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879B1 - 유체처리설비및유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유체처리설비및유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879B1
KR100344879B1 KR1019950700770A KR19950700770A KR100344879B1 KR 100344879 B1 KR100344879 B1 KR 100344879B1 KR 1019950700770 A KR1019950700770 A KR 1019950700770A KR 19950700770 A KR19950700770 A KR 19950700770A KR 100344879 B1 KR100344879 B1 KR 100344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ank
flow
spiral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2858A (ko
Inventor
데이비드 오스턴 데혹서
Original Assignee
사우던워터서비이스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던워터서비이스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우던워터서비이스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5070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4Inlets or outlets provided with regulating devices, e.g. valves,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5Plurality of essentially parallel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87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ensuring a special flow pattern, e.g. even inflow or out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27The feed or discharge opening located at a distant position from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Cyclo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로부터 현탁 상태의 고체 또는 유체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유체 처리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개의 원추형 나선판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표면사이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통로를 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체적으로 수직인 원형단면의 유동 채널이 설계되어 유동 채널과 거의 같은 직경의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이 그 안에 설치되며, 원추형 나선판과 유동 채널은 동축선상으로 설치되어 나선판의 마주보는 축방향의 표면들이 유동채널이 동축상선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정의한다. 나선판은 바람직하게는 유동 채널의 축주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유체의 유동비와 대응되거나, 크거나, 작은 속도로 구동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유체처리설비 및 유체처리방법
본 발명은 유체(流體)로부터 현탁 물질이나 혼합되지 않는 유체를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오수에서 현탁 슬러지 입자와 기름 방울을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분리할 현탁액을 일련의 경사판으로 통과시키는 경사판식 분리기는 현탁 상태의 고형물을 유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으로서 공지된 것이다. 영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46,609호는 유체에서 현탁 고형물을 분리해내는데 사용하는 평판이 수직으로 경사진 유체 처리 설비를 개시하고 있다.
경사판식 분리기는 분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유체가 통과하는 일련의 평판이 넓은 수평면을 차지하며, 일련의 평판 배열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평판 인근에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적으로 치수가 작은 경사판식 분리기를 제공하여 소형 디자인을 갖는 분리기에 경사판식 분리기의 장점이 부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체로부터 현탁 상태의 고형물과 또는 유체방울을 분리시키는 분리기는 수직의 나선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에 있어서, 그 원추형 나선판이 마주보는 상하의 다른 원추형 나선판의 면과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유동통로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나선형 유동통로를 한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6개인 다수개의 동축선상에 위치한 나선형 판이 제공되며 상호 감긴 다수의 나선형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선의 간격(pitch)은 나선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할 수 있으나 각 나선판이 나선축을 가능한 많은 회수로 돌 수 있도록 직경에 비하여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선판은 외측을 향하여 반경방향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거나, 상기 판이 외측을 향하여 반경방향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분리기를 탱크내의 유체속에 설치하고, 나선형 유동통로를 따라 유체의 유동을 유도하기 위해 분리기를 회전시킨다. 유체의 측방향 유동 방향은 유체가 탱크의 상부나 하부에 공급되는 위치에 달려 있다. 탱크 바닥에서 유체가 유입되고, 비중이 큰 고형물이나 유체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유체가 탱크의 상부에서 제거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리기는 회전하여 상기 분리기를 통한 유체의 상방향 유동을 유발한다. 반대로, 유체가 탱크의 상부로 유입되고, 비중이 낮은 고형물이나 유체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체가 탱크의 하부에서 제거되면 상기 하나 또는 그이상의 분리기는 회전하여 상기분리기를 통한 하방향유동을 유발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기는 대체적으로 수직이며 분리기 직경과 비슷한 직경의 원형 단면 유동 채널내에 나선판의 나선축이 상기 유동채널축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유동채널을 따르는 유체의 축방향 유동과, 나선형 유동통로를 따르는 유체의 유동은 상기 유동채널내에서 유입 및 유출수단을 축방향으로 서로떨어지게 설치함으로 유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리기가 유동채널에 설치되었을때 나선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선판의 회전은 나선형 유동통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도되거나 또는, 모터나 기타의 구동수단을 나선판에 제공함으로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나선판의 회전속도는 유동 채널을 따르는 유체의 축방향 속도가 나선 간격과 회전속도의 곱과 같거나, 아니면 상기 나선판의 회전속도가 상기 속도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병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체 처리 설비는 탱크를 포함하며, 그 탱크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원추형 나선판을 포함하는 몇 개의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탱크의 제1부분에는 처리되지 않은 유체를 공급하는 유입구가 있고, 탱크의 제2부분에는 처리된 유체를 빼내기 위한 유출구가 있으며, 유체가 분리기의 나선형 유동통로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유입구와 유출구사이에서 흐르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탱크는 분리기에 밀착되게 분리기를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의 탱크이며 유체의 축방향 유동은 유입 및 유출수단의 축방향 간격에 의해 유도된다.
또는, 다수의 분리기가 비원형 탱크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유체의 축방향 유동은 분리기의 회전에 의해 초래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되지 않은 유체는 분리기 축을 둘러싸는 관형벽을 통해 하방향 유동으로 탱크의 하부에 공급되고, 분리기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판은 상기 관형벽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있다.
제1도는 유체로부터 현탁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제1처리설비의 개략적인 수직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처리설비의 경사판식 분리기 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유체로부터 현탁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제2처리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처리설비의 평면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에 도시된 제1처리설비인 유체처리설비는 최대 직경 D이고 중앙 슬러지 유출구(3)에서 종료되는 원주형으로 테이퍼진 하부(2)를 가진 원통형 탱크(1)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1)의 원통형 벽의 상부 가장자리는 댐(weir)(4)처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댐(4)의 주변에는 정수된 유체를 모으기 위한 환형 유출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 파이프(6)가 탱크의 하부영역(2)에서 탱크의 축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유입 파이프(6)는 탱크(1)의 원통 부분의 상부지역에서 처리될 유체를 배출하는 수직 상승부(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승부(7)의 주변과 상승부에서 일정한 간격이 떨어진 곳에는 유체 표면(9)의 수위 이상에서 탱크의 원통 부분의 거의 중간 지역에 걸쳐있는 직경(d)을 갖는 원통형 관형벽(8)이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경(d)은 탱크 직경(D)의 약 1/3이다.
관형벽(8)의 외면은 상기 관형벽(8)의 하방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호감긴 나선 원추형 나선 형태로 관형벽(8)에 대해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일련의 원추형 나선판(10)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나선판(10)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탱크(1)의 관형벽에 인접한 곳에서 종료된다. 상기 판의 경사, 즉 상기 판의 표면상에서의 반경방향 선분과 나선축사이에 측정된 예각은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약 40˚이지만, 10˚ 내지 80˚ 사이의 다른 각도가 유체에서 고형물이나 혼합되지 않은 유체를 분리하는데 바람직함을 예견할 수가 있다. 이제까지는 60˚가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나선판(10)과 관형벽(8)은 탱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유동 유체의 작용하에 자유 회전하거나, 외부의 구동수단으로 구동되어 설정 속도로 회전되어질 수도 있다. 관형벽(8)과 나선판(10)은 탱크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구조물에 현수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유체내에 잠겨있는 부력장치(floats)로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관형벽(8)과 나선판(10)은 탱크내에 놓인 베어링으로부터 아래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장치 동작시, 오염된 유체는 유입 파이프(6)를 통해 상승부(7)로 상승하여 수위면 또는 그 근처에서 관형벽(8)의 내부로 배출되어 진다. 관형벽(8)내의 수위면(9a)은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수위면(9)과는 약간 다른데 이는 댐(4)에 의해서 조절되어 진다.
이후, 오염 유체는 관형벽(8)내에서 축방향 하방향으로 관형벽(8)의 하단에 도달할 때까지 유동한다. 그후 유동방향이 역전되어 유체가 일련의 나선판(10)을 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한다.
유체가 나선판(10)을 통하여 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고운 미립자들은 분리되어, 나선판(10)의 상면에 쌓이게 된다. 상기 미립자들은 서로 엉켜서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나선판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탱크의 원통형벽 근처에서 배출된다. 상기 엉킨 미립자는 탱크의 원추부로 가라앉아 슬러지 유출구(3)로 배출되어진다.
나선판(10)을 통한 유체의 상방향 유동은 나선판(10)의 회전과 동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회전속도와 나선판 사이의 간격은 유체의 수직 방향 유동속도에 대응되도록(즉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속도"(no swirl speed)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속도"에서 유체는 실제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탱크를 통해 흐른다. 그러나 상기 일련의 나선판의 회전속도를 상방향 유동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또는 약간 느리게 구동하여, 일련의 나선판을 통해 상승하는 유체에 약간의 원주속도를 가하는 것이 좋다. 만약 나선판(10)이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속도"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 유체가 초과 회전에 의해 일련의 나선판 사이를 통하여 밀려 올라갈 때, 탱크(1)내에 순환류가 발생하는데, 이 순환류는 나선판(10)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흐르는 환상의 유체 장벽을 형성하는 반경방향 외측 흐름을 유발시킨다. 이는 탱크의 반경방향 가장 바깥영역에 있는 엉킨 미립자의 하부유동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 분리용 나선판(10)을 우회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상기 탱크의 바깥 영역으로 유체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상방향 유동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가장 좋은 결과는 일련의 나선판을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속도"의 100% 내지 120%로 회전시킬때 얻어지지만,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속도"의 60% 내지 140% 범위내에서의 속도로도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300% 까지의 속도도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단면적 10㎡의 탱크로 시간방 200㎥의 유체를 처리한다면, 유체의 상방향 유동속도는 시간당 20m가 될 것이며 피치(pitch)가 3m인 일련의 나선판은 시간당 6.33회 회전되어야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속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회전속도는 시간당 6.33 내지 7.6 회전이다. 유체를 시간당 6 내지 12m로 축방향으로 유동시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으나, 축방향 속도 6 내지 60m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나선판(10)과 관형벽(8)은 탱크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유체내에 잠겨있는 부력장치로 지지되며, 상기 관형벽(8)과 나선판(10)은 상기 나선판 사이를 통과하는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된다.
도시된 나선판 구성의 다른 실시예로서, 나선판의 경사방향을,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향 외측으로 배치하는 대신, 관형벽(8)으로부터 상방향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정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개구를 나선판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엉킨 미립자들이 나선판을 통하여 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서는 처리되지 않은 유체의 유동이 일련의 나선판에 이르기 위하여 엉킨 미립자가 떨어져 통과하는 구역을 지나가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은 유입수단을 탱크의 중심보다는 탱크의 주변에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만약 개구가 제1도에 보인 분리기 나선판(10)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나그 근처를 통하도록 되어 있다면, 이것은 가벼운 유체의 엉킨 방울들이 나선판의 하측 표면을 따라 반경방향 내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관형벽(8)근처의 일련의 나선판의 상단에서 배출되도록 할 것이다. 환형의 수집장치(표시안됨)를 관형벽(8)의 외측면에 설치하여 분리된 가벼운 유체나 입자를 수집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또한 수력 분사장치같은 청소 장치의 접근을 허용할 수도 있으며, 축방향으로 정렬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분리기는 오수 처리용으로 주로 사용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하수 슬러지와 같은 미립자와 오염된 물에 존재하는 기름과 같은 가벼운 부유 유체를 제거한다. 그러나 현탁 상태의 비중이 높거나 낮은 고형물이나 혼합안되는 유체 방울을 다른 유체로부터 분리하는데, 고정 또는 회전 나선판의 사용이 가능하다.
관형벽(8)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선판(10)은 금속, 또는 바람직하게는 부식에 강한 금속이나,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의 보강용 첨가제가 들어가거나 들어가지 않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선판은 나선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가 결합될 수도 있는 블레이드-형상(blade-like)의 부채꼴이다. 정렬핀(dowel pin)과 소켓(socket) 또는 돌출부와 홈등과 같은 결합 장치가 사용되어 블레이드 부채꼴을 정렬을 확고히 할 수가 있다.
결합 모듈(interlocking module)로부터 구성된 나선판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는 고형물이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매끈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부채꼴 단부를 적절히 형성하거나 노출된 반경 방향 모서리에 적당한 외형을 갖는 모서리 스트립(strips)을 설치함으로서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의 원통형 탱크(1)와 원추형 하부(2)는 지면에 또는 지면 밑에 놓이지만, 설비 전체는 지면위에 장착되거나 지면보다 높은 올라간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어질 수도 있다. 탱크(1)의 깊이는 평판의 배열을 사용할 때보다 훨씬 높일 수 있으나 탱크 직경의 약 1.5 내지 2배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탱크는 하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대신, 탱크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정 직경의 탱크의 바닥을 원추형상으로 만들어 침전된 슬러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또 회전형 스크래퍼(scraper)수단을 제공하여 슬러지를 모으고 유출구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형 스크래퍼가 나선판과 같은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형 스크래퍼와 나선판은 공통의 구동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처리 설비의 대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설비는, 탱크(20)의 상부 가장자리에 댐(21)과 수집통로(22)가 있어서 정수된 유체를 유출구(23)로 보내게 되어있다.
탱크(20)는 평면도상으로 직사각형, 다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편리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다수개의 분리기(24)가 설치된 탱크내에는 관형벽(25)과 이 관형벽(25)의 반경방향 외측과 하방향으로 연장된 나선판 (2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분리기(24)는 탱크(20)내의 지지수단(도시 안됨)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와 운동전달장치(도시 안됨)에 의해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된 유입수단(27)은 처리할 유체를 관형벽(25)의 상단으로 공급하여, 탱크(20)의 하부로 흐르게 한다.
상기 분리기(24)는 구동수단으로 구동되어 유체가 나선판(26)을 통하여 상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분리기의 회전속도와 탱크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비는 분리기에 의해 발생되는 상방향 유동이 탱크를 통과하는 유체의 전체 유동비보다 많게 하여, 분리기 영역에서 약간의 하방향유동이 발생하도록 조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방향 유동은 처리되지 않은 유체가 분리기를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화된 유체는 댐(21)을 경유하여 수집 통로(22)내로 유입된 후 유출구(23)로 배출된다.
제 4도는 세 개의 분리기(24)와, 상기 분리기의 벽(25)내부의 중심 공간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입 배관(27)이 설비된 삼각형 탱크(2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탱크(20)는 평면도상으로 필요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탱크내의 분리기(24)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하는 내부 충진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화된 유체는 도 3의(21)(22)(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21)을 경유하여 수집 통로(22)내로 유입된 후 유출구(23)로 배출된다.

Claims (17)

  1. 원형 횡단면을 갖는 거의 수직인 유동 채널을 정의하는 원통형 탱크(1)와;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10)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 채널과 동축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직경이 상기 유동 채널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분리기와; 상기 탱크(1)의 하부로 분리되지 않은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유입수단(6, 7)과; 상기 탱크(1)의 상부로부터 처리된 유체를 유출시키도록 설치된 유출수단(4)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입수단(6, 7)과 상기 유출수단(4)의 사이에서 유체가 상기 분리기의 나선형 유동통로를 수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유체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유동 채널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나선축을 둘러싸고 있는 관형벽(8)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나선판(10)은 상기 관형벽(8)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내에 있는 유체는 자유표면(9)을 갖고, 상기 관형벽(8)은 상기 자유표면(9)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수단(6, 7)이 상기 탱크 부분인 관형벽(8)내부로 처리되지 않은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유출수단(4)이 상기 탱크(1)로부터 처리된 유체를 유출시키기 위해 상기 탱크 상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10)이 자체 상하부면의 상호 마주보는 부분사이에서 하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10)이 자체 상하부면의 상호 마주보는 부분사이에서 하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축선상에서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다수의 원추형 나선판(10)이 그 표면의 축방향으로 반대인 마주보는 부분 사이에서 원추형 나선판(10)의 개수와 유사한 개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6. 제 1 항,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선판(10)은 상기 나선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7. 제 1 항,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10)는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10)는 상기 유동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9. 제 1 항,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구동 수단에 의해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의 회전속도는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11. 거의 수직인 유동 채널을 정의하는 탱크(20)와;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26)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 채널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분리기(24);와 상기 탱크(1)의 하부로 처리되지 않은 유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유입수단(27, 25)과; 상기 탱크(1)로부터 처리된 유체를 유출시키도록 상기 탱크 상부에 설치된 유출수단(21, 22, 2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입수단(27, 25)과 상기 유출수단(4)의 사이에서, 유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24)의 나선형 유동통로를 수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유체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탱크(20)는 비원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기(24)는 회전되어 유체를 상기 분리기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통하여 축방향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내의 유체에는 자유표면(21)이 있고 상기 관형벽(25)은 상기 자유표면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 부분의 관형벽(25)내로는 처리되지 않은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수단(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탱크로부터 처리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수단(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0)는 평면도상으로 다각형이고, 충진 블록이 상기 탱크내의 상기 분리기(24)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처리설비.
  14.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10, 26)이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판(10, 26)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 횡단면의 수직 유동 채널을 통하여 소정의 유동비로 흐르도록 유체가 제한되고, 상기 원추형 나선판(10, 26)은 상기 유동채널과 동축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나선판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사이에서 유동 채널과 함께 동축선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유동 통로를 한정하는 유체로부터 고형물 또는 유체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나선판을 나선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로부터 고형물 또는 유체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원추형 나선판(26)이 위치되어 있는 탱크(20)를 통해 유체가 소정의 유동비로 수직유동방향으로 흐르도록 제한되고, 상기 원추형 나선판(26)은 상기 유체 유동 방향과 동축선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나선판의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사이에서 유동 방향과 동축선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유동 통로를 한정하는 유체로부터 고형물 또는 유체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원추형 나선판을 나선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유체가 나선형 유동통로를 따라 유동하게 유도하고, 상기 나선판(26)사이의 탱크 영역에서 역류를 유도하여 처리되지 않은 유체가 나선판(26)을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로부터 고형물 또는 유체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판(10, 26)의 회전속도와 간격(pitch)은 유체의 축방향 유동 속도가 상기 나선 간격과 분리기의 회전속도의 곱의 60% 내지 140%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로부터 고형물이나 유체 입자를 분리하는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유체의 축방향 유동속도는 나선 간격과 분리기의 회전속도의 곱의 10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로부터 고형물이나 유체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
KR1019950700770A 1993-07-01 1994-06-17 유체처리설비및유체처리방법 KR100344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9313589A GB9313589D0 (en) 1993-07-01 1993-07-01 Separating liquid suspensions
GB9313589.5 1993-07-01
PCT/GB1994/001311 WO1995001215A1 (en) 1993-07-01 1994-06-17 Separating liquid suspen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2858A KR950702858A (ko) 1995-08-23
KR100344879B1 true KR100344879B1 (ko) 2002-10-31

Family

ID=1073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770A KR100344879B1 (ko) 1993-07-01 1994-06-17 유체처리설비및유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624580A (ko)
EP (1) EP0666769B1 (ko)
JP (1) JP3291626B2 (ko)
KR (1) KR100344879B1 (ko)
CN (1) CN1044202C (ko)
AT (1) ATE165996T1 (ko)
AU (1) AU672914B2 (ko)
BR (1) BR9405450A (ko)
CA (1) CA2141949C (ko)
DE (1) DE69410232T2 (ko)
DK (1) DK0666769T3 (ko)
ES (1) ES2118415T3 (ko)
GB (1) GB9313589D0 (ko)
GR (1) GR3027622T3 (ko)
HK (1) HK1011142A1 (ko)
NZ (1) NZ267449A (ko)
WO (1) WO1995001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20736D0 (en) * 1994-10-14 1994-11-30 Univ Bristol Sedimentation tanks
US6099743A (en) * 1995-02-17 2000-08-08 Odense Vandselskab A/S Method and basin for sedimentation of sludge in waste water
GB9618169D0 (en) * 1996-08-30 1996-10-09 Lucas Ind Plc Sedimenter
NO305348B1 (no) * 1997-10-23 1999-05-18 Norske Stats Oljeselskap Anordning for utskilling av partikler fra en fluidstr°m
ATE285003T1 (de) * 1998-08-11 2005-01-15 Uli Lippuner Brunnenstube, und absetzbecken für eine brunnenstube
MXPA02003070A (es) * 1999-09-22 2003-08-20 Southern Water Services Ltd Separador para una suspension liquida.
EP1123723A1 (en) * 2000-02-10 2001-08-16 Fernando H. Garcia Plant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from a liquid phase
CA2417504A1 (en) * 2000-07-25 2002-01-31 Water Minerals Limited Separators
US6663771B1 (en) * 2001-08-22 2003-12-16 Kemp E. Falkner Liquid treatment apparatus
CN100363080C (zh) * 2005-05-20 2008-01-23 清华大学 一种分离水中悬浮物的装置
US20080035330A1 (en) * 2006-08-10 2008-02-14 William Mark Richards Well scre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NL1037680C2 (en) * 2010-02-03 2011-08-04 Wavin Bv Inspection chamber with filter.
US10596492B2 (en) 2014-07-09 2020-03-24 Sudhin Biopharma Particle settling devices
WO2016089874A1 (en) * 2014-12-01 2016-06-09 Sudhin Biopharma Particle settling device with annular ramps
GB2531804B (en) * 2014-10-31 2019-08-21 Plantwork Systems Ltd Separator and separation apparatus
CN105688454A (zh) * 2014-11-25 2016-06-22 无锡市洗选设备厂 网板增压式砂水设备用水沉淀装置
CN105771337B (zh) * 2015-12-28 2018-01-30 张春辉 一种高效的固液分离装置及其应用
CN106975248A (zh) * 2017-05-08 2017-07-25 北京中矿东方矿业有限公司 一种无动力高效浓缩机
JP7249359B2 (ja) 2018-04-18 2023-03-30 スディン・バイオファーマ 粒子沈降デバイス
US11102912B2 (en) * 2018-09-19 2021-08-24 TMGCore, LLC Liquid immersion cooling platform
US10617032B1 (en) 2018-09-19 2020-04-07 TMGCore, LLC Robot for a liquid immersion cooling system
US10969842B2 (en) 2018-09-19 2021-04-06 TMGCore, LLC Chassis for a liquid immersion cooling system
US10694643B2 (en) * 2018-09-19 2020-06-23 TMGCore, LLC Ballast blocks for a liquid immersion cooling system
US10624237B2 (en) 2018-09-19 2020-04-14 TMGCore, LLC Liquid immersion cooling vessel and components thereof
US11129298B2 (en) 2018-09-19 2021-09-21 Tmgcore, Inc. Process for liquid immersion cooling
US10653043B2 (en) 2018-09-19 2020-05-12 TMGCore, LLC Vapor management system for a liquid immersion cooling system
PL3990148T3 (pl) * 2019-06-27 2024-01-22 Paques I.P. B.V. Urządzenie rozdzielające w kształcie spiralnym dla urządzenia do oczyszczania płynów
CN115461156A (zh) 2020-03-19 2022-12-09 苏德新生物制药公司 颗粒沉降装置
RU2752743C1 (ru) * 2020-08-04 2021-07-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бводразработка" Осветлитель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варианты)
CA3164961A1 (en) * 2020-11-30 2022-06-02 Mahsa MIRGHORAYSHI A novel single hybrid airlift bioreactor for wastewater treatment
CN113019268B (zh) * 2021-03-04 2022-04-08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惯性沉降器及包括其的气液固三相反应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7260A1 (en) * 1991-03-27 1992-10-15 Jack Baggaley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59454C (de) * 1955-10-26 1957-03-07 Krauss Maffei Ag Abscheider zum Trennen von Fluessigkeiten oder/und Feststoffen mit trichterfoermig verjuengten Leitflaechen zwischen Einlauf- und Ablaufrohr
BE586676A (ko) * 1959-01-19
DE8001771U1 (de) * 1979-03-26 1984-02-09 Novex Találmányfejlesztö és Ertékesítö Külkereskedelmi Rt., Budapest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fluessigkeiten
FI89703C (fi) * 1989-03-06 1993-11-10 Wiser Oy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vaetskor, speciellt avfallsvatten
FR2663238B1 (fr) * 1990-06-18 1992-09-18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tre une phase fluide continue et une phase dispersee, et application.
GB9122178D0 (en) * 1991-10-18 1991-11-27 Foster William W Separators
FR2687395B1 (fr) * 1992-02-17 1995-01-20 Roger Guasco Procede de traitement des eaux usees par effet lamellaire rotati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7260A1 (en) * 1991-03-27 1992-10-15 Jack Baggaley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405450A (pt) 1999-09-08
CN1044202C (zh) 1999-07-21
AU6975194A (en) 1995-01-24
US5624580A (en) 1997-04-29
JPH08500773A (ja) 1996-01-30
JP3291626B2 (ja) 2002-06-10
GR3027622T3 (en) 1998-11-30
DE69410232T2 (de) 1998-10-15
EP0666769B1 (en) 1998-05-13
CA2141949A1 (en) 1995-01-12
CN1111446A (zh) 1995-11-08
GB9313589D0 (en) 1993-08-18
DE69410232D1 (de) 1998-06-18
NZ267449A (en) 1996-08-27
ES2118415T3 (es) 1998-09-16
HK1011142A1 (en) 1999-07-02
DK0666769T3 (da) 1999-03-08
CA2141949C (en) 2005-06-14
WO1995001215A1 (en) 1995-01-12
EP0666769A1 (en) 1995-08-16
AU672914B2 (en) 1996-10-17
KR950702858A (ko) 1995-08-23
ATE165996T1 (de)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879B1 (ko) 유체처리설비및유체처리방법
US68117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fluids, separating fluids, and separating solids from fluids
US30678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ling solids from liquids
US6174434B1 (en) Three zone dissolved air floatation clarifier with fixed lamellae and improved paddle-and-ramp sludge removal system
KR101503549B1 (ko) 원심 분리기에서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0465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дисперсий
US4420403A (en) Filter module
RU2535709C2 (ru) Способ оптимизаци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дачи в отстойном резервуаре
EP0215862B1 (en) A lamella separator
AU2021275656B2 (en) Circular parallel plate grit remover
US3744643A (en) Suspension clearing treatment device
WO2023055369A1 (en) Circular grit remover with tube settlers
US3498461A (en) Fluid filter
JP7083650B2 (ja) 固液分離装置
JP6536657B2 (ja) 沈殿槽
JP2739320B2 (ja) 汚濁水の凝集装置
KR100491353B1 (ko) 고액분리장치
SU1333366A1 (ru) Отстойник
JP6583388B2 (ja) 沈殿槽
JP3473442B2 (ja) 加圧浮上装置
RU22488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SU1263291A1 (ru) Отстойник
KR200300518Y1 (ko) 하수 내의 침사 제거장치
SU997727A1 (ru) Отстойник
JPH0657353B2 (ja) 液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