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024B1 -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024B1
KR100347024B1 KR1019990034655A KR19990034655A KR100347024B1 KR 100347024 B1 KR100347024 B1 KR 100347024B1 KR 1019990034655 A KR1019990034655 A KR 1019990034655A KR 19990034655 A KR19990034655 A KR 19990034655A KR 100347024 B1 KR100347024 B1 KR 10034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hold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627A (ko
Inventor
박인호
장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024B1/ko
Priority to CN99125419A priority patent/CN1114803C/zh
Priority to IT1999TO001081A priority patent/IT1311305B1/it
Priority to AU64383/99A priority patent/AU749864B2/en
Priority to JP34821499A priority patent/JP3321445B2/ja
Publication of KR2001001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에 설치되어 고압의 인가에 의하여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집진 필터체의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체가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홀더(10)의 일단은 열교환기(12)의 엔드플레이트(12b)에 체결되고, 타단은 냉매관(12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홀더(10)는 선택적으로 전면패널(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의 동작시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필터홀더(1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10e)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프리필터(6)가 고압의 필터체(14)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간을 확보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Mounting device of filter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장착되는 집진필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필터 내부의 고압방전선을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집진필터 자체의 임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진필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리 사시도가, 그리고 도 2에는 종래의 집진필터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와 전면패널(2) 사이에는 실내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어셈블리(3)가 설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 (3)의 전면에는 유동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4)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2)의 전방에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그릴(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그릴(5)은 전면패널(2)의 상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기의 내부에는 순환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된다. 먼저 상기 전면패널(2)에는 프리필터(6)가 끼워지는데, 상기 프리필터(6)는 메쉬형상을 가지는 섬유재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를 순환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먼지 등을 필터링하게 된다. 이러한 프리필터(6)는, 비교적 촘촘한 메쉬상의 필터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큰 먼저 만을 거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리필터(6)의 후방에는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7)가 상기 전면패널(2)에 설치된다. 이러한 탈취필터(7)는,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가지는 입자를 흡착함으로써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프리필터(6)와 탈취필터(7)에 의하여 2차적으로 필터링되어, 먼지 및 악취성분이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흡입그릴(5)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6)와 탈취필터(7)를 통하여 정화된 후, 열교환기(4)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상태로 된다. 이렇게 저온상태로 된 공기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토출부(9)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토출부(9)에는 루버(9a)가 설치되어 있어서, 실내기의 비동작시에는 토출부(9)를 닫고, 동작시에는 열어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취필터(7)는, 전면패널(2)의 중간부분에대응하는 중간프레임(2a)에 성형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부재(2b,2c) 속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2)의 양측면(2d,2e)에도 상기 가이드부재(2b,2c)와 동일한 가이드부재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전면패널(2)의 일부분(2a)에 성형된 가이드부재(2b,2c)에 장착된 탈취필터(7)의 장착 상태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상기 탈취필터(7)가 전면패널(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전방에는 프리필터(6)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프리필터(6)와 탈취필터(7)가 너무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프리필터(6)와 탈취필터(7)의 사이의 공간이 너무 적음과 동시에, 탈취필터(7)와 열교환기(4) 사이에도 공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흡입풍량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도 지적된다. 또한 공간확보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공기 유동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소음 및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압의 인가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을 수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 입자 또는 탈취 기능을 구비하는 방전필터를 장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방전 기능을 구비하는 방전필터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 고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전기적 안전성을 위하여 상기 프리필터(6)는 방전필터에서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공기정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집진 필터의 장착이 용이한 필터의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필터가 주변부품과 전기적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안전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 필터의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에서 열교환기에 필터를 장착하면서도,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필터의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체 내부로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의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필터홀더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필터홀더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착장치를 구비한 실내기의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필터홀더와 열교환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홀더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필터홀더와 필터체의 결합과정을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필터체가 필터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은 필터체가 필터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면패널과 필터홀더의 체결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필터홀더 10a ..... 체결공
10b ..... 체결부 10d ..... 체결편
10e ..... 보강리브 10s, 10s' ..... 전선유지돌기
10m, 10n ..... 수납돌기 10u ..... 체결공
11 ..... 공간부 11a, 11b ..... 개구부
12 ..... 열교환기 12a ..... 냉매관
12b ...... 엔드플레이트 14 ..... 필터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실내기의 집진 필터 장착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실내기의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기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열교환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전면패널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상하면에 통기부가 성형되어 내부에 필터체가 삽입되는 필터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 필터체는 필터홀더를 통하여 실내기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홀더는 열교환기에 장착되어 있다. 필터홀더를 열교환기에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필터홀더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 외측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엔드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홀더의 일단부는 상기 냉매관에 착탈 가능하고, 타단부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필터홀더가 전면패널에 체결되는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패널에는 결합홈이 성형되고 필터홀더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성형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필터홀더가 전면패널에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홀더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일정 간격 돌출 성형된 보강리브가 성형되어, 필터홀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리필터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리필터가, 고압이 인가되는 집진 필터체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필터홀더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홀더는 필터체가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면에는 필터체가 그 사이에 끼워지는 한쌍의 수납돌기가 각각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체가 삽입되는 수납돌기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접촉하는 필터체의 어느 일측에는 멈춤돌기가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멈출돌기가 결합하는 멈춤홈이 성형된다. 따라서 필터체가 상기 필터홀더에 삽입된 후에는,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홀더의 양측면에는 내측에 노출되도록 접촉단자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연결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의 접촉부분은 연결단자 본체에서 자유단으로 성형되어 외측을 향하는 탄성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필터체와 필터홀더의 접점을, 각각의 양측면에 성형하고 연결단자가 탄성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터체와 필터홀더의 멈춤홈과 멈춤돌기의 구성과 관련하여 고찰하면, 필터체의 임의의 이탈방지 및 안정된 접점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홀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접촉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수납되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홈을 구비한 전선유지돌기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유지돌기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유지홈은 가로방향으로 개구되며, 각각의 전선유지돌기는, 유지홈의 개구된 방향이 교대로 역방향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체의 연결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이 더욱안정된 상태로 필터홀더에 유지되고 있으며, 전제적인 조립공정 등에서도 더욱 간편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터홀더(10)는, 집진을 위한 필터체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체(14)(도 7 참조)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의 필터홀더(10)는 열교환기(12)(도 4 참조)에 장착된다. 상기 필터홀더(10)를 열교환기(12)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필터홀더(10)의 일측면(도면상에서는 우측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0a)을 구비하는 체결부(10b)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0b)는 다수개의 체결공 (10a)을 구비하고, 필터홀더(10)와 같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체결부(10b)와 열교환기(12)의 결합관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의 저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홀더(10)는 저면에서 후술하는 필터체(14)(도 7 참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저면측이 개구된 상태의 케이스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을 통하여 수납되는 필터체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터체가 삽입된 상태의 전면에는 보강리브(10e)가 성형된 이외의 부분(11a)은 개구된 상태이다. 그리고 필터체가 삽입된 상태의 후면에도 완전히 개구된 부분(11b)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개구된 부분(11a,11b)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필터홀더(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필터체를 통하는 공기유동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 개구된 부분(11a,11b)를 통하여 공기가 필터체를 통하면서, 소정의 정화작용이 수행될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12)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관(12a)과, 상기 냉매관의 외측에서 끼워져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핀(12e)과, 상기 열교환핀의 측단부에 고정되는 엔드플레이트(12b)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홀더(10)의 체결부(10b)의 체결공(10a)은, 열교환기(12)의 엔드플레이트(12b)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체결편(12c)에 형성된 체결공(12d)과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필터홀더(10)의 체결부(10b)와 다수개의 체결공(10a)에 대응하는 위치의 열교환기(12)의 엔드플레이트(12b)에는 체결편(12c) 및 체결공(12d)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홀더(10)의 체결공(10a)과 엔드플레이트(12b)의 체결공(12d)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필터홀더(10)의 일측이 상기 열교환기(12)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엔드플레이트(12b)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0b)가 성형된 필터홀더(10)의 타측(도면상에서는 좌측)에는 후방으로 연장 성형된 착탈편(10c)을 구비하고 있다(도 3a 참조). 상기 착탈편(10c)은, 열교환기(12)의 냉매관(12a)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원호형의 탄성착탈부(10d)가 상하에 대칭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착탈편(10c)과 열교환기(12)의 냉매관(12a)과의 결합관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편(10c)는 열교환기(12)의 한쌍의 냉매관(12a)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그 상하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탄성착탈부(10d)가 상하의 냉매관(12a) 사이에 삽입되어, 임의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편(10c)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교환기(12)의 냉매관(12a)에 착탈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착탈편(10c)이, 하나의 냉매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착탈편(10c)의 전단부분에 성형되는 탄성착탈부(10d)가 하나의 냉매관(12a)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해야 된다. 즉 반원보다 큰 원주각을 가지는 홈형상으로 탄성착탈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냉매관(12a)에 상기 착탈편(10c)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정리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는, 그 일측은 열교환기(12)의 엔드플레이트(12b)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고, 타측은 열교환기(12)의 냉매관(12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1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필터홀더(10)를 열교환기(1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필터홀더(10)의 장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 그리고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의 전면 측에는, 전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0e)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10e)는 필터홀더(10)의 전면의 개구 부분(11a)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보강리브(10e)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리필터(6)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10e)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리필터(6)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전방을 향하여 다소 볼록한 면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리브(10e)에 의하여, 프리필터(6)와 필터홀더(10)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0e)에 의하여, 필터홀더(10) 내부에 수납되는 필터체(14)에 내장되어 고압이 인가되는 방전선과 상기 프리필터(6)는 충분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프리필터(6)가, 필터홀더(10)의 내부에 삽입된 필터체(14)에 근접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10e)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프리필터(6)과의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되어 공기의 유동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필터홀더(10)의 사시도인 도 3a와 필터홀더(10)의 저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홀더(10)의 상면(10f) 후방에는 다수개의 통기부(10g)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통기부(10g)는,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그릴(5)의 상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필터홀더(10) 자체는 집진필터링 기능을 구비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지만, 이러한 필터홀더(10) 상면(10f)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필터홀더(10)의 상면(10f)에 다수개의 통기부(10g)를 형성하고 있다. 비록 상기 필터홀더(10)의 상면과 관련한 공기유동은 본류가 아니고 지엽적인 공기의 흐름일지라도, 상기 통기부(10g)를 통하여 열교환기 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기의 공기 유동성을 최대한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필터홀더(10)의 저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홀더(10)의 저면(10h)의 후단부에도 다수개의 통기부(10i)를 성형하고 있다. 필터홀더(10)의 저면(10h)에도 통기부(10i)를 성형하는 것은, 상술한 상면(10f)에 통기부(10g)를 성형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홀더(10)의 양측면(10k)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돌출한 한쌍의 수납돌기(10m,10n)이 각각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체(14)는 상기 한쌍의 수납돌기(10m,10n) 사이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도 7에는 상기 필터홀더(10)에 필터체(14)를 수납하기 위한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상기 필터체(14)가 수납된 상태에서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필터체(14)가 필터홀더(10)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 7의 B-B선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돌기(10m,10n) 중에서 도면상에서 하방에 성형되는 수납돌기(10n)의 상면에는 멈춤돌기(10p)가 각각 성형되어 있다. 상기 멈춤돌기(10p)는, 필터체(14)의 후면에 성형되는 멈춤홈(14a)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필터체(14)의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홀더(10)의 양측면(10k)에는 각각 접촉단자(10r)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10r)은, 필터홀더(10)에 삽입되는 필터체(14)에 고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필터체(14) 내부의 방전선에서 고압의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터홀더(10)의 양측면(10k)에 접촉단자(10r)을 설치하고, 필터체(14)의 양측면에는 상기 접촉단자(10r)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14b)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연결단자(14b)는 필터체(14)의 양측면을 통하여 볼록하게 돌출한 접촉부분(14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분(14d)는 단자본체(14e)에서 외팔보 형식의 자유단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필터체(14)가 상기 필터홀더(10)의 수납돌기(10m,10n) 사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측면(10k)의 내측에 위치한 접촉단자(10r)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연결단자(14b)의 접촉부분(14d)은 접촉단자(10r)를 향한 외측으로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항상 안정된 전기적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체(14)의 후면에 성형된 멈춤홈(14a)(도 9 참조)과, 수납돌기(10n)에 성형된 멈춤돌기(10p)의 구성을 고려하면, 상기 필터체(14)의 임의의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홀더(10)의 상면(10f)에 성형되는 전선유지돌기(10s,10s')는, 대략 ㄱ자형으로 성형되어 전선이 내부에 위치하는 전선유지홈(10sa,10sa')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홈(10sa,10sa')은 가로방향으로 개구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전선유지돌기(10s,10s')는 복수개로 성형되어 있고, 이들은 교대로 방향이 역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전선유지돌기(10s, 10s')는, 상기 접촉단자(10r)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열린 부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전선유지돌기(10s)와 그와 인접한 전선유지돌기 (10s')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성형하여, 그 내부에 수납되는 전선이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12)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실내기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비록 작지만,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상기 필터홀더(10)가 주변 부품과의 관계에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소음을 완전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홀더(10)를 전면패널(2)에 보조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의 우측단부에는 체결공(10u)을 전단부에 구비하고 있는 체결돌기(10t)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상기 체결돌기(10t)가 전면패널(2)에 체결되는 경우, 위치결정을 유도하고,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돌기(10w)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10t)의 체결공(10u)은, 전면패널(2)의 중심부분의 중간연결프레임(2gb)에 성형되어 있는 체결편(2a)의 체결공(2b)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0w)는, 전면패널(2)의 중간연결프레임 (2gb)에 성형된 결합부(2c)에 성형된 결합홈(2d)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가,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열교환기(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10w)가 전면패널(2)의 결합홈(2d)에 결합되면, 체결돌기(10t)의 체결공(10u)와 체결편(2a)의 체결공(2b)는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면, 필터홀더(10)는 전면패널(2)과도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필터홀더(10)는, 열교환기(12)에 독립적으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전면패널(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의 운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필터체(14)를 수납하는 필터홀더(10)를, 열교환기(2)에 직접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적으로 필터홀더(10)를 전면패널(2)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충분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터홀더(10)의 전면에는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프리필터(6)가 집진 필터체(14) 내부에 근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제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체를 내장할 수 있는 필터홀더를 열교환기에 직접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필터홀더를 보다 간단하게 실내기 내부에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홀더를 선택적으로 전면패널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필터홀더와의 주변부품과의 관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소음에 대한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실내기의 정숙성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터홀더의 전면에 보강리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프리필터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프리필터와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에 의하여, 필터홀더의 전방에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공기의 유동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또한 필터홀더의 상면 및 하면에 통기부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더욱 원활하게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필터홀더의 내측에 필터체를 삽입하는 경우, 필터체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필터홀더의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체는 멈춤홈 및 멈춤돌기의 구성에 의하여 임의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필터체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연결단자의 접촉부분이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게 되어, 필터링 기능이 충분히 확보되고 있다.

Claims (13)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실내기의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열교환기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열교환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전면패널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상하면에 통기부가 성형되어 내부에 필터체가 삽입되는 필터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 외측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엔드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홀더의 일단부는 엔드플레이트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냉매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결합홈이 성형되고, 필터홀더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성형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에끼워진 상태에서, 필터홀더가 전면패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홀더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일정 간격 돌출 성형된 보강리브가 성형되어, 필터홀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리필터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홀더는 필터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면에는 필터체가 그 사이에 끼워지는 한쌍의 수납돌기가 각각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가 삽입되는 수납돌기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접촉하는 필터체의 접촉면 중의 일측에는 멈춤돌기가 성형되고, 타측에는 상기 멈출돌기가 결합하는 멈춤홈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홀더의 양측면에는 내측에 노출되도록 접촉단자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연결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의 접촉부분은 연결단자 본체에서 자유단으로 성형되어 외측을 향하는 탄성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홀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접촉단자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수납되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홈을 구비한 전선유지돌기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집진 필터 장착장치.
  10. 삭제
  11. 필터체를 수납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필터체가 수납된 상태에서 전면 및 후면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개구부로 성형되며, 실내기의 내부에서 그 후방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에 고정됨과 동시에 실내기 내부에서 그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패널에 보조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필터홀더.
  12. 삭제
  13. 삭제
KR1019990034655A 1998-12-07 1999-08-20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KR10034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655A KR100347024B1 (ko) 1999-08-20 1999-08-20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CN99125419A CN1114803C (zh) 1998-12-07 1999-12-07 空调器的过滤器和安装该过滤器的装置
IT1999TO001081A IT1311305B1 (it) 1998-12-07 1999-12-07 Filtro per un condizionatore d'aria e dispositivo per il suo montaggio.
AU64383/99A AU749864B2 (en) 1998-12-07 1999-12-07 Filter for air conditioner and device for mounting the same
JP34821499A JP3321445B2 (ja) 1998-12-07 1999-12-07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体及びフィルター体装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655A KR100347024B1 (ko) 1999-08-20 1999-08-20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627A KR20010018627A (ko) 2001-03-15
KR100347024B1 true KR100347024B1 (ko) 2002-08-01

Family

ID=1960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655A KR100347024B1 (ko) 1998-12-07 1999-08-20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56B1 (ko) * 2002-07-11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집진기 마운팅 구조
KR101476297B1 (ko) * 2008-08-27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CN111089339B (zh) * 2019-12-09 2021-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尘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627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1445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体及びフィルター体装着装置
KR100347024B1 (ko)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KR20100077951A (ko) 에어컨의 전기집진기
WO1999011983A1 (en) Air conditioner
KR100347025B1 (ko) 공기조화기의 정화필터 장착장치
CN211667910U (zh) 一种空调净化组件以及空调器组件
CN218955117U (zh) 加湿空气净化器
JP3946595B2 (ja) 空気清浄機
JP2005024189A (ja) 電気集塵ユニット
KR100323517B1 (ko) 다면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취부구조
KR200169589Y1 (ko)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필터의 전리부 결합장치
CN211977231U (zh) 空调器
CN216204030U (zh) 新风空调系统
CN218096495U (zh) 进风结构及空调器
CN215412347U (zh) 空气净化器
CN214254814U (zh) 供电组件、空气净化装置和空调器
KR101556973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CN218379633U (zh) 风道部件和空气调节设备
CN210772508U (zh) 一种顶出风外机及空调器
CN219462678U (zh) 滤网组件及蒸发式加湿器
CN216922623U (zh) 一种风扇组件及电柜
CN211119781U (zh) 静电式空调风管净化装置
KR200180837Y1 (ko) 벽걸이형공기조화기용실내기의콘트롤박스고정장치
KR200165560Y1 (ko) 컴퓨터의 에어필터 착탈장치
CN115451497A (zh) 过滤装置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