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885B1 - 내흑변성이우수한전기아연도금크로메이트피막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내흑변성이우수한전기아연도금크로메이트피막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885B1
KR100345885B1 KR1019970072725A KR19970072725A KR100345885B1 KR 100345885 B1 KR100345885 B1 KR 100345885B1 KR 1019970072725 A KR1019970072725 A KR 1019970072725A KR 19970072725 A KR19970072725 A KR 19970072725A KR 100345885 B1 KR100345885 B1 KR 100345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omate
steel sheet
electrogalvanized
electrogalvanized stee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134A (ko
Inventor
송연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7007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8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2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 C23C22/2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containing also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아연 도금강판의 크로메이트 처리피막이 고온 다습한 분위기에 방치할 경우 표면이 검게 변하는 흑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흑변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아연도금강판에 크로메이트 용액으로 피막처리를 하는 전기아연도금강판의 크로메이트 피막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크로메이트 용액에 3메칠5피로졸린을 2∼10g/L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흑변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 제조방법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내흑변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방법
본 발명은 내흑변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아연 도금강판의 크로메이트 처리피막이 고온 다습한 분위기에 방치할 경우 표면이 검게 변하는 흑변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내흑변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로메이트 처리 강판은 전기아연 도금강판 표면에 내식성 확보를 위해 크로메이트 피막처리를 하는데, 이 크로메이트 피막은 용액 및 처리방법에 따라 도포형, 반응형 및 전해형 크로메이트 피막으로 분류되며, 반응형 크로메이트 피막은 우수한 표면외관 확보가 가능함으로 철강 메이커에서 가장 일반적인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크로메이트 처리강판이 고온 다습한 지역으로 운송 혹은 장시간 보관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이 검은 색으로 변색되어가는 소위 흑변현상이 진행되어 표면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이 기술적 한계점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흑변현상은 개선에 대한 연구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크로메이트 피막처리강판에서 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흑변현상은 아연의 산화반응중 산소부족 분에의한 ZnO1-x의 형성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9-177,381호, 소52-22618호, 소52-43171호 등에서는 흑변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전에 Ni, Co, Fe등을 함유한 용액에 용융아연도금 강판을 침지 석출시키는 기술을 공지하였다. 이러한 침지 석출 기술은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입계를 따라 Ni, Co, Fe등의 천이금속이 석출하면서 아연산화물로의 반응 진행을 억제하여 흑변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처리시 내흑변성은 개선되나 중금속(Ni, Co, Fe)등이 입계를 따라 아연도금강판 표면에 집중적으로 석출함으로서 불균일 분포가 형성되어 표면외관성은 열위하여지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전기아연도금강판은 용융아연도금 강판과는 달리 입계가 불분명하여 Ni, Co, Fe등이 함유된 크로메이트 용액으로 처리하여도 흑변성이 개선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처리피막의 흑변성을 개량하기 위한 크로메이트 용액의 개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아연도금 강판을 크로메이트 처리용액에 3메칠5피로졸린을 내흑변성 개선 첨가제로서 투입하여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아연도금강판에 크로메이트 용액으로 피막처리를 하는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로메이트 용액에 3메칠5피로졸린을 2~10g/L 첨가하여 크로메이트 처리피막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흑변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용화된 크로메이트 용액 (T-Cr+6:0.1~3.9g/L, FA: 4~6pt)에 3메칠5피로졸린을1-15g/L의 비율로 첨가하여 처리온도 40-60℃의 조건에서 침지 혹은 스프레이 방법으로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함으로서 3메칠5피로졸린이 함유된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함으로서 전기아연도금강판의 흑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3메칠5피로졸린은 강한 소수성 물질로서 금속의 부식반응에 필요한 용존산소의 활성화 에너지를 높여 산소의 침투를 억제함으로서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첨가제로서 상용화되어 사용되어 진다.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한 전기아연도금강판은 크로메이트 층으로 침투되는 외부부식 인자(H20,O2)와 아연층의 산화반응에 의한 ZnO 혹은 ZnO1-x층의 형성으로 크로메이트 피막이 검게 보이는 흑변현상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흑변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는 외부부식인자 특히 산소 침투를 억제하는 3메칠5피로졸린을 크로메이트 피막에 형성하여 산소의 침투를 억제함으로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의 흑변성을 개선할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연 부착량이 20g/m2인 전기아연 도금강판을 기판으로 사용하여 3메칠5피로졸린이 함유된 크로메이트 처리용액으로 크로메이트 피막처리를 실시후 수세건조 하였다. 크로메이트 처리용액은 상용화된 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크로메이트 용액에 3메칠5피로졸린을 1∼12g/L 투입하여 처리온도 40℃, 처리시간 40초의 조건에서 침지하였다. 내흑변성 평가는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60℃, 상대습도 80% 조건에서 120 시간까지 나판상태로 보관한 후 백색도를 측정하여 원판과의 백색도 차이를 평가하였다. 내흑변성 평가 전후의 백색도 차이가 클수록 흑변이 심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백색도 차이를 2이하인 경우 내흑변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크로메이트 피막 부착량은 중량감량법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T-Cr2.0 g/L 및 FA 4.0 pt조건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처리온도 40℃, 침지시간 40 초의 조건으로 처리한 결과 비교에 1의 경우 크로메이트 피막 부착량은 37∼40mg/m2으로 측정되었고 내흑변성은 5로 측정되어 흑변이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알수 있다. 반면에 발명예(1~4)은 상기 크로메이트 용액에 3메칠5피로졸린이 크로메이트 피막에 흡착되어 흑변의 원인이 되는 용존산소의 활성화 에너지를 증가시켜 ZnO의 생성을 억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발명예 2와 발명예 3에서 보여지듯이 3메칠5피로졸린이 2∼10g/L 투입되었을 때 내흑변성 1로 측정되어 가장 바람직한 농도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여 크로메이트 용액에 3메칠5피로졸린을 첨가한 용액으로 크로메이트처리할 경우 내흑변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제조가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기아연도금강판에 크로메이트 용액으로 피막처리를 하는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로메이트 용액에 3메칠5피로졸린을 2∼10g/L 첨가하여 크로메이트 처리피막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흑변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크로메이트 피막 제조방법.
KR1019970072725A 1997-12-23 1997-12-23 내흑변성이우수한전기아연도금크로메이트피막처리방법 KR100345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725A KR100345885B1 (ko) 1997-12-23 1997-12-23 내흑변성이우수한전기아연도금크로메이트피막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725A KR100345885B1 (ko) 1997-12-23 1997-12-23 내흑변성이우수한전기아연도금크로메이트피막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134A KR19990053134A (ko) 1999-07-15
KR100345885B1 true KR100345885B1 (ko) 2002-10-11

Family

ID=3748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725A KR100345885B1 (ko) 1997-12-23 1997-12-23 내흑변성이우수한전기아연도금크로메이트피막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8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134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2919A (ko) 전기아연도금강판 제조용 하지도금용액으로서의철도금용액과 철도금용액이 하지도금액으로 도금된전기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930009994B1 (ko) 도금성과 용접성이 뛰어난 표면 처리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4416737A (en) Process of electroplating a nickel-zinc alloy on steel strip
KR101288085B1 (ko) 전기아연 도금용 복합아연 플래쉬 도금용액, 이를 이용한 전기아연 도금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아연도금강판
KR970026596A (ko) 아연계 도금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45885B1 (ko) 내흑변성이우수한전기아연도금크로메이트피막처리방법
US3677797A (en) Method of forming corrosion resistant films on steel plates
KR100227085B1 (ko)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철 플레시 강판제조방법
KR100293216B1 (ko) 내혹변성및표면외관이우수한내지문표면처리강판의제조방법
KR20210145195A (ko) 용융 도금의 결합이 개선된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
JPH05171389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CN114622194B (zh) 一种锌合金环保着色液及其着色工艺
JPH08218158A (ja) 溶融亜鉛または溶融亜鉛合金めっき鋼板の後処理方法
JP7460035B1 (ja) 表面処理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icincu et al. Electrochemistry of the SUCOPLATE® Electroplating Bath for the Deposition of a Cu–Zn–Sn Alloy; Part I: Commercial bath
KR920010778B1 (ko) 도금밀착성, 인산염처리성 및 내수밀착성이 우수한 이층 합금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646B1 (ko) 내식성이 우수한 표면처리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H0390592A (ja) Di缶用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KR101778492B1 (ko)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기아연도금강판
KR19990011059A (ko) 표면형상 및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아연 도금강판 제조방법
Narasimhamurthy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Zn-Ni Alloy from Alkaline Sulphate Bath Containing Tartrate
JP3003110B2 (ja) 色調安定性に優れたクロメート処理電気亜鉛めっき鋼板
JPS63250496A (ja) 耐経時黒変性に優れたクロメ−ト処理亜鉛又は亜鉛系合金めつ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920010777B1 (ko) 이층 합금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928164A (zh) 钝化马口铁表面的方法以及用于实施该方法的电解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