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883B1 - 전자밸브 - Google Patents

전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883B1
KR100338883B1 KR1019997010220A KR19997010220A KR100338883B1 KR 100338883 B1 KR100338883 B1 KR 100338883B1 KR 1019997010220 A KR1019997010220 A KR 1019997010220A KR 19997010220 A KR19997010220 A KR 19997010220A KR 100338883 B1 KR100338883 B1 KR 10033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housing
plate
plung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269A (ko
Inventor
코지마타카오
히메이히데카즈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to KR101999701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8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과 유체를 제어하는 밸브 부분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부품의 범용성을 높이고, 저 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는 전자밸브를 얻는다.
이 전자밸브는, 코일이 감겨진 보빈과,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가 설치된 하우징이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가 부착된 보빈과, 유로를 전환하는 볼과 밸브 봉이 부착된 하우징이, 플레이트를 개재시켜 서로 마주 배치되며, 보빈에 장착된 케이스의 클로를 하우징 및 플레이트에 코킹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의 하우징측의 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며, 하우징의 보빈측의 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고, 또한, 보빈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 및 하우징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이들 결합부를 보빈 및 하우징의 피결합부에 결합시키고, 보빈과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확보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밸브{solenoid valve}
도 7은 종래의 상폐형(常閉型) 3방 전자밸브의 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보빈(1)은,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22), 터미널(6, 7)이 삽입된 수지 성형품이며, 코일 감기부(1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보빈(1)에는, 입력 포트(2), 출력 포트(3) 및 배출 포트(4)가 설치되고, 오일의 누설을 막기 위한 O-링(9, 10)이 장착되는 O-링 홈(1a, 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29)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보빈(1)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시(23)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플런저(29)에 대하여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보빈(1)의 일단측에 감겨져 있다. 또한, 케이스(11)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코일(12)이 코일 감기부(1g)에 감겨진 보빈(1)의 외주에 장착되고, 플레이트(22)에 코킹(caulking)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한,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홀더(24)가 케이스(11)와 부시(23)의 사이에 장착되어, 양자의 자기적인 관계를 확보하고 있다. 비자성의 홀더(25)가 보빈(1)의 일단측에 부착되어, 솔레노이드의 내부 부품을 고정하고 있다.
또한, 보빈(1)의 다른쪽 단의 입력 포트(2)에는, 볼(13)이 삽입되고, 또한 부시(14)가 삽입되며, 보빈(1)의 코킹부(1c)를 열 코킹함으로써, 볼(13)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29)에는, 입력 포트(2)내에 장착된 볼(13)을 누르기 위한 밸브 봉(29a)이 일체로 설치되고, 밸브 봉(29a)의 근원부가 밸브부(29b)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케이스(11), 플레이트(22), 플런저(29), 부시(23) 및 홀더(24)로 자기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밸브(100)에서는, 코일(12)에 통전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입력 포트(2)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볼(13)이 밸브 시트(1e)에 착좌하고, 유체가 입력 포트(12)로부터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밸브 시트(1e)에 착좌하는 볼(13)의 움직임에 의해, 밸브 봉(29a)이 밀어 올려진다. 이 밸브 봉(29a), 즉 플런저(29)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밸브부(29b)가 밸브 시트(1d)로부터 떨어지고, 출력 포트(3)와 배출 포트(4)가 연결된다.
코일(12)에 통전되면, 케이스(11), 플레이트(22), 플런저(29), 부시(23) 및 홀더(24)로 구성되는 자기회로에 자기가 흐르고, 플런저(29)가 플레이트(22)에 자기 흡인된다. 이 자기 흡인력이, 볼(13) 및 플런저(29)를 통하여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이겨내고, 플런저(29)가 플레이트(2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플런저(29)의 이동에 의해, 밸브부(29b)가 밸브 시트(1d)에 착좌하는 동시에, 플런저(29)의 밸브 봉(29a)이 볼(13)을 누르고, 볼(13)이 밸브 시트(1e)로부터 떨어진다. 그래서, 출력 포트(3)와 배출 포트(4)가 차단되고, 입력 포트(2)와 출력 포트(3)가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밸브(100)에서는,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과 유체를 제어하는 밸브 부분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양이 다른 전자밸브에 대해서는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없어,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자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신호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유로가 전환되는 전자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있어서의 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적용되는 보빈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적용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적용되는케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있어서의 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있어서의 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상폐형 3방 전자밸브의 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과 유체를 제어하는 밸브 부분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부품의 범용성을 높이고, 저 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는 전자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밸브는,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며,
전자장치의 구동에 의해 유로를 전환하는 전자밸브에 있어서, 중심구멍이 형성되고, 코일이 외주에 감겨진 통형의 보빈과, 상기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고, 상기 보빈의 일단측에 배치된 하우징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밑바닥판과 이 밑바닥판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밑바닥판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클로(claw)를 가지며, 해당 관통구멍의 중심을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에 일치시켜 상기 보빈의 다른쪽 일단측으로부터 보빈을 씌우고, 해당 클로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코킹하여 상기 보빈,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을 일체로 고정하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을 이루며, 밑바닥부를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여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에 삽입하고, 개구측의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대향하면서 상기 보빈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코일로의 통전시에 발생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자기 흡인되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흡인력과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작용되는 유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유로를 전환하는 볼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자기 흡인되는 상기 플런저에 가압되어 상기 볼에 상기 자기 흡인력을 전달하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 봉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하우징측의 일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보빈측의 일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며, 또한, 보빈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 및 하우징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이들 결합부를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의 피결합부에 결합시켜,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있어서의 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적용되는 보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적용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하우징(51)은 입력 포트(52), 출력 포트(53) 및 배출 포트(54)를 가지며, 외주부에 O-링(9, 10)이 장착되는 O-링 홈(51a, 51b)이 형성되고, 또한 위치 결정용의 결합구멍(51c)이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다. 이 하우징(51)에는, 입력 포트(52)와 출력 포트(53)를 연결하는 유로(30)가 설치되고, 해당유로(30)의 입력 포트(52)측에 제1 밸브 시트(5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51)에는, 출력 포트(53)와 배출 포트(54)를 연결하는 유로(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로(31)는, 후술하는 밸브 봉의 로드가 삽입되는 소 직경의 유로(31a)와 밸브 봉의 수지체가 삽입되는 대 직경의 유로(3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31a)의 배출 포트(54)측에 제2 밸브 시트(51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31b)는 유체를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밸브 봉의 수지체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되며, 해당 수지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가 내주벽면에 둘레 방향에 다수 돌출되어 있다. 또, 제1 제2 밸브 시트(51d, 51e)가 설치된 유로(30, 31)는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1)의 입력 포트(52)에는, 볼(13)이 삽입되고, 또한 부시(12)가 삽입되며, 하우징(51)을 열 코킹함으로써, 볼(13)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보빈(5)은, 터미널(6, 7)이 삽입된 통형의 수지 성형품이며, 그 외주에는 코일 감기부(5b)가 설치되고, 일단면에는 위치 결정용의 돌기(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빈(5)의 중심구멍(5a)의 한쪽의 내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안내용의 가이드부(5e)가 둘레 방향에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지제의 커버(63)가 터미널(6)의 돌출부를 덮도록 보빈(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코일(12)은 코일 감기부(5b)에 감겨지고, 그 양 단이 각각 터미널(6, 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플런저(2)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성형된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관통구멍(2a)이 밑바닥부의 중심에 뚫려 있다. 이 플런저(2)는, 보빈(5)의 중심구멍(5a)내에 배치되며, 밑바닥부측의 외주면이 가이드부(5e)에 안내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61)는 측벽의 일부를 절단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성형된 자성재료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61a)이 밑바닥부의 중심으로 형성되며, 고정용의 클로(61b, 61c)가 그 개구측에 2개씩 연장되어 있다. 캡(59)은,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플런저(2)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가이드부(59a) 및 이 가이드부(59a)의 외주로 연장된 플런저부(59b)를 가지고 있다. 이 캡(59)은, 가이드부(59a)가 케이스(61)의 관통구멍(61a)에 안쪽으로부터 끼워져 케이스(61)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 봉(60)은 금속제의 로드(60a)가 삽입 성형된 수지 성형품이며, 로드(60a)의 양 단이 수지체(60b)로부터 돌출하여, 수지체(60b)의 일단측이 제2 밸브 시트(51e)에 밀접하는 외경 형상으로 성형되고, 밸브부(60c)를 구성하고 있다. 플레이트(55)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며, 밸브 봉(60)을 삽입시키는 관통구멍(55a) 및 보빈(5)의 돌기(5c)를 삽입시키는 관통구멍(55b)이 뚫려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전자밸브(2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볼(13)이 부착된 하우징(51)에 상부측으로부터 플레이트(55)를 부착한다. 이 때, 플레이트(55)의 관통구멍(55a)과 제2 밸브 시트(51e)가 설치된 하우징(51)의 유로(31)가 일치되며, 플레이트(55)의 관통구멍(55b)과 하우징(51)의 결합구멍(51c)이 일치된다. 그리고, 밸브 봉(60)이 관통구멍(55a)으로부터 유로(31)내에 삽입된다. 밸브 봉(60)의 수지체(60b)는 유로(31b)내에 수납되며, 수지체(60b)의 한쪽으로부터 돌출하는 로드(60a)는 유로(31a) 및 유로(30)내에 삽입된다.
계속하여, 터미널(6, 7), 코일(12) 및 플런저(2)가 부착된 보빈(5)을 상방으로부터 하우징(51)에 부착한다. 이 때, 보빈(5)의 돌기(5c)가 플레이트(55)의 관통구멍(55b)에 삽입되고, 하우징(51)의 결합구멍(51c)에 끼워지며, 보빈(5), 플레이트(55) 및 하우징(51)이 일괄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밸브 봉(60)의 수지체(60b)의 다른쪽으로부터 연장된 로드(60a)가 관통구멍(2a)을 삽입하여 플런저(2)의 내부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 와셔(wave washer)(62)가 보빈(5)의 상부에 배치되고, 케이스(61)가 상방으로부터 보빈(5)을 덮도록 씌워진다. 이 때, 플런저(2)의 개구측이 캡(59)의 가이드부(59a)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케이스(61)를 하방으로 누르면서 클로(61b)를 하우징(51)에 코킹하고, 또한 클로(61c)를 플레이트(55)에 코킹하여, 하우징(51), 플레이트(55) 및 보빈(5)을 일체화한다. 이어서, 터미널(7)의 일단부가 케이스(61)에 용접되어, 전자밸브(20)가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전자밸브(20)에서는, 케이스(61), 플레이트(55) 및 플런저(2)로 자기회로가 구성되고, 플런저(2)의 양 단이 보빈(5)의 가이드부(5e) 및 캡(59)의 가이드부(59a)에 의해 안내되고 있다.
또, 케이스(61)의 밑바닥부와 보빈(5)의 상단의 사이에 파형 와셔(62)를 장착하고, 파형 와셔(62)의 탄성 변형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가압 하중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1)의 밑바닥부에 가압편(61d)을 형성하여, 가압편(61d)에 의해 가압 하중을 확보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이 전자밸브(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일(12)에 통전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입력 포트(52)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볼(13)이 제1 밸브 시트(51d)에 착좌하여, 유체가 입력 포트(12)로부터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밸브 시트(51d)에 착좌하는 볼(13)의 움직임에 의해, 로드(60a)가 밀어 올려진다. 이 로드(60a), 즉 수지체(60b)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밸브부(60c)가 제2 밸브 시트(51e)로부터 떨어지고, 출력 포트(53)와 배출 포트(54)가 연결된다.
코일(12)에 통전되면, 케이스(61), 플레이트(55) 및 플런저(2)로 구성되는 자기회로에 자기가 흐르고, 플런저(2)가 플레이트(55)에 자기 흡인된다. 이 자기 흡인력이, 볼(13), 밸브 봉(60) 및 플런저(2)를 통하여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이겨내고, 플런저(2)가 플레이트(5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플런저(2)의 이동에 의해, 밸브부(60c)가 제2 밸브 시트(51e)에 착좌하는 동시에, 밸브 봉(60)의 로드(60a)가 볼(13)을 누르며, 볼(13)이 제1 밸브 시트(51d)로부터 떨어진다. 그래서, 출력 포트(53)와 배출 포트(54)가 차단되고, 입력 포트(52)와 출력 포트(53)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밸브(20)가 보빈측(전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과 하우징측(유체를 제어하는 밸브 부분)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종류가 다른 전자밸브에 대하여,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저 비용화가 도모된다.
또한, 보빈(5)과 하우징(51)이 케이스(61)의 클로(61b, 61b)의 코킹에 의해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플레이트(55)가 보빈(5)과 하우징(51)의 사이에 장착되고, 보빈(5)에 형성된 돌기(5c)가 플레이트(55)의 관통구멍(55b)을 통하여 하우징(51)의 결합구멍(51c)에 끼워지도록 하기 때문에, 보빈(5), 하우징(51) 및 플레이트(55)의 위치가 쉽게 결정되며, 조립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보빈(5)과 하우징(51)의 상대 위치 관계가 확보되기 때문에, 플런저(2) 및 유로(30, 31)가 확실하게 동축적으로 배열되고, 플런저(2) 및 밸브 봉(60)이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안정된 밸브 개폐 동작이 얻어진다.
또한, 보빈(5)의 중심구멍(5a)에 가이드부(5e)를 설치하고, 케이스(61)의 밑바닥부의 관통구멍(61a)에 장착한 캡(59)에 가이드부(59a)를 설치하며, 가이드부(5e, 59a)에 의해 플런저(2)의 양 단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2)가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밸브 개폐 동작이 얻어진다.
또한, 밸브 봉(60)은 금속제의 로드(60a)가 양 단을 연장시켜 수지체(60b)에 삽입 성형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볼(13)과의 충돌 부위만을 로드(60a)로 구성하여 볼(13)과의 충돌에 따른 마모 및 손상을 없애고,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밸브 봉 전체를 금속제로 한 경우에는, 가공성의 면에서, 밸브부(60c)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지만, 삽입 성형시에, 밸브부(60c)를 수지체(60b)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밸브부(60c)를 갖는 밸브 봉(60)을 저 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돌기(5c)가 보빈(5)에 형성되고, 관통구멍(55b)이 플레이트(55)에 형성되며, 또한 결합구멍(51c)이 하우징(51)에 형성되고, 돌기(5c)를 관통구멍(55b)을 통하여 결합구멍(51c)에 끼워, 보빈(5), 플레이트(55) 및 하우징(51)을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치 결정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빈(5) 및 하우징(51)에 돌기를 형성하여, 플레이트에 보빈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과 하우징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보빈 및 하우징의 돌기를 플레이트의 보빈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 및 하우징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에 각각 끼워, 보빈(5), 플레이트(55) 및 하우징(51)을 위치 결정해도 된다. 또한, 보빈(5) 및 하우징(51)에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플레이트에 보빈 위치 결정용 돌기와 하우징 위치 결정용 돌기를 형성하며, 플레이트의 보빈 위치 결정용 돌기 및 하우징 위치 결정용 돌기를 보빈 및 하우징의 결합구멍에 각각 끼워, 보빈(5), 플레이트(55) 및 하우징(51)을 위치 결정해도 된다. 또한, 보빈(5)에 돌기를 형성하여, 하우징(51)에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플레이트에 보빈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과 하우징 위치 결정용 돌기를 형성하여, 보빈의 돌기를 플레이트의 보빈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에 끼우고, 플레이트의 하우징 위치 결정용 돌기를 하우징의 결합구멍에 끼우고, 보빈(5), 플레이트(55) 및 하우징(51)을 위치 결정해도 된다.
< 제 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있어서의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터미널(6, 7)이 하단측에 위치하도록 보빈(5)에 삽입 성형되어 있다. 이 터미널(6)은 굴곡되어 보빈(5)의 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수지제의 커버(63)가 터미널(6)의 돌출부를 덮도록 보빈(5)에 장착되고, 터미널(7)이 플레이트(55)에 용접되어 있다.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서, 터미널(6)이 보빈(5)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터미널(6)의 취출 방향이 상향으로 되어, 설치 자유도가 커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보빈측(전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과 하우징측(유체를 제어하는 밸브 부분)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 부품의 대폭적인 변경 없이, 터미널(6)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폐형 3방 전자밸브에 있어서의 비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51)에는, 입력 포트(52)와 출력 포트(53)를 연결하는 유로(30)가 설치되고, 해당 유로(30)의 입력 포트(52)측에 제1 밸브 시트(51d)가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51)에는, 출력 포트(53)와 배출 포트(54)를 연결하는 유로(31)를 갖는 밸브 시트체(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로(31)는, 밸브 봉(60)의 로드(60a)가 삽입되는 소 직경의 유로(31a)와 밸브 봉(60)의 수지체(60b)가 삽입되는 대 직경의 유로(3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31a)의 출력 포트(53)측에 제2 밸브 시트(51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31b)는 유체를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밸브 봉(60)의 수지체(60b)의 외경보다 대 직경으로 형성되며, 해당 수지체(60b)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가 내주벽면에 둘레 방향으로 다수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밸브 시트(51d, 51e)가 설치된 유로(30, 31)는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전자밸브(2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일(12)에 통전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입력 포트(52)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볼(13)이 제2 밸브 시트(51e)에 착좌하고, 입력 포트(52)와 출력 포트(53)가 연결되며, 출력 포트(53)와 배출 포트(54)가 차단된다. 그리고, 제2 밸브 시트(51e)에 착좌하는 볼(13)의 움직임에 의해, 로드(60a)가 밀어 올려진다. 이 로드(60a), 즉 수지체(60b)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플런저(2)가 가이드부(5e, 59a)에 안내되어 상방으로 이동한다.
코일(12)에 통전되면, 케이스(61), 플레이트(55) 및 플런저(2)로 구성되는 자기회로에 자기가 흐르고, 플런저(2)가 플레이트(55)에 자기 흡인된다. 이 자기 흡인력이, 볼(13), 밸브 봉(60) 및 플런저(2)를 통하여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이겨내고, 플런저(2)가 플레이트(5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플런저(2)의 이동에 의해, 밸브 봉(60)의 로드(60a)가 볼(13)을 누르고, 볼(13)이 제2 밸브 시트(51e)로부터 떨어지며, 제1 밸브 시트(51d)에 착좌한다. 그래서, 입력 포트(52)와 출력 포트(53)가 차단되고, 출력 포트(53)와 배출 포트(54)가 연결된다.
따라서,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며, 전자장치의 구동에 의해 유로를 전환하는 전자밸브에 있어서, 중심구멍이 형성되고, 코일이 외주에 감겨진 통형의 보빈과, 상기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보빈의 일단측에 배치된 하우징과,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장착된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밑바닥판과 이 밑바닥판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밑바닥판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클로를 가지고, 해당 관통구멍의 중심을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에 일치시켜 상기 보빈의 다른쪽 단측으로부터 윗쪽을 씌우고, 해당 클로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코킹하여 상기 보빈,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을 일체로 고정하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을 이루며, 밑바닥부를 상기 플레이트에 향하여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에 삽입되고, 개구측의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대향하면서 상기 보빈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코일의 통전시에 발생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자기 흡인되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상기 자기 흡인력과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작용되는 유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유로를 전환하는 볼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자기 흡인되는 상기 플런저에 가압되어 상기 볼에 상기 자기 흡인력을 전달하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 봉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하우징측의 일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보빈측의 일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며, 또한, 보빈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 및 하우징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이들 결합부를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의 피결합부에 결합시켜,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확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빈측과 하우징측과 분리하는 것에 의한 조립성의 저하가 없고, 부품의 범용성이 높여지며, 저 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는 전자밸브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 봉은, 수지체와, 해당 수지체에 양 단을 돌출시켜서 삽입 성형된 금속제의 로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봉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이, 상기 플런저의 개구측의 일단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플런저의 개구측의 일단부와 케이스와의 사이의 자기 저항이 증대하고, 플런저를 플레이트에 확실히 자기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의 일단측의 내벽면에 상기 플런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해당 가이드부와 상기 캡에 의해 상기 플런저의 양 단측을 각각 안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왕복 이동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축심의 진동이 억제되며, 플런저가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안정한 밸브 개폐동작이 얻어진다

Claims (4)

  1.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고, 전자장치의 구동에 의해 유로를 바꾸는 전자밸브에 있어서,
    중심구멍이 형성되고, 코일이 외주에 감겨진 통형상의 보빈(bobbin);
    상기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배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보빈의 일단측에 배치된 하우징(housing);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관통구멍이 형성된 밑바닥판과 이 밑바닥판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밑바닥판의 주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클로(claws)를 가지며, 해당 관통구멍의 중심을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에 일치시켜 상기 보빈의 다른쪽 단측으로부터 상기 보빈을 씌우고, 해당 클로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코킹하여 상기 보빈,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을 일체로 고정하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바닥이 있는 원통형을 이루고, 밑바닥부를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여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에 삽입하며, 개구측의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의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대향하면서 상기 보빈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코일의 통전시에 발생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자기 흡인되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흡인력과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하여 작용되는 유체의 압력과의 차에 의해 유로를 전환하는 볼 및;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자기 흡인되는 상기 플런저에 가압되어 상기 볼에 상기 자기 흡인력을 전달하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 봉을 구비하며;
    상기 보빈의 하우징측의 일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보빈측의 일단면에 피결합부가 형성되며, 보빈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 및 하우징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이들 결합부를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의 피결합부에 결합시켜,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확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봉은 수지체와, 해당 수지체에 양 단을 돌출시켜 삽입 성형(insert-molded)된 금속제의 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이 상기 플런저의 개구측의 단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중심구멍의 일단측의 내벽면에 상기 플런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해당 가이드부와 상기 캡에 의해 상기 플런저의 양 단측을 각각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KR1019997010220A 1999-11-05 1997-08-25 전자밸브 KR10033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10220A KR100338883B1 (ko) 1999-11-05 1997-08-25 전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10220A KR100338883B1 (ko) 1999-11-05 1997-08-25 전자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269A KR20010012269A (ko) 2001-02-15
KR100338883B1 true KR100338883B1 (ko) 2002-05-30

Family

ID=54774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220A KR100338883B1 (ko) 1999-11-05 1997-08-25 전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8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269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9250B2 (ja)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US6547215B2 (en) Electromagnetic valve having nonmagnetic member between stator core and moving core
US7468647B2 (en) Linear solenoid having stator core and plunger
JPS6152474A (ja) 油圧制御用電磁バルブ
US20040032309A1 (en) Electromagnetic switch for a starter
US8814136B2 (en) Solenoid valve
EP1008791B1 (en) Solenoid valve
JP5644664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3130246A (ja) 電磁弁装置
JP3822667B2 (ja) 圧力切換弁
JP2002310322A (ja) 電磁弁装置
KR100338883B1 (ko) 전자밸브
KR100449145B1 (ko) 전자밸브
JP4022855B2 (ja) 電磁弁装置
CN112081984B (zh) 电磁阀
JP3709792B2 (ja) 電磁弁装置
US6715509B2 (en) Electromagnetic valve and assembling method
JP3624557B2 (ja) 電磁弁の端子構造
US6060803A (en) Starter with multiple lever springs
CN217177611U (zh) 螺线管装置
JPH08330130A (ja) フラッパ型acソレノイド及び電磁弁
JP4127030B2 (ja) 電磁弁装置
CN217207977U (zh) 螺线管装置
CN213419995U (zh) 线轴阀装置
JP7297578B2 (ja) ソレノ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