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902B1 -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 Google Patents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902B1
KR100344902B1 KR1019990066005A KR19990066005A KR100344902B1 KR 100344902 B1 KR100344902 B1 KR 100344902B1 KR 1019990066005 A KR1019990066005 A KR 1019990066005A KR 19990066005 A KR19990066005 A KR 19990066005A KR 100344902 B1 KR100344902 B1 KR 10034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ainer
rosin
water
st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943A (ko
Inventor
김영복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영복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3045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73190A/ko
Application filed by 김영복, 김명자 filed Critical 김영복
Priority to KR101999006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9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왕겨 또는 톱밥과 감자전분 또는 옥수수전분을 혼합하고 송진의 로진을 부가하여 성형되는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며, 본 출원인의 최초 출원시 출원 내용은 실험이 거듭되면서 그 기술이 변하게 됨으로서 최초출원의 우선권 주장으로 재출원하는 것입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연구 내용이 매스콤에 노출되어 있어 이를 참고하시면 본 발명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까하여 별첨으로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분 또는 옥수수전분을 물과 혼합하여 끓인 묽은 풀에, 농촌이나 산촌에 흔한 벼 껍질인 왕겨, 또는 목재소에서 제재의 부산물인 톱밥을 혼합하고 건조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후, 코팅재(로진=테레빈유를 제거한 송진)와 혼합하여 일정한 온도(100℃~300℃)로 가열된 성형기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성형하여 용기를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Table use vessel using natural materials}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이용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산물 부산물(왕겨) 목재부산물(톱밥)에서 선택한 소재를, 천연접착재(감자전분 또는 옥수수전분)와 물을 혼합하여 끓인 풀에 상기 소재를 혼합한 후 상기 소재가 풀에 충분히 젖게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하고 코팅제(로진=테레빈유를 제거한 송진)를 혼합한 후 성형기에서 성형기의 일정한 압력으로 성형되는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에 이용되는 용기는 연속생산이 가능한 자재를 이용하게되고 그러므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며 거기에서 산업성을 얻고자하는 것이다.
이는 석유화학이 발전하면서 가능해 졌으며 석유화학 제품은 부식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독성이 있으므로 자연 순환에 문제점이 있으며, 이의 이용으로 자연 환경의 폐해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특히 사람의 음식 보관용으로 이용하는 용기가 상기 석유화학 제품으로 대체됨으로서 인체의 건강상 문제점으로 이르게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농산물 부산물(왕겨), 목재부산물 (톱밥)에서 선택하여 천연접착재(옥수수전분, 감자전분)(13)와 코팅재(로진=테레빈유를 제거한 송진)(12)를 이용하여 무공해 음식물 용기(11)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농산물 부산물(왕겨)과 목재 부산물(톱밥)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고, 천연 접착재의 경우에도 상기 옥수수전분, 감자전분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재의 로진은 천연송진에서 테레빈유를 제거한 것으로서, 용기에서 송진의 냄새를 없애기 위한 것이며, 테레빈유를 제거한 로진은 그 자체로 견고성이 강하고 내연성이며 코팅성이 있어, 본 발명을 구성하므로서 용기의 견고성과 내연소성을 향상시키고 용기의 외피를 코팅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서 로진의 함량을 높이면 견고성이 커지고 내연성이 커지며 표면 코팅성이 향상되므로 로진의 함량 구성은 용기의 이용도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의 특징은 천연재로 만 구성된다는 점이다.
상기 왕겨나 톱밥은 거의 폐기되는 재료로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이나 용기의 용도에 따라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서 용기의 기능에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즉 왕겨보다는 톱밥이 수축성이 커서 탄성이 큰 것이 사실이므로, 탄성이 큰 용기가 필요할 경우, 톱밥을 이용하며, 견고성이 큰 용기가 필요할 경우, 왕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 방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천연 접착재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옥수수전분 또는 감자전분을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곡물 가루를 이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옥수수전분과 감자전분은 가격이 저렴하고 점질이 높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성분에 의해 구성되는 용기는 색상이나 질감이 시각적으로 투박하게 나타나므로 천연재를 이용한 코팅재(로진)와 천연재의 색감을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유색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상기의 용기를 성형하는 성형기의 온도는 100℃~300℃의 고온을 유지하고 성형시 성형기의 내압은 5㎏/㎠을 유지토록 하며, 용기의 이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성형시 코팅재를 제외 하고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한 후에는 선택적으로 용기의 내부에 일정한 량의 코팅재를 투입하여 재 성형하므로서 용기의 내부 만을 코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용기 12 : 코팅재
13 : 접착재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 예와 실험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농산물의 부산물(왕겨)과 목재부산물(톱밥)와 천연접착재(옥수수전분, 감자전분)(13)와 용기(11)의 견고성 및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재(로진=테레빈유를 제거한 송진)(12)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공정은 소재의 세척공정과, 세척된 소재를 건조하는 공정 과, 건조한 소재를 풀과 혼합시키는 공정과, 풀과 혼합된 소재를 건조하는 공정과, 건조된 소재를 분쇄하는 공정과, 소재의 분말과 코팅재의 분말을 혼합하는 공정과, 혼합된 분말을 성형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 왕겨를 소재로한 용기 1점을 구성하는 물질의 분석과 상기 용기를 소각하였을 때 발생하는 물질을 화학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참고하고자 한다.
<실험 1>
- 표1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물질의 분석 내용
시료명또는시료번호 분석시험항목(단위 :
SiO2 강열감량 Pb Cd As Hg Cu
재질시험 10.8 88.3 0.0005 이하 0.00005이하 0.0005이하 0.000005이하 0.0011
(*) (I체) WET AAS AAS ICP AAS AAS
(단위) wet% wet% wet% wet% wet% wet% wet%
#용출시험 KMnO4소비량 Phenols Formaldehyde Diazinon Parathion Carbaryl Fenitrothion Malathion
1.5 0.047 0.7 0.001이하 0.001이하 0.005이하 0.001이하 0.001이하
(*) wet sp sp gc gc gc gc gc
(단위) mg/l mg/l mg/l mg/l mg/l mg/l mg/l
상기와 같은 표1 의 분석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을 분류한 것으로 이산화규소(SiO2)만이 10.8중량%이고 그 납(Pb)는 0.0005중량% 이하이며, 카드뮴(Cd)는 0.00005중량% 이하이며, 비소(As)는 0.0005중량% 이하이며, 수은(Hg)는 0.000005 중량% 이하이며, 구리(Cu)는 0.0011중량% 이하로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여 인체에 무해한 중금속 함량임을 알 수 있고, 상기 이산화규소는 석영사에 해당하여 잠정적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아님을 표 1의 수치에서 알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소각시 발생하는 물질의 대기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주식회사 청룡환경"에서 환경오염물질 측정 내용이다.
<실험 2>
- 표2 본 발명의 소각시 대기오염의 측정 내용
구 분측정항목 기준 측정결과 측정방법 비고
NH3 100ppm ND 환경오염공정시험법
CO 600(12)ppm 428.6 "
HCL 50(12)ppm 9.76 "
C12 60(12)ppm 11.5 "
SOx 300(12)ppm ND "
NOX 200ppm 62.0 "
CS2 30ppm 0.75 "
HCHO 20ppm 3.3 "
H2S 15ppm ND "
F 3ppm ND "
HCN 10ppm 2.44 "
Br 5ppm ND "
C6H6 50ppm ND "
C6H5OH 10ppm ND "
Hg 5㎎/S㎥ ND "
As 3ppm ND "
DUST 100(12)㎎/S㎥ 13.5 "
Cd 1.0㎎/S㎥ 0.003 "
Pb 5.0㎎/S㎥ 0.014 "
Cr 1.0㎎/S㎥ 0.118 "
Cu 10㎎/S㎥ ND "
Ni 20㎎/S㎥ 0.044 "
Zn 30㎎/S㎥ 0.48 "
O2 --- 5.4% "
* 소각시 연소율은 81.5%였다.
표2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을 소각할 때 본 발명의 점질성과 점밀성이 커서 쉽게 연소되지 않으므로 일산화탄소(CO)가 다소 발생하는 것 이 사실이나 대기 오염의 기준이 되는 기준수치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성분함량에 의해 상기 표1 과 표2 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는 무공해임을 알수 있다.
그 제조방법을 실시 예로 설명하면,
<실시예 1>
왕겨를 깨끗이 세척한다.
세척한 왕겨를 건조율 98%까지 건조시킨다.
전분20중량%에 물 80중량%를 혼합한다.
물과 혼합된 전분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교반한다. 즉 시각적으로 혼합 정도의 확인이 가능한 교반을 한다.
상기 교반의 결과를 확인한 후 상기 혼합물이 연소되지 않도록 서서히 가열(100℃가 되도록)하여 숙성시킨다.
상기 혼합물이 가열되어 풀이되므로, 상기 풀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끓는 혼합물이 뭉치지 않는 정도를 풀의 점도로 한다.
상기 건조된 왕겨를 풀과 혼합하고 풀에 완전히 젖어 들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교반한다.
상기 왕겨와 풀의 혼합이 완료되면, 수거하여 건조율 98% 까지 건조시키고, 건조가 완료되면 0.01㎜~0.1㎜크기로 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왕겨분말 85중량%, 물5중량%, 로진 1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300℃로 유지되며 5㎏/㎠의 내압으로 구성된 성형기에 투입하고 10초~20초 간격으로 성형한다.
<실시예 2>
톱밥을 깨끗하게 세척한다.
세척한 톱밥을 건조율 98%까지 건조시킨다.
일정한 크기의 함에 전분20중량%에 물 80중량%를 혼합한다.
물과 혼합된 전분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교반한다. 즉 시각적으로 혼합 정도의 확인이 가능한 교반을 한다.
상기 교반의 결과를 확인한 후 상기 혼합물이 연소되지 않도록 서서히 가열(100℃가 되도록)하여 숙성시킨다.
상기 혼합물이 가열되어 풀이되므로, 상기 풀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끓는 혼합물이 뭉치지 않는 정도를 풀의 점도로 한다.
상기 건조된 톱밥을 풀과 혼합하고 풀에 완전히 젖어 들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교반한다.
상기 톱밥과 풀의 혼합이 완료되면, 수거하여 건조율 98% 까지 건조시키고, 건조가 완료되면 0.01㎜~0.1㎜크기로 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톱밥분말 85중량%, 물5중량%, 로진 1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300℃로 유지되며 5㎏/㎠의 내압으로 구성된 성형기에 투입하고 10초~20초 간격으로 성형한다.
실시예 3
왕겨를 깨끗이 세척한다.
세척한 왕겨를 건조율 98%까지 건조시킨다.
전분20중량%에 물 80중량%를 혼합한다.
물과 혼합된 전분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교반한다. 즉 시각적으로 혼합 정도의 확인이 가능한 교반을 한다.
상기 교반의 결과를 확인한 후 상기 혼합물이 연소되지 않도록 서서히 가열(100℃가 되도록)하여 숙성시킨다.
상기 혼합물이 가열되어 풀이되므로, 상기 풀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끓는 혼합물이 뭉치지 않는 정도를 풀의 점도로 한다.
상기 건조된 왕겨를 풀과 혼합하고 풀에 완전히 젖어 들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교반한다.
상기 왕겨와 풀의 혼합이 완료되면, 수거하여 건조율 98% 까지 건조시키고, 건조가 완료되면 0.01㎜~0.1㎜크기로 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왕겨분말 92중량%, 물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300℃로 유지되며 5㎏/㎠의 내압으로 구성된 성형기에 투입하고 10초~20초 간격으로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기에서 성형된 용기를 그대로 두고 용기의 내부에 3중량%의 로진을 투입하여 성형기를 재 압착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용기의 내부 만 코팅하고자 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공정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왕겨, 톱밥 분말의 크기는 0.01㎜ 보다 작거나 0.1㎜ 보다 커도 가능하며, 식물성인 경우는 어떤 것이던 본 발명의 소재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소재(왕겨, 톱밥)를 혼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도 있다. 용기의 이용도에 따라 그 구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일회용 용기거나, 반찬용 용기거나, 국을 수용하는 용기이거나 밥을 수용하는 용기인가에 따라 분말의 크기, 구성 성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천연재료이면서 생활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자재이고 거의 폐기되는 자재라는 점에서 자재 구입비가 염가이며 자재 전부가 천연 재료이므로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제품의 폐기시에는 완전에 가깝게 재활용할 수 있으며, 완전 폐기시에는 부식 속도가 원래의 자재가 부식하는 속도와 같으므로 부식과 생성의 순환이 자연스러워 미래에 인류가 이용해야 할 용기 임이 분명하다.

Claims (3)

  1. 음식물 용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분20 중량%을 물80 중량%과 혼합하고 가열하여 형성된 풀에, 세척되어 건조율 98% 까지 건조된,
    왕겨를 혼합한 후, 건조율 98%까지 건조시켜 분말화 한 왕겨분말 85중량%과 물5 중량%과 로진10 중량%으로 혼합된 혼합물을 100℃~300℃ 유지되고 성형시 그 내압이 5㎏/㎠인 성형기에 투입되어 10초~20초 간격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2. 음식물 용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분20 중량%을 물80 중량%과 혼합하고 가열하여 형성된 풀에, 세척되어 건조율 98% 까지 건조된
    톱밥을 혼합한 후 건조율 98%까지 건조시켜 분말화 한 톱밥분말85중량%과 물5 중량%과 로진 또는 천연수지 10 중량%으로 혼합된 혼합물을 100℃~300℃ 유지되고 성형시 그 내압이 5㎏/㎠인 성형기에 투입되어 10초~20초 간격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3. 음식물 용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분20 중량%을 물80 중량%과 혼합하고 가열하여 형성된 풀에, 세척되어 건조율 98% 까지 건조된,
    왕겨를 혼합한 후, 건조율 98%까지 건조시켜 분말화 한 왕겨분말 92중량%과 물5 중량%으로 혼합된 혼합물이 100℃~300℃ 유지되고 성형시 그 내압이 5㎏/㎠인성형기에 투입되어 성형된 용기 내에 3중량%의 로진이 투입되고 성형기가 재 압축되어 용기의 내부를 코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KR1019990066005A 1999-06-18 1999-12-30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KR10034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005A KR100344902B1 (ko) 1999-06-18 1999-12-30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045A KR19990073190A (ko) 1999-06-18 1999-06-18 천연재료를이용한용기
KR1019990023045 1999-06-18
KR1019990066005A KR100344902B1 (ko) 1999-06-18 1999-12-30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43A KR20000017943A (ko) 2000-04-06
KR100344902B1 true KR100344902B1 (ko) 2002-07-20

Family

ID=2663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005A KR100344902B1 (ko) 1999-06-18 1999-12-30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482A (ko) * 2001-08-01 2003-02-12 장길남 옥수수전분과 천연고분자화합물을 함유한 생분해성플라스틱용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플라스틱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452A (ko) * 2000-05-02 2001-11-14 최근영 간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525B1 (ko) * 2001-12-05 2006-10-17 오정근 식물섬유를 주재로 한 식품용기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일회용 식품용기 제조방법
KR100511066B1 (ko) * 2002-01-28 2005-08-30 장석일 분해성이 우수한 일회용 합성수지재 용기의 제조방법
KR20030097502A (ko) * 2002-06-21 2003-12-31 이수호 톱밥을 함유한 일회용 용기의 제조방법
KR101940990B1 (ko) 2017-06-20 2019-01-23 배길순 생화를 이용한 조화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482A (ko) * 2001-08-01 2003-02-12 장길남 옥수수전분과 천연고분자화합물을 함유한 생분해성플라스틱용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플라스틱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43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068B1 (ko) 천연 플라스틱 제조방법
CN101491406B (zh) 一种可全降解一次性餐具及其制作方法
KR20000017996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대체 용품 제조방법
RU2309652C2 (ru) Саморазлагающаяся одноразовая посуда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KR100344902B1 (ko) 천연재를 이용한 음식용 용기
JP2002265292A (ja) キトサン.鶏糞焼却灰.米ヌカ.粉炭入り有機肥料
US647541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substitute goods by using natural materials
KR20070116381A (ko) 해조류 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일회용 용기 및 이의제조방법
CN109370676A (zh) 一种耐燃复合型生物质燃料及其制备方法
ZA200101007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substitute goods by using natural materials.
Abdul-Rahman et al. The effects of biomass binders and moisture content on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rice husk pellets
KR102167698B1 (ko) 해조류 또는 왕겨를 이용한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용기
KR100449669B1 (ko) 완전 자연분해 되는 무공해 일회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525B1 (ko) 식물섬유를 주재로 한 식품용기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일회용 식품용기 제조방법
KR100455479B1 (ko) 환경친화형 식물성 일회용 식품 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20006927A (ko) 생분해성 무기재료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N210134044U (zh) 表面分布纤维块的生质发泡材
KR20010100452A (ko) 간이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8691A (ko) 해조류 또는 왕겨를 이용한 펄프 제조방법
AU75908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by using starch and grain powder
KR100549692B1 (ko) 가축 사료 제조 방법
KR200342858Y1 (ko) 완전 자연분해 되는 무공해 일회용 용기
KR20010091782A (ko) 무공해 일회용 용기 및 제조방법
UA137984U (uk)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одноразового столового посуду
JP2004073107A (ja) 動物用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