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056B1 -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056B1
KR100348056B1 KR1019990067424A KR19990067424A KR100348056B1 KR 100348056 B1 KR100348056 B1 KR 100348056B1 KR 1019990067424 A KR1019990067424 A KR 1019990067424A KR 19990067424 A KR19990067424 A KR 19990067424A KR 100348056 B1 KR100348056 B1 KR 10034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retainer
bolt fastening
fastening hole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887A (ko
Inventor
오희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0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트라이커와 아우터 필라 판넬 및 보강재가 연통하여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통하여 고정되고 타측면이 상기 보강재에 부착되며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천공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부의 가장자리부에는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단차를 둔 절곡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한편, 리테이너와 보강재를 체결하기 위해 별도로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MOUNTING STRUCTURE OF STRIKER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라이커의 설치위치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한편, 스트라이커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승용차의 경우 모노코크 프레임을 사용함과 아울러 여기에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바디의 골격을 이루는 모노코크 프레임에 회전되는 부품인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부착하여 바디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 중, 차체 및 도어에는 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데, 이러한 도어개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B)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0)와, 도어(D)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10)에 걸림부를 걸어 도어(D)를 록킹하거나 상기 걸림부를 스크라이커(10)로부터 이탈시켜 도어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와, 이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에 아우터 핸들 로드로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며 도어(D)의 외측 즉, 실외측에 부착 설치되는 아우터 도어 핸들(30) 및, 상기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에 이너 핸들 로드로 연결되어 이를 동작시키며 도어(D)의 내측 즉, 실내측으로 부착 설치되는 이너 도어 핸들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라이커(Striker; 10)는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와 루프의 중간에 위치하여 차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설치되는 아우터 필라 패널(Outer Pillar Panel; 11)에 부착되며, 그 설치 구조는 하기와 같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스트라이커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방향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스트라이커(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소정 직경(α)의 볼트체결공(10a, 10b)이 형성되어 있고, 아우터 필라 패널(11)에도 상기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연통되는 소정 직경(β)의 볼트체결공(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필라 패널(11)의 배면부에는 상기 아우터 필라 패널의 볼트체결공(11a, 11b)과 연통되는 소정 직경(β)의 볼트체결공(12a, 12b)이 형성된 보강재(Reinforce; 12)가 용접된다.
상기 보강재(12)의 배면에는, 상기 보강재의 볼트체결공(12a, 12b)과 연통되는 소정 직경(α)의 볼트체결공(13a, 13b)이 상단 및 하단에 각기 형성된 리테이너(Retainer; 13)와, 일측 선단이 상기 리테이너(13)에 용접되고 타측 선단이 상기 보강재(12)에 용접되며 상기 일측선단과 상기 타측 선단의 사이에 "∩"형태의 절곡부가 절곡 형성된 브라켓(14)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볼트(15)를 상기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아우터 필라 패널의 볼트체결공(11a, 11b)과 보강재의 볼트체결공(12a, 12b)과 리테이너의 볼트체결공(13a, 13b)을 관통하여 너트(16)로 고정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는 아우터 필라 패널(11)에 고정 장착된다.
조립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10)를 아우터 필라 패널(11)에 고정 장착한 상태에서 고무망치를 이용해 스트라이커(10)를 상하좌우의 방향에서 조금씩 두들김으로써 그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스트라이커(10)가 도어 래치 어셈블리(20)와 정확하게 맞물려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리테이너의 볼트체결공(13a, 13b)의 직경(α)은 볼트(15)의 직경(α)과 동일하게 되어 있고, 아우터 필라 패널의 볼트체결공(11a, 11b)과 보강재의 볼트체결공(12a, 12b)의 직경(β)은 상기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리테이너의 볼트체결공(13a, 13b)의 직경(α)보다 소정의 조정간격(γ)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는 바, 고무망치로 스트라이커(10)를 두들겨 줄 경우 스트라이커(10)와 리테이너(13)를 통해 브라켓(14)으로 힘이 전달되어 브라켓(14)의 절곡부가 휘면서 상기 조정간격(γ)내에서 상기 스트라이커(10)와 리테이너(13)의 위치가 변경 조정된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의 절곡부가 좌우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대해서는 쉽게 변형이 되는 반면에 상하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대해서는 쉽게 변형되지 않아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미세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는 부위가 상하좌우의 방향으로 쉽게 변형되어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상하좌우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라이커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방향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방향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트라이커 11: 아우터 필라 패널
12: 보강재 15: 볼트
16: 너트 100: 리테이너
110: 절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는,스트라이커와 아우터 필라 판넬 및 보강재가 연통하여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통하여 고정되고 타측면이 상기 보강재에 부착되며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천공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부의 가장자리부에는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단차를 둔 절곡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배면도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스트라이커(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소정 직경(α)의 볼트체결공(10a, 10b)이 형성되어 있고, 아우터 필라 패널(11)에도 상기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연통되는 소정 직경(β)의 볼트체결공(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필라 패널(11)의 배면부에는 상기 아우터 필라 패널의 볼트체결공(11a, 11b)과 연통되는 소정 직경(β)의 볼트체결공(12a, 12b)이 형성된 보강재(12)가 용접된다.
상기 보강재(12)의 배면부에는, 그 일측면(101)에 상기 보강재의 볼트체결공(12a, 12b)과 연통되는 소정 직경(α)의 볼트체결공(100a, 100b) 및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위한 공구용 구멍(Tooling Hall; 100c)이 형성되고 너트(116)가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타측면(102)이 상기 보강재(12)에 용접되는 리테이너(100)가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100)에는 상기 일측면(101)과 상기 타측면(102)의 사이에 천공부(103)가 천공되어 양측 가장자리부(103, 104)가 쉽게 휘어져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103, 104) 중 상기 일측면(101)과 타측면(102)과의 연결부위에는 단차를 둔 절곡부(110)가 다단으로 절곡 형성되어 휘어짐이 더욱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트(15)를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아우터 필라 패널의 볼트체결공(11a, 11b)과 보강재의 볼트체결공(12a, 12b)과 리테이너의 볼트체결공(100a, 100b)를 관통하여 리테이너의 너트(116)에 고정함으로써, 스트라이커(10)는 아우터 필라 패널(11)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공정에서, 볼트(15)를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아우터 필라 패널의 볼트체결공(11a, 11b)과 보강재의 볼트체결공(12a, 12b)과 리테이너의 볼트체결공(100a, 100b)을 관통하여 리테이너의 너트(116)에 고정한 다음, 스트라이커(10)를 상하좌우의 방향에서 두들기면서 스트라이커(10)와 도어 래치 어셈블리(20)가 맞물리는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여기서,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리테이너의 볼트체결공(100a, 100b)의 직경(α)은 볼트(15)의 직경(α)과 동일하도록 되어 있고, 아우터 필라 패널의 볼트체결공(11a, 11b)과 보강재의 볼트체결공(12a, 12b)의 직경(β)은 상기 스트라이커의 볼트체결공(10a, 10b)과 리테이너의 볼트체결공(100a, 100b)의 직경(α)보다 소정의 조정간격(γ)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는 바, 고무망치로 스트라이커(10)를 상하좌우의 방향으로 두들겨 줄 경우 스트라이커(10)로부터 볼트(15)를 매개로 리테이너(100)로 힘이 전달되고 리테이너(100)의 양측 가장자리부(104, 105)가 힘이 전달되어오는 방향에 따라 휨 변형되어 스트라이커(10)의 위치가 상기 조정간격(γ)의 내에서 조정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100)에 천공부(10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그 양측 가장자리부(104, 105)는 스트라이커(10)로부터 전달되어오는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며, 특히,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104, 105) 중 4방향의 절곡부(110)는 단차로 인해 더욱 쉽게 휘어지므로, 스트라이커(10)의 장착위치를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리테이너(100)의 일측면(101)은 볼트(104)에 의해 체결되고 타측면(102)은 보강재(12)에 용접되므로 종래와 같이 리테이너를 보강재에 체결하기 위해 별도의 브라켓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부품수가 절감되며, 리테이너(100)의 용접점이 단수이므로 종래와 같이 브라켓과 보강재 그리고 브라켓과 리테이너 이렇게 두점을 용접하는데 비해 용접작업이 단순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가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의 일측면이 고정부재에 직접 부착되는 바, 리테이너와 보강재를 체결하기 위해 별도로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의 용접점이 단수인 바, 종래에 리테이너를 보강재에 체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브라켓의 양쪽면을 용접하는 것에 비해 용접점이 감소하여 작업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트라이커와 아우터 필라 판넬 및 보강재가 연통하여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통하여 고정되고 타측면이 상기 보강재에 부착되며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에 천공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부의 가장자리부에는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단차를 둔 절곡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장자리부 중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다단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KR1019990067424A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KR10034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424A KR100348056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424A KR100348056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87A KR20010059887A (ko) 2001-07-06
KR100348056B1 true KR100348056B1 (ko) 2002-08-09

Family

ID=1963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424A KR100348056B1 (ko) 1999-12-30 1999-12-30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0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87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401B2 (en) Vehicle part mounting structure
KR100348056B1 (ko)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EP1148187B1 (en)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EP1285844A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exterior part
JP4021821B2 (ja) ドアストライカの取り付け構造
KR20010001434U (ko) 차량의 스트라이커 설치구조
JPH06171366A (ja) 自動車のドア
KR20000070613A (ko) 자동차 도어 모듈
KR100348050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채널 장착구조
KR200197872Y1 (ko) 차량용 루프패널의 보강구조
JP2599271Y2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
KR0173357B1 (ko) 차량의 후드 개방레버 장착 브라켓
KR200188442Y1 (ko) 자동차용 리어부 보강구조
JPS6357324A (ja) 自動車のドア及びその組立方法
JPH066979Y2 (ja) ル−フリンホ−ス取付構造
JPH07112778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0177258B1 (ko) 차량용 거싯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0125323B1 (ko) 차체의 사이드 임팩트 강화구조
JPS6344301Y2 (ko)
JPS6353186A (ja) 自動車のドアの組立方法
JPH10329543A (ja) サイドドアのインパクトビーム構造
KR20030040669A (ko) 자동차용 번호판의 봉인 구조
KR20040029786A (ko) 자동차용 프론트필라부의 보강구조
JP2005188227A (ja) ストライカー取付構造
JPH0999859A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