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427B1 -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427B1
KR100346427B1 KR1020000022939A KR20000022939A KR100346427B1 KR 100346427 B1 KR100346427 B1 KR 100346427B1 KR 1020000022939 A KR1020000022939 A KR 1020000022939A KR 20000022939 A KR20000022939 A KR 20000022939A KR 100346427 B1 KR100346427 B1 KR 100346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ire
compressed
tank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188A (ko
Inventor
이홍범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42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6Arrangement of air tank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브레이크나 공기 스프링과 같이 압축 공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위해 압축기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압축된 공기를 타이어에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공기는 공기 탱크(12)에 저장된다. 공기 탱크의 일측에 연결된 공기 주입 호스(12)에는 밸브(14)와 압력계(15)가 설치되어 있고, 호스의 끝은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3)에 결합된다. 호스가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에 결합되고 밸브가 개방되면 탱크 내부의 압축 공기는 호스를 통해 타이어로 주입된다. 압력계는 타이어로 주입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air to a tire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공기 브레이크나 공기 스프링과 같이 압축 공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위해 압축기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타이어에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타이어는 노면과 직접 접촉되어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고 구동력, 제동력, 및 횡력 등 각종 힘을 전달하며,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수행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타이어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타이어는 튜브가 없는 튜브리스 타이어(tubeless tire)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림(1)과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림(1)과의 사이에 소정의 폐단면을 이루도록 림(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타이어 부재(2)를 포함하고 있다. 림(1)의 일측에는 림(1)과 타이어 부재(2) 사이의 폐단면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없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펑크가 나더라도 공기압이 급격하게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중형 이상의 상용 자동차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중형 이상의 상용 자동차의 경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상당히 높고 충전되는 공기량이 많다. 따라서, 상용 자동차의 운행중 타이어가 펑크날 경우 운전자가 타이어의 공기를 보충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별도의 공기 주입 장치를 탑재한 정비 자동차가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타이어의 공기를 주입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정비 비용이 소모된다.
한편, 대부분의 중형 이상의 상용 자동차는 공기 브레이크와, 현가 장치용의 공기 스프링 등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용 자동차는 공기 브레이크나 공기 스프링과 같은 부품들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와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중형 이상의 상용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 자체에 구비된 공기 압축기를 이용하여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이어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공기 압축기 12 ; 공기 탱크
12a ; 배출니플 13 ; 공기 주입 호스13a ; 주입니플 14 ; 단속 밸브
15 ; 압력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압축기, 이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 이 공기탱크와 상기한 공기압축기를 연결하는 공기파이프, 상기한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파이프에 설치한 드라이어, 및 공기브레이크나 공기스프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라인을 구비한 상용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공기탱크의 일 측에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기능을 가진 배출니플, 일단은 상기한 배출니플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은 타이어의 공기주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밸브기능을 가진 주입니플을 갖춘 공기주입호스, 이 공기주입호스의 양단사이에 있는 중간부분에 연결하는 압력계, 및 이 압력계와 상기한 공기주입호스의 개방된 일단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한 공기탱크에서 상기한 타이어로 향한 압축공기의 통로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 단속밸브로 구성하여, 상기한 타이어에 압축공기를 주입할 경우에는 상기한 공기주입호스의 일단을 상기한 배출니플에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한 타단의 주입니플을 상기한 타이어의 공기주입구에 접속시킨 다음 단속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한 압력계에 의해서 상기한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였음이 확인되면 상기한 단속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한 공기주입호스를 상기한 공기탱크와 타이어로부터 분리시켜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는 공기 압축기(11)와 공기 탱크(12)와 공기 주입 호스(13)와 단속 밸브(14)와 압력계(1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공기 압축기(11)와 공기 탱크(12)는 일반적인 상용 자동차에 있어서 공기 브레이크나 공기 스프링용으로 설치된 것을 사용한다. 공기 압축기(11)와 공기 탱크(12)를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16)의 중간 일측에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dryer)(17)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탱크(12)에는 공기 브레이크나 공기 스프링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라인(18)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공기 탱크(12)의 일측에는 밸브 기능을 가진 배출니플(1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배출니플(12a)에 공기 주입 호스(13)의 일단이 연결된다. 공기 주입 호스(13)의 타단에는 공기 탱크(12)의 배출니플(12a)과 동일한 구조의 주입니플(1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입니플(13a)을 통해 공기 주입 호스(13)의 타단은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3)와 결합된다. 이러한 밸브 기능을 가진 니플들(12a, 13a)은 공기 주입 호스(13)의 일단이나 공기 주입구(3)와 분리되면 폐쇄되고, 결합되면 개방되는 것으로,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공기 주입 호스(13)는 자동차의 전후에 설치된 모든 타이어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공기 주입 호스(13)의 중간 일측에는 단속 밸브(14)와 압력계(15)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차의 타이어가 펑크나면, 공기 주입 호스(13)의 개방단부는 공기 탱크(12)의 배출니플(12a)에 접속시키는 한편, 타단의 주입니플(13a)은 펑크난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3)에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공기 탱크(12) 및 공기 주입 호스(13)의 니플(12a, 13a)은 개방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가 단속 밸브(14)를 개방하면 공기 탱크(12) 내에 저장된 압축 공기는 공기 주입 호스(13)를 통해 타이어로 주입된다.
이때, 압력계(15)는 공기 탱크(12)로부터 공기 주입 호스(13)를 통해 타이어로 주입되는 공기압을 나타낸다. 따라서, 작업자는 압력계에 지시된 공기압이 적당한 압력까지 상승되면, 단속 밸브(14)를 폐쇄하고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3))와 공기탱크의 배출니플(12a)로부터 공기주입호스(13)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공기 주입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장착된 공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공기 호스를 통하여 타이어로 주입한다. 따라서, 타이어에 대한 공기 주입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 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정비 자동차를 이용하는데 따른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압축기, 이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 이 공기탱크와 상기한 공기압축기를 연결하는 공기파이프, 상기한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파이프에 설치한 드라이어, 및 공기브레이크나 공기스프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라인을 구비한 상용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탱크의 일 측에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기능을 가진 배출니플, 일단은 상기한 배출니플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은 타이어의 공기주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밸브기능을 가진 주입니플을 갖춘 공기주입호스, 이 공기주입호스의 양단사이에 있는 중간부분에 연결하는 압력계, 및 이 압력계와 상기한 공기주입호스의 개방된 일단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한 공기탱크에서 상기한 타이어로 향한 압축공기의 통로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 단속밸브로 구성하여, 상기한 타이어에 압축공기를 주입할 경우에는 상기한 공기주입호스의 일단을 상기한 배출니플에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한 타단의 주입니플을 상기한 타이어의 공기주입구에 접속시킨 다음 단속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한 압력계에 의해서 상기한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였음이 확인되면 상기한 단속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한 공기주입호스를 상기한 공기탱크와 타이어로부터 분리시켜놓을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공기주입장치.
  2. 삭제
KR1020000022939A 2000-04-28 2000-04-28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 KR100346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39A KR100346427B1 (ko) 2000-04-28 2000-04-28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39A KR100346427B1 (ko) 2000-04-28 2000-04-28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188A KR20010098188A (ko) 2001-11-08
KR100346427B1 true KR100346427B1 (ko) 2002-08-01

Family

ID=1966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939A KR100346427B1 (ko) 2000-04-28 2000-04-28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073B1 (ko) * 2012-06-22 2014-02-26 최재철 미끄럼 방지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589B1 (ko) * 2018-08-14 2023-01-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타이어 공기압 자동충전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073B1 (ko) * 2012-06-22 2014-02-26 최재철 미끄럼 방지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188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791B2 (en) Automatic tire inflation system
ATA7342002A (de) Einrichtung für die automatische betätigung einer reifenfüllanlage für kraftfahrzeuge
US20030047853A1 (en) Level adjusting unit with a compressed air reservoir and a tyre inflation connector
CN106917905B (zh) 储罐清除阀
CN205706657U (zh) 一种气压制动系统充气装置
US4900098A (en) Electro-pneumatic tractor-trailer brake system
KR100346427B1 (ko)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 장치
US2307429A (en) Water expelling tire assembly
CN102673532B (zh) 用于对可充气物品进行修理和充气的具有改进的阀的密封剂容器单元
CN220410203U (zh) 自动补胎装置、车轮及车辆
KR20030032372A (ko) 자동차용 타이어 공기주입장치
US1493121A (en) Air-hose connecter for inflating pneumatic tires
SU1452713A1 (ru) Колес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45379U (zh) 汽车自动加油器
KR0115270Y1 (ko)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주입장치
KR200192803Y1 (ko) 타이어용 안전튜브
KR100410903B1 (ko) 타이어 긴급 충전장치
CN213734951U (zh) 挂车制动装置及包括该挂车制动装置的车辆
CN2362730Y (zh) 一种气门阀
KR200186843Y1 (ko)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조절장치
KR200335582Y1 (ko) 차량용 타이어의 공기 공급장치
KR19990025485U (ko) 타이어 공기 주입장치
WO2021133296A1 (en) Tyre pressure regulation system
KR200403963Y1 (ko) 휴대용 타이어 공기 주입기
KR200165695Y1 (ko) 트럭 타이어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