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754B1 -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754B1
KR100339754B1 KR1020000025252A KR20000025252A KR100339754B1 KR 100339754 B1 KR100339754 B1 KR 100339754B1 KR 1020000025252 A KR1020000025252 A KR 1020000025252A KR 20000025252 A KR20000025252 A KR 20000025252A KR 100339754 B1 KR100339754 B1 KR 10033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capacitor
aluminum
sol solution
dielectric
aluminum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941A (ko
Inventor
김재근
민혜경
Original Assignee
전형구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구, 파츠닉(주) filed Critical 전형구
Priority to KR102000002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75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754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시 - 극에 사용하는 유전체를 교환하여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성과정, 절단 과정, 함침 공정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성 과정은 Al2O3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는 Nb2O5, TiO2또는 양자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sol 용액을 사용하여 전해 콘덴서의 음극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호일의 표면에 유전체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Making method of aluminium electrolytic capacitor}
본 발명은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시 - 극에 사용하는 유전체를 교환하여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99.9% 이상의 고순도 알루미늄 호일을 전극으로 하여 제조된 콘덴서이다.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재료인 알루미늄 호일은 호일의 표면에 유전체를 형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각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연된 알루미늄 호일의 평활면을 전기화학적으로 표면을 에칭하여 실효면적을 증가시키는 에칭과정(S1), 에칭된 알루미늄 호일을 전기분해하여 알루미늄 호일의 표면에 유전체가 되는 산화 알루미늄(Al2O3)피막을 생성하는 화성과정(S2), 화성 과정을 거쳐 화성된 전극박을 제품의 용량에 맞는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고 인출단자를 접속한 후 음극박과 전해지(separator)를 넣어 동심원으로 절단하는 절단 과정(S3), 권취한 소자에 전해액을 넣는 함침 공정(S4)을 거치게 되고, 이후에는 조립 공정(S5)을 거쳐 완성되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 호일에 유전체를 형성하는 화성 과정(S2)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루미늄 박막에 유전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sol 용액을 제조하는 sol 용액 제조 공정(S10), 상기 공정(S10)에서 만들어진 sol 용액에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희석제를 넣어 필요한 농도를 맞추는 희석제 첨가 공정(S12), 반응 속도를 맞추기 위해 메틸 아세톤과 같은 안정제를 첨가하는 안정제 첨가 공정(S14), sol 용액에서 유전체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가수분해 공정(S16), 상기 가수분해 공정(S16)을 거친 sol 용액에 알루미늄 박막을 함침시키는 알루미늄 박막 함침 공정(S18), sol 용액이 묻은 알루미늄 박막을 상온에서 48시간 또는 200℃ 내지 350 ℃ 의 온도로 20 내지 40 분간 건조하는 건조 공정(S20), 상기 건조 공정(S20)을 거친 알루미늄 박막을 550℃ 내지 650 ℃ 의 온도로 30 ~ 60 분간 열처리하는열처리 공정(S22)으로 구성됨을 알 수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용량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콘덴서 용량을 계산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박장단소를 추구하는 전자기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를 갖고 큰 용량을 갖는 콘덴서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해 콘덴서의 전극 제작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호일은 외부의 공장에 주문하여 일정한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콘덴서 제조 라인에서 콘덴서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하기 어려웠다.
때로는 완성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콘덴서 제조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호일을 에칭하여 알루미늄 호일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기본적인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제조 공정에 별도의 에칭 공정이 추가되고, 공정 추가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고순도의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여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호일의 가격에 의해 콘덴서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음극 호일에 형성되는 유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여 용량을 증가시킬 경우, 유전체의 두께가 얇을 경우 유전체에 균열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작시 사용하는 알루미늄 호일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전체가 고 유전율을 갖도록 하여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작시 추가되는 공정 없이 고용량의 전해 콘덴서를 제조할 수 있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성과정, 절단 과정, 함침 공정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성 과정은 니오븀 에톡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sol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제조 과정중 화성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연된 알루미늄 호일의 평활면을 전기화학적으로 표면을 에칭하여 실효면적을 증가시키는 에칭과정(S1), 에칭된 알루미늄 호일을 전기분해하여 알루미늄 호일의 표면에 유전체가 되는 산화 알루미늄(Al2O3)피막을 생성하는 화성과정(S2), 화성 과정을 거쳐 화성된 전극박을 제품의 용량에 맞는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고 인출단자를 접속한 후 음극박과 전해지(separator)를 넣어 동심원으로 절단하는 절단 과정(S3), 권취한 소자에 전해액을 넣는 함침 공정(S4)을 거쳐 콘덴서를 제조하는것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상기한 화성 공정(S2)을 수행함에 있어 알루미늄 호일의 표면에 형성되는 유전체가 기존의 Al2O3가 아닌 Nb2O5(니오븀 에톡사이드), TiO2(이산화티탄)또는 두가지 이상의 유전물질의 혼합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Nb2O5(니오븀 에톡사이드) 또는 TiO2(이산화티탄)는 Al2O3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고 있다.
우선, 물(H2O), 촉매, 분산제, 출발물질이 각각 50 ~ 150, 0.5 ~ 5, 0.5 ~ 5, 1 의 몰(mole) 비율로 혼합된 sol 용액을 제조하도록 한다(S10). 상기 출발물질로는 Nb2O5(니오븀 에톡사이드) 또는 TiO2(이산화티탄)을 사용하거나 두가지 물질이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두가지 유전체를 혼합할 경우 그 혼합비율은 얻고자 하는 유전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한 물질을 이용한 sol 용액의 상세한 제조과정은 생략한다.
제조된 sol 용액을 이용하여 희석제 첨가 공정(S12), 안정제 첨가 공정(S14), 가수분해공정(S16)을 차례로 수행하고, 음극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호일을 함침공정(S18)을 이용하여 유전체 물질이 코팅되도록 한다. 이때 1회의 함침 공정만으로는 코팅이 완벽하지 않으므로 최대 10회까지 필요한 회수만큼 함침 공정을 반복한다.
코팅 공정이 완료된 후 호일을 상온 내지 150℃ 의 온도로 건조하는 건조 공정(S20)을 수행하고, 건조 공정(S20)이 끝나게 되면 400 ~ 650 ℃ 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S22)을 수행하도록 한다.
열처리 공정이 끝나게 되면 전해 콘덴서의 음극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호일의 표면에는 Nb2O5,TiO2또는 두가지 물질이 혼합된 유전체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알루미늄 호일을 콘덴서의 음극에 적용하게 되면 저순도의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고도 고용량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알루미늄 호일에 Al2O3유전체층을 형성시켜서 콘덴서를 만들 경우, 22.4V 의 내전압을 적용할 경우 최대 520 의 용량을 갖게되지만, Nb2O5로 유전체층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같은 내전압을 적용할 경우 최대 2350 의 용량을 갖는 콘덴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음극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호일에 sol-gel 법에 의해 고 유전율을 갖는 Nb2O5의 또는 TiO2의 유전체가 형성되도록 하여 알루미늄 호일을 에칭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없고, 고순도의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용량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화성과정, 절단 과정, 함침 공정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성 과정은 알루미늄 박막에 유전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Nb2O5, TiO2또는 양자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sol 용액을 제조하는 sol 용액 제조 공정(S10), 상기 공정(S10)에서 만들어진 sol 용액에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희석제를 넣어 필요한 농도를 맞추는 희석제 첨가 공정(S12), 반응 속도를 맞추기 위해 메틸 아세톤과 같은 안정제를 첨가하는 안정제 첨가 공정(S14), sol 용액에서 유전체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가수분해 공정(S16), 상기 가수분해 공정(S16)을 거친 sol 용액에 알루미늄 박막을 함침시키는 알루미늄 박막 함침 공정(S18), sol 용액이 묻은 알루미늄 박막을 상온에서 48시간 또는 상온 내지 150℃ 온도로 20 내지 40 분간 건조하는 건조 공정(S20), 상기 건조 공정(S20)을 거친 알루미늄 박막을 400 ~ 650 ℃의 온도로 30 ~ 60 분간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S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 방법.
KR1020000025252A 2000-05-12 2000-05-12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방법 KR10033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52A KR100339754B1 (ko) 2000-05-12 2000-05-12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52A KR100339754B1 (ko) 2000-05-12 2000-05-12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941A KR20010103941A (ko) 2001-11-24
KR100339754B1 true KR100339754B1 (ko) 2002-06-05

Family

ID=4581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252A KR100339754B1 (ko) 2000-05-12 2000-05-12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907B1 (ko) * 2010-02-25 2012-06-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음극전기도금과 양극산화에 의해 복합 산화물 유전체가 형성된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941A (ko) 200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6083B2 (en) Electrolytic capacitor and a fabrication method therefor
US3397446A (en) Thin film capacitors employing semiconductive oxide electrolytes
JPH059790A (ja) 表面に金属酸化物を有する基材の製造方法
KR100339754B1 (ko)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방법
JP3257864B2 (ja) 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0114108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CN114267542B (zh) 一种高容量铝电解电容器的正电极构造体的制造方法
JPH0475645B2 (ko)
JP2637207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2006352172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39583A (ko)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 제작용 sol 용액
JP2731243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722080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法
KR20000030983A (ko) 이중 유전체층을 갖는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용 알루미늄 박막
KR20010103942A (ko) 자연 산화 알루미늄층을 유전체층으로 하는 알루미늄콘덴서의 제작방법
KR20000004061A (ko) Sol-gel법에 의한 알루미늄 호일상의 유전체 생성방법
KR20000019855A (ko)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용 알루미늄 박막
JPH02166714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07272985A (ja)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用陽極箔の製造方法
KR100280291B1 (ko)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용 알루미늄 박막의 유전체 균열 회복방법
KR20000019269A (ko) Sol-gel법에 exmet를 사용한 고용량 유전체층 형성방법
JPH06306678A (ja) 基板と誘電体よりなる複合体の製造方法
JP5016472B2 (ja) 電解コンデンサ用電極箔の製造方法
JP2637199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20000014156A (ko) 전해캐패시터용 포일의 유전체층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