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259B1 - 폴리페놀함량이높은녹차추출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페놀함량이높은녹차추출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259B1
KR100344259B1 KR1019980062755A KR19980062755A KR100344259B1 KR 100344259 B1 KR100344259 B1 KR 100344259B1 KR 1019980062755 A KR1019980062755 A KR 1019980062755A KR 19980062755 A KR19980062755 A KR 19980062755A KR 100344259 B1 KR100344259 B1 KR 10034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een tea
cooling
polyphenol
follo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079A (ko
Inventor
김완기
이병곤
정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8006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2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60∼80% 에탄올을 사용하므로 안전한 녹차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80℃이상의 고온에서 추출을 행하나 엽록소의 제거를 위하여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페놀의 활성의 저하없이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eparing the extract of green tea containing high content of polyphenol}
본 발명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녹차는 민간에서 건강기호 음료로서 널리 음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 와서는 녹차에 함유된 여러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카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으며, 폴리페놀,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C 등의 유용성분들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숙취 및 니코틴 해독작용, 피로회복, 강심작용, 피부미용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녹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에 대한 항산화작용, 항콜레스테롤작용, 혈당저하작용, 항종양작용, 혈소판응집저해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크게 주목되고 있다.
이에, 녹차로부터 폴리페놀류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순도가 높게 정제하는 제조기술 또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예들 들면, 일본특개소 59-219284호(발명의 명칭: 차추출물을 친수성용매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방법), 일본특개평 2-6499호(발명의 명칭: 차추출액을 한외여과막으로 분자량분획하는 방법), 일본특개평 2-311474호(발명의 명칭 : 차추출물을 컬럼으로 정제하는 방법), 일본특개평 4-182479호(발명의 명칭 : 차수용성분을 칼럼 및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방법),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91-4203호(발명의 명칭; 고순도의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녹차에 10배 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70∼80℃로 가열추출하고 냉각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에 같은 중량의 초산에틸, 1-부탄올, 2-부탄올 또는 2-부탄온을 가하고 분획하여 유기용매층을 감압 증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대한민국특허공고 제 93-5694호(발명의 명칭 : 천연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녹차엽을 탄산칼슘이 첨가된 물로 추출하고 추출된액을 흡착수지에 흡착시켜 유기용매로 용리한 다음 초산에틸로 전용시키고 이를 농축건조하여 카테킨 분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등이 있다.
그러나, 열수 또는 알코올의 혼합용매에 녹차엽을 침적하고 가열하는 방법으로 1차 추출한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2차로 정제하는 방법에 의해 폴리페놀을 추출하는 공지의 방법은, 1차 추출에 의한 폴리페놀의 함량이 25∼30%정도로 낮기 때문에 이후 정제공정의 비용 및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전체적인 제조효율에 있어서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은 유기용매를 사용하므로 용매가 추출물중에 잔류되어 있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안전성 및 작업상의 애로점 등이 대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1차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하지 않고 초산에틸등에 의한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은 다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지의 방법에서는 폴리페놀을 고수율로 얻기 위해서 80℃이상의 고온에서 추출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엽록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엽록소를 추출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공정에서 클로로포름이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의 산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유효성분이 유실되며, 또한 제거한 엽록소의 폐기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를 거듭한 결과, 60∼80%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녹차를 추출하는 경우 폴리페놀성분의 활성의 저하없이 폴리페놀성분을 다량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더구나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페놀 성분의 활성의 저하없이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녹차잎에 60∼80% 에탄올을 부가한 다음,80~90℃에서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추출한 녹차잎에 다시 60∼80% 에탄올을 부가한 다음,80~90℃에서3∼4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합한 후, 진공농축하여 농축엑기스를 얻는 단계; 및
농축엑기스를 추출액 부피의 1/6∼1/15이 될 때까지 다시 진공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식용알코올인 에탄올을 사용하므로 안전한 녹차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폴리페놀의 활성의 저하없이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80℃이상의 고온에서 추출을 행하나 엽록소의 제거를 위하여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차잎 100g에 6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9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3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녹차잎 100g에 7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9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28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녹차잎 100g에 8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2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6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28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녹차잎 100g에 8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9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26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녹차잎 100g에 8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15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23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녹차 100g에 에탄올 1kg을 가하여 7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 760g을 50℃에서 감압증발시켜 농축물 26g을 얻었다. 이 농축물을 물 300g에 현탁시킨 후, 클로로포름 300g으로 분획하여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그 물층에는 다시 초산에틸 300g으로 분획하여 초산에틸층을 얻었다. 이 초산에틸층을50℃에서 감압증발시켜 추출물 5g을 얻었다.
(비교예 2)
녹차잎 100g에 5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9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32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녹차잎 100g에 8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34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녹차잎 100g에 80% 에탄올 1,800g(8배중량)을 넣고, 85℃에서 3시간동안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었다. 1차로 추출한 차원료에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추출을 행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1차 및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3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냉각 후,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로 추출액의 부피가 1/18이 될 때까지 농축하여 추출물 20g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상기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녹차 추출물에 함유된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폴리페놀함량의 측정방법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녹차 추출물 20mg을 100㎖ 용량 플라스크에 넣고, 80∼90℃의 물 60∼80㎖를 부은 후, 80℃ 물중탕에서 30분동안 가열하여 녹차 추출물을 녹였다. 만약, 녹차 추출물이 잘 안녹을 경우에는 초음파파쇄(sonication)를 하여 녹인다. 그 다음, 찬물로 냉각하고, 100㎖로 용액을 맞추어 여과하였다. 시험관에 여과액 1㎖, 주석산철용액 1㎖, 인산완충용액 3㎖를 넣고 보트렉스 믹싱을 한 다음,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폴리페놀의 함량을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검량곡선이 Y=AX+B(Y: 에틸갈레이트양, X: 흡광도값)일 경우
폴리페놀함량(%)=Y×1.5×0.1/시료무게(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폴리페놀함량 (%) 28.9% 29.3% 31.4% 32.8% 35.5% 60% 28.2% 27.3% 34.5%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페놀의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폴리페놀의 함량은 본 발명의 방법보다 높으나, 클로포포름을 사용하여 엽록소를 제거하므로 제거한 엽록소의 폐기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비교예 4는 고형분 함량이 높으므로 인하여 유동성이 떨어져 추출물이 탱크의 벽면에 붙어 분무건조가 되지 않아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시험예 2) 세포보호제의 유리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의 비교(DPPH assay 이용)
시험관에 녹차추출물의 에탄올 용액(200u) 1.0㎖와 유리자유라디칼의 메탄올 용액(DPPH sol., 1800u, 1,1-Diphenylpicrylhydrazyl) 0.5㎖를 넣어 섞고, 20분 후517nm에서 유리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을 흡광도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흡광도 수치가 낮을수록 유리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저해율은 DPPH 유리자유라디칼 용액에 시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남은 유리 자유라디칼의 양을 구한 값이다.
시료명 사용량 흡광도(O,D) 저해율(%) 비 고
control실시예 4실시예 5비교예 1비교예 2비교예 3비교예 4 20u 기준 1.0360.1740.1650.1630.2540.2510.167 8384848075.883.9
(시험예 3)
녹차 추출물을 하드캡슐에 충진하여 복용한 후 체내 항산화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즉, 포도주를 음용한 후 2주일이 경과한 다음 다시 성인 20명을 상대로 헤파린나트륨튜브(sodium heparin tube)를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 캡슐 복용전 혈액을 채취하고 3000rpm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그 다음, 녹차 추출물 캡슐 500mg을 복용한 후 1시간 뒤에 다시 헤파린나트륨튜브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한 다음 상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장을 즉시 total antioxidant status kit(RANDOX Laboratories Ltd, UK)로 Cobas Mira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mean total antioxidant capacity(mmol/L)
녹차추출물 캡슐 복용 전 녹차추출물 캡슐 복용 후 1시간
1.36± 0.1 1.45± 0.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활성의 저하없이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용도 뿐만 아니라 녹차의 폴리페놀성분이 갖는 다양한 생리효과를 이용하는 식품, 화장품등에 본 발명의 녹차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녹차잎에 60∼80% 에탄올을 부가한 다음,80~90℃에서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1차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추출한 녹차잎에 다시 60∼80% 에탄올을 부가한 다음,80~90℃에서3∼4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합한 후, 진공농축하여 농축엑기스를 얻는 단계; 및
    농축엑기스를 추출액 부피의 1/6∼1/15이 될 때까지 다시 진공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980062755A 1998-12-31 1998-12-31 폴리페놀함량이높은녹차추출물의제조방법 KR10034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55A KR100344259B1 (ko) 1998-12-31 1998-12-31 폴리페놀함량이높은녹차추출물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755A KR100344259B1 (ko) 1998-12-31 1998-12-31 폴리페놀함량이높은녹차추출물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079A KR20000046079A (ko) 2000-07-25
KR100344259B1 true KR100344259B1 (ko) 2002-09-18

Family

ID=1956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755A KR100344259B1 (ko) 1998-12-31 1998-12-31 폴리페놀함량이높은녹차추출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26B1 (ko) * 2018-11-30 2021-04-14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다슬기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슬기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079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8355B (zh) 一种综合分离提取茶多糖、茶氨酸、茶多酚和咖啡因的方法
JP3138781B2 (ja) カフェイン含有水溶液のカフェイン除去方法
JP2006511509A (ja) 全フェノールに富む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効果的方法
KR101393359B1 (ko) 수지상에서 분획하여 얻을 수 있는 포도 씨 추출물
CN102240343B (zh) 高酯型儿茶素茶多酚的绿色制备方法
JP3808494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高含有物の製造方法
CN102229592B (zh) 一种蔷薇红景天原花青素的制备方法
CN103193832B (zh) 一种从茶叶中提取分离茶多酚的方法
KR101072447B1 (ko) 녹차로부터 카테친의 추출방법
CN103910705B (zh) 从绿茶的下脚料中快速提取分离纯化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的方法
KR100344259B1 (ko) 폴리페놀함량이높은녹차추출물의제조방법
KR101123102B1 (ko) 초고압 재결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녹차로부터 egcg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
KR101703352B1 (ko) 애엽 추출물
JPWO2003091237A1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高含有物の製造方法
JP6108472B2 (ja) ブドウ梗由来抽出物
JP2012055205A (ja)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方法
WO2007066926A1 (en) A mass production method of brazilein from caesalpinia sappan l
CN101810317A (zh) 一种海棠果多酚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2805755A (zh) 一种高品质银杏黄酮的制备方法
CN101422518B (zh) 一种枇杷叶提取物的制备方法
US20080249163A1 (en) Process For Producing Product Containing Proanthocyanidin in High Proportion
KR100690928B1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의 분리정제방법
KR100423241B1 (ko) 차추출물의 정제 및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CN102911033A (zh) 一种从啤酒花中制备黄腐酚的方法
KR20060069885A (ko) 프로안토시아니딘 고함유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