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917B1 -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17B1
KR100341917B1 KR1020000068162A KR20000068162A KR100341917B1 KR 100341917 B1 KR100341917 B1 KR 100341917B1 KR 1020000068162 A KR1020000068162 A KR 1020000068162A KR 20000068162 A KR20000068162 A KR 20000068162A KR 100341917 B1 KR100341917 B1 KR 10034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cleaner
contact portion
fixing bol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109A (ko
Inventor
조청용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6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9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9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comprising flexible, resilient, movable or rotatable elements, e.g. with vibrating or contracting movements; Springs; Valves;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1/00Sealing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1/02Gaskets, sealings
    • B01D2271/022Axial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1)의 상부면에 커버(2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1)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11)와 접촉부(21)에 중심이 동일하게 각각 형성된 체결공(11a)과 관통공(21a)에는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저면과 접촉부(21)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가 관통되게 삽입되며, 상기 접촉부(21)의 상부면과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사이에는 탄지스프링(40)이 설치되고, 상기 탄지스프링(40)이 상부면에 설치된 접촉부(21)의 관통공(21a)은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 상부로 탄지스프링(40)을 압축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탄지스프링(40)을 상부는 외경이 크고 하부는 외경이 작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차량을 운행중 엔진에서 역화가 발생하여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와 커버(20)가 조립되어 형성된 수납부(50)로 폭발압력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커버(2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수납부(50)로 유입된 폭발압력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와 커버(20)의 접촉부(21)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 배출되고, 상기 폭발압력이 배출된 후에는 탄지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볼트(30)의 가이드부(33)를 따라 관통공(21a)이 안내되면서 접촉부(21)가 하부로 이동되어 지지부(11)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상부에 커버(20)가 기밀을 유지하며 조립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역화시 발생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와 커버(20) 및 에어크리너(60)는 물론, 탄지스프링(40)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ASSEMBLY IMPROVEMENT OF AIR FILTER CASE HOUSING AND COVER}
본 발명은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수납부에 설치된 에어크리너가 역화발생시 발생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엔진과 에어덕트 사이에는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 결합되어 형성된 수납부에 에어크리너를 설치하여, 상기 에어덕트를 통해 수납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에어크리너에 의해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1)의 상부면에 커버(2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1)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11)와 접촉부(21)에 중심 및 내경이 동일하게 각각 형성된 체결공(11a)과 관통공(21a)에는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가 관통되게 삽입되며 체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는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a)과 커버(20)의 접촉부(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1a)과 관통공(21a)에 고정볼트(30)의 체결부가 관통되게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상부에 커버(20)가 에어크리너(60)가 설치되는 수납부(50)를 형성하며 고정되게 결합 됨으로서, 상기 수납부(5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는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에 형성된 체결공(11a)과 커버(20)의 접촉부(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1a)과 관통공(21a)에 고정볼트(30)가 관통되게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에 커버(20)가 고정되게 결합 됨으로서, 차량을 운행중 엔진(미도시)에서 역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역화에 의해 발생된 폭발압력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와 커버(20)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50)로 그대로 유입되고, 상기 수납부(50)로 유입된 폭발압력에 의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 및 커버(20)가 변형 및 파손됨은 물론, 수납부(50)에 설치된 에어크리너(60)도 동시에 변형 및 파손되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나 커버(20) 및 에어크리너(60)가 역화에 의한 폭발압력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는 엔진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그대로 유입 됨으로서, 상기 공기에 함유된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엔진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저면과 접촉부(21)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체결부(32)의 하단부를 지지부(11)의 체결공(11a)에 고정되게 체결하고, 상기 접촉부(21)의 상부면과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사이에는 탄지스프링(40)을 설치하며, 상기 탄지스프링(40)이 상부면에 설치된 접촉부(21)의 관통공(21a)에는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 상부로 탄지스프링(40)을 압축하며 이동되도록 설치하여, 차량을 운행중 엔진에서 역화가 발생하여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와 커버(20)가 조립되어 형성된 수납부(50)로 엔진에서 발생된 폭발압력이 유입되면, 상기 수납부(50)로 유입된 폭발압력에 의해 관통공(21a)이 고정볼트(30)의 가이드부(33)를 따라 안내되면서 커버(20)의 접촉부(21)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21)가 상부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와 커버(20)의 접촉부(21)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는 역화시 발생된 폭발압력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와 커버(20)의 접촉부(21)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 역화시 발생된 폭발압력이 배출된 후에는 탄지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볼트(30)의 가이드부(33)를 따라 관통공(21a)이 안내되면서 접촉부(21)가 하부로 이동되어 지지부(11)의 상부면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역화발생시 발생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커버(20)가 상부로 이동시 탄지스프링(40)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탄성한깨를 넘어 소성변형되는 것에 의해 탄지스프링(40) 스프링의 역할을 상실하게 됨은 물론, 상기 탄지스프링(40)의 스프링력이 상실되는 것에 의해 커버(20)의 접촉부(21)가 케이스(10)의 지지부(11) 상부면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커버의 접촉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지스프링을 상부는 외경이 크고 하부는 외경이 작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차량을 운행중 엔진에서 역화가 발생하여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가 조립되어 형성된 수납부로 폭발압력이 유입되면, 커버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납부로 유입된 폭발압력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의 지지부와 커버의 접촉부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 배출되고, 상기 폭발압력이 배출된 후에는 탄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볼트의 가이드부를 따라 관통공이 안내되면서 접촉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지지부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의 상부에 커버가 기밀을 유지하며 조립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역화시 발생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 및 에어크리너는 물론, 탄지스프링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가 조립된 상태에서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1 : 지지부
11a: 체결공 20 : 커버
21 : 접촉부 21a: 관통공
30 : 고정볼트 31 : 머리부
32 : 체결부 33 : 가이드부
34 : 지지판 40 : 탄지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도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1)의 상부면에 커버(2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1)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11)와 접촉부(21)에 중심이 동일하게 각각 형성된 체결공(11a)과 관통공(21a)에는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저면과 접촉부(21)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가 관통되게 삽입되며, 상기 접촉부(21)의 상부면과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사이에는 탄지스프링(40)이 설치되고, 상기 탄지스프링(40)이 상부면에 설치된 접촉부(21)의 관통공(21a)은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 상부로 탄지스프링(40)을 압축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탄지스프링(40)을 상부는 외경이 크고 하부는 외경이 작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30)는 머리부(31)의 저면에 탄지스프링(40)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판(34)을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34)과 지지부(11)의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체결부(32) 사이에는 접촉부(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삽입되어 커버(20)가 승하강시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3)가 형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엔진에서 역화가 발생하여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와 커버(20)가 조립되어 형성된 수납부(50)로 엔진에서 발생된 폭발압력이 유입되면, 상기 수납부(50)로 유입된 폭발압력에 의해 관통공(21a)이 고정볼트(30)의 가이드부(33)를 따라 안내되면서 커버(20)의 접촉부(21)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21)가 상부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와 커버(20)의 접촉부(21)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는 역화시 발생된 폭발압력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와 커버(20)의 접촉부(21)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 역화시 발생된 폭발압력이 배출된 후에는 테이퍼지게 형성된 탄지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볼트(30)의 가이드부(33)를 따라 관통공(21a)이 안내되면서 접촉부(21)가 하부로 이동되어 지지부(11)의 상부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엔진에서 역화가 발생하여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와 커버(20)가 조립되어 형성된 수납부(50)로 폭발압력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커버(2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수납부(50)로 유입된 폭발압력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지지부(11)와 커버(20)의 접촉부(21)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 배출되고, 상기 폭발압력이 배출된 후에는 탄지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볼트(30)의 가이드부(33)를 따라 관통공(21a)이 안내되면서 접촉부(21)가 하부로 이동되어 지지부(11)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상부에 커버(20)가 기밀을 유지하며 조립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역화시 발생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와 커버(20) 및 에어크리너(60)는 물론, 탄지스프링(40)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볼트의 머리부와 커버의 접촉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지스프링을 상부는 외경이 크고 하부는 외경이 작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차량을 운행중 엔진에서 역화가 발생하여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가 조립되어 형성된 수납부로 폭발압력이 유입되면, 커버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납부로 유입된 폭발압력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의 지지부와 커버의 접촉부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 배출되고, 상기 폭발압력이 배출된 후에는 탄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볼트의 가이드부를 따라 관통공이 안내되면서 접촉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지지부의 상부면과 접하면서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의 상부에 커버가 기밀을 유지하며 조립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역화시 발생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 및 에어크리너는 물론, 탄지스프링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1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1)의 상부면에 커버(2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1)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11)와 접촉부(21)에 중심이 동일하게 각각 형성된 체결공(11a)과 관통공(21a)에는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저면과 접촉부(21)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가 관통되게 삽입되며, 상기 접촉부(21)의 상부면과 고정볼트(30)의 머리부(31)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사이에는 탄지스프링(40)이 설치되고, 상기 탄지스프링(40)이 상부면에 설치된 접촉부(21)의 관통공(21a)은 고정볼트(30)의 체결부(32) 상부로 탄지스프링(40)을 압축하며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탄지스프링(40)을 상부는 외경이 크고 하부는 외경이 작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30)는 머리부(31)의 저면에 탄지스프링(40)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판(34)을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34)과 지지부(11)의 체결공(11a)에 체결되는 체결부(32) 사이에는 접촉부(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삽입되어 커버(20)가 승하강시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KR1020000068162A 2000-11-16 2000-11-16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KR10034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62A KR100341917B1 (ko) 2000-11-16 2000-11-16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62A KR100341917B1 (ko) 2000-11-16 2000-11-16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09A KR20020038109A (ko) 2002-05-23
KR100341917B1 true KR100341917B1 (ko) 2002-06-26

Family

ID=1969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162A KR100341917B1 (ko) 2000-11-16 2000-11-16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9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7162B2 (en) 2010-09-28 2013-02-19 Hyundai Motor Company Air cleaner for vehicle
KR20180100917A (ko) 2017-03-03 2018-09-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일 주행 장치에의 전력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760A (ko) * 2001-05-21 2002-11-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20030049874A (ko) * 2001-12-17 2003-06-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액화석유가스차량의 에어크리너
KR100482951B1 (ko) * 2002-02-01 2005-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역화방지를 위한 에어클리너 체크 밸브
KR100514222B1 (ko) * 2002-05-01 2005-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피지 차량의 에어크리너
KR100528192B1 (ko) * 2002-06-29 2005-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크리너의 클램핑장치
JP4119962B2 (ja) * 2002-09-04 2008-07-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内燃機関用エアクリーナ
US8298308B2 (en) * 2010-03-15 2012-10-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filter assembly
DE102016200568B4 (de) * 2016-01-18 2023-04-20 Mahle International Gmbh Mehrteiliges Gehäuse aus Kunststof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7162B2 (en) 2010-09-28 2013-02-19 Hyundai Motor Company Air cleaner for vehicle
KR20180100917A (ko) 2017-03-03 2018-09-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일 주행 장치에의 전력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09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917B1 (ko)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KR20040077234A (ko)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US6280566B1 (en) Vibration welding apparatus having an easy to assemble jig structure
KR100324921B1 (ko) 에어크리너 수납용 케이스와 커버의 조립구조
KR960010653B1 (ko) 레디얼 베어링을 가진 압축기
KR100514222B1 (ko) 엘피지 차량의 에어크리너
KR100314039B1 (ko) 리니어 압축기의 마모 방지구조
CN206403357U (zh) 可拆卸箱包轮
JP4541648B2 (ja) 流体作動式の打撃機構における内側シールのための保持装置
CN220359480U (zh) 一种电器盒安装结构及吸油烟机
KR200245070Y1 (ko) 잠금장치
CN213841452U (zh) 一种车载冰箱
CN216521880U (zh) 吸油烟机及其接合组件
CN216095456U (zh) 一种五金制品清洗装置
CN219711775U (zh) 一种球笼压帽
CN213606863U (zh) 一种医疗机器人
CN112412564B (zh) 一种发动机及其气门装置
CN216546430U (zh) 一种履带护板装置及作业机械
CN212406869U (zh) 汽车排气筒总成
KR100511989B1 (ko) 덕트형 실내기 모터 지지구조
KR102189752B1 (ko)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먼지 유입 방지 구조
KR200143830Y1 (ko) 에어크리너
KR20220110920A (ko) 유압브레이커용 브라켓의 고정부재 설치구조
KR100760575B1 (ko) 코크스 오븐용 유튜브의 화염분출 방지장치
KR100569347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