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917B1 - 고밀도전기의상호연결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밀도전기의상호연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6917B1 KR100346917B1 KR1019960705043A KR19960705043A KR100346917B1 KR 100346917 B1 KR100346917 B1 KR 100346917B1 KR 1019960705043 A KR1019960705043 A KR 1019960705043A KR 19960705043 A KR19960705043 A KR 19960705043A KR 100346917 B1 KR100346917 B1 KR 100346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interconnect
- contacts
- array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지지 요소와 지지 요소 상에 배열되어 다수의 전기도전성 접촉장치 그룹의 어레이를 포함하여, 각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장치가 상기 어레이 그룹 중 또다른 하나의 접촉장치의 측면에 의해 처음으로 교차된 라인을 따라 상기 그룹으로부터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면한 정면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룹은 상기 어레이가 평방 인치당 적어도, 500, 600. 또는 1,000의 접촉 밀도를 갖는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전자의 상호연결 시스템 포함)은 전기, 전자 시스템 및 부품을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도전성 핀과 같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과 도전성 소켓과 같은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서 전기의 상호연결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한 삽입에 따라 돌출형의 도전성 부분과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전기 신호가 상호연결 부품을 통해 전송된다. 통상적인 상호연결 시스템(예를 들어, 하기에 논의되는 제 31도의 그리드(grid) 어레이)에서는 개별적인 복수개의 도전성 핀이 그리드 형태로 배열되고 복수개의 도전성 소켓(제 31도에 도시되지 않음)은 개별적인 핀을 수납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각각의 핀과 소켓 쌍이 다른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고밀도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소규모 영역 내에 다수의 상호연결 부품 접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명확히 설명하자면, 고밀도 전기의 상호 연결 시스템은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저밀도 연결 시스템보다 짧은 신호 경로를 포함한다. 고밀도 상호연결 시스템과 연계된 짧은 신호 경로에 의해 상기 시스템은 보다 높은 속도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밀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시스템도 양호해진다.
바람직한 고밀도를 갖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생산을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한 예가 도 1a에 제시된다.
도 1a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포스트 앤 박스(post and box) 상호연결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도 1a의 시스템에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픔은 도전성 핀 또는 포스트(101)이며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전성 박스 모양의 소켓(102)이다. 도 1b는 도 la의 평면도로서, 소켓(102)에 수납된 포스트(101)를 보여준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2)의 내부 벽은 소켓 내에 포스트(101)를 꼭 맞게 끼울 수 있도록 내부로 돌출한 부(section)(103, 104)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통칭하여 도 1로 언급된다.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또 다른 예가 도 2a에 제시된다. 도 2a의 전기의상호연결 시스템은 단일 빔 상호연결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도 2a의 시스템에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전성 핀 또는 포스트(201)이며,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전성의 유연한 빔(202)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평면도로서, 유연한 빔(202)과 접촉된 포스트(201)를 보여준다. 유연한 빔(202)은 포스트(2O1)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됨으로써 그 사이에 접촉 장치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a와 2b는 통칭하여 도 2로 언급된다.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세 번째 예가 도 3a에 제시된다. 도 3a에 도시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에지 커넥터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에지 커넥터 시스템에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절연성을 갖는 인쇄 배선 보드(300)와 인쇄 배선 보드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91)을 포함한다. 에지 커넥터 시스템의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상부 및 하부의 도전성 핑거(302) 세트를 포함하며 이 핑거 사이에 상기 인쇄 배선 보드(300)가 삽입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시스템의 측면도로서, 상부 및 하부의 도전성 핑거 (302) 사이에 삽입된 인쇄 배선 보드(300)를 보여준다. 인쇄 배선 보드(300)가 도전성 핑거 사이에 삽입될 때 도전성 패턴(91) 각각은 대응하는 도전성 핑거(302)에 접촉하여 상기 도전성 패턴과 핑거 사이에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a와 3b는 통칭하여 도 3으로 언급된다.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네 번째 예가 도 4에 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핀과 소켓의 상호연결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의 시스템에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전성 스탬프 핀(401)이며,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슬롯이 형성되고 도전성 소켓(402)이다. 통상적으로 소켓(402)은 인쇄 배선 보드에 형성된 관통홀 내에 장착된다. 핀(401)은 소켓(402) 내의 공간에 비해 지나치게 크다. 핀(401)과 소켓(402) 내의 공간 사이의 크기 편차는 핀을 소켓 내에 꼭 끼워 맞추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불완전하다. 그 중요한 문제점은 이들 시스템이 밀도 면에서 기존의 또는 미래의 반도체 및 컴퓨터 기술의 필요성을 만족시킬 만큼 충분히 높지 않다는 것이다. 상호연결 시스템의 밀도는 이미 반도체 기술과 보조를 맞추지 못했으며, 컴퓨터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공간 효율과 함께, 보다 높은 밀도 및 보다 많은 핀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전류와 관련된 상호연결 밀도 및 핀 개수의 요구조건이 부족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의 시스템에서 상호연결 부품은 일반적으로 돌출형 및 수납형의 부품 사이에 적절한 전기 접촉을 위해 외부 및 내부 각 표면에 도금된 것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도금은 금 또는 다른 값비싼 금속을 이용하여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4의 시스템은 매우 고가로 제조된다.
도 1 및 도 2에 일반적으로 결합된 그리드 배열은 성능 면에서 적절한 수의 접지 접촉을 제공할 만큼 충분히 밀집되어 있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신호 전이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에지 커넥터 시스템은 커패시턴스 문제 및 전자 간섭을 일으키기가 쉽다. 마찬가지로, 도 4의 핀과 소켓 시스템은 슬롯을 갖는 소켓(402)에 핀(401)을 삽입하기 위해 높은 삽입력을 요구하므로, 거의 완벽한 오차 허용도가 아닐 경우 적절히 끼워 맞추어지지 않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플러그에 의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에 의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이 상호연결되도록 상기 부품이 서로 연계하여 배열되는 플러그에 의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특히 고밀도 시스템과 관련한 사용에 적합하지만 고전력 시스템 또는 기타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la는 접속되기 전의 종래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접속이 된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평면도.
도 2a는 종래의 또 다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다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접속되기 전의 종래의 다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한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도전성 포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도전성 포 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둥근 모양의 다리 부분(foot portion)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포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둥근 와이어 또는 케이블과 인터페이스되도록 구성된 둥근 모양의 다리 부분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포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된 기판 상에 배치된 돌출형 의 상호연결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된 기판 상에 배치된 돌출형의 여러 개의 상호연결 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l1b는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다리 부분과 연계된 패턴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5a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3c는 팁 부분이 제거된 도 13b에 도시된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빔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사용되는 도전성 빔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각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 인터페이스 다리 부분을 갖는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복수개의 유연한 빔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로 인터페이스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유연한 빔 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다른 길이의 빔을 갖는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빔 내에 수납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한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 수납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높이가 다양한 도전성 포스트를 갖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다른 높이를 갖는 여러 개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3a는 제 1 상태에서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제 1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23b는 제 2 상태에서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3c는 일직선의 부재를 이용하여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제 1 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24a는 제 1 상태에서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제 2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24b는 제 2 상태에서 도 24a에 따른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4c는 일직선의 부재를 이용하여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제 2 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25a는 제 1 상태에서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제 3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25b는 제 2 상태에서 도 25a에 따른 낮은 삽입력 또는 제로 삽입력을 갖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6a는 접속되기 전의 위치에서 도 12a에 따른 상호연결 부품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6b는 접속된 상태에서 도 12a에 따른 상호연결 부품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7a는 접속되기 전의 위치에서 도 13a에 따른 상호연결 부품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7b는 접속된 상태에서 도 13a에 따른 상호연결 부품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7c는 접속된 후에 도 13a에 따른 상호연결 부품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8a는 접속되기 전에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을 이용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8b는 접속되기 전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접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9b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30a는 시스템에 있어서 기판 역할을 하는 절연성의 전기 캐리어를 보여주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0b는 시스템에 있어서 기판 역할을 하는 절연성의 전기 캐리어를 보여주는 또다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종래의 그리드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이 무리를 이룬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무리를 이룬 배열에 따라 배열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변형된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변형된 배열에 따라 배치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변형된 배열에 따라 배치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5에 도시된 변형된 배열에 따라 배치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을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35에 도시된 변형된 배열에 따라 배치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불연속적인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불연속적인 배열과 관련한 사용에 적합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1a는 도 32의 무리를 이룬 배열의 중심부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도록 변형된 도 32의 무리를 이룬 배열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1b는 도 35의 무리를 이룬 배열의 중심부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도록 변형된 도 35의 무리를 이룬 배열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35의 무리를 이룬 배열의 중심부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도록 변 형된 도 35의 무리를 이룬 배열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3은 도 35의 변형된 배열에 따라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변형된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5는 도 12a의 도시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무리를 이 룬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6은 도 13a의 도시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7은 도 13c에 도시된 구성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무리를 이룬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8a는 도 12b에 도시된 구성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 열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8b는 도 12b의 도시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8c는 도 12b의 도시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8d는 도 12b의 도시에 따른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9는 오프셋 접촉부를 갖는 도전성 빔의 측면도이다.
도 50a는 정렬된 고정 부분과 다리 부분을 갖는 도전성 포스트의 측면도이다.
도 50b는 오프셋 다리 부분을 갖는 도전성 포스트의 측면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그룹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도전성 접촉장치를 포함하며, 각 그룹은 접촉장치 그룹이 사이에 끼워 넣는 배열 또는 무리를 이룬 배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다른 그룹의 접촉장치 내에 끼워 넣어지거나 무리를 이룰 수 있다. 접촉장치 그룹은 사이에 끼워 넣는 배열 또는 무리를 이룬 배열 내에 배치되어 열 및 행으로 배열되며, 상기 배열의 인접한 열의 그룹이 엇갈리게 배열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배열의 인접한 행의 그룹 또한 엇갈리게 배열된다. 또한, 접촉장치 그룹은 각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장치가 상기 배열 그룹의 또 다른 접촉장치의 측면에 의해 처음으로 교차된 라인을 따라 상기 그룹과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면한 정면을 포함하도록 배열된다.
도전성 접촉장치의 각 그룹은 복수개의 도전성 빔을 포함하는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 수납되기 위해 구성되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부를 구비하거나, 해당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하기 위해 구성되는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부를 구비한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 수납될 때 도전성 빔은 도전성 포스트와 접속된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기판에 부착되어 여러 개의 전기도전성 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절연되는 지지부의 사용이 임의적이긴 하지만, 도전성 포스트가 배치된 주위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판과 지지부는 도전성 포스트를 서로 절연시켜 다른 전기 신호가 각 포스트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의 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여러 개의 도전성 포스트(11)를 포함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도 5a의 실시예에서 지지부의 사용이 필요하지는 않지만,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또한 절연되는 지지부(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전성 포스트와 지지부(사용시)는 절연 기판(13)에 부착된다. 도전성 포스트는 기판(13) 및 지지부(12)(사용시)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도 5b는 지지부(12)와 절연 기판(13)의 측면도이다. 지지부(12)와 기판(13)은 절연 물질의 단일 유니트로부터 일체로 몰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 및 기판의 물질은 몰드시 수축되지 않는 절연 물질이다 (예를 들어, Hoescht Celanese의 상표인 VECTRA와 같은 액정 크리스탈 분자). 도전성 포스트(11)가 도 5b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기판의 구멍을 통해 기판(13)에 삽입되거나, 인서트 몰딩 절차를 이용하여 포스트 주위에 기판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는 장방형(예를 들어 정방형)의 단면을 갖는 연장 부분(14)과 연장 부분의 상부에 위치된 팁 부분(15)을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지지부의 크기는 한 예이므로 다른 크기의 지지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2)의 단면은 도시된 크기 0.9 mm x 0.9 mm보다 다소 적은 0.5 mm x 0.5 mm가 될 수 있다.
도전성의 각 포스트(11)는 세 개의 부를 포함한다. 즉, 접촉 부분, 고정 부분 및 다리 부분이다. 도 5a에서 도전성의 각 포스트(11)의 접촉 부분은 지지부(12)에 인접한 위치에 도시된다. 고정 부분(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되지 않음)은 기판(13)에 고정되는 각 포스트의 부분이다. 다리 부분(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되지 않음)은 접촉 부분에 마주보는 기판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도전성 포스트는 장방형(예를 들어, 정방형)의 단면 또는 삼각형, 반원형 또는 기타 모양의단면을 갖는다.
도전성의 각 포스트(11)의 세 부분은 기판(13)에 부착된 두 개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의 측면도인 도 5c에 명확히 도시된다. 도 5c에서 참조부호 17은 도전성의 각 포스트(11)의 접촉 부분을 나타내며, 18은 도전성의 각 포스트의 고정 부분을 나타내며, 19는 도전성의 각 포스트의 다리 부분을 나타낸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 수납될 때 전기 신호는 도전성의 각 포스트의 고정 및 접촉 부분을 통해 그 포스트의 다리 부분으로부터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에 전송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전송될 수 있다.
도전성의 각 포스트(11)는 베릴륨, 동, 인동, 황동, 동합금, 주석, 금, 팔라듐 또는 기타 적합한 금속 또는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전성의 각 포스트(11)는 베릴륨동, 인동, 황동, 또는 동 합금으로 형성되고 주석, 금, 팔라듐, 니켈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도금된다. 각 포스트의 전 표면이 도금되거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 수납될 때 도전성 포스트(11)의 부분에 해당하는 선택된 부분(16)(도 5a참조)이 도전성 빔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사용되는 도전성 포스트(11)가 도 6에 도시된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내부를 향해 포스트와 직면한 접촉 부분(17)과 고정 부분(18)의 각 표면(A, B)이 정렬되어 있으므로(즉, 표면(A, B)이 동일 평면상에 있으므로), 도 6의 포스트(11)는 소위 비편향 또는 일직선의 포스트이다.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사용되는 또 다른 도전성 포스트가 도7에 도시된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내부를 향해 직면한 접촉 부분(17)의 표면(A)이 내부 방향으로 직면한 고정 부분(18)의 표면(B)과 비교하여 내부 방향으로 편향되므로, 도 7의 포스트(11)는 소위 오프셋 포스트라 불린다. 도 7의 포스트(11) 에서 표면(A, B)은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게 된다.
도 7의 오프셋 포스트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의 지지부(12)가 극히 작을 경우나, 혹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지지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극도의 고밀도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이외의 상황에서도, 도 6의 일직선의 포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전성의 각 포스트(11)의 여러 부분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접촉 부분(17)은 돌출형 및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접속될 때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빔과의 접촉을 수행한다. 고정 부분(18)은 처리, 접속 및 제조시 기판(13)에 도전성 포스트를 고정한다. 고정 부분(18)은 절연 기판의 적절한 부분을 도전성 인접 포스트 사이에 존재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포스트를 기판(13)에 맞물리게 하는 크기를 갖는다. 다리 부분(19)은 인터페이스로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어, 반도체 칩, 인쇄 배선 보드, 와이어, 또는 둥글거나, 평면모양의 또는 유연한 케이블)에 연결된다. 접촉장치와 다리 부분은 하기에 설명될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정 부분에 대하여 정렬되거나 오프셋된다.
도전성의 각 포스트(11)의 다리 부분(19)의 구성은 다리 부분과 인터페이스되는 장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다리 부분(19)은 인쇄 배선 보드의관통홀과 인터페이스 될 경우 둥근 모양(도 8)을 갖게 된다. 다리 부분(19)은 표면 장착 기술(SMT) 공정을 통해 인쇄 배선 보드와 인터페이스될 경우 도 5c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둥근 모양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와 다리 부분(19)은 도 9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다리 부분(19)과 인터페이스되는 장치의 타입에 따라 기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인쇄 배선 보드(20)상의 표면 장착을 위해 구성된 도전성 포스트의다리 부분(19)을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3)은 인쇄 배선 보드(20)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는 공간 효율을 증가시키고 배선 보드 상에서 부품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신호 경로를 짧게 해준다.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판(13)은 장치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다리 부분과 인터페이스되는 장치(예를 들어, 유연 케이블 또는 둥근 케이블)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치는 다리 부분의 포인트(21)에서 직각으로 다리 부분(19)을 위치시키도록 한다. 포인트(21)에 있는 코너와 인쇄 배선 보드(20) 근방의 다리 부분(19)의 코너는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뚜렷하거나 각 코너의 하나 또는 둘 다가 완만 또는 구부러지게 된다.
도 11a는 돌출형의 여러 개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10)이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어, 인쇄 배선 보드(20))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기판(13)에 부착될 때 다양한 다리 부분(19)의 바람직한 배열을 보여준다. 도 11a를 참조하면, 각 다리 부분(19)이 기판(13)의 수직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다리 부분의 포인트(21)에서 인터페이스 장치의 표면을 향해 방위가 정해진다. 다리 부분은 세 개의 열(즉, 도11a 및 도 11b의 C, D, E)에서 인터페이스 장치와 접촉하도록 그 방위가 정해진다.
도 11b는 두 개의 열에 배열된 세 개의 상호연결 부품과 함께 그 부품의 다리 부분(19)이, 교차되는 패턴을 이용하여 세 개의 열(C, D, E)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되는 돌출형의 부품(10)의 다리 부분(19)은 "2-1-1" 및 "1-2-1" 패턴에서 인터페이스 장치의 패드(22)와 접촉한다. 교차되는 "2-1-1" 및 "1-2-1" 패턴은 다리 부분을 세 개의 열로 배열하여 지지부가 사용된 두 개의 열과 직각 구성에서 신호 경로 길이를 감소시키고, 속도를 증가시키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a에 도시된 두 개의 열보다는 상호연결 부품의 하나 이상의 열(예를 들 어, 두 개의 추가 열)이 기판(13)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연결 부품의 두 개의 추가 열이 도 11a에 도시된 부품(10)의 두 개의 열 위에 배치될 경우, 추가적인 상호연결 부품의 다리 부분은 하부의 두 개의 열의 다리 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하부의 두 개의 열의 다리 부분과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 장치(20)를 향해 방향을 바꾼다. 추가적인 다리 부분에 의해 형성된 교차 패턴은 도 11b에 도시된 교차 패턴과 동일해질 수 있으나 하부의 두 개의 열의 패턴 보다 기판(13)으로부터 더욱 떨어져 위치한다.
도 12a는 대체 실시예에서, 돌출형의 부품(10)이 복수개의 도전성 포스트(11)에 의해 둘러싸인 십자 모양의 지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2a에서, 도전성의 각 포스트(11)의 다리 부분(19)은 인쇄 배선 보드(도 12a에 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기판(13)과 함께 인쇄 배선 보드 상의 표면 장착을 위해 구성된다. 도 12a에는 12개의 도전성 포스트가 도시되었지만, 지지부(12)의 각 수직 표면에 대해서는 하나의 포스트이면서 12개의 포스트보다 많거나 적은 포스트가 지지부 주위에 배치된다. 도전성 포스트의 배열 및 개수와 지지부의 모양을 제외하고는, 도 12a의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은 본질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5a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a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지지부(12)없이 사용된다.
도 12b는 지지부(12)가 H모양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마주보는 포스트(11)가 다른 두 개의 마주보는 포스트보다 밀집되어 있다. 4개의 도전성 포스트가 도 12b에 도시되었지만 4개의 포스트보다 많거나 적은 포스트가 지지부 주위에 배치된다. 도전성 포스트의 배열 및 개수와 지지부의 모양을 제외하고는, 도 12b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은 본질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2b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지지부 없이 사용된다.
도 13a는 지지부(12)의 끝단부가 4개의 경사진 표면 대신 두 개의 경사진 표면을 가지며, 도전성의 각 포스트는 지지부(12)의 일측과 동일한 폭을 갖는 돌출형의 부품(10)의 네번째 실시예를 보여준다. 팁 부분의 모양과 지지부(12)를 둘러싸고 있는 도전성 포스트(11)의 개수와 폭을 제외하고는, 도 13a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본질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a에 두 개의 도전성 포스트가 도시되었지만, 두 개의 포스트보다 많거나 적은 포스트가 지지부(12) 주위에 배치된다. 또한, 도 5a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a의 돌출형의상호연결 부품이 지지부(12)없이 사용된다. 도전성의 각 포스트(12)의 폭 또한 지지부 측면의 폭보다 크거나 적어진다.
도 13b의 왼쪽 부분은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을 보여준다. 도 13b의 오른쪽 부분은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을 보여준다.
도 13c는 제거된 부품의 팁 부분과 함께 오른쪽의 상호연결 부품의 한 부분을 보여준다. 도 13c의 상호연결 부품은 각각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도전성 포스트(11)를 갖는다. 도 13c의 상호연결 부품은 또한, 필요할 경우 지지부가 제거되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십자 모양, X 모양, 또는 H 모양의 단면을 갖는 지지부(12)를 포함한다. 도 13c의 실시예는 포스트(11) 사이의 공간을 밀집하게 만들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지지부와 비교하여 감소된 두께를 갖는 지지부(12)를 사용한다.
도면에 도시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에 서 사용되는 상호연결 부품 타입의 예이다. 다른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설계될 수 있다.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본 발명의 수납형의 전기의 상호 연결 부품은 절연 기판에 부착되어 여러 개의 전기도전성 빔을 포함한다. 수납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전성 빔 사이의 공간 내에 해당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판은 도전성 빔을 서로 절연시켜 다른 전기 신호가 각 빔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의 한 부분을 보여준다.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기판(도 14에 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 여러 개의 유연한 전기도전성 빔(31)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의 물질은 몰드시 수축되지 않는 절연 물질이다 (예를 들어, Hoescht Celanese의 상표인 VECTRA와 같은 액정 크리스탈 분자). 도전성 빔(31)의 부분이 도전성 빔 사이의 공간 내에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서로 떨어져서 구부러져 있다.
도전성의 각 빔(31)은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포스트(11)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 내에 수납될 때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포스트와 접촉하게 되는 도전성의 각 빔(31)의 선택된 부분이 베릴륨동, 인동, 황동, 또는 동 합금으로 형성되고, 주석, 금, 팔라듐, 또는 니켈로 도금된다.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사용되는 도전성 빔(31)의 한 예가 도 15에 도시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전성의 각 빔(31)은 세 개의 부 즉, 접촉 부분(32), 고정 부분(33)과 다리 부분(34)을 포함한다.
도전성의 각 빔(31)의 접촉 부분(32)은 돌출형의 수납 부품이 해당 수납형의상호연결 부품 내에 수납될 때 상기 해당 돌출형의 수납 부품의 도전성 포스트와 접촉한다. 도전성의 각 빔의 접촉 부분(32)은 인터페이스 부분(35)과 리드인(lead-in) 부분(36)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부분(35)은 돌출형 및 수납형의 부품이 접속될 때 도전성 포스트와 접촉하는 접촉 부분(32)의 한 부분이다. 리드인 부분(36)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지지부의 팁 부분과 접촉한 후 접속시 (또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하나 이상의 포스트와 접촉한 후 지지부가 사용되지 않을 때) 도전성 빔을 분리하기 시작하는 경사진 표면을 구비한다.
고정 부분(33)은 도전성 빔(31)을 지지하는 기판(예를 들어, 도 17의 기판 (37))에 고정된다. 도전성 빔(31)의 고정 부분(33)은 처리, 접속 및 제조시 빔이 꼬이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부분(33)은 절연 기판의 적절한 부분을 도전성 인접 빔 사이에 존재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빔을 기판에 맞물리게 하는 크기를 갖는다.
다리 부분(34)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도전성 포스트(11)의 다리 부분(19)과 매우 유사하다. 다리 부분(19)과 마찬가지로, 다리 부분(34)은 인터페이스로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어, 반도체 칩, 인쇄 배선 보드, 와이어, 또는 둥글거나, 평면모양의 또는 유연한 케이블)에 연결된다.
다리 부분(19)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리 부분(34)의 구성도 인터페이스되는 장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진다. 다리 부분(34)의 가능한 구성은 상기의 다리 부분(19)과 관련하여 앞에서 논의된 구성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16과 도 17은 둥근 케이블 또는 와이어(35)와 인터페이스될 때 사용되는 다리 부분(34)의 구성을 보여주며, 특히 도 17은 돌출형의 부품(10)과접속되기 전의 수납형의 부품(30)과, 절연 기판(37)에 부착된 도전성 빔(31)과, 둥근 와이어 또는 케이블(35)과 인터페이스되도록 배치된 각 빔의 다리 부분(34)을 보여준다.
다리 부분(19)과 마찬가지로, 다리 부분(34)은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기 판이 다리 부분과 인터페이스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되는 경우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도전성의 각 빔의 접촉 부분 및 다리 부분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정 부분에 대해 정렬되거나 편향된다.
도 18은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의 대체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4의 실 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은 여러 개의 유연한 전기도전성 빔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8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빔에 대한 접촉 부분(32a)은 다른 두 개의 빔에 대한 접촉 부분(32b)보다 길다.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구성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구성에 따라 달 라지며 또한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도전성 포스트에 의해 둘러싸인 십자 모양의 지지부를 포함한다면, 수납형의 부품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타입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상호연결 부품의 접속
도 19는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의 도전성 빔 내에 수납된 돌출형의 상 호연결 부품(10)을 보여준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 에 수납될 때 상기 상호연결 부품은 접속되거나 전기가 통하게 된다. 돌출형 및수 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접속될 때 도전성 빔의 접촉 부분(32)은 구부러지거나 펴져서 도전성 빔의 접촉 부분 사이의 공간 내에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19에 도시된 접속 위치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과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이 도 19에 도시된 화살표 Y 방향에서 서로를 향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와 같은 접속 위치에서 도전성의 각 빔의 접촉 부분은 평면 XZ내의 한 방향에서 도전성 포스트의 대응 빔의 접촉 부분에 대해 정상적인 힘을 발휘한다. 도 19에서 화살표 Y는 평면 XZ에 대해 수직이다.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과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의 접속 과정이 도 5a, 14, 15, 19 및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0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에 대한 크기의 예를 보여준다. 기타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14는 접속되기 전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과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빔의 접촉 부분(32)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과 접속되기 전에 함께 무리를 이루고 있다. 그러한 군집은 두 개 이상의 빔 사이의 접촉에 영향을 준다.
돌출형 및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 19에 도시된 화살표 Y방향에서 서 로를 향해 움직인다. 결국, 도전성의 각 빔(31)의 리드인 부분(36)(도 15)은 지지부 (12)(사용시)의 팁 부분과 접촉한다. 서로를 향하고 있는 상호연결 부품의 상관적인 움직임에 따라 팁 부분의 경사진 구성은 도전성 빔의 접촉 부분(32)을 펴지도록 유도한다. 돌출형 부품의 도전성 포스트(11)의 경사진 상부 표면으로 인한 상호연결 부품 사이의 추가의 상관적인 움직임으로 접촉 부분(32)이 추가로 펴지게 된다. 그러한 펴짐에 의해 도전성 빔(31)은 완전히 접속된 위치(도 19 및 20)에서 도전성 포스트(11)에 대해 정상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고, 빔과 포스트 사이에 신뢰할만한 전기 접촉을 보장하게 된다. 도 20에서 실선은 접속 위치에서 도전성 빔의 조건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점선은 접속되기 전의 조건에서 도전성 빔 중의 하나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가 사용되지 않을 때 접촉 부분(32)의 초기의 펴짐은 지지부의 팁 부분이라기보다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하나 이상의 포스트(11)에 의해 비롯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 내에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을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은 도전성 빔(31)이 퍼지는 초기의 위상에 해당하는 포인트에서 최고가 된다. 그 다음의 삽입력은 그것이 마찰력에 관계되면 퍼지는 힘보다 적어진다. 돌출형의 부품과 수납형의 부품을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삽입력은 다양한 높이의 도전성 포스트를 갖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사용하여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을 프로그램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상호연결이 하나이상의 다른 상호연결이 제공되기 전에 완료된다). 그와 같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한 예가 도 21에 도시된다.
도 21에서 알 수 있듯이, 도전성 포스트(11)는 마주보는 포스트의 한 쌍이 제 1 높이를 갖고 다른 한 쌍이 제 2 높이를 갖도록 배열된다. 본질적으로, 도 21의 구성에 따르면, 초기 삽입력의 최고점이 다른 시간에 발생하는 별도의 부품에 분해되어 접속 과정이 수행될 때 필요한 삽입력이 점차적으로 분포되도록 한다.
도 22는 접속시 필요한 삽입력이 분포될 수 있는 (그리고 프로그램된 접속이 제공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보여준다. 도 22를 참조하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의 여러 열은 다른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호연결 부품의 다른 열에 대한 접속이 다른 시간에 초기화된다. 상기 열은 높이에 있어서 하이 및 로우가 될 수 있거나, 각 열에 대한 열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열 내의 부품은 다른 높이를 갖게 된다. 상호연결 부품의 다른 열이 다양한 높이를 가지며, 다른 열 내의 상호연결 각 부품의 도전성 포스트 또한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실시예를 구성하기 위해 도 21 및 22의 실시예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빔(31) 또는 접촉 부분(32)은 도 18에서와 같이 다양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삽입력을 그와 유사하게 감소시키거나 적절한 정상적인 힘을 유지하기 위해 취해진 보호에 따라, 프로그램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접속시 도전성 빔(31)의 퍼짐은 포스트(11), 지지부(12)(사용시) 및 빔(31)의 표면 위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기타 오물을 제거하는 제거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한 제거에 따라 더욱 신뢰성 있는 전기의 상호연결이 제공되며, 접속된 도전성 요소 사이에 더욱 넓은 접촉 영역이 제공된다.
본질적으로 삽입력은 제로 삽입력의 수납형 상호연결 부품을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된다. 도 23a, 23b, 23c(통칭하여 도 23으로 언급된다)는 제 1 타입의 제로 삽입력의 부품(50)을 보여주며, 도 24a, 24b, 24c(통칭하여 도 24로 언급된다)는 제 2 타입의 제로 삽입력의 부품(60)을 보여준다. 접촉 장치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접속에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가 바람직하므로 제로 삽입력의 부품 및 매우 낮은 삽입력의 부품은 특히 중요하다.
도 23a, 23b를 참조하면, 제로 삽입력의 상호연결 부품(50)은 절연 기판(52)에 의해 지지된 복수개의 도전성 빔(51)(예를 들어, 4개)을 포함한다. 상호연결 부품(50)은 또한 이동가능한 기판(53)과 이동가능한 기판에 고정된 구근 부재(54; bulbous member)를 포함한다. 이동가능한 기판은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기계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구근 부재는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이 없는 일직선의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3a는 상호연결 부품(50)의 초기 상태를 보여준다. 상호연결 부품(50)을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과 접속시키기 전에 이동가능한 기판(53)은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되어, 구근 부재(54)로 하여금 접속된 돌출형의 부품보다 넓은 거리로 도전성 빔(51)이 퍼지도록 한다. 접속 전에 도전성 빔(51)을 퍼지게 함으로써,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삽입과 정상적으로 연계된 삽입력이 필수적으로 제거된다. 구근 부재(54)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삽입에 따라 또는 캠과 같은 별도의 기계 장치의 제어 하에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감으로써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빔이 방출된다.
도 23의 부품(50)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하기 전에 구근 부재(54)에 의해 도전성 빔(51)이 완전히 퍼지지 않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에서는, 접속 전에 부분적으로 퍼진 빔(51)으로 인해 매우 낮은 삽입력이 요구됨과 동시에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역량이 제공된다. 이 제거에 의해 바람직한 접촉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접촉 표면이 깨끗해진다.
도 24a, 24b를 참조하면, 제로 삽입력의 상호연결 부품(60)은 절연 기판(62)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도전성 빔(61)(예를 들어, 4개의 빔)을 포함한다. 또한, 상호연결 부품(60)은 이동가능한 기판(63)과 이동가능한 기판에 고정된 구근 부재(64)를 포함한다. 이동가능한 기판은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기계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구근 부재는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이 없는 일직선의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기판(63)이 고정 기판(62) 아래에 위치되고 고정 기판(62)은 이 기판 내의 구근 부재(64)를 움직이도록 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4의 제로 삽입력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 23에 도시된 부품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4a는 상호연결 부품(60)의 초기 상태를 보여준다. 상호연결 부품(60)을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과 접속시키기 전에 이동가능한 기판(63)은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기판(62)을 향해 이동되어, 구근 부재(64)로 하여금 접속된 돌출형의 부품보다 넓은 거리로 도전성 빔(61)이 퍼지게 한다. 접속 전에 도전성 빔(61)을 퍼지게 함으로써,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삽입과 정상적으로 연계된 삽입력이 필수적으로 제거된다. 구근 부재(64)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삽입에 따라 또는 캠과 같은 별도의 기계 장치의 제어 하에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감으로써 접촉할 수 있도록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빔을 방출시킨다.
도 24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60)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하기 전에 구근 부재(64)에 의해 도전성 빔(61)이 완전히 퍼지지 않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에서는, 접속 전에 부분적으로 퍼진 빔(51)으로 인해 매우 낮은 삽입력이 요구됨과 동시에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역량이 제공되어 바람직한 접촉을 보장한다.
도 25a와 25b(통칭하여 도 25로 언급된다)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타입의 제로 삽입력의 상호연결 시스템(70) 또는 매우 낮은 삽입력의 상호연결 시스템(70)을 보여준다. 도 25의 시스템에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은 절연 기판(13)에 부착되어 여러 개의 도전성 포스트(11)(예를 들어, 3개)를 포함하며,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은 또 다른 기판(37)에 부착되어 여러 개의 도전성 빔(31)(예를 들어, 3개)을 포함한다. 도 25a 및 25b에서 왼쪽의 포스트(11)는 도 25a 및 25b에 도시된 나머지 포스트와 연계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이외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으로부터 비롯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25a 및 25b에서 왼쪽의 포스트(31)는 도 25a 및 25b에 도시된 나머지 포스트와 연계된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이외의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으로부터 비롯된다.
도 25a는 접속 과정시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주며, 도 25b는 접속된 상태에서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5의 시스템의 사용을 통한 접속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도 25a에 도시된 조건이 달성될 때까지 기판(13, 37)이 X평면에서 서로를 향해 움직인다. 다음, 포스트(11)의 접촉 부분과 빔(31)의 접촉 부분이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되거나 접속될 때까지 기판(13, 37)은 X평면에서 (예를 들어, 캠 또는 기타 기계 장치에 의해) 서로 평행으로 움직인다. 포스트(11)와 빔(31)은 도 25b에 도시된 조건이 될 때까지는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도 25b에 도시된 조건을 이루기 위해 삽입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는 않는다.
도 26a는 해당 수납형의 상호 연결 부품(30)과 접속하기 전에 도 12(a)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을 보여주며, 도 26b는 접속이 발생된 후의 상기 부품을 보여준다. 도 26a 및 26b의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해당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10)의 도전성 포스트(11)와 접속하는 예를 들어 12개의 도전성 빔(31)을 포함한다.
도 27a, 27b, 27c는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 내에 도 13a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의 접속을 보여준다. 도 27a, 27b, 27c의 각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두 개의 도전성 포스트와 접속하는 두 개의 도전성 빔(31)을 포함한다. 도 27a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다이아몬드 모양 또는 오프셋 구성으로 배열되는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7b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 하나씩 배치되는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7c는 접속 위치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7c에서 도전성 빔(31)의 리드인 부분(36a, 36b)은 빔 제거 및 매우 높은 밀도를 갖는 배열이 가능하도록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
지금까지, 복수개의 포스트(11)를 갖는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10)에 대해 논의되었다. 또한, 복수개의 도전성 빔(31)을 갖는 수납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에 대해서도 논의되었다. 도 28a는 한 쌍의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을 보여준다.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 각각은 복수개의 도전성 포스트(11)와 복수개의 도전성 빔(31)을 포함한다. 도 28a에서 상부의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으로 인해, 도전성 포스트(11)는 도전성 빔(31)보다 서로 더 밀집된다. 도 28a의 하부의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으로 인해, 도전성 빔(31)은 도전성 포스트(11)보다 서로 더 밀집된다.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10)과 수납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30)과 마찬가지로,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은 필요할 경우 지지부(도 28a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 28b는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에 사용되는 도전성 포스트(11)와 도전성 빔(31)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분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28b는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의 도전성의 각 빔(31)이 인터페이스 부분(35), 리드인 부분(36) 및 고정 부분(33)을 갖는 접촉 부분(32)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전성 포스트(11)와 도전성 빔(31)에 대한 다리 부분은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75)에 적용될 수 있지만,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29a 및 도 29b는 기존의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10)에 대한 변수를 보여준다. 도 29a 및 29b에서 대향 포스트(11)는 동일한 폭을 갖지만, 상호연결부품의 주위에 이웃하는 포스트(11)는 다른 폭을 갖는다. 또한, 도전성 포스트(11)는 고정 부분(18)과 비교하여 서로를 향해 오프셋되는 접촉 부분(17)을 갖는다. 기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과 함께, 도 29a 및 29b에 도시된 부품이 절연 지지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게되면 그 부품은 해당 수납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절연기판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포스트는 절연 기판(13)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수납형의 부품의 도전성 빔이 절연 기판(37)에 부착된다.
도 30a 및 도 3Ob(통칭하여 도 30으로 언급된다)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에 대한 기판(13)과 같이 기능하는 절연 전기 캐리어와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에 대한 기판(37)으로 기능하는 절연 전기 캐리어를 보여준다. 도 30b의 캐리어(13)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의 다리 부분을 이용하여 직각의 커넥션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된다. 도 30a의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도 30b의 캐리어(37)는 직각의 연결보다는 일직선의 연결을 위해 배열된다. 도 30a의 캐리어나 도 30b의 캐리어는 직각 또는 일직선의 캐리어가 될 수 있다.
인쇄 배선 보드에 표면 장착을 위해 사용될 때 표면 장착되는 각 포스트 및 빔의 다리 부분은 기판의 가장 먼 연장 부분에 걸쳐 대략 0.3 mm 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인쇄 배선 보드상의 불일치를 보상하고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더욱 유연하고 순응성있게 만든다.
도 30의 커넥터는 역방향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편광된다. 중요한 점은 동일한 접촉 개수를 갖는 두 개의 커넥터가 구별되어 사용된다는 것이다.
상호연결 배열
본 발명의 상호연결 부품은 통상적인 그리드 어레이 또는 에지 커넥터 배열보다는 더 밀집한 무리를 이룬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비해 분명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한 구성은 종래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의해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종래의 그리드 어레이는 도 31에 도시된다. 통상적인 종래의 어레이에서, 포스트 타입의 상호연결 부품(101)의 여러 개의 열은 지지표면 위에 배치된다. 그리드 어레이의 모든 포스트(101)는 주어진 열 또는 행 내에서 거리 X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도 31의 그리드 어레이에서, X의 최소 거리는 대략 1.25 mm이다. 이는 평방 센티미터당 약 62(평방 인치당 400) 의 접촉 밀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높은 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개별 소켓에 연결하 개별 포스트의 그리드 또는 열을 이용하는 대신,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복수개의 도전성 포스트를 그룹으로 배열시킨다. 상기 그룹은 각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 각 그룹의 수납을 위해 서로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도전성 포스트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빔 또한 각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로의 사이에 각각 끼워 넣어지게 되는 그룹으로 배열된다. 그리하여, 종래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개개의 핀을 개개의 소켓에 상호연결함으로써 기능하는 반면 본 발명은 포스트 그룹을 포함하는 개개의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과 빔 그룹을 포함하는 개개의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상호연결함으로써 밀도 및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홀 또는 통로(81) 그룹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32의 배열에 따르면, 홀 또는 통로(81) 그룹은 절연 기판(13)에 형성된다. 도전성 포스트(11)(예를들면, 도 5)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통로 내에 끼워 맞추어지거나 또는 도전성 빔(31)(예를 들면, 도 14)은 수납형의 상호 연결 부품의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통로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여기서, 참조 부호 82는 상호연결 부품을 형성하는 각 접촉장치 그룹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접촉장치 그룹을 포함하는 상호연결 부품으로 언급된다. 따라서, 각 상호연결 부품(82)은 여기서 복수개의 도전성 포스트(11)를 포함하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 또는 복수개의 도전성 빔(31)을 포함하는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 또는 복수개의 도전성 포스트(11)와 복수개의 도전성 빔(31)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예를 들면, 도 28 참조)이 될 수 있다.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면, 상호연결 부품(82) 각각은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서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접촉장치는 각 상호연결 부품의 접촉장치가 상호연결 부품의 다른 접속장치내에서 사이에 끼워 넣어지거나 무리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바꾸어 말하여, 각 그룹(82)의 부분이 인접 그룹의 접촉장치의 행과 열에 중첩되도록 어레이의 도전성 접촉장치가 배열되어, 사용된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접속 빔이 적절히 제거되면서, 가장 높은 밀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 32의 각 그룹의 접촉장치 또는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은 상기 부품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또는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일 때 상호연결 부품의 중심 부분에 배치된 지지부(12)를 갖게 되는 한편, 하나 이상(예를 들면, 모든 부품)의 상호연결 부품이지지부없이 도전성 접촉장치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게 된다.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이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일 때, 상기 부품은 지지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연결 부품을 형성하는 각 그룹의 접촉장치(82)는 십자 모양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다른 모양(도 12a, 12b, 13a, 13c, 25, 28 또는 29에 도시된 부품으로 발생되는 모양이나 쉽게 무리를 이루는 기타 모양)이 구성될 수 있다. 십자 모양으로 접촉장치 그룹을 형성하면(도 32에서와 같이), 각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또는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빔이 지나치게 응력을 받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빔 응력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십자 모양의 그룹의 사용은 도 31의 그리드 어레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에서 발견되지 않는 정렬의 이점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십자 모양의 상호연결 부품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일 때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빔과 각각 정렬되어, 도 32의 전체 정렬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홀 또는 접촉장치의 무리를 이루는 그룹(예를 들면, 십자 모양의 그룹)(즉, 무리를 이루는 돌출형, 수납형 또는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은 해당하는 상호연결 부품과 접속하는 접촉장치 사이에 적절한 제거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접촉장치 사이의 공간을 최소가 되도록 감소시킨다. 발명자에게 알려진 종래의 시스템은 이러한 방식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거나 하이브리드 타입의 상호연결 부품일 때, 각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 사이의 지지부의 포함은 선택적이다. 지지부가 없을 경우, 각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또는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에 대한 각 그룹의 포스트(11)는 포스트의 경사진 상부 표면으로 인해 접속시 해당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해당 빔을 퍼지게 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절연벽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도 32의 무리를 이룬 구성은 접촉장치 사이에 절연 벽을 구비해야 할 필요성을 없애준다. 또한, 도 32의 무리를 이룬 구성은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포스트에 대한 배열이 되기도 하지만,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빔(31)에 대한 배열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내에 돌출형 및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에 있어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에 연계된 각 그룹의 접촉장치의 부분이 기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에 연계된 인접 그룹의 접촉장치의 행과 열에 중첩되도록 상기 부품의 접촉장치가 배열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여, 일정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내의 돌출 및 수납형의 부품은 무리를 이룬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하이브리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을 포함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또한, 접촉장치를 그룹(예를 들면, 도 32의 십자 모양의 그룹(82))에 배열시킴으로써, 상호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면, 인쇄 배선 보드)의 레이아웃 및 트레이스 행로를 강화시키도록 각 그룹에 대한 상호연결 부품의 다리 부분이 배열된다.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각각 지지부를 포함하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또는 하이브리드 상호연결 부품일 때, 도 32의 상호연결 배열의 밀도는 포스트 및 빔의 구성, 지지부 사이의 공간 및 사용된 지지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도33a 및 33b의 각각의 예시에 따라, 각 지지부(12)의 단면은 0.5 mm x 0.5 mm, 0.9mm x 0.9 mm 또는 기타 다른 크기가 될 수 있다. 한 예로, 도 33a의 상호연결 부품은 각각 0.5 mm x 0.5 mm의 지지부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프셋 포스트를 포함하며, 도 33b의 상호연결 부품은 0.9 mm x 0.9 mm의 지지부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오프셋 포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 내의 인접 접촉장치 사이의 거리와 다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인접 접촉장치 사이의 거리는 0.2 mm보다 길거나 같다.
각 지지부가 0.5 mm x 0.5 mm인 배열이 도 34에 도시된다. 지지부가 사용되지 않으면 더욱 높은 밀도가 이루어진다.
도 32의 배열에 있어서, 0.9 mm x 0.9 mm의 지지부가 사용되면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행 사이의 중심선 대 중심선 거리 X는 1.5mm가 되고,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열 사이의 중심선 대 중심선 거리 Y는 1.25mm가 되고, 배열에 대한 전체 밀도는 평방 센티미터당 약 105(평방 인치당) 680의 접촉이 된다. 0.5 mm x 0.5mm의 지지부가 사용되면,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행 사이의 중심선 대 중심선 거리 X는 1.Omm가 되고,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열 사이의 중심선 대 중심선 거리 Y는 1.5mm가 되고, 배열에 대한 전체 밀도는 평방 센티미터당 약 128(평방 인치당 828)의 접촉이 된다. 작은 지지부가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경우, 한 줄에 있는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행 사이의 중심선 대 중심선 거리 X는 0.9mm가 되고,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열 사이의 중심선 대 중심선 거리 Y는 1.25mm가 되고, 배열에 대한 전체 밀도는 평방 센티미터당 약 159(평방 인치당 1,028)의 접촉이 된다.
도 32에 도시된 무리를 이룬 배열에서, 돌출형이건, 수납형이건 하이브리드 타입이건 간에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은 절연 기판(13)위에 열 및 행으로 배열된다. (도 32의 점선은 각각 열 및 행을 나타낸다.)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인접 열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고, 마찬가지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인접 행 또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무리를 이룬 구성에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은 서로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서 각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한 부분이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인접열 또는 인접 행에 중첩된다. 일정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서 돌출형, 수납형 및 하이브리드 부품은 모두 도 32에 도시된 무리를 이룬 배열에 따라 배열된다. 도 32는 20개의 열과 17개의 행을 갖는 배열을 보여주는 한편, 다른 개수의 열 및 행의 배열이 그려진다. 예를 들어, 17개의 행보다 많거나 적은 행과,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열을 갖는 배열이 구성된다. 2개, 3개 및 4개 등의 열을 갖는 배열은 특히 인쇄 회로 기판 및 기타 그러한 기판용의 에지 커넥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32의 무리를 이룬 구성은 더욱 높은 밀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의 한 예가 도 35에 도시되는데, 이에 따르면 도 32의 배열을 순환시키고 상호연결 부품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부품 사이에 보다 적은 공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도 35의 배열에서, 돌출형, 수납형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이건 간에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은 절연 기판(13)위에 열 및 행으로 배열되고, 각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장치(예를 들면, 도 35의포스트(11))는 또다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접촉장치의 측면(84)에 의해 처음으로 교차된 라인을 따라 상기 상호연결 부품(82)으로부터 떨어져서 외부를 향해 직면하는 정면(83)을 포함한다. 또한, 도 35의 배열에서, 인접 상호연결 부품은 오프셋되어 상호연결 부품의 중심으로부터 그 부품의 접촉장치의 중심을 잇는 라인이 그 부품에 직접적으로 인접한 상호연결 부품의 중심과 교차되지 않도록 한다. 도 32에 구성된 무리를 이룬 배열과 함께 도 35의 배열은 다른 모양이 구성되기도 하지만,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에 대해 십자 모양을 한 그룹의 접촉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도 32의 배열과 함께 도 35의 배열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열 및 행보다 많거나 적게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열과 8개의 행) 변형될 수 있다. 일정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내의 모든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예를 들어,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시스템에서 돌출형 및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도 35에 도시된 배열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36은 0.5 mm x 0.5 mm의 단면을 갖는 지지부를 이용하는 도 35에 따른 배열의 한 부분을 보여준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6의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 내에 각각 수납될 때,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접촉장치 또는 빔(31)이 예를 들면, 0.2 mm의 거리만큼 분리된다.
도 38은 도 35의 배열에 따라 배열되고 해당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 내에 수납된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10)을 보여준다. 도 38에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에 대한 지지부(12)는 0.9 mm x 0.9 mm의 단면을 갖게된다. 도전성 각 접촉장치 또는 빔(31) 사이의 거리와 접촉면은 예를 들면, 0.4mm이다.
도 35의 배열에서 0.9 mm x 0.9 mm의 지지부가 사용될 때 접촉장치의 표면 사이의 거리 d는 2.19 mm가 되며, 상기 배열의 전체 밀도는 평방 센티미터당 약 71(평방 인치당 460)의 접촉이 된다. 0.5 mm x 0.5 mm의 지지부가 사용되면, 거리 d는 1.60 mm이 되고, 전체 밀도는 평방 센티미터당 약 139(평방 인치당 900)의 접촉이 된다. 지지부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거리 d는 1.5mm이 되고, 전체 밀도는 평방 센티미터당 약 179(평방 인치당 1,156)의 접촉이 된다.
도 32 및 35의 배열에서, 각 배열의 열 및 행은 연속적이다. 바꾸어 말하여, 각 열 및 행에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 사이의 정규 공간옆에는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열 또는 행의 파괴나 단절이 없다. 그러한 연속적인 열 및 행은 본딩공정이 반도체 칩 주위와 칩 바로 아래에서 행해지는 반도체 칩 본딩 기술과 관련하여 특히 유용하다. 또한 이는 많은 개수의 핀 연결에서 유용하다.
연속적인 열 및 행으로 배열되는 대신,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부품이돌출형, 수납형,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이건 관계없이)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85)에 의해 분리된 4개 이상의 부품 그룹 또는 무리로 배열될 수 있다. 라우팅 트레이스용 채널(85)을 이용하는 이러한 타입의 배열은 인쇄 회로 기판 및 기타 인터페이스 기판 트레이스가 인터페이스 기판 상에서 비스듬하게 쉽게 라우팅되도록 한다. 그러한 라우팅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 그룹 사이의 채널이 각 그룹 내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 사이의 공간보다 넓어진다. 채널(85)의 사용은 도 32 및 35를 포함하여 본 출원서에 개시된 모든 상호연결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 그룹 사이의 채널(85)은 비아 홀(vias), 패드, 관통홀및 트레이스가 위치된 공간에 상응한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불연속적인 배열과 관련한 사용에 적합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패턴의 한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패턴의 크기는 17.33 mm과 17.69 mm이며, 평방 센티미터당 약 46(평방 인치당 300)의 접촉을 갖는 밀도를 제공한다. 도 40에서 알 수 있듯이, 인쇄 회로 기판의 패턴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에 배열되는 패드와 함께 트레이스(86), 비아 홀(87) 및 패드(88)를 포함한다. 도 40에 도시된 인쇄 회로 기판의 패턴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 사이의 채널(85)에 해당하는 인쇄 회로 기판 영역에 트레이스, 비아 홀 등을 노선에 따라 회송한다. 도 40의 패턴에 예시된 크기는 트레이스(86)의 폭에 대해서는 0.15 mm이고, 트레이스(86)를 인쇄 회로 기판 표면상의 기타 도전성 부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크기는 0.15 mm이며, 비아 홀(87)에 대해서 0.6 mm의 직경을 이룬다. 도 40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이 장착된 회로 기판 또는 기타 기판의 패턴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패턴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2 및 35의 연속적인 배열 및 도 39의 무리를 이룬 또는 불연속적인 배열 이외에, 본 발명의 모든 배열은 와이어 본딩, TAB등과 같은 본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칩 캐리어와 인터페이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중심 부분에 공간(89)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41a 및 41b는 절연 기판(13)상에 형성된 도 32 및 35의 배열이 공간(89)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각각보여준다.
도 41a는 중심부에 공간(89)을 포함하도록 변형된 도 32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의 배열 한 예를 보여준다. 도 41a에서 어레이의 각 측의 길이는 대략 25mm이므로 도전성 252의 접촉이 625 sq. mm의 영역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도 41b는 중심부에 공간(89)을 포함하도록 변형된 도 35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의 배열의 한 예를 보여준다. 도 41b에서 어레이의 각 측의 길이는 대략 23mm이므로 336의 접촉이 529 sq. mm의 영역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도 42는 도 41b에 도시된 배열의 또다른 배열로서, 포스트(11) 각각은 도 7에 도시된 오프셋 포스트의 방식에서 해당 고정 부분(18)에 대해 오프셋되는 접촉 부분(17)을 갖는다. 도 41a 및 41b와 마찬가지로,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배열이 중심부에 공간(89)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41a, 41b 및 42의 배열에 있어서, 도시된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은 각각 지지부(12)를 포함하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이다. 그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부품은 지지부가 없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수납형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상호연결 부품이 될 수 있다.
도 43 내지 4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관점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43은 도 7에 도시된 포스트와 마찬가지로 해당 고정 부분(18)에 대해 오프셋되는 접촉 부분(17)을 갖는 각 포스트(11)와 함께,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의 연속적인 배열을 보여준다. 도 44는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SMT 방법론을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기타 인터페이스 기판에 장착되는 소켓의 수납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이 되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에 의해 소켓에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5는 무리를 이룬 배열을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이 도 12a에 도시된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과 같이 구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6은 도 12b에 도시된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과 같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에 대한 평방 센티미터당 약 130(평방 인치당 837) 접촉 밀도의 배열을 보여주며, 상기 부품(82)은 각각 두 개의 접촉장치 또는 포스트(11)와, 선택에 따라 4측면의 절연 지지부(12)를 포함한다. 도 47은 도 13c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돌출형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과 같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48a와 도 48b를 포함하는 도 48은 도 12b에 도시된 H 모양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과 같은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82)의 배열을 보여준다. H 모양의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배열 크기는 도 48c 및 48d에 도시된다. 도 48c의 배열은 평방 센티미터당 약 111(평방 인치당 716)접촉의 밀도를 제공할수 있으며, 반면에 도 48d의 배열은 평방 센티미터당 약 99(평방 인치당 636)의 접촉 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미 논의된 바 있는 도전성 포스트(11) 또는 도전싱 빔(31)은 상기 배열에 사용될 수 있다. 도전성 포스트 및 빔의 개별적인 접촉, 고정 및 다리 부분은 상호연결 배열이 효율을 극대화시킬수 있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의 각 포스트(11)의 접촉 부분(17)은 그 포스트에 대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의 내부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부분을 오프셋하여, 보다 적은 지지부가 사용되거나 지지부가 완전히 제거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의 상호연결 배열의 밀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프셋 포스트를 이용하여 증가된다.
오프셋 타입의 포스트(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가 사용될 때, 도전성 해당 빔의 접촉 부분 또한 오프셋된다. 그러나,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빔(31)의 접촉 부분(32)은 일반적으로 지지부와 떨어져서 오프셋되어 도전성 빔에 가해진 응력의 양을 최소화하고 사용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49의 오프셋 빔과 관련한 도 7의 오프셋 포스트(11)의 사용을 통해 보다 높은 전기의 상호연결 밀도가 얻어진다.
접촉 부분과 마찬가지로, 도전성 포스트(11) 또는 빔(31)의 다리 부분은 해당 고정 부분에 대해 정렬되거나 오프셋된다. 도 50a는 고정 부분의 중심 축에 대해 정렬된 다리 부분(19)을 갖는 도전성 포스트(11)를 보여주며 도 50b는 고정 부분으로 부터 오프셋되는 다리 부분(19)을 갖는 도전성 포스트(11)를 보여준다. 도 50a 및 50b에 도시된 정렬 및 오프셋은 각각 도전성의 각 빔(31)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0a의 구성은 기판(13)이 다리 부분(19)과 인터페이스되는 장치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될 때 상부 및 하부의 접촉을 위해 사용된다. 반면에, 도 50b의 구성은 일직선 또는 직각의 상호연결이 다리 부분과 인터페이스 장치 사이에 이루어질 때 사용되며, 다리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거의 공간이 없다. 포스트의 다리 부분은 빔에 정상적으로 연계된 다리 인터페이스 패턴 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해당 고정 부분에 대해 정렬 또는 오프셋되고, 빔의 부분은 포스트에 정상적으로 연계된 다리 인터페이스 패턴 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해당 고정 부분에 대해 정렬 또는 오프셋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 점은 또한 자유로운 트레이스 라우팅을 제공한다.
별도의 접촉, 고정 및 다리 부분을 포함하는 포스트(11) 및 빔(31)의 사용을통해 다른 이점이 발생되고, 상기 논의된 부분 이외의 부분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트 또는 빔의 접촉 부분은 제조하기 쉽도록 도 8에 도시된 포스트 또는 빔의 고정 부분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상호연결 시스템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부분보다 적은(즉, 좁은) 크기를 갖는다.
접촉 부분이 해당 고정 부분보다 좁게 만들어질 경우, 포스트 또는 빔이 확보된 홀 또는 통로가 다른 레벨에서 다른 폭 또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부분이 돌출된 홀의 부분 주위의 폭 또는 직경은 다리 부분이 돌출된 기판의 디른 측에 있는 폭 또는 직경보다 좁다. 이러한 타임의 구성에서 포스트 또는 빔은 처음 시작되는 접촉 부분을 갖는 홀에 삽입되어 고정 부분의 어깨부분이 좁은 폭 또는 직경을 갖는 홀의 부에 접촉될 때까지 홀에 밀어 넣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을 구성하여, 지나친 삽입(즉, 고정 부분이 홀을 통해 연장되는 범위로 포스트 또는 빔의 삽입)과, 높은 접속력으로 인한 돌출이 방지된다.
접촉 부분과 마찬가지로, 각 포스트 또는 빔의 다리 부분은 그 포스트 또는빔의 고정 부분과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고밀도의 인터페이스 장치와 인터페이스되고 회로 설계 및 라우팅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고정 부분보다 적은(즉, 좁은) 크기를 갖게 된다. 다리 부분이 해당 고정 부분보다 좁을 경우, 포스트 또는 빔이 확보된 홀 또는 경로가 다른 레벨에서 다른 폭 또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다리 부분이 돌출된 홀의 부분 주위의 폭 또는 직경은 접촉 부분이 돌출된 기판의 타측에 있는 폭 또는 직경보다 좁아진다. 이러한 타입의 구성에서, 포스트 또는 빔은 처음으로 시작되는 다리 부분을 갖는 홀에 삽입되어 고정 부분의 어깨 부분이 보다 좁은 폭 또는 직경을 갖는 홀의 부와 맞닿을 때까지 홀속에 밀어 넣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을 구성하여, 지나친 삽입(즉, 고정 부분이 홀을 통해 연장되는 범위로 포스트 또는 빔의 삽입)과, 높은 접속력으로 인한 돌출이 방지된다.
포스트 또는 빔의 접촉 부분이 고정 부분으로부터 오프셋될 때 포스트 또는빔은 처음 시작되는 다리 부분을 갖는 해당 홀에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유사하게, 포스트 또는 빔의 다리 부분이 고정 부분으로부터 오프셋 될 때 포스트 또는 빔은 처음 시작되는 접촉 부분을 갖는 해당 홀에 삽입되어야 한다.
각 포스트 또는 빔의 다리 부분은 다수의 다른 구성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다리 부분은 도 5Oa에서와 같이 고정 부분의 중심 축과 정렬되는 자체의 중심축을 갖는다. 또한, 다리 부분은 고정부분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도 5O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부분의 한 측이 고정 부분의 한 측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각 포스트 또는 빔의 다리 부분은 고정 부분의 다른 부분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다리 부분은 고정 부분의 중심, 코너 또는 측에 부착되어 트레이스 라우팅, 회로 설계의 유연성 및 인터페이스 장치의 증가된 밀도를 제공한다.
각 포스트 또는 빔의 다리 부분의 또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정한돌출형 또는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 내에서 그 부품의 다리 부분이 서로를 향해 마주보거나 떨어져 있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일부분은 서로를 향해 마주보는 한편 나머지 다리 부분은 서로 떨어져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일정한 상호 연결 부품의 다리 부분은 각 다리 부분이 왼쪽에 바로 이웃하는 다리 부분과 마주 보거나 오른쪽에 바로 이웃하는 다리 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또한, 2차 몰딩 동작은 하나 이상의 상호연결 부품의 다리 부분을 함께 묶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구성에서 절연 요크(yoke) 또는 기판이 적당한 곳에 다리 부분을 지지하고 정렬시키고 설치하는 동안 다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다리 부분을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시키는 포인트 바로 위의 다리 부분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 또는 빔의 다리 부분의 부분은 쇼팅을 방지하고 다리 부분의 배치를 서로 가깝게 하도록(예를 들어, 서로 직면한 다리 부분의 배치) 절연 물질로 선택적으로 덮이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선택적 절연 방법은 특히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각의 연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다리 부분의 상기 선택적 절연은 각 부품 내의 모든 다리 부분의 배치를 서로 가깝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선택적 절연은 동일한 열(예를 들어, 도 11b의 열 C, D, E)을 공유하는 각 부품 내에 다리 부분의 배치만을 서로 가깝게 배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다리 부분의 선택적 절연이 이러한 타입의 밀접한 배치가 이루어질 때 쇼팅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그러한 밀접한 배치는 선택적 절연이 없을 경우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설명으로 알 수 있듯이, 단일 부분에서 형성된 별도의 접촉, 고정 및 다리 부분을 포함하는 포스트 및 빔의 사용은 본 발명의 상호연결 배열의 효율 및 효과를 최대화시킨다. 또한, 도전성 포스트 및 빔의 상호연결 배열은 기존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용에서 불가능했던 회로 설계 및 신호 라우팅에서 유연성을 제공한다.
제조과정
전기의 상호연결 부품의 도전성 포스트 및 빔은 스트립 또는 오그라든 (drawn) 와이어에서 찍어내며, 상기의 포스트 및 빔의 설명에 따라 접촉 부분 및 인터페이스 부분이 적절한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하도록 설계된다.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선택적인 도금 및 자동 삽입이 가능해진다. 직각 모양의 다리 부분은 고정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다른 길이로 이루어진 하나의 핀 틀이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모든 측과 레벨에 대해 접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최대의 밀도를 위해 다리 부분은 인접 다리 부분 사이의 간섭을 피하면서 최대의 밀도를 제공하도록 고정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서 이동된다.
비대칭 형태는 자동화된 어셈블리 장치에 일정한 방위를 제공하므로, 스탬프접촉은 느슨해지거나 스트립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립은 끝에 있는 고정 영역 사이에 존재하거나 개별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밴돌리어(bandolier)부분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직각 형태에서 다른 길이의 꼬리부분은 자동 조립시 원료를 공급하는 진동 보울과 방위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스티치 및 무리 삽입 어셈블리 장치 둘 다에 적용할 수 있다. 절연 커넥터 몸체 및 포장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자동 및 로봇에 의한 삽입 또는 커넥터에 와이어의 끝맺음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었다. 절연 기판을 형성하고 그 기판에 접촉장치를 삽입하는 대안으로서, 절연 기판이 삽입 몰딩 공정에서 접촉장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완성된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 공정과 양립할 수 있다.
결론
본 발명은 기존의 고밀도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보다 높은 밀도, 속도, 저렴한 비용 및 효율적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반도체 및 컴퓨터 기술에 따른 급속한 발전과 보조를 맞출 수 있다.
개시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역 또는 특징을 벗어 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히 드러난다. 개시된 본 발명의 명세서 등을 참작하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명백히 드러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실시예는 첨부된 클레임에 의해 지적된 본 발명의 실제 영역을 갖는 하나의 예로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설계된 컴퓨터 및 반도체 기술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밀도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고밀도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적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보다 높은 밀도와 저렴한 비용은, 또한, 많은 핀이 더욱 바람직한 기능과 성능이 추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리로 이루어진 구성 등으로 배열된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사용을 통하여 고밀도가 달성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들 목적과 다른 목적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은 제 1 지지 요소와, 제 1 지지 요소 상에 배열되어 다수의 전기도전성 접촉장치 그룹으로 이루어진 제 1 어레이와, 제 2 지지 요소와, 제 2 지지 요소 상에 배열되어 다수의 전기도전성 접촉장치 그룹으로 이루어진 제 2 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 어레이 그룹은 각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장치가 제 1 어레이의 그룹의 또 다른 접촉장치의 측면에 의해 처음으로 교차된 라인을 따라 각 그룹으로부터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향한 정면을 포함하도록 배열되며, 제 2 어레이 그룹은 제 2 어레이의 각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장치가 제 2 어레이의 그룹의 또 다른 접촉 장치의 측면에 의해 처음으로 교차된 라인을 따라 각 그룹으로부터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향한 정면을 포함하도록 배열되며, 제 1 어레이에 따른 각 그룹의접촉장치 제 2 어레이에 따른 각 그룹의 해당 접촉장치와 접속된다.
상기의 목적은 또한 지지 요소와 이 지지 요소에 배열되어 다수의 전기도전성 접촉장치 그룹으로 된 어레이를 구비하고, 각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장치는 이 어레이 그룹의 또 다른 접촉장치의 측면에 의해 처음으로 교차된 라인을 따라 그 그룹과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향한 정면을 포함하도록 배열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의 제조 및 이용 방법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예를 든 설명이고 클레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론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Claims (23)
- 제 1 지지요소와,제 1 지지요소에 고정되고, 접촉표면과 상기 접촉표면에 대향하여 위치한 대향표면과 상기 접촉표면과 상기 대향표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표면을 구비하는 접촉부를 각각 가지며,이들 각각의 접촉부가 다수 접촉부 그룹으로 이루어진 제 1 어레이에 배열되며, 제 1 어레이내 각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는 이 접촉부의 대향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에 의해 주로 분리되는 대향하는 두면을 가지게 제 1 어레이내의 다른 그룹에 있는 접촉부의 측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 1 복수 도전성 접촉장치와,제 2 지지요소와,제 2 지지요소에 고정되고, 일측에 접촉표면을 구비하는 접촉부를 각각 가지며, 이들 각각의 접촉부가 다수 접촉부 그룹으로 이루어진 제 2 어레이에 배열되게 한 제 2 복수 도전성 접촉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제 2 어레이에 속하는 접촉부의 각 그룹이 제 1 어레이에 속하는 접촉부 그룹의 상응하는 하나내에 각각 수납될 때, 제 1 어레이 접촉부의 각 접촉표면이 제 2 어레이의 접촉부의 접촉표면중 해당하는 접촉표면에 접촉되도록 제 1 어레이에 속하는 접촉부의 각 그룹은 제 2 어레이에 속하는 접촉부의 그룹의 해당하는 하나를 수납하게 구성됨을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레이의 각 그룹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10)이고, 제 1 어레이의 각 그룹은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각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은 그 부품에 대한 접촉장치가 서로 전기적으로주위에 이격되게 배치된 전기적 절연성 지지부(12)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평방 센티미터당 적어도 77(평방 인치당 적어도 500)의 접촉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평방 센티미터당 적어도 93(평방 인치당 적어도 600)의 접촉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평방 센티미터당 적어도 155(평방 인치당 적어도 1,000)의 접촉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대향하는 두면은공기에 의해서만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대향하는 두면은공기만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의 각 그룹의 접촉 부(17)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부의 대향 표면이 공기에 의해 기본적으로 서로 분리되게 상기 그룹 내에대향하는 두면을 가지게상기 그룹의 또다른 접촉 부의 대향 표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의 각 그룹의 접촉 부(17)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부의 대향 표면이 공기에 의해서만 서로 분리되게 상기 그룹 내에대향하는 두면을 가지게상기 그룹의 또다른 접촉 부의 대향 표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의 접촉장치의 접촉 부(17)의 각각은 제 1 어레이와 제 2 어레이의 접속 전과 후에 제 2지지 요소(13)의 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일부분을 가지며, 제 1 어레이의 접촉장치의 접촉 부(32) 각각은 제 1어레이와 제 2 어레이의 접속 전에는 각을 이루고, 접속 후에는 일직선이 되는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어레이의대향하는 두면은기본적으로 공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의 각 그룹은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돌출형의 상호연결 부품 각각은 그 부품에 대한 접촉장치가 서로전기적으로 주위에 이격되어 배치된 전기적 절연성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어레이의 각 그룹은 수납형의 상호연결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대향하는 두면은공기에 의해서만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의 각 그룹의 접촉 부(17) 중 적어도 하나는접촉 부의 대향 표면이 기본적으로 공기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는 상기 그룹 내에대향하는 두면을 가지게상기 그룹의 또다른 접촉 부의 대향 표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의 각 그룹의 접촉 부(17)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부의 대향 표면이 공기에 의해서만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는 상기 그룹 내에대향하는 두면을 가지게상기 그룹의 또다른 접촉 부의 대향 표면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어레이의 접촉장치의 접촉 부(17) 각각은 제 1 어레이와 제 2 어레이의 접속 전과 후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일부분을 가지며, 제 1 어레이의 접촉장치의 접촉 부(32) 각각은 제 1 어레이와 제 2 어레이의 접속 전에는 수평 방향을 향해 각을 이루고, 접속 후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직선이 되는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성의 전기 절연체는대향하는 두면사이에 위치된 대다수의 모든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의 전기 절연체는 가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의 전기 절연체는 공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의 전기 절연체는대향하는 두면사이에 위치한 모든 공간을 완전히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의 상호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921994A | 1994-03-11 | 1994-03-11 | |
US08/209,219 | 1994-03-11 | ||
PCT/US1995/002679 WO1995024748A1 (en) | 1994-03-11 | 1995-03-09 |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46917B1 true KR100346917B1 (ko) | 2002-11-30 |
Family
ID=2277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705043A KR100346917B1 (ko) | 1994-03-11 | 1995-03-09 | 고밀도전기의상호연결시스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1) | EP0749639B1 (ko) |
JP (1) | JP3323507B2 (ko) |
KR (1) | KR100346917B1 (ko) |
AU (1) | AU2093995A (ko) |
DE (1) | DE69511684T2 (ko) |
TW (1) | TW247376B (ko) |
WO (1) | WO19950247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39585A1 (de) * | 1999-08-20 | 2001-04-12 |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DE19939580C2 (de) * | 1999-08-20 | 2003-11-27 |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97376A (en) * | 1990-03-23 | 1991-03-05 | Amp Incorporated | Paired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37838A (en) * | 1964-12-16 | 1967-08-22 | Burndy Corp | Wiping contact |
US4897055A (en) * | 1988-11-28 | 1990-01-3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 Sequential Connecting device |
US4975066A (en) * | 1989-06-27 | 1990-12-04 | Amp Incorporated | Coaxial contact element |
US5015207A (en) * | 1989-12-28 | 1991-05-14 | Isotronics, Inc. | Multi-path feed-thru lead and method for formation thereof |
TW238431B (ko) * | 1992-12-01 | 1995-01-11 | Stanford W Crane Jr | |
JPH08510083A (ja) * | 1993-05-07 | 1996-10-22 | ミネソタ・マイニング・アンド・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 | コネクタ部材のコンタクト・システム |
US5330372A (en) * | 1993-05-13 | 1994-07-19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High-density connector |
-
1994
- 1994-03-16 TW TW083102272A patent/TW247376B/zh active
-
1995
- 1995-03-09 WO PCT/US1995/002679 patent/WO1995024748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5-03-09 JP JP52354695A patent/JP332350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3-09 DE DE69511684T patent/DE6951168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3-09 KR KR1019960705043A patent/KR1003469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3-09 EP EP95913542A patent/EP074963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3-09 AU AU20939/95A patent/AU2093995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97376A (en) * | 1990-03-23 | 1991-03-05 | Amp Incorporated | Paired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749639A1 (en) | 1996-12-27 |
DE69511684D1 (de) | 1999-09-30 |
DE69511684T2 (de) | 1999-12-23 |
AU2093995A (en) | 1995-09-25 |
JP3323507B2 (ja) | 2002-09-09 |
WO1995024748A1 (en) | 1995-09-14 |
JPH09510317A (ja) | 1997-10-14 |
EP0749639B1 (en) | 1999-08-25 |
TW247376B (en) | 1995-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34821A (en) |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 |
US6554651B2 (en) |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 |
US6905367B2 (en) | Modular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a modular frame and electrically shielded signal path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0360992B1 (ko) | 고밀도외부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반도체칩 | |
JP2005522012A (ja) | 一体式電力接点を備えたマトリクスコネクタ | |
US6866518B1 (en) |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multiple printed circuit boards | |
US6918775B2 (en) | Method for interconnecting multiple printed circuit boards | |
JPH06223895A (ja) | コネクタおよびその方法 | |
JPH05275146A (ja) | 回路パネル用ソケット | |
US8172615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module | |
US6954984B2 (en) | Land grid array structure | |
KR100346917B1 (ko) | 고밀도전기의상호연결시스템 | |
US6923655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wo intersected printed circuit boards | |
US6270366B1 (en) | Adaptable high integrated electric interconnecting system | |
KR100545966B1 (ko) | 고밀도 커넥터 시스템 | |
JPH09270484A (ja) | Icソケット | |
JPH0660946A (ja) | 高密度型表面実装コネクタ | |
JPH11186470A (ja) | Icソケットおよびicパッケージとの組み合わせ | |
JP2001110489A (ja) | 多芯ケーブル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接続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7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