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536B1 - 연속 전단변형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전단변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536B1
KR100343536B1 KR1020000024221A KR20000024221A KR100343536B1 KR 100343536 B1 KR100343536 B1 KR 100343536B1 KR 1020000024221 A KR1020000024221 A KR 1020000024221A KR 20000024221 A KR20000024221 A KR 20000024221A KR 100343536 B1 KR100343536 B1 KR 10034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ear deformation
rotary guide
continuous
continuous sh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208A (ko
Inventor
이재철
석현광
박종우
정영훈
이호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2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536B1/ko
Priority to US09/638,761 priority patent/US6370930B1/en
Publication of KR2001010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05Continuous extrusion starting from solid st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01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to improve the material properties, e.g. lateral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전단변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금형로의 굴곡부에서 소재하부와의 틈이 발생하여 소재의 전단변형량이 불균일하고 불충분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재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부터 금형로로 들어가는 위치에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상기 금형로의 입구가 협력하여 굴곡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굴곡부를 제외한 금형로 부분에서의 마찰을 감소시켜 작은 힘으로 효과적으로 전단변형을 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은 전단변형된 소재를 연속적이고 효과적으로 대량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전단변형장치{CONTINUOUS SHEAR DEFORMATION DEVICE}
본 발명은 연속 전단변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재의 전단변형량을 소재 상하부에 걸쳐 균일하게 하는 한편 전단변형량을 증가시키고 고속으로 전단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적합한 연속 전단변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단변형 가공법(Shear Deformation Process)은 굴곡부가 형성된 금형로를 갖는 전단변형용 금형내로 소재를 통과시켜 상기 굴곡부에서 소재의 전단변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에 의해서 전단변형된 소재를 얻는 가공법을 말하는데, 이 가공법은 소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특정 방위를 갖는 집합 조직을 형성시켜 고강도 고성형성 소재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전단변형 가공법에는 등통로 각압출법(Equal Channel Angular Pressing, ECAP), 등통로 각인발법(Equal Channel Angular Drawing, ECAD) 그리고연속 전단변형법(Continuous ECAP Proecss) 등이 있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는 각각 이들 전단변형 가공법을 행하는 전단변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단변형 장치는 점선으로 둘러싸서 표시한 굴곡부가 있는 금형로(3,8,14)를 구비하는 금형(1,2,6,7,1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동일하며 금형로(3,8,14)로 소재(5,9)를 통과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수단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들 전단변형 가공법 중에서, 펀치(4)로 소재(5)를 밀어내는 도 1a 에 나타내어진 등통로 각압출법의 경우에는 제한된 길이의 전단변형 소재만을 얻을 수 있고, 한 번 소재를 밀어낸 다음에는 금형(1,2)으로부터 펀치(4)를 빼낸 다음에야 그 다음 소재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단변형된 소재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도 1b에 나타내어진 등통로 각인발법의 경우에는 전단변형된 소재의 연속적인 생산이 가능하기는 하나 전단변형의 효과가 적어 실용화에는 문제점이 있어. 적절한 전단변형량을 가진 소재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하는데는 등통로 각압출법을 연속적으로 행하기 위해 펀치(4)대신 회전식 안내공급장치(10,11,15,16)를 사용하는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속 전단변형장치가 적합하다.
그러나 도 2a, 도 2b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종래의 연속 전단변형장치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연속 전단변형장치의 경우에는 소재(9)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의 회전롤(10,11)이 접하는 마찰면이 작아 소재(9)를 효과적으로금형(6,7) 내로 밀어넣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금형(6,7)내 금형로(8)의 일부인 굴곡부에서 소재(9)를 전단변형하기 위한 힘과 소재(9)와 금형(6,7)간의 접촉부에서의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한 힘이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10,11)에 의해 소재에 가해져야 하는데, 도 2a에 도시된 장치의 경우에는 소재(9)와 회전롤(10,11)간의 마찰면이 작아서 회전식 안내공급장치(10,11)로부터 소재 진행방향으로 효과적인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9)와 회전롤(15) 간의 마찰면이 증가되도록 구성된 연속 전단변형장치의 경우에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부터 소재 진행방향으로의 효과적인 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회전식 안내공급장치 및 소재와 동시에 접하는 접촉부(A)를 가공하기가 어렵고 이 접촉부(A)에서 소재(9)와의 틈이 생기면 소재의 굽힘(buckling)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종래의 연속 전단변형장치는 금형의 굴곡부에서 소재가 하부 금형과 밀착되지 못하여 소재하부의 전단변형량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 은 전산모사(simulation)기법에 의해 금형 굴곡부에서 소재의 변형 양상을 계산한 것으로 화살표로 지시하는 부분인 금형 굴곡부에서 판재는 금형면에 완전히 접촉하지 못하고 유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재하부의 전단변형량이 다른 부분에 비해 충분하지 못하게 될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명자들이 행한 실제의 실험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즉, 도 4a에서 소재의 전단변형 전에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표시하였던 눈금이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통과한 후에는도 4b와 같이 나타났고 이는 소재 하부의 전단변형량이 다른 부분 보다 작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전단변형장치들에서는 동일한 상하폭을 갖는 금형로(3,8,14)의 중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실제로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위치인 굴곡부를 제외한 금형로에서의 마찰에 의해 소재의 이동이 방해 받으므로 굴곡부에서의 전단변형에 소요되는 힘에 더하여 상기 마찰력을 이기기 위해 상당한 힘을 추가적으로 소재에 가해야 함에 따라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형로에서 가장 심한 마찰력을 받게 되는 부분인 굴곡부 부근의 마모가 기타 부분보다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금형의 수명이 길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하에 그의 해결을 위해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금형 제작의 곤란함이 없이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부터 소재 진행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소재의 전단변형을 원활히 행할 수 있게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로의 초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재의 굽힘현상의 우려가 없는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가 전단변형되는 금형로의 굴곡부에서 소재하부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여 소재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충분한 전단변형량을 얻을수 있게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로의 굴곡부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소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킴에 따라 작은 힘으로 소재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긴 금형 수명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소재, 특히 박판재로부터 후육재까지의 다양한 두께의 소재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 연속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단속적인 등통로 각압출법이 행해지는 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등통로 각인발법을 행해지는 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보인 개략도로서, 도 2b 는 소재와 회전롤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도 2a의 구성으로부터 개량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전산모사(simulation)기법으로 보인 금형 굴곡부에서의 소재의 변형양상이다.
도 4a와 도 4b는 종래의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사용하여 전단변형을 한 때에 소재 측부에 새긴 눈금이 변하는 양상을 보이는 사진으로서, 도 4a는 변형전을 그리고 도 4b는 변형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보인 개략도로서, 도 5a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 한 쌍의 회전롤을 사용한 것을 나타내고 도 5b는 단일의 회전롤을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도 6 은 도 5a 및 도 5b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인 굴곡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보인 개략도로서, 두개의 굴곡부가 형성된 금형을 보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보인 개략도로서, 굴곡부를 지나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서부터의 금형로의 상하폭이 확대되어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사용하여 소재를 전단변형시키는 경우에 소재의 측면에 새긴 눈금이 변형된 양상을 보이는 사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재가 통과되는 금형로를 구비한 금형과, 상기 금형로로 소재를 연속적으로 안내공급하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소재가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부터 금형로로 들어가는 위치에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상기 금형로의 입구가 협력하여 굴곡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는 소재와 접촉하는 회전롤이나 소재와 접촉하는 벨트를 회전시켜 소재를 이동시키는 벨트전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로는 다수의 다면체블록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루프, 체인형상의 내측을 갖는 벨트등 다양한 형태의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는 상기한 회전롤, 벨트전동장치등을 상호 조합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데 일측에는 다수의 회전롤을 그리고 타측에는 벨트전동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벨트전동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다양한 형태의 벨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소재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의 마찰을 강화하기 위하여,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의 소재와 접촉하는 표면 즉, 회전롤의 표면이나 벨트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별도의 고 마찰계수 물질을 사용하여 피복하거나, 기계적 가공에 의해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마찰계수가 큰 재료로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에서 소재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에는 전단변형을 위해 금형을 통과하는 동안 소재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재의 측부를 안내 지지하는 측면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 가이드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금형중 일방에 혹은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금형은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소재를 처리 가공하는 연속 공정 중의 한 공정으로서의 전단변형을 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속 처리 장비의 한 부분으로 설치되어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단 가공하고자 하는 소재를 원하는 온도로 만든 다음 전단변형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소재를 가열하는 장치에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주조 또는 압연된 소재를 바로 전단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속 주조장치 또는 압연장치 등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속 전단변형장치로부터 나온 소재를 냉각하거나, 절단하거나, 평탄하게 하거나, 권취하는 장치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재의 두께는 통과한 후의 소재의 두께에 비하여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들간의 간격이 점차 작아지는 일련의 회전롤 쌍들을 사용하여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대, 이러한 경우, 소재는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회전식 안내공급장치가 형성하는 점차 작아지는 상하폭의 소재 공급로의 틈새간격에 대응하여 압연 가공됨으로써, 예컨대, 0.5mm이하의 박판재로부터 후육재까지, 소재의 두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두께의 소재에 호환성 있는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굴곡부의 각도에 따라 소재의 전단 변형량이 조절되는 것은 당연할 것인데, 그에 더하여 상기 금형의 금형로에는, 금형로를 통과하면서 소재가 2 회 이상 전단변형을 받을 수 있도록, 입구에서의 굴곡부 외에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금형 굴곡부 부근은 가장 마찰이 심한 부분인 바, 그 부분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굴곡부 부근을 초경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초경재를 굴곡부 부근에 코팅하거나 굴곡부 부근을 전체적으로 초경재로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에서 소재의 전단변형시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 부분인 굴곡부를 포함한 일부분을 교체가능한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금형과 소재의 마찰을 줄여 소재의 진행방향으로 가해주어야 하는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마찰력의 감소라는 효과를 꾀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금형의 금형로는 소재진행방향으로 굴곡부를 지나 일정한 거리 떨어진 지점을 기준으로 그 전의 금형로의 상하폭보다 그 후의 금형로의 상하폭이 크도록 형성되어 소재와 금형로가 불필요하게 마찰되는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굴곡부를 전후한 금형로의 상하폭은 동일한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전단되기 전과 전단된 후의 소재 두께가 상이하도록 하기 위해 굴곡부를 전후한 금형로의 상하폭이 서로 다르게 금형을 설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와 도 5b 는 각각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서 두개의 회전롤(103) 또는 단일의 회전롤(103)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본 발명은 소재(104)가 통과되는 금형로(102)를 구비한 금형(100,100',101)과, 상기 금형로(102)로 소재를 연속적으로 안내공급하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금형내부에서가 아니라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부터 금형로(102)로 들어가는 위치에서 소재의 전단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상기 금형로(102)의 입구가 협력하여 굴곡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로(8,14)의 중간부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었던 종래의 연속 전단변형장치와 달리, 금형(101)과 회전식 안내공급장치(103)가 만나는 위치에서 금형로(102)의 입구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103)가 협력하여 굴곡부를 구성하는 바, 이에 따라 도 2a, 도 2b 에서 각각 B, B' 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마찰부, 즉, 굴곡부에 도달하기 전의 금형로(8,14)와 소재(9)간의 마찰부가 없어 소재를 보다 적은 힘으로 굴곡부까지 이송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연속 전단변형장치에서의 문제점인 금형 제작의 어려움이 없고, 굴곡부까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가 소재를 밀착하여 전달하므로 종래에 굴곡부 전의 금형로에서 소재와 금형로가 밀착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굽힘(buckling)현상도 방지할 수 있고, 소재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가 충분한 접촉면을 가지므로 작은 힘으로 효과적으로 소재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재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이탈하는 지점에 굴곡부가 형성됨에 따라 회전롤(103) 또는 벨트가 소재(104)를 아래로 누르는 힘이 굴곡부에서 전단변형이 시작되기까지 소재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 의 전산모사에서 예측되었고 도 4a, 도 4b 의 실제실험에서 확인되었던 문제점 즉, 소재 하부와 굴곡부가 밀착되지 못하여 전단변형이 불충분하고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사용한 전단변형시 소재 측면에 표시한 수직 눈금의 변형 양상을 보인 사진인 도 9 에서 확인된다.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는, 도 5a 및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와 접촉하는 회전롤(103)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미도시 되었으나 소재와 접촉하는 벨트를 회전시켜 소재를 이동시키는 벨트전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로는 다수의 다면체블록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루프, 체인형상의 내측을 갖는 벨트등 다양한 형태의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는 상기한 회전롤, 벨트전동장치등을 상호 조합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데 일측에는 다수의 회전롤을 그리고 타측에는 벨트전동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벨트전동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다양한 형태의 벨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소재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의 마찰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 에서의 점선으로 표시된 굴곡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의 소재와 접촉하는 표면 즉, 회전롤(103)의 표면이나 벨트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요철은 별도의 고 마찰계수 물질을 사용하여 피복하거나, 기계적 가공에 의해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하여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마찰계수가 큰 재료로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에서 소재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 전체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소재가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금형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동안에 좌우로 이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이를 저지할 필요가 있는 바, 소재의 측부와 접촉하여 소재를 안내하면서 지지하는 측면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 가이드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에만 설치되거나 혹은 금형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금형 모두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고, 소재의 측부와 접촉하는 판형으로 양측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는 다른 장치와 관련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겠으나,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소재를 처리 가공하는 연속 공정 중의 한 공정으로서의 전단변형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속 처리 장비의 한 부분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원하는 온도로 소재를 가열한 다음 전단변형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소재를 가열하는 장치에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주조 또는 압연된 소재를 주조 또는 압연에 곧바로 이어서 전단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속 주조장치 또는 압연장치에 회전식 전단변형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속 전단변형장치로부터 나온 소재를 냉각하거나, 절단하거나, 평탄하게 하거나, 권취하는 장치등을 연속 전단변형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통과하기 전후의 소재의 두께는 동일한 것이 보통이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통과한 후의 소재의 두께가 통과하기 전의 소재의 두께에 비하여 얇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별도의 압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롤들간의 간격이 점차 작아지는 일련의 회전롤 쌍들을 사용하여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대, 이러한 경우, 소재는 별도의 압연장치에 의하지 않고서도 회전식 안내공급장치가 형성하는 점차 작아지는 상하폭의 소재 공급로의 틈새간격에 대응하여 압연 가공됨으로써, 예컨대,0.5mm이하의 박판재로부터 후육재까지, 소재의 두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두께의 소재에 호환성 있는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굴곡부의 각도에 따라 소재의 전단변형량이 조절될 수 있는데 각도가 크면 더욱 큰 양의 전단변형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단변형량을 보다 크게 하기 위하여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로를 통과하면서 소재가 2 회 이상 전단변형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금형의 금형로에는 입구에서의 굴곡부 외에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재의 전단변형량을 크게 하여 위해서는, 본 발명의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한번 통과한 소재를 원하는 회수만큼 다시 통과시키면서 전단변형시키거나, 혹은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원하는 개수 만큼 연속하여 설치한 다음 소재가 그 장치들을 통과하면서 전단변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소재의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금형 굴곡부 부근은 소재와 금형로간의 마찰이 가장 심한 부분이어서 금형의 마모가 가장 급속히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그 부분의 마모를 경감하는 것이 금형 전체의 수명 연장에 중요하므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굴곡부 부근을 초경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초경재를 굴곡부 근방에 코팅하거나 굴곡부 근방을 전체적으로 초경재로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에서 소재의 전단변형시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 부분인 굴곡부를 포함한 일부분을 금형의 다른 부분과 분리하여 단독으로 교체가능한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가 소재의 진행방향으로 가해주어야 하는 힘인 압입력은 굴곡부 근방에서의 전단변형을 위한 힘과 기타 부분에서의 소재와 금형로간의 마찰력에 대응하므로, 작은 압입력으로 전단변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굴곡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소재와 금형로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속 전단변형장치에는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 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마찰력의 감소라는 효과를 꾀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의 금형로는 소재의 진행방향으로 굴곡부를 지나 일정한 거리 떨어진 지점을 기준으로 그 전의 금형로의 상하폭보다 그 후의 금형로의 상하폭이 크도록 형성되어 소재와 금형로가 불필요하게 마찰되는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굴곡부를 전후한 소재의 두께가 동일하도록 금형로의 상하폭이 굴곡부 전후로 동일한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전단되기 전과 전단된 후의 소재 두께가 상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를 전후한 금형로의 상하폭이 서로 다르게 금형을 설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는 굴곡부를 지나면서 상하폭이 줄어든 경우를 보이고 있으나 그 반대의 경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전단변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금형 제작의 어려움이 없이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소재간의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소재의 진행방향으로 효과적인 힘의 전달이 가능하여 소재의 전단변형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로의 초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재의 굽힘 현상의 우려가 없으며,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굴곡부에서 소재하부와 굴곡부 간의 접촉이 강화되어 소재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충분한 전단변형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굴곡부를 제외한 금형로에서의 소재와 금형로간의 마찰을 감소시킴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소재를 효과적으로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금형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박판재로부터 후육재까지의 다양한 두께의 소재에 대응하여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소재가 통과되는 금형로를 구비한 금형과, 상기 금형로로 소재를 연속적으로 안내공급하는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소재가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로부터 금형로로 들어가는 위치에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도록,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상기 금형로의 입구가 협력하여 굴곡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는 소재와 접촉하는 회전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는 소재와 접촉하는 벨트를 회전시켜 소재를 이동시키는 벨트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다수의 다면체블록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재와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의 마찰을 강화하기 위하여,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의 소재와 접촉하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재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소재의 측부를 안내 지지하는 측면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와 금형은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소재를 처리 가공하는 연속 공정 중의 한 공정으로서의 전단변형을 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속 처리 장비의 한 부분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안내공급장치는 금형으로 공급되는 소재의 두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금형 내로 압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연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금형로에는, 금형로를 통과하면서 소재가 2 회 이상 전단변형을 받을 수 있도록, 입구에서의 굴곡부 외에 하나 이상의 굴곡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단변형이 일어나는 금형 굴곡부 부근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굴곡부 부근이 초경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서 소재의 전단변형시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 부분인 굴곡부를 포함한 일부분을 교체가능한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과 소재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금형로는 소재진행방향으로 굴곡부를 지나 일정한 거리 떨어진 지점을 기준으로 그 전의 금형로의 상하폭보다 그 후의 금형로의 상하폭이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금형로는 굴곡부를 전후하여 금형로의 상하폭이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전단변형장치.
KR1020000024221A 2000-05-06 2000-05-06 연속 전단변형장치 KR100343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221A KR100343536B1 (ko) 2000-05-06 2000-05-06 연속 전단변형장치
US09/638,761 US6370930B1 (en) 2000-05-06 2000-08-15 Continuous shear deform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221A KR100343536B1 (ko) 2000-05-06 2000-05-06 연속 전단변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208A KR20010103208A (ko) 2001-11-23
KR100343536B1 true KR100343536B1 (ko) 2002-07-20

Family

ID=1966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221A KR100343536B1 (ko) 2000-05-06 2000-05-06 연속 전단변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70930B1 (ko)
KR (1) KR100343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153B1 (ko) * 2011-11-29 2013-07-23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 신선 장치
KR101406446B1 (ko) 2012-09-06 2014-06-13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290B1 (ko) * 2000-01-28 2002-07-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속 전단변형장치
ES2224787B1 (es) * 2002-05-13 2006-02-01 Universidad Publica De Navarra Procesado continuo de materiales metalicos mediante deformacion plastica en canal poliangular.
US6895795B1 (en) * 2002-06-26 2005-05-24 General Dynamics Ots (Garland), L.P. Continuous severe plastic deformation process for metallic materials
US6912885B2 (en) * 2002-12-30 2005-07-05 The Boeing Company Method of preparing ultra-fine grain metallic articles and metallic articles prepared thereby
ES2229882B1 (es) * 2003-02-21 2006-03-01 Universidad Publica De Navarra Proceso para el estirado de materiales metalicos en canal poliangular.
KR101125674B1 (ko) * 2003-07-22 2012-03-27 유겐가이샤 리나시메타리 통형 금속의 성형 방법, 통형 금속의 성형기 및 통형 금속 성형체
KR100508645B1 (ko) * 2003-11-11 2005-08-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균일 전단 변형 장치 및 전단 변형 방법
GB2409997B (en) * 2004-01-06 2007-09-19 Yan Huang Microstructure refinement by continuous frictional extrusion
US20060213592A1 (en) * 2004-06-29 2006-09-28 Postech Foundation Nanocrystalline titanium allo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07106B1 (ko) * 2004-11-29 2006-08-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재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연속 전단가공 장치
US7152448B2 (en) * 2004-12-16 2006-12-26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Continuous equal channel angular pressing
US20070138236A1 (en) * 2005-12-20 2007-06-21 The Boeing Company Friction stir welded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KR101253805B1 (ko) * 2008-12-26 2013-04-12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 신선용 다이스
BR112014000529A2 (pt) * 2011-07-11 2017-02-21 Cecap Pty Ltd aparelho para produzir deformação por cisalhamento em uma peça de trabalho; e método para processar metais
RU2492950C1 (ru) * 2012-03-27 2013-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х проблем Севера имени В.П. Ларионова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равноканального углового прессования заготовки
CN103042034A (zh) * 2012-12-29 2013-04-17 重庆理工大学 多级连续转角剪切变形制备镁合金板材的方法及模具
US20140271336A1 (en) 2013-03-15 2014-09-18 Crs Holdings Inc. Nanostructured Titanium Alloy And Method For Thermomechanically Processing The Same
CN103316937A (zh) * 2013-06-27 2013-09-25 浙江大学 一种连续生产CuCrZr合金导线的设备及生产方法
US9934339B2 (en) * 2014-08-15 2018-04-03 Wichita State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machining and other forming operations
RU188857U1 (ru) * 2018-10-18 2019-04-25 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Клюк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форм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ов
CN110860559A (zh) * 2019-11-25 2020-03-06 重庆理工大学 一种改变镁合金板材织构的装置
CN115090708A (zh) * 2022-06-30 2022-09-23 重庆科技学院 一种镁合金板材及在线复合变形制备镁合金板材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4587A (en) * 1974-05-07 1977-08-30 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Forming of materials by extrusion
US4300379A (en) * 1975-06-27 1981-11-17 Nichols-Homeshield, Inc. Method of producing a coating on a core
US4362485A (en) * 1980-06-10 1982-12-07 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Apparatus for continuous extrusion
JPS5832514A (ja) * 1981-08-20 1983-02-25 Sumitomo Electric Ind Ltd 金属の連続押出方法
US4823586A (en) * 1987-12-31 1989-04-25 Southwire Company Conform product thermomechanical treatment
JPH01241321A (ja) * 1988-03-23 1989-09-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複合線および管の連続押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153B1 (ko) * 2011-11-29 2013-07-23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 신선 장치
KR101406446B1 (ko) 2012-09-06 2014-06-13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0930B1 (en) 2002-04-16
KR20010103208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536B1 (ko) 연속 전단변형장치
US6571593B1 (en) Continuous shear deformation device
KR100778763B1 (ko) 한 개의 공전롤을 갖는 인발형 연속 전단변형장치
JP2008030090A (ja) 形鋼の曲がり矯正方法および形鋼用矯正装置
KR101727992B1 (ko) 인발유닛 및 그를 이용한 인발 장치 및 방법
KR100341828B1 (ko) 표면 박피가 가능한 전단변형장치
JP2007518570A (ja) 揺動成形ロールを備える曲げ加工装置
US88072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casting of a metal band
JP4923597B2 (ja) 円筒状軸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金型
KR20020023856A (ko) 이형 선재의 교정 및 절단장치
KR20050092433A (ko) 연속 주조 강 슬래브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430065B1 (ko) 박판 주조와 연속 전단 변형에 의한 박판 제조장치
KR101957805B1 (ko) 금속판재의 연속 전단변형장치
EP0157575B1 (en) Method for reduction in width of slabs by pressing and press for the same
JP4712149B2 (ja) ストリップを変形する方法および設備
JPH0824922B2 (ja) プレス式スラブ幅減少方法、及びその装置
JP7236742B2 (ja) 片側異形線材の製造方法
KR101242890B1 (ko) 후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 제조 방법
US201401376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hear deformation
CN202398625U (zh) 一种稳定轧制的控制装置
KR200186267Y1 (ko) 이형재 스트립의 제조장치
CN102896157A (zh) 一种稳定轧制的控制装置
JP2009195987A (ja) 円筒軸の製造方法
JP2001219202A (ja) 熱間幅圧下プレスにおけるプレス方法
JPH01531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