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802B1 -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 Google Patents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802B1
KR100347802B1 KR1019990032614A KR19990032614A KR100347802B1 KR 100347802 B1 KR100347802 B1 KR 100347802B1 KR 1019990032614 A KR1019990032614 A KR 1019990032614A KR 19990032614 A KR19990032614 A KR 19990032614A KR 100347802 B1 KR100347802 B1 KR 10034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thyl alcohol
acetic acid
sodium hypochlo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800A (ko
Inventor
목기호
Original Assignee
목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기호 filed Critical 목기호
Priority to KR101999003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802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초산으로 이루어진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배합비는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500∼700 중량부, 에틸알코올 240∼470 중량부 및 초산 30∼6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농약성 살균제제로서 콩나물 재배시 호마이등 맹독성 농약을 대체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 이받이 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Germicidal Composition for Seed Dis-infection of Bean Sprout}
본 발명은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초산(Acetic Acid)의 혼합조성물로서 콩나물종자 소독에 쓰이는 살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 재배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점은 부패병 발생으로, 발생원인으로는 종자콩 및 재배용수의 부패세균 오염을 들 수 있다.
종자콩에 부생하는 부패세균의 수는 종자콩 발아율과 부(負)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세균밀도가 증가하면 종자발아율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종자콩에 부생하는 부패세균의 수가 많아지면 발아성장한 콩나물이 부패하여 색택(色擇)이 나빠진다.
콩나물은 색택이 황백색이 바람직한데 부패된 콩나물의 색택은 흑갈색이 된다.
콩나물 부패병을 일으키는 메카니즘을 살펴보면 부패세균이 직접 콩나물조직에 침입하는 것이 아니라 부패세균이 분비하는 독소로 인하여 콩나물조직이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콩나물 재배시에 재배용수 소독을 철저하게 한다 하더라도 종자에 묻어 있는 부패세균이 분비한 독소의 제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종자콩 소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종자콩 소독용 살균조성물로 종자콩에 묻어있는 부패세균을 살균함으로써 종자콩 발아율의 증대 및 색택향상을 기할 수 있다.
종자 소독용 농약으로는 티오파네이트 메틸(Thiophanate Methyl) 50 중량%와 티람(Thiram) 3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티오람 수화제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호마이란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농약관리법에 의하여 그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종자 소독약으로는 농약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비농약성 종자 소독약으로 키토산계, 목탄정유(精油) 및 유산균제제 등이 대체 사용되고 있으나 약효에 있어서 호마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비농약성 종자소독약으로 에틸알코올, 초산 또는 염소제제 등의 단일화합물제제가 쓰이고 있는데 염소제제 이외에는 그렇게 만족할 만한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차아염소산 나트륨등 염소제제는 강력한 산화제이므로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에는 종자콩의 조직을 파괴할 뿐만아니라 재배자의 피부염증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아염소산 나트륨의 일정량을 살균능력을 가진 에틸알코올 및 초산으로 대체하여, 즉 차아염소산 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초산의 3가지 성분을 배합하여 이를 콩나물종자콩 소독용 살균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차아염소산 나트륨은 살균력 및 발아율 등은 우수하나 콩나물종자콩의 조직을 파괴할 뿐만아니라 재배자의 피부염증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그 일정량을 역시 살균능력을 가진 에틸알코올 및 초산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차아염소산 나트륨의 일정량을 에틸알코올로 대체하면 살균력은 만족할 만하나 종자콩 발아율이 저조하고 재배된 콩나물 색택이 나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에틸알코올의 일정량을 초산으로 대체하면 종자 발아율의 증대 및 콩나물 색택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이는 초산이 산도(酸度)를 유지시켜줌으로써 세균의 증식도 억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초산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의 30∼50 중량%를 에틸알코올 및 초산으로 대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배합비는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500∼700 중량부, 에틸알코올 240∼470 중량부 및 초산 30∼60 중량부이다. 더바람직한 배합비는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580∼670 중량부, 에틸알코올 270∼370 중량부 및 초산 45∼55 중량부이다. 더욱 바람직한 배합비는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585 중량부, 에틸알코올 365 중량부 및 초산 5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5∼12%로 희석된 수용액으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배합은 차아염소산 나트륨과 초산을 먼저 혼합한 후 이 혼합물에 에틸알코올을 혼합하는 순서로 한다.
만일, 차아염소산 나트륨과 에틸알코올을 먼저 혼합하면 차아염소산 나트륨이 분해되어 차아염소산 나트륨의 살균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콩나물 재배에 있어서 살균제와 더불어 생장조절제를 함께 사용한다.
대부분의 생장조절제는 옥신(Auxin)과 사이토키닌(Cytokinin)의 혼합물로서 인돌비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데 이 인돌비는 콩나물의 잔뿌리 발생을 막고 줄기를 통통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콩나물 재배는 다음과 같이 하였다.
먼저 수확 후 1년 미만인 국산종자콩 70kg을 지하수에 4시간 침지한 후 건져내어 이를 지하수 20ℓ, 인돌비 300㎖ 및 유효성분 5∼12%인 본 발명의 조성물 300㎖로 이루어진 혼합액에 침지한 후 10분간 방치한 다음, 콩만을 건져내어 재배통에 치상한 후 22℃의 실온에서 4시간 간격으로 30분간 지하수를 살수하여 7일간 콩나물을 재배하였다. 재배한 콩나물 약 50개를 샘플로 채취하여 살균율, 발아율 및 색택을 시험하였다.
지하수의 온도는 18∼20℃이다.
실시예 1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의 제조
6%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 200㎖와 2%의 초산 수용액 50㎖를 먼저 혼합한 후 이 혼합액에 15%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50㎖를 혼합하여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300㎖를 제조하였다.
콩나물종자 소독 및 재배
수확 후 1년 미만인 국산종자콩 70kg을 지하수에 4시간 침지한 후 건져내어 이를 지하수 20ℓ, 인돌비 300㎖ 및 위에서 제조한 살균조성물 300㎖로 이루어진 혼합액에 침지한 후 10분간 방치한 다음, 콩만을 건져내어 재배통에 치상한 후 22℃의 실온에서 4시간 간격으로 30분간 지하수를 살수하여 7일간 콩나물을 재배한 다음 약 50개의 콩나물을 샘플로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표1에서와 같이 세균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아니하였고 발아율은 100%, 색택은 우수하였다.
실시예 2
9%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 200㎖와 3%의 초산 수용액 50㎖를 먼저 혼합한 후 이 혼합액에 15%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50㎖를 혼합하여 콩나물종자 소독용살균조성물 300㎖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 결과 표1에서와 같이 세균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아니하였고 발아율은 100%, 색택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3
4%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 200㎖와 1%의 초산 수용액 50㎖를 먼저 혼합한 후 이 혼합액에 15%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50㎖를 혼합하여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300㎖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 결과 표1에서와 같이 세균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아니하였고 발아율은 95%, 색택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4
12%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 200㎖와 4%의 초산 수용액 50㎖를 먼저 혼합한 후 이 혼합액에 15%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50㎖를 혼합하여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300㎖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 결과 표1에서와 같이 세균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아니하였고 발아율은 90%, 색택은 양호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300㎖ 대신 호마이분말 2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 결과 표1에서와 같이 세균은 120 × 105CFU/㎖, 대장균은 검출되지 아니하였고 발아율은 90%, 색택은 보통이었다.
세균(× 105CFU/㎖) 대장균(× 105CFU/㎖) 발아율(%) 색택
실시예 1 불검출 불검출 100 ×××××
실시예 2 불검출 불검출 100 ××××
실시예 3 불검출 불검출 95 ××××
실시예 4 불검출 불검출 90 ××××
비교예 1 120 불검출 90 ×××
※ 색택은 × 숫자가 많을수록 좋은 것임.
본 발명의 조성물로 콩나물종자를 소독하고 콩나물을 재배한 결과 세균 및 대장균이 검출되지 아니하였고 발아율 및 색택이 양호한 것이 표1에서와 같이 시험결과 밝혀졌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호마이등 농약을 대체할 수 있게 되어 국민건강에 이받이 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삭제
  2.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500∼700 중량부, 에틸알코올 240∼470 중량부 및 초산 30∼60 중량부의 혼합물인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580∼670 중량부, 에틸알코올 270∼370 중량부 및 초산 45∼55 중량부의 혼합물인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순도 100% 기준으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585 중량부, 에틸알코올 365 중량부 및 초산 50 중량부의 혼합물인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5.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차아염소산 나트륨, 에틸알코올 및 초산의 혼합물이 물로 5∼12% 희석된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KR1019990032614A 1999-08-09 1999-08-09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KR10034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614A KR100347802B1 (ko) 1999-08-09 1999-08-09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614A KR100347802B1 (ko) 1999-08-09 1999-08-09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800A KR19990078800A (ko) 1999-11-05
KR100347802B1 true KR100347802B1 (ko) 2002-08-07

Family

ID=3748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614A KR100347802B1 (ko) 1999-08-09 1999-08-09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8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508A (ja) * 1997-09-22 1999-04-06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冷凍パン生地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508A (ja) * 1997-09-22 1999-04-06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冷凍パン生地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80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358B1 (ko) 살균 조성물
CN102264232A (zh) 用于控制植物中的昆虫的方法
KR101073887B1 (ko) 유황발효액비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병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5809A (ko) 복분자의 친환경 병해충 방제방법
KR20060015600A (ko) 항균ㆍ항바이러스 조성물
JPS60146808A (ja) 農園芸用殺菌及び植物病害防除剤
JPS5858322B2 (ja) 植物の病害防除方法
KR100347802B1 (ko) 콩나물종자 소독용 살균조성물
EP1419693B1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pathogenic bacterium and method of controlling plant pathogenic bacterium
KR19980014397A (ko) 두채의 병해방제제
CN107567992A (zh) 一种水稻育苗棚室的消毒方法
CN113854294A (zh) 一种麝饲养圈舍的消毒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0139442B1 (ko) 콩나물 및 숙주나물 재배방법
US6589916B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s
KR101095966B1 (ko) 고려인삼종자의 청정육성법
KR100358332B1 (ko) 콩나물 재배종자콩의 살균소독용 식품첨가물
JPS5827771B2 (ja) 農園芸用殺菌及び果実貯蔵病害防除組成物
EP1731035B1 (en) Pesticides based on vicinal diols
JP2004305210A (ja) イネ種子の消毒方法
CN109588414A (zh) 一种绿茶树专用植物源复合农药及其制备方法
KR20040048202A (ko) 4급 염화암모늄 화합물을 주제로 한 콩나물 또는 숙주나물종자소독제 및 이를 이용한 콩나물 부패방지 재배방법
JPS5852965B2 (ja) 農園芸用殺菌組成物
JP3648608B2 (ja) 植物用防カビ剤及びカビ発生防止方法
KR20010052674A (ko) 농원예용 세균성 병해 방제제
KR100736176B1 (ko) 주석산을 함유하는 살선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