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882B1 - 전기기기의단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기의단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882B1
KR100344882B1 KR1019960010695A KR19960010695A KR100344882B1 KR 100344882 B1 KR100344882 B1 KR 100344882B1 KR 1019960010695 A KR1019960010695 A KR 1019960010695A KR 19960010695 A KR19960010695 A KR 19960010695A KR 100344882 B1 KR100344882 B1 KR 10034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ide plate
screw
male screw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495A (ko
Inventor
가쯔미 시바다
다까또 히로따
마꼬또 가와사끼
에쯔야 히라마쯔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505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156540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목적 ; 소형이며, 지름이 서로 다른 전선단말의 병렬접속도 높은 작업능률을 유지하여 용이하고 또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 숫나사(2)와, 이것에 회동가능하게 느슨히 고정되어 한 쪽 끝에 위쪽으로 L자형상으로 절곡한 안내판부(4)를 가진 L자형 워셔(3)로 이루어진 단자나사(1)와, 전기 기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단자나사(1)를 조작가능한 원형구멍(5)을 가진 단자커버(10)와, 이 단자커버의 측판(l0B)에 원형구멍방향이 개구된 세로홈으로서 형성되어 안내판부를 그 면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부(6)와, 원형구멍(5)과 숫나사(2)의 머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단자나사를 정위치에 유지하는 걸림발톱과, 안내판부의 폭이 위쪽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7)로 이루어진 L자형 워셔의 요동기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본 발명은 단자나사를 전기기기의 단자판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원형 압착단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 전자개폐기 등의 전기 기기에 조립되어 사용되는 전선접속용의 단자 장치는 나사구멍을 가진 고정단자(이후 "단자판"이라고 한다)와, 고정단자에 결합한 숫나사에 느슨하게 지지된 워셔와의 사이에 배선 단말을 삽입한 상태에서 숫나사를 단단하게 결합함으로써 전기 기기에 전선이 접속된다. 이와 같은 단자 장치에 원형구멍을 가진 원형 압착단자를 단말에 구비한 전선을 접속하려고 할 경우, 고정단자에 나사결합된 숫나사를 일단 제거하고, 이 숫나사에 원형 압착단자의 원형구멍을 끼워넣은 후 다시 숫나사를 고정단자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해야 하므로 고정단자에 나사결합된 숫나사를 일단 제거하는 시간이 걸림과 동시에 작업실수에 의해 숫나사를 떨어뜨리거나, 떨어뜨린 숫나사를 찾거나 줍는 시간이 걸려 접속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접속작업능률을 개선한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가 몇개 제안되고 있다.
제11도는 접속작업능률을 개선한 종래의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의 주요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1도에 있어서 단자 장치의 절연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측에 고정된 고정단자(51)는 나사구멍(51A)을 구비하고, 이 나사구멍(51A)에 나사결합하는 숫나사(52)는 그의 머리부(52A)의 부근에 형성된 목부분에 회동가능하게 느슨히 지지된 워셔(53)를 구비한다. 또 단자 장치를 위쪽에서부터 덮는 감전방지용의 단자커버(54)에는 숫나사(52)를 결합하고 풀어내기 위한 스크류 드라이버를 삽입하는 원형구멍(55)이 숫나사(52)의 머리부(52A)의 지름보다 약간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 원형구멍(55)의 아래가장자리부분에는 숫나사의 머리부(52)의 하면에 결합하여 숫나사(52)를 지지하는 유지편(56)이 돌출설치되고, 숫나사(52)의선단과 고정단자(51)의 표면 사이에 공간 H를 유지한 상태에서 숫나사(52)를 유지하여 이 상태로 출하된다. 따라서, 일본국 특개소60-130068호에 기슬된 종래의 단자 장치는 숫나사(52)의 선단에 원형 압착단자의 원형구멍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단자나사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리고, 숫나사(52)를 결합함으로써 전선의 접속을 숫나사(52)를 풀어내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한다.
제12도는 일본국 특개평4-4707호에 기술된 다른 종래예를 도시한 단자장치의 단면도이고, 제13도는 제12도의 단자나사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1도 및 제13도에 있어서, 단자 장치로서의 단자대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프레임(58)측에 고정된 고정단자(51)를 가진다. 이 고정단자(51)는 원형 나사구멍(51A)을 구비하고, 이 나사구멍(51A)에 나사결합하는 숫나사(52)는 그의 머리부(52A)의 부근에 형성된 목부분에 회동가능하게 느슨히 지지된 L자형 워셔(57)를 구비하며, 이들 양자(52, 57)로써 단자나사(60)를 구성한다. L자형 워셔(57)는 숫나사(52)가 관통하는 워셔부(57A) 및 고정단자(51)측에 L자형으로 절곡된 수직판부(57B)로 이루어져 있고, 수직판부(57B)가 프레임(58)측에 형성된 안내홈(58A)과 결합하여 숫나사(52)를 고정단자(51)와의 거리조정이 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숫나사(52)를 고정단자(51)의 나사구멍(51A)에 나사결합하고 풀어내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고정단자(51)의 배후에는 판스프링(59)이 설치되고, 그 선단이 수직판부(57B)의 선단과 결합되었을 때 숫나사(52)의 선단과 고정단자(51)의 표면 사이에 치수가 H인 공간이 유지되며, 숫나사(52)의 선단에 원형 압착단자의 원형구멍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단자나사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려 숫나사(52)를 결합함으로써 전선의 접속을숫나사(52)를 플어내지 않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자 장치를 구비한 전기 기기에 있어서 제11도에 도시한 종래의 단자 장치의 경우, 단자나사를 유지편으로 단자커버측에 유지한 상태에서 고객에 공급하기 때문에 원형 압착단자의 접속시 단자나사를 단자판으로부터 제거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숫나사에 원형 압착단자의 원형구멍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유지편에 의한 나사머리부의 구속을 해제한 후에는 전선과 드라이버로 단자나사를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단자의 나사구멍에 숫나사의 선단을 안내함으로써 숫나사의 결합작업이 어려워짐과 동시에 전선을 섣불리 잡아당기거나 하는 작업실수에 의해 단자나사가 탈락해 버리는 문제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재배선이나 배선의 추가로 단자나사를 고정단자로부터 풀어내면 나사머리부를 유지편에 다시 결합하여 유지하는 일이 어렵고, 이 경우에는 단자커버를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의 대폭적인 저하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종래의 단자 장치에서는, 출하시에는 단자나사가 판스프링에 의해 소정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숫나사의 선단에 원형 압착 단자의 원형구멍을 끼워넣고 L자형 워셔를 판스프링의 구속으로부터 해제한 상태에서는 L자형 워셔의 수직판부가 프레임측의 안내홈과 결합하여 숫나사의 선단을 고정단자의 나사구멍을 향해 안내하기 때문에 원형 압착단자의 접속시 단자나사를 단자판으로부터 제거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자나사를 결합하는 작업은 물론 풀어내어 다시 정위치에 유지하는 작업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고정단자의 배후에 판스프링및 수직판부의 수용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공간의 여유가 없는 전기 기기, 예를들면 전자개폐기 등에는 적용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수직판부가 프레임측의 안내홈과 결합하여 그 이동가능한 방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지름이 서로 다른 2가닥의 전선단말을 병렬로 접속하려고 할 경우, L자형 워셔가 서로 다른 전선의 지름에 대응하여 기울어지지 않아 지름이 작은 전선단말에의 결합력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충분한 결합력을 얻기 위해 숫나사를 무리하게 결합하면 L자형 워셔의 수직판부가 그 연결부분에서 변형되어 버리는 사태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름이 서로 다른 전선단말의 병렬접속을 높은 작업능률을 유지하여 용이하고 또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의 소형단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 기기의 절연벽으로 간막이된 단자수용부에 고정된 나사구멍을 가진 단자판에 원형 압착단자 등을 접속하는 단자 장치에 있어서,
숫나사와, 이 숫나사에 회동가능하게 느슨히 고정되어 단자판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안내판부를 가진 L자형 워셔를 각각 포함하는 단자나사와;
상기 단자수용부를 덮으며 각각의 단자나사를 조작하기위한 원형구멍을 가진 단자커버와;
이 단자커버의 측판에 상기 원형구멍방향이 개구된 세로홈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부를 상기 세로홈을 따라 상기 단자판과의 거리조정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부와;
상기 원형구멍과 숫나사의 머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나사를 그 숫나사의 선단과 단자판 사이에 일정거리를 유지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걸림발톱과;
상기 숫나사의 선단이 단자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판부와 안내부 사이의 구속을 완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L자형 워셔를 요동시키는 요동기구부를 구비한다.
또, 요동기구부의 각각은 L자형 워션의 안내판부 양쪽에 그 상단부를 향해 폭치수가 축소되도록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제1의 요동기구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요동기구부의 각각은 얇은 측부, 두꺼운 중앙부 및 얇은 측부와 두꺼운 중앙부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로 이루어진 안내판부와, 안내판부의 폭이 그의 상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얇은 측부의 각각의 측면상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제2의 요동기구부; 및
세로홈을 포함하며, 얇은 측부와 단차부가 안내판부를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세로홈에 결합되고, 숫나사의 선단이 단자판에 결합될때 안내판부와 안내부 사이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단차부를 향하는 세로홈의 가장자리가 잘라지는 제3의 요동기구부를 형성하도륵 하면 좋다.
그리고 요동기구부의 각각은 안내판부의 폭이 그 상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L자형 워셔의 안내판부의 양 측면상에 형성된 테이퍼부로 이루어진 제1의 요동기구부;
숫나사의 반대쪽으로 돌출하며 안내판부상에 형성된 돌기부; 및
돌기부를 안내하기 위한 세로 슬릿을 포함하며 하향으로 넓어지는 세로 슬릿을 포함하는 제4의 요동기구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양호하게는, 단자커버와 전기기기의 호형 담금질 커버는 일체로 형성된다. 단자나사에 느슨하게 고정된 워셔는 단자판의 반대쪽으로 연장하는 안내판부를 가진다. 이 안내판부는 안내판부가 직선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단자커버에 형성된 세로홈상에 지지된다. 이 구조는 단자장치의 내부에 단자나사의 안내부 및 걸림발톱의 배열을 용이하게 한다. 또 단자장치는 제1 측면 상에서 단자나사를 조작하기 위한 원형구멍 및 제1 측면에 수직한 제2 측면상에서 전기도선을 수응하기 위한 삽입구멍을 갖는 단자커버를 포함한다. 전기 기기의 출하시에 숫나사는 걸림발톱에 의해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단자나사의 선단이 항상 고정단자의 나사구멍을 향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단자나사는 떨어지는 일이 없이 조이는 작업은 물론 풀어내어 다시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업도 능률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L자형 워셔의 안내판부가 요동기구부에 의해 숫나사가 단자판에 결합될때 안내부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L자형 워셔는 도선의 지름들이 서로 다를 경우에도 2가닥의 도선단말을 병렬로 접속할 경우, 서로 다른 지름에 대응하여 기울어져 지름이 작은 도선단말에도 충분한 결합력이 가해진다.
안내판부의 폭이 안내판부의 상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L자형 워셔의 안내판부의 양 측면상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제1 의 요동기구부의 요동 수단을형성함 으로써, 안내판부가 안내부의 하단부의 아래로 내려갈때 테이퍼부와 안내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L자형 워셔는 도선의 지름이 서로 다를 경우에도 두개의 도선단말들에 대해 충분한 결합력을 가해서 평행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공간내에서 요동할수 있다.
안내판부의 얇은 측부분과 얇은 측부분의 측면상에 형성된 테이퍼부로 이루어진 제2의 요동기구부와, 안내판부의 얇은 측부분과 단차부가 결합되는 세로홈을 포함하는 제3의 요동기구부의 요동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단차부를 향하는 세로홈의 가장자리가 세로홈의 폭이 아래쪽을 향해 퍼지도록 잘라내어지고, 안내판부의 매우 정밀한 안내가 작은 공간내에서 용이해 진다. 제2 및 제3의 요동기구부가 상보적으로 작용하여 L자형 워셔의 구속을 해제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L자형 워셔는 지름이 더 작은 도선단말에 충분한 결합력이 가해지도록 기울어 진다.
안내판부의 폭이 그의 상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L자형 워셔의 안내판부의 양 측면상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제1의 요동기구부, 숫나사의 반대쪽으로 연장하며 안내판부상에 형성된 돌기부, 및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세로 슬릿을 포함하는 제4의 요동기구부로 이루어진 요동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세로 슬릿의 넓혀진 부분까지 낮아진, 즉 제4의 요동기구부에 위치된 돌기부는 L자형 워셔가 기울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지름이 작은 도선단말에도 충분한 결합력이 가해진다. 또 단자나사를 풀어내어 걸림발톱위치로 복귀시킬 때 돌기부는 슬릿으로 용이하게 복귀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 으로 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에 있어서 일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단자나사부분을 다른 각도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단자나사(1)는 숫나사(2)와, 이 숫나사(2)에 회동가능하게 느슨히 지지된 L자형 워셔(3) 및 스프링 워셔(9)로 구성된다. L자형 워셔(3)는 하면에 발톱(3A)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평탄워셔부와, 평탄워셔부의 가장자리로 부터 단자판의 반대쪽(도면에서는 위쪽)까지 수직으로 연장하는 안내판부(4)를 구비한다. 이 안내판부(4)는 그 양쪽에 상단부를 향해 폭치수가 축소되도록 형성된 테이퍼부(7)로 이루어진 요동기구부를 구비한다. 요동기구부(4)는 또한 평탄워셔부와 안내판부 사이의 경계부분에 노치부(3B)를 구비한다, 단자커버(10)는 본래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어 손끝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상판(10A)에는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원형구멍(5)이 숫나사(2)의 머리부(2A) 보다 얼마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단자커버(10)의 측판(l0B)쪽에는 원형 구멍(5)에 대향되는 부분이 개구된 세로홈으로 이루어진 안내부(6)를 구비한다.
제3도는 제1도의 분해사시도를 조립상태로 바꿔놓고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단자나사(1)의 안내판부(4)를 안내부(6)의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면, 세로홈의 개구부분 가장자리가 L자형 워셔(3)의 평탄워셔부와 안내판부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잘라낸 부분(3B)에 결합되어 안내판부(4)를 포위함으로써 단자나사(1)가 세로홈을 따라 안내된다. 또 단자커버(10)는 그 원형 구멍(5)의 내벽을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스프링탄성을 갖게 한 걸림발톱(8)을 구비하고, 이 걸림발톱(8)의 선단부가 숫나사(2)의 머리부의 하면과 결합됨으로써 단자나사(1)가 소정위치에 걸린다. 이와 같이 단자나사(1)가 조립된 단자커버(10)는 그 측판으로부터 옆방향으로 돌출설치한 후크(l0C)를 예를들면 전기 기기로서의 전자개폐기의 담금질 커버(20)에 형성된 구멍(20C)의 가장자리와 결합시킴으로써 담금질 커버(20)를 통해 전자개폐기에 일체화된다.
제4도는 제3도의 단자 장치를 전자개폐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전자개폐기(61)는 그 프레임(21)에 간분리벽(22) 및 담금질 커버(20)로 이루어진 절연벽으로 간막이된 단자수용부(23)를 구비한다. 이 단자수용부(23)내에는 그 중앙부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구멍을 가진 단자판(11)이 고정된다. 또 단자수용부(23)는 간분리벽(22)에 형성된 홈(22D), 담금질 커버(20)에 형성된 구멍(20C)을 구비하고, 단자커버측에 형성된 돌출부(l0D), 후크(l0C) 및 노치(10E)가 각각 홈(22D), 구멍(20C) 및 상간벽(22)에 결합되도록 단자커버(10, 10)를 프레임(21)의 옆방향으로부터 부착함으로써 단자 장치를 구비한 전자개폐기(61)가 조립된다. 또한 결합부의 위치에 따라 프레임(21)의 위쪽으로부터 단자커버(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발명의 상술한 단자 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원형 압착단자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제5(A)도는 대기상태,제5(B)도는 원형 압착단자의 삽입상태, 제5(C)도는 단자장치에 대한 원형 압착단자의 접속완료상태이다. 제5A도에 있어서, 단자커버(10)의 안내부(6)의 아래쪽으로부터 안내판부(4)가 삽입된다. 단자나사(1)는 숫나사(2)의 머리부의 하면이 걸림발톱(8)에 결합되는 위치까지 위로 안내된다. 그 다음, 숫나사(2)의 선단과 단자판(11)의 표면 사이에 예를들면 벗긴 도선과 원형 압착단자의 복합배선에 필요한 공간, 또는 2개의 원형 압착단자의 중복배선에 필요한 공간 H가 확보됨으로써 배선작업의 대기상태가 되어 이 상태에서 공장으로부터 출하된다. 따라서, 도선단말의 접속작업시 단자판(11)에 결합된 숫나사(2)를 풀어내는 시간이 생략되어 접속작업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5B도에서는 숫나사(2)의 선단과 단자판(11)의 공간 H에 도선(18)의 단말에 도전접속된 원형 압착단자(19)가 삽입되고, 또 원형 압착단자(19)의 구멍이 숫나사(2)의 선단부에 끼워넣어진다. 제5C도에서는 단자커버(10)의 원형구멍(5)의 위쪽으로부터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숫나사(2)의 머리부를 눌러내려 걸림발톱(8)과의 결합을 풀면 안내판부(4)가 안내부(6)에 의해 안내되고 있는 단자나사(1)는 그 숫나사(2)의 선단이 단자판(11)의 나사구멍을 향해 안내되기 때문에 단자나사(1)는 전도(顚倒)하지 않고 나사구멍에 도달하며, 이 상태에서 숫나사(2)를 결합함으로써 원형 압착단자(19)는 단자판(11)과 L자형 워셔(3) 사이에 확실하게 압착고정된다.
또 원형 압착단자(19)를 제거할 경우에는 숫나사(2)를 풀어내고, 이 상태에서 L자형 워셔(3)의 하면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단자나사(1)를 걸림발톱(8)으로 거는 위치까지 끌어올리며, 그 다음에 원형 압착단자(11)를 뽑아 낸다. 이들 작업중 단자나사(1)의 안내판부(4)가 단자커버(10)의 안내부(6)에 의해 직선이동가능하게 항상 안내되기 때문에 단자나사(1)가 전도하거나 탈락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5C도의 상태에서는 안내판부(4)가 안내부(6)의 아래가장자리 근처까지 내려간 상태가 되어 안내판부(4)의 양옆에 형성된 테이퍼부(7)와 안내부(6) 사이에 틈이 생기기 때문에 이 틈만큼 L자형 워셔(3)의 요동이 가능 하게 된다. 따라서 지름이 서로 다른 선의 나단말을 병렬접속하거나 혹은 나단말과 원형 압착단자를 중복배선하려고 할 경우, L자형 워셔(3)가 지름이 작은 선의 단말쪽으로 기울어져 지름이 작은 선의 단말에도 충분한 결합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제6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나사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대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완료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단자나사(1)는 그 L자형 워셔(3)의 안내판부(4)가 그 폭방향의 양단부에서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그 얇은 부분(31)과 두꺼운 중앙부(35) 사이에 단차면(32)을 가지며, 또 얇은 부분(31)의 양쪽에 그 상단부를 향해 폭치수가 축소되도록 형성된 테이퍼부(7)로 이루어진 제2의 요동기구부가 형성된다, 또 단자커버(10)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커버(10)의 측판에 세로홈으로서 형성되는 안내부(6)가, 안내판부(4)가 두껍게 형성된 중앙부(35)에 대향되는 부분의 측판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35)의 폭에 상당하는 슬릿(33)이 형성되고, 안내부(6)는 단차면(32)을 포함한 두께가 얇은 부분(31)을 포위하여 단자나사(1)를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세로홈으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안내부(6)는 슬릿(33)의 폭치수가 세로홈의 아래쪽에서 그 폭이 퍼지도록 잘라내어져 제3의 요동기구부(34)를 형성한다.
제8도는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자 장치에 지름이 서로 다른 전기도선의 나단말(18A, 18B)을 단자판(11)과 L자형 워셔(3) 사이에 병렬로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나단말(18A, 18B)을 단자판(11)과 L자형 워셔(3) 사이에 삽입한 후 도시하지 않은 걸림발톱으로 정위치에 유지된 단자나사(1)를 눌러내리면 슬릿(33)에 두꺼운 부분(35)이 끼워진 상태에서 세로홈에 안내된 안내판부(4)가, 그 상단이 제2의 요동기구부(34)에 도달한 시점에서 슬릿(33)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개방되고, L자형 워셔(3)가 기울어져 그 누름 발톱이 나단말(18A, 18B)의 양쪽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안정된다. 그래서 숫나사(2)를 조여넣음으로써 나단말(18A, 18B) 양쪽에 결합력이 가해져 지름이 다른 선의 나단말을 단자 장치에 병렬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원형 압착단자와 나단말을 중복배선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L자형 워셔(3)의 안내판부(4)가 테이퍼부(7)(제1의 요동기구부)를 가진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그 배면의 상단부근에 원형기둥형상의 돌기부(41)를 형성한 점에 있다. 이 돌기부(41)는 제6도에 있어서 두꺼운 부분(35)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제7도 또는 제8도에 있어서 슬릿(33)의 폭을 돌기부(41)의 치수에 맞추어 형성함과 동시에 이 슬릿의 폭을 그 하부에서 펼쳐 제4의 요동기구부로 함으로써 제6도 내지 제8도를 사용하여 앞에 기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전자개폐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자커버(10)와, 접점부를 덮고 또 접점개폐시의 아아크(arc)가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막는 담금질커버(20)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단자커버(42)로 한 점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일체 성형함으로써 전자개폐기의 부품수가 삭감됨과 동시에 위에 기술한 실시예에서 필요로 한 후크(l0C), 구멍(20C) 둥의 착탈부재가 불필요해지므로 단자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기 기기의 단자 장치는 단자나사의 안내부 및 걸림발톱을 종래 감전방지용으로서 설치되는 단자커버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단자나사의 유지기능 및 안내기능을 가진 단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의 단자 장치에서 문제가 된 단자나사의 탈락, 전도 혹은 분실과 같은 사태를 회피할 수있으며, 또 원형 압착단자의 접속시 단자판으로부터 단자나사를 제거하는 시간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이며 전선의 접속작업능률이 높은 단자 장치를 구비한 전기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안내판부와 안내부 사이에 제1의 요동기구부 혹은 제2, 제3의 요동기구부를 설치함으로써 지름이 서로 다른 전선의 나단말의 병렬접속이나 원형 압착단자와 나단말의 중복배선을 능률적으로 확실하게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 단자 장치를 구비한 전기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단자나사부분을 다른 각도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부분들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단자장치를 전자개폐기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상태의 단자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압착단자가 단자장치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C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압착단자가 접속완료된 상태의 단자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나사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장치의 대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완료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자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자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단자장치의 실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단면도.
제12도는 다른 종래의 단자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단자나사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단자나사 2 ;숫나사 3 ; L자형 워셔(washer) 4 ; 안내판부
5 ; 원형구멍 6 ; 안내부 7 ; 테이퍼부(요동기구부) 8 ; 걸림발톱
9 ; 스프링 워셔 10 ; 단자커버 11 ; 단자판 18 ; 도선
19 ; 원형 압착단자 18A ; 나단말(裸端末)(18B) 20 ; 담금질 커버
21 : 프레임 22 ; 상간벽(相間壁) 23 ; 단자수용부 31 ; 얇은부분
32 ; 단차면 33 ; 슬릿 34 ; 제2의 요동기구부 41 ; 돌기부
42 ; 단자커버(담금질 커버와 일체화함) 51 ; 고정단자
52 ; 숫나사 53 ; 워셔 54 ; 단자커버 57 ; L자형 워셔
58 ; 프레임 59 ; 판스프링 60 ; 단자나사

Claims (5)

  1. 전기 기기의 절연벽으로 간막이된 단자수용부에 고정된 나사구멍을 가진 단자판에 원형 압착단자 등을 접속하는 단자 장치에 있어서,
    숫나사와, 이 숫나사에 회동가능하게 느슨히 고정되어 단자판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안내판부를 가진 L자형 워셔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단자나사와;
    각각의 단자나사를 조작하기위한 원형구멍을 가지며 각각의 단자나사를 덮기위한 단자커버와;
    상기 세로홈을 따라 단자판에 대해 상기 안내판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단자커버의 측판에 형성된 세로홈을 포함하며 원형구멍을 향한 개구를 가지는 안내수단과;
    상기 원형구멍과 숫나사의 머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나사를 그 숫나사의 선단과 단자판 사이에 일정거리를 유지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발톱과;
    상기 숫나사의 선단이 단자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판부와 안내부 사이의 구속을 완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기 워셔를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단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요동수단의 각각은 상기 안내판부의 폭이 상기 안내판부의 상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상기 워셔의 상기 안내판부의 양쪽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제1의 요동기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단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의 각각은 얇은 측부, 두꺼운 중앙부 및 얇은 측부와 두꺼운 중앙부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로 형성된 안내판부와, 상기 안내판부의 폭이 그의 상단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상기 얇은 측부의 일측상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제2의 요동기구부와; 상기 얇은 측부와 상기 단차부가 그곳에 결합되는 세로홈을 포함함과 아울러, 안내판부를 안내하고, 단차부를 향하는 상기 세로홈의 가장자리가 상기 숫나사가 단자판에 결합될때 상기 안내판부가 안내부로부터 해제되도록 잘라내어져 있는 제3의 요동기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의 각각은 안내판부의 폭이 그 상단부를 향해 좁아 지도록 상기 워셔의 상기 안내판부의 양측상에 형성된 테이퍼부로 이루어진 제1의 요동기구부와; 안내판부의 나사반대쪽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안내하는 세로 슬릿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슬릿의 폭치수가 아래쪽을 향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4의 요동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와 전기기기의 아아크형 담금질 커버는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KR1019960010695A 1995-04-11 1996-04-10 전기기기의단자장치 KR100344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505395A JP3156540B2 (ja) 1995-04-11 1995-04-11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95-85053 1995-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495A KR960039495A (ko) 1996-11-25
KR100344882B1 true KR100344882B1 (ko) 2002-11-23

Family

ID=1384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695A KR100344882B1 (ko) 1995-04-11 1996-04-10 전기기기의단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44882B1 (ko)
TW (1) TW46167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5936B1 (de) * 2018-01-22 2019-08-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Baukastensystem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Gerä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1676U (en) 2001-10-21
KR960039495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6540B2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5224179B2 (ja) ばね力接続装置
KR100292632B1 (ko) 편평가요성회로용전기커넥터시스템
CN111628313B (zh) 板缘连接器
US10020136B2 (en)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930000792Y1 (ko) 코넥터 장치
US6333845B1 (en) Power-supply breaker apparatus
US5480323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t least one electrical device
MXPA01010756A (es) Ensamblaje de combinacion de interruptor y conector de bajo perfil.
CA1241988A (en) Electromagnetic relay
EP3540857A1 (en) Conductive component structure of conductive wire connection device
KR100344882B1 (ko) 전기기기의단자장치
US5934948A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equipment
JP7158255B2 (ja) 電気ユニットおよび交換可能な接続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気システム
US5697813A (en) Connection terminal
DE102018130668B4 (de) System mit Vorrichtungen und einer Elektrischen-Vorrichtungs-Verbindungsstruktur
US4174508A (en) Relay latching apparatus
JP2000058155A (ja) 端子台
JPH10155212A (ja) 分電盤
JP2020042912A (ja) 補助接点ユニット
GB2230389A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338382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
JP3307183B2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H10134859A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KR101977190B1 (ko) 콘센트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