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004B1 -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004B1
KR100344004B1 KR1020000018335A KR20000018335A KR100344004B1 KR 100344004 B1 KR100344004 B1 KR 100344004B1 KR 1020000018335 A KR1020000018335 A KR 1020000018335A KR 20000018335 A KR20000018335 A KR 20000018335A KR 100344004 B1 KR100344004 B1 KR 10034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te
coating material
parts
weight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978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00001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0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09D1/0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with organic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에 비반응성의 불활성 필러(filler) 및 착색용 피그먼트(pigment)를 함께 배합하여 제조된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액형 도막재를 콘크리트 제품,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알루미늄 및 세라믹 제품 등 도포하기 난해한 소재에 도포하여 지촉건조한 후 가스버너의 불꽃으로 단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여 내구성, 내마모성, 접착성 등이 개선된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 규산염 수용액에 필러 및 피그먼트를 배합한 일액형 도막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몰탈 화장판, 몰탈 화장구조물, 외벽 화장판 등의 내마모성의 향상, 장식성의 부여 및 노화방지를 위한 용도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공장 또는 일반 산업현장의 공장바닥, 창고바닥, 주차장, 특히 내산성이 요구되는 식품공장의 바닥, 그리고 유리, 금속, 비철금속, 세라믹 제품 등의 산업재료에 시공하여 내마모성, 접착력, 내후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Coating Material Comprising Aqueous Silicate Solution and a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규산염계 도막재 및 이를 이용한 도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에 비반응성의 불활성 필러(filler) 및 착색용 피그먼트(pigment)를 함께 배합하여 제조된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액형 도막재를 콘크리트 제품,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알루미늄 및 세라믹 제품 등 도포하기 난해한 소재에 도포하여 지촉건조한 후 가스버너의 불꽃으로 단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여 내구성, 내마모성, 접착성 등이 개선된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경화제는 규산염(MSiO3: M은 금속을 표시), 즉 물유리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저점도의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으로 이 경화제가 침투되고, 이 침투된 경화제가 콘크리트와 반응하여 불용해성의 규산칼슘을 생성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잘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콘크리트의 착색에 사용되는 피그먼트의 분말이 규산나트륨의 분말보다 크기 때문에, 규산나트륨은 흡수되지만 피그먼트는 콘크리트에 흡수되지 않아 콘크리트의 표면에 잔존하게 된다. 이 결과 콘크리트 표면을 착색하기 위해 사용하는 피그먼트가 마모되거나 콘크리트와 피그먼트 사이 또는 중간접착제와의 사이에 효과적인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접착강도가 낮아 짧은 시간에 피그먼트가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저점도의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내유, 내산, 내화 등 보호기능을 개선시키고 콘크리트 표면의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효하지만, 불투명한 소재에서 작업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경화제를 사용하는 이액형에 있어서 도막재의 지촉건조 후에 경화액을 도포하기 때문에 균일한 경화도막을 얻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장식효과와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일액형 도막재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규산리튬 수용액과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특정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비반응성의 불활성 필러(filler) 및 착색용 피그먼트(pigment)재를 함께 배합하여 고농도의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액형 도막재를 콘크리트 제품,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알루미늄 및 세라믹 제품 등 도포하기 난해한 소재에 도포하여 지촉건조한 후 가스버너의 불꽃으로 단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난연성, 내구성, 내마모성, 접착성 등이 개선된 도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효과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일액형 도막재를 사용하여 장식적 내마모성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막재는 콘크리트 경화제로서 규산리튬 수용액과 규산나트륨 수용액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비반응성의 불활성 필러(filler) 및 착색용 피그먼트(pigment)재를 함께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본 발명에서 경화제인 규산리튬 수용액은 콘크리트의 표면에 처리하여 표면경도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며, 고농도의 규산리튬 수용액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도막의 수축에 의한 크랙이 발생하므로 가격이 저렴하며 반응성이 좋은 규산나트륨 수용액을 일정한 비율로 희석하여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의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산화 규소/산화리튬의 몰비 3.5, 비중 1.20인 규산리튬 수용액 50∼90 중량부, 3가-규산나트륨수용액 10∼30 중량부 그리고 물 0∼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또한 배합하는 필러의 양에 따라 도막재의 도포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의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의 제조시 물의 비율이 전술한 범위보다 많으면경화도막의 경도와 내수성이 약해지고, 물의 비율이 적어지면 도막재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균일한 도포가 어렵게 된다.
그리고,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수용액의 혼합비율은 도막의 수축, 열처리시간, 열처리시의 팽창,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는데, 규산리튬의 양이 적으면 도막의 내구성이 약하게 되고, 규산리튬의 양이 많아지면 도막이 수축하여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규산나트륨의 양이 적어도 도막의 수축이 일어나고, 규산나트륨의 양이 많아지면 열처리시 도막의 팽창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반응성의 불활성 필러로는 분말산화알루미늄 또는 분말석영을 사용하는 것이 배합물의 안정성, 도막의 경도, 내마모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며, 분말산화알루미늄의 사용량은 도막의 경도, 내마모성의 요구 정도에 따라 적당한 양을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착색용 피그먼트로는 내구성이나 불연성의 측면에서 전금속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며, 특히 산화철계, 산화크롬계, 산화아연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수지계 필러용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액형 도막재에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체 에멀젼을 첨가하면 경화 후에 수분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액형 도막재를 사용한 도막 형성방법은 도막재를 도포한 다음, 도포막을 지촉건조하고 가스버너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막의 도포는 롤러(roller) 또는 스프레이(spray)로 1회 내지 2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처리는 도막의 경화를 완결시켜 도막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행하는 것으로, 도포막의 지촉건조 후 가스버너 불꽃에 도포된 도막을 직접 갖다 대고 1초∼180초 동안 유지함으로써 충분한 경화반응을 확인할 수 있으며, 프로판가스의 불꽃에서는 2초∼10초 동안 열처리를 하여도 충분한 경화가 가능하다. 이 때 열처리를 행하는 도시가스의 불꽃 및 프로판 가스의 불꽃 온도는 800∼1100℃로 하고, 규산리튬겔의 결정변화가 348℃에서 일어나며 규산리튬겔에 강하게 흡착된 물이 400℃에서 건조되어 제거되므로, 도막의 온도는 400∼45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이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450℃에서 결정수가 제거되어 노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가열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산화 규소/산화리튬의 몰비 3.5, 비중 1.20인 규산리튬 수용액 750g, 3가-규산나트륨 수용액 135g, 물 85g,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30g, 분말산화알루미늄(반경 40마이크론) 500g 그리고 피그먼트(벤가라계, bengala계) 150g을 차례로 중합반응조에 첨가하면서 상온에서 교반하여 일액형 도막재를 제조하였다.
전기로부터 수득한 도막재를 7cm×7cm, 두께 2cm의 몰탈 시험판의 표면에 롤러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고, 약 30분간 지촉건조한 후 이를 1회 반복하여 완성된 도막의 두께가 약 0.3mm가 되도록 하였다. 3시간 동안 도막을 충분하게 지촉건조한 후 프로판 가스버너의 불꽃에 가까이 대고 전기 도막을 2초간 열처리하여, 도막의 팽창이나 몰탈 시험판의 손상없이 갈색의 단단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막의 내마모성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마모성: JIS K7204에 준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모바퀴를 500회 회전하였을 때 두께의 감소량 0.27mm
마모바퀴를 1000회 회전하였을 때 두께의 감소량 0.09mm
(참고값) 몰탈을 1000회 회전하였을 때의 두께 감소량 1. 07mm
(2) 접착력 : JIS A5909에 준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준상태 26.5kgf/cm2
침수 후 28.6kgf/cm2
냉온건조를 반복한 후 24.5kgf/cm2
(3) 내후성 : JIS A6909에 준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0시간의 색깔 차이 0.3(처음과 변화 없음)
1000시간의 색깔 차이 0.3(처음과 변화 없음)
(4) 내약품시험: JIS A1454에 준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의 표1과 같다.
[표1]
15% 10% 5% 10% 10% 10%
약품 황산 황산 아세트산 젖산 시트르산 가성소다
내약품성
비고◎이상 없음 ○외관의 약간 변화 있음 △외관에 이상 있음 ×불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액형 도막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도막은 내마모성, 접착력, 내후성 및 내약품성(가성소다는 제외) 등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
규산리튬 수용액(몰비 3.5, 비중1.2) 570g, 3가-규산나트륨 수용액 250g, 물 150g,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30g, 분말산화알루미늄(반경 40마이크론) 400g, 피그먼트(벤가라, bengala계) 10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액형 도막재를 제조하였다. 전기 도막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몰탈 시험판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도막의 팽창이나 몰탈 시험판의 손상없이 갈색의 단단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막의 내마모성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마모성: JIS K7204에 준하여 시험한다.
마모바퀴를 500회 회전하였을 경우 두께의 감소량 0.30mm
마모바퀴를 1000회 회전하였을 경우 두께의 감소량 0.10mm
[실시예 3]
규산리튬 수용액(몰비 3.5, 비중1.2) 810g, 3가-규산나트륨용액 110g, 물 50g,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30g, 분말산화알루미늄(반경40마이크론) 600g 그리고 피그먼트(벤가라, bengala계) 10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액형 도막재를 제조하였다. 전기 도막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몰탈 시험판에 도포한 다음, 도시가스 불꽃에서 10초 동안 열처리하여 도막의 팽창이나 몰탈 시험판의 손상없이 갈색의 단단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형성된 도막의 내마모성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마모성: JIS K7204에 준하여 시험한다.
마모바퀴를 500회 회전하였을 경우 두께의 감소량 0.26mm
마모바퀴를 1000회 회전하였을 경우 두께의 감소량 0.08mm
[실시예 4]
분말산화알루미늄을 분말석영(50∼400mesh) 500g으로 대신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액형 도막재를 제조하였다. 전기 도막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몰탈 시험판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도막의 팽창이나 몰탈 시험판의 손상없이 갈색의 단단한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막의 내마모성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마모성: JIS K7204에 준하여 시험한다.
마모바퀴를 500회 회전하였을 경우 두께의 감소량 0.35mm
마모바퀴를 1000회 회전하였을 경우 두께의 감소량 0.12mm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 규산염 수용액에 필러 및 피그먼트를 배합한 일액형 도막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몰탈 화장판, 몰탈 화장구조물, 외벽 화장판 등의 내마모성의 향상, 장식성의 부여 및 노화방지를 위한 용도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공장 또는 일반 산업현장의 공장바닥, 창고바닥, 주차장, 특히 내산성이 요구되는 식품공장의 바닥, 그리고 유리, 금속, 비철금속, 세라믹 제품 등의 산업재료에 시공하여 내마모성, 접착력, 내후성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에 필러용 바인더, 비반응성의 불활성 필러 및 착색용 피그먼트를 배합하여 제조된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2. 제 1항에 있어서,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산화 규소/산화리튬의 몰비 3.5, 비중 1.20인 규산리튬 수용액 50∼90 중량부, 3가-규산나트륨 수용액 10∼30 중량부, 그리고 물 0∼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3. 제 1항에 있어서,
    필러용 바인더는 아크릴-스틸렌 공중합체 에멀젼을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0∼20 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4. 제 1항에 있어서,
    비반응성의 불활성 필러는 분말산화알루미늄 또는 분말석영을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20∼65 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5. 제 1항에 있어서,
    착색용 피그먼트는 착색된 금속산화물 분말을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 혼합 수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5∼20 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6. 제 1 내지 제 5항의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를 롤러 또는 스프레이로 1회 또는 2회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막을 지촉건조한 후 800∼1100℃의 가스버너 불꽃에 도막의 온도를 400∼450℃로 유지하면서 1초∼180초 이내의 열처리를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장식적 내마모성 표면도막 형성방법.
KR1020000018335A 2000-04-07 2000-04-07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 KR10034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335A KR100344004B1 (ko) 2000-04-07 2000-04-07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335A KR100344004B1 (ko) 2000-04-07 2000-04-07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978A KR20010089978A (ko) 2001-10-17
KR100344004B1 true KR100344004B1 (ko) 2002-07-20

Family

ID=1966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335A KR100344004B1 (ko) 2000-04-07 2000-04-07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883B1 (ko) 2022-11-09 2022-12-08 윌테크놀러지(주) 니들 팁의 길이조절을 위한 가변형 스페이서를 갖는 니들블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255A (ko) * 2002-01-11 2003-07-18 홍순희 발열성 장판용 비니쉬 첨가제 조성물
KR100551469B1 (ko) * 2002-05-23 2006-02-14 (주) 금영 높은 침투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기능 개선제의 제조 방법
KR101347725B1 (ko) * 2012-03-20 2014-01-06 (주)디오 하이브리드 변성 실리케이트 바인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60A (en) * 1979-07-20 1981-02-17 Mazda Motor Corp Coating agent for corrosion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JPS57133169A (en) * 1981-02-10 1982-08-17 Fujii Minoru Composition for fireproof coating compound
KR910006387B1 (ko) * 1988-12-30 1991-08-21 고려화학주식회사 무기질계 피복조성물
JPH0460054A (ja) * 1990-06-26 1992-02-26 Kikusui Kagaku Kogyo Kk 石綿被覆層の封じ込めおよび化粧仕上げ用材料
JPH06271370A (ja) * 1993-03-19 1994-09-27 T T Shii:Kk 低温度硬化性セラミック・有機高分子複合塗膜の形成方法
KR20000045052A (ko) * 1998-12-30 2000-07-15 김충세 내화도료 피막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60A (en) * 1979-07-20 1981-02-17 Mazda Motor Corp Coating agent for corrosion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JPS57133169A (en) * 1981-02-10 1982-08-17 Fujii Minoru Composition for fireproof coating compound
KR910006387B1 (ko) * 1988-12-30 1991-08-21 고려화학주식회사 무기질계 피복조성물
JPH0460054A (ja) * 1990-06-26 1992-02-26 Kikusui Kagaku Kogyo Kk 石綿被覆層の封じ込めおよび化粧仕上げ用材料
JPH06271370A (ja) * 1993-03-19 1994-09-27 T T Shii:Kk 低温度硬化性セラミック・有機高分子複合塗膜の形成方法
KR20000045052A (ko) * 1998-12-30 2000-07-15 김충세 내화도료 피막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883B1 (ko) 2022-11-09 2022-12-08 윌테크놀러지(주) 니들 팁의 길이조절을 위한 가변형 스페이서를 갖는 니들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978A (ko) 200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7888A (en) Inorganic coating compositions with alkali silicate
JPS6234347B2 (ko)
KR100344004B1 (ko) 규산염계 일액형 도막재 및 도막 형성방법
JPS62278280A (ja) 無機質塗料組成物
US2683096A (en) Coated fibro-cement product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2866923B2 (ja) 透明ガラス質形成組成物及びコーテイング膜形成方法
JPS63130676A (ja) 二液型エポキシ塗料組成物
KR102415929B1 (ko) 강교량 보호도막용 친환경 에폭시 수용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교량 도장방법
JPS631973B2 (ko)
JPH11279439A (ja) 珪酸ナトリウムを配合した表面塗膜材
CN107841163A (zh) 一种耐水性无机富锌涂料及其制备工艺
JPH0149680B2 (ko)
JPS60163978A (ja) 防錆塗料
JPS6251223B2 (ko)
US3329641A (en) Patching composition containing polyvinyl and epoxy resins with hydraulic cement
US1612506A (en) Fire-retardant paint
JPH03170357A (ja) 無機被覆用組成物
KR20230033992A (ko) 미스트 스프레이 방수코팅 투명 조성물,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방법
JPS59102850A (ja) 無機質塗料組成物
US595066A (en) Tiengesellsciiaft
CN112063217A (zh) 一种防霉石膏腻子粉及其施工方法
JPS6096660A (ja) 高膜厚型塗料組成物
JPS608260B2 (ja) 化粧仕上げ用被覆用組成物
JPS6381175A (ja) 防水被覆剤
US1205845A (en) Enamel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