11-20 1999-11-20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474A KR20010047474A (ko) 2001-06-15
KR100348253B1 true KR100348253B1 (ko) 2002-08-09

Family

ID=1962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718A KR100348253B1 (ko) 1999-11-20 1999-11-20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2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523B1 (ko) * 1995-10-12 1999-09-01 윤종용 엠펙 비디오 복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523B1 (ko) * 1995-10-12 1999-09-01 윤종용 엠펙 비디오 복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474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8330B1 (en) Oam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EP0828392B1 (en) Picture coder, picture decoder, and picture transmission system
US8762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ower control in a multi-lane communication channel
US9585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dynamic encoding rates for mobile devices
JP4516016B2 (ja) 予測基準値用並びに表示用ピクチャのバッファ処理
KR0134299B1 (ko) 가변장디코딩장치의 동기 복원방법 및 장치
EP3675398B1 (en) Check code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8259802B2 (en) Reference pictures for inter-frame differential video coding
JPH06237451A (ja) 動画通信方式および端末装置
US5566192A (en) Variable-length decoder for bit-stuffed data
US20060088109A1 (en) Header-estimating moving picture receiving apparatus and output apparatus
US6005872A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ing digital decoder and encoder clocks
KR20050121067A (ko) 무선 채널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무선 통신 방법
US20080112438A1 (en) Mpeg-2 transport stream packet synchronizer
KR100348253B1 (ko) 영상 복호 장치 및 방법
US5847779A (en) Synchronizing a packetized digital datastream to an output processor in a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CN110312159B (zh) 一种信号接收装置、流媒体传输系统及流媒体传输方法
JPH1118071A (ja) スロー再生システム
JP3090710B2 (ja) Atm伝送システム
KR0139163B1 (ko) 가변장복호화과정에 적용하는 동기맞춤장치
JPH11317946A (ja) 画像通信方法、画像通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S60154752A (ja) テレビジヨン信号の符号化復号化装置
KR100205037B1 (ko) 가변 길이를 갖는 피.이.에스에 대한 운송 스트림 계층의 동기장치
KR0176948B1 (ko) 이중클럭을 가진 엠펙 ii 복호화기의 클럭 동기화 장치
WO1995034990A1 (en) Synchronizing a packetized digital datastream to an output processor in a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