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616B1 - 발포체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발포체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616B1
KR100341616B1 KR1019990034429A KR19990034429A KR100341616B1 KR 100341616 B1 KR100341616 B1 KR 100341616B1 KR 1019990034429 A KR1019990034429 A KR 1019990034429A KR 19990034429 A KR19990034429 A KR 19990034429A KR 100341616 B1 KR100341616 B1 KR 10034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mold
blade
perforated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848A (ko
Inventor
이상수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1999003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616B1/ko
Priority to KR2019990024094U priority patent/KR200181066Y1/ko
Publication of KR1999008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체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 운동을 하는 캠(1)과,
상기 캠(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진공압을 저장하는 금형(2)과,
상기 금형(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크기의 구멍으로 잘라내는 칼날(3)과,
상기 금형(2)의 내부에 호스(7)를 연결하여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9)와,
상기 흡입모터(9)에 부착되어 상기 칼날(3)에 의해 제거된 칩을 수집하는 싸이클론(10)과,
타공시키려는 발포제품을 상기 장치로 이송시키는 투입구(4) 및 로울러(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타공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체 타공장치 {The Appratus for punching}
본 발명은 발포체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한 두께(5~50mm)를 갖는 발포체(열 가소성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에 레쟈 또는 원하는 피착물을 부착한 후 발포체의 사양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간격, 다양한 크기, 다양한 모양으로 자동으로 신속 정확하게 원하는 홀을 타공케하고 타공된 홀속의 칩을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가죽, 천 레쟈, 종이, 철판등의 단품만을 타공하여 발포체에 부착 또는 단품만을 제품에 응용하여 사용하여 왔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발포체 또는 피착물이 부착된 발포체를 타공할시는 압축기 밑의 나무에 홀 모양의 나무금형 칼판을 넣고 압축하여 빼낸 다음 홀이 형성된 속의 칩을 손으로 집어내는 작업이 선행되었으며, 또한 홀 크기를 적게 할 경우 (1mm ~ 6mm) 목형에 칼판을 홀 모양으로 제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낱장으로만 작업이 가능하며 제품규격 또한 압축기의 크기에 좌우되며 원통형에 대한 자동펀칭 작업은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천공장치 또한 레쟈, 가죽, 필름, 종이, 천, 철판등 일부 단품만을 타공하는데 불과한 실정이다.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96-12098호는 프린트 기판과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정축 금형과, 이 고정축 금형에 형성된 구멍부를 매개하여 프린트 기판에 미리 형성된 위치결정용 마크를 촬영할 수 있는 촬상수단과,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크중심위치를 검출하는 화상처리 회로와, 프린트 기판을 끼고 고정축 금형과 대향적으로 설치되며 화상처리회로에 의해 검출된 프린트 기판의 마크 중심위치에 구멍을 뚫을 수 있는 원통형상의 펀치를 갖춘 가동축 금형과, 펀치의 중심 금형부에 펀치와 독립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교정부재 및 이 교정부재를 프린트 기판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갖춘 것으로서,
상기의 발명은, 촬영장치 등을 필요로 하며 기계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며,가격이 비싸 소규모 중소기업 또는 영세업자들이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체를 타공할 수가 없기 때문에 방음 적층체를 생산하는업체, 하부 쿠션제를 생산하는 업체, 가방, 베낭을 생산하는 업체업체, 지반 강화를 위한 업체, 카펫트 생산업체 등에서 요구하는 연속 타공된 발포체 생산을 전혀 기대할 수가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은, 비중이 낮은 발포체 또는 비중이 높은 발포체에 (비중 0.1~0.05g/㎤) 피착물(레쟈, 천, 필름, 가죽, 종이)이 부착된 것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타공하고, 타공된 홀속의칩을 자동으로 배출구를 통하여 제거하는 장치로써, 기계구조가 간단하며, 장치가격 또한 저렴한 발포체 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발포체 타공장치의 정면도
(A) 칼날의 단면 확대도
도 2 : 본 발명의 발포체 타공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부호
(1) 캠 (2) 금형 (3) 칼날 (4) 투입구 (5) 종이판
(6) 받침대 (7) 호스 (8) 휠터 (9) 흡입모터 (10) 싸이클론
(11) 로타리 밸브 (12) 로울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포체를 로울러를 통하여 투입구로 투입시키면 타공부에 있는 칼날이 상부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캠이 하강하면서 타공을 하고 이때, 칼날고정용 금형은 발포제품을 압착시켜 타공과 동시에 금형에 눌렸던 발포체가 반발탄성으로 칼날 중앙 부위에 있는 홀 속으로 통하여 상부로 분출한다.
상부로 분출하는 현상을 증강케하는 원리와 순간적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키 위하여 밑에서 밀어주는 1.5mm 두께의 종이판과 타공된 칩이 함께 동시에 상부에 있는 금형내부를 통하여 집진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발포체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포체 타공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포체 타공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의 부호는 캠(1), 금형(2), 칼날(3), 투입구(4), 종이판(5), 받침대(6), 호스(7), 휠터(8), 흡입모터(9), 싸이클론(10), 로타리 밸브(11), 로울러(12)임을 알 수 있다.
그 동작은 발포제품을 로울러(12)를 통하여 투입구(4)로 이송시키면 타공부에 있는 칼날(3)이 상부모타의 캠(1)의 회전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타공을 하고 이때 칼날(3) 고정용 금형(2)은 발포제품을 압착시켜 두께의 70~80%까지 눌러 타공과 동시에 금형에 눌렸던 발포체가 반발탄성의 힘과 순간적인 진공상태와 타공속의 발포체 분출을 도와주는 타공된 종이판(5)이 흡입모터(9)를 작동시켜 금형(2) 내부를 통하여 진공압을 형성시키면서 전달된 칩은 호스(7)를 통하여 싸이클론(10)으로 모아진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칩의 흡입이 잘되게 하기 위하여 칼날부위의 형상은 끝이 날카로우면서 내부로 경사진 턱을 형성한 단면을 갖게 하고 발포제품 밑에는 1.5mm의 종이판(5)을 함께 타공함으로서 종이판(5) 두께만큼 타공된 발포체가 칼날(3)부위의 상부로 칩이 원활하게 올려져짐과 순간적인 진공상태를 유지케하여 칩의 흡입이 잘되게 돕도록 되어있다.
싸이클론(10) 내부에서 정전기에 의한 칩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휠터(8)를 설치하고 칩이 로타리밸브(11)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였다.
칼날의 직경은 φ1, φ3, φ4, φ5mm 등으로 제품에 따라 변경작업 할 수 있으며 금형(2)이 발포체를 적정하게 눌러주어 발포체가 반발탄성을 형성케할 수 있도록 일정한 스프링을 채용하였으며, 칼날(3)의 구성은 평판에 200~300개의 칼날(3)을 설치하고 그 간격은 타공제품의 사양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체 타공장치는 간단하면서 저가로 공급할 수 있어 소규모 사업자들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비중이 낮은 발포체 또는 비중이 높은 발포체를 타공 가능하며, 칩을 흡입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쉽게 배출할 수 있고, 다양한 발포제품의 사양에 따라 크기와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발포체 타공장치에 있어서,
    상,하 운동을 하는 캠(1)과,
    상기 캠(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진공압을 저장하는 금형(2)과,
    상기 금형(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크기의 구멍으로 잘라내는 칼날(3)과,
    상기 금형(2)의 내부에 호스(7)를 연결하여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9)와,
    상기 흡입모터(9)에 부착되어 상기 칼날(3)에 의해 제거된 칩을 수집하는 싸이클론(10)과,
    타공시키려는 발포제품을 상기 장치로 이송시키는 투입구(4) 및 로울러(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1mm~2mm 두께를 갖는 종이판(5)을 타공하려는 발포체 하부에 형성하고,
    타공과 동시에 타공된 발포체를 칼날(3) 속으로 밀어주는 역할과,
    순간적으로 진공상태를 유지케하여 타공된 홀 속의 칩을 상기 금형(2) 속으로 분출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타공장치.
KR1019990034429A 1999-08-19 1999-08-19 발포체 타공장치 KR10034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29A KR100341616B1 (ko) 1999-08-19 1999-08-19 발포체 타공장치
KR2019990024094U KR200181066Y1 (ko) 1999-08-19 1999-11-05 발포체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29A KR100341616B1 (ko) 1999-08-19 1999-08-19 발포체 타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094U Division KR200181066Y1 (ko) 1999-08-19 1999-11-05 발포체 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48A KR19990083848A (ko) 1999-12-06
KR100341616B1 true KR100341616B1 (ko) 2002-06-22

Family

ID=3748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429A KR100341616B1 (ko) 1999-08-19 1999-08-19 발포체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7468A (zh) * 2015-03-11 2015-05-27 重庆伟风塑料制品有限公司 泡沫加工设备
CN106313174A (zh) * 2016-07-29 2017-01-11 宁波绿菱新材料科技有限公司 人造草坪冲孔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7468A (zh) * 2015-03-11 2015-05-27 重庆伟风塑料制品有限公司 泡沫加工设备
CN106313174A (zh) * 2016-07-29 2017-01-11 宁波绿菱新材料科技有限公司 人造草坪冲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48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1789A (en) Waste repellent die structure
AU597703B2 (en) Hole puncher and reinforcer
CN102245357A (zh) 片切断装置及带加工工具
KR100341616B1 (ko) 발포체 타공장치
KR200181066Y1 (ko) 발포체 타공장치
KR100666828B1 (ko)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CN213829305U (zh) 一种硅胶脚垫冲切机
CN205735223U (zh) 可自动排除废料的模切机
KR100811525B1 (ko) 목금형 및 피나클금형에 적용할 수 있는 스크랩수집카트리지 장착용 금형의 구조
CN210272271U (zh) 一种自动粘胶带机构
CN108556056B (zh) 一种自动磁力辊筒模切机
JP2002239992A (ja) シート穿孔方法及びシート穿孔装置
JP2003001595A (ja) 抜き型及び型抜き方法
CN110901160A (zh) 包装纸板开槽装置
JPH08243996A (ja) 打抜き屑排出装置付き打抜き装置およびその打抜き方法
CN210589694U (zh) 用于制备手撕位无冲切刀痕产品的模切设备
CN209664728U (zh) 一种用于展布的贴纸、打扣、裁切一体机
CN215751044U (zh) 一种便携式手提袋穿绳用打孔机构
US6186720B1 (en) Structure of a multiple punch-bind machine
CN112519317A (zh) 一种食品包装机的自动冲孔切割装置
CN212889141U (zh) 一种便于收集废料的纸箱打孔机
CN216505659U (zh) 平刀背胶异步模切装置
CN217121445U (zh) 一种法兰冲孔设备
CN219171072U (zh) 一种自动吸废料装置
CN219748308U (zh) 一种平刀异步模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