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690B1 -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690B1
KR100338690B1 KR1019990045878A KR19990045878A KR100338690B1 KR 100338690 B1 KR100338690 B1 KR 100338690B1 KR 1019990045878 A KR1019990045878 A KR 1019990045878A KR 19990045878 A KR19990045878 A KR 19990045878A KR 100338690 B1 KR100338690 B1 KR 10033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l
abalone
incision
liver
soy sa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428A (ko
Inventor
이여준
강승호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이여준
강승호
이병택
최성우
임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여준, 강승호, 이병택, 최성우, 임장환 filed Critical 이여준
Priority to KR101999004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6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6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for pearl pro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복의 간장 각상부에 진주핵을 삽입하여 진주를 얻는 유핵진주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아래쪽 내장 나선부로부터 3분의 1가량 되는 위치를 절개한 후, 상기 절개한 간장 각상부의 외투낭으로부터 생식기를 꺼낸다. 이어서 상기 생식기 형태로 만든 독성을 제거한 진주핵을 절개부를 통해 상기 꺼내놓은 생식기가 있던 자리에 삽입시킨다. 상기 꺼내놓은 생식기를 상기 절개부를 통해 다시 삽입시킨다. 상기 진주핵이 삽입된 간장 각상부를 살균한 후 전복을 안정시키면 진주핵의 삽입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은 기존의 유핵진주 양식방법에 비해 월등히 패사율이 낮고 진주부착 성공률이 높으며, 다양한 형태로 길쭉한 모양의 양질의 곡옥형(曲玉形) 진주를 생성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다. 또한 진주핵의 위치를 고정하여 전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Method for culturing nucleus pearl using the liver of ear shell}
본 발명은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복의 간장 각상부에 진주핵을 삽입하여 진주를 얻는 유핵진주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진주는 산호와 더불어 바다가 선사하는 살아있는 보석으로 여성이면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보석중의 하나이다. 진주는 조개의 체내에 모래알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이것을 감싸려고 체액이 분비된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1천분의 2mm밖에 되지 않는 진주층을 약1000겹은 쌓아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심각해지는 바다의 환경 오염 때문에 천연진주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사라져 가는 진주를 얻기 위해서 약100년 전부터 인공적으로 진주핵을 삽입하여 진주를 얻는 방법이 성공되어 진주의 대량양식이 가능해졌다.
조개는 몸속에 어떤 이물질이 들어갈 경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투막에서 분비물을 분비하여 이물질을 감싸버린다. 상기 분비물이 진주층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동그란 형상의 진주핵을 삽입시켜 상기 진주핵의 표면에 진주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진주를 양식하는 원리이다.
진주를 양식하는 조개의 경우 주로 진주조개와 전복 등이 사용된다.
전복의 경우에는 조개껍질이 하나인 일매패이므로 조개껍질이 두 개인 이매패보다 시술한 진주핵이 전복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수가 많아 고도의 양식기술을 필요로 한다. 전복은 핵시술을 할 때 주로 타원형이나 반구형 진주핵을 사용한다. 전복은 일반 진주조개처럼 둥근핵을 넣을 경우 모패에 무리가 가해져 패사율이 높아지고 전복의 빈번한 활동으로 진주질이 고루 쌓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종래의 전복을 이용한 진주양식은 진주핵 시술방법에 따라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전복의 껍질에 진주핵을 부착시키는 유핵진주양식과 진주핵을 사용하지 않고 전복 체내에 상피세포를 이식하는 무핵진주양식이 있다.
상술한 두 개의 방법 중 가장 보편적인 유핵진주양식은 전복의 패각외부에 구멍을 뚫어 진주핵을 삽입한 것이다. 그러나 진주핵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 아무리 주의를 기울려도 상기 진주핵을 삽입하는 위치가 전복의 가장 안쪽 부분인 심장 및 간장 생식소와 인접하여 있어서 진주핵에 진주층이 쌓여 진주가 커짐에 따라 상기 심장 및 간장 생식소에 압박을 주어 60% 이상의 패사율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유핵진주 양식방법에 비해 월등히 패사율이 낮고 진주부착 성공률이 높으며 다양한 형태로 길쭉한 모양인 양질의 곡옥형(曲玉形) 진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진주핵의 위치를 고정하여 전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전복의 패각을 제거한 배면도 및 간장 각상부의 확대도이다.
도2는 도1의 간장 각상부의 절개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3은 도2의 절개부를 통해 생식기를 꺼내놓은 확대도이다.
도4는 도3의 간장 각상부의 절개부를 통해 진주핵을 삽입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간장 각상부 2: 내장 나선부
3: 패각근 4: 생식기
5: 진주핵 6: 절개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1은 전복의 패각을 제거한 배면도 및 간장 각상부의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은 종래의 전복의 패각에 구형의 진주핵을 삽입하여 구형의 진주를 생산하던 유핵진주양식과는 달리 곡옥형의 대형진주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간장 각상부(1)는 소의 뿔 형태로 내장 나선부(2)와 패각근(3)과 인접하고 있으며 주머니 형태인 외투낭(外套囊)으로써 생식기(4)를 둘러싸고 있다.
본 발명의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2와 같이 전복의 간장 각상부(1)를 아래쪽 내장 나선부(2)로부터 3분의 1가량 되는 위치를 절개한 후, 도3과 같이 상기 절개한 간장 각상부(1)의 외투낭으로부터 생식기(4)를 꺼낸다. 이어서 도4와 같이 상기 생식기(4) 형태로 만든 독성을 제거한 진주핵(5)을 절개부(6)를 통해 상기 꺼내놓은 생식기(4)가 있던 자리에 삽입시킨다. 상기 꺼내놓은 생식기(4)를 상기 절개부(6)를 통해 다시 삽입시킨다. 상기 진주핵(5)이 삽입된 간장 각상부(1)를 살균한 후 전복을 안정시키면 진주핵(5)의 삽입은 완료된다.
상기 진주핵(5)은 살균하여 독성을 제거한 얇은 치클이나 창호지를 주로 이용한다.
간장 각상부(1)의 절개부(6)는 약 3주 정도면 완전히 재생된다. 상기 간장 각상부(1)의 절개부(6)가 완전히 재생되는 약 3주간은 전복을 압박하거나 강제로 박리하지 말아야 하고, 먹이는 진주핵(5)의 삽입 후 하루가 지난 후에 주며 되도록 세균의 감염을 막기 위하여 미역, 다시마 및 파래를 날 것으로 주지 말고 말린 것으로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을 실행하는 시기는 전복의 정자 및 난자의 생성이 왕성하여 간장 각상부(1)가 최대로 커지는 봄,가을의 산란기가 시술이 편리하고 진주핵(5)의 삽입이 간편하여 가장 좋다.
본 발명의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은 기존의 유핵진주 양식방법에 비해 월등히 패사율이 낮고 진주부착 성공률이 높으며, 다양한 형태로 길쭉한 모양의 양질의 곡옥형(曲玉形) 진주를 생성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다. 또한 진주핵의 위치를 고정하여 전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Claims (2)

  1. 전복의 간장 각상부(1)를 아래쪽으로부터 3분의 1가량 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절개부(6)를 만들고;
    상기 절개한 간장 각상부(1)의 외투낭으로부터 생식기(4)를 꺼내고;
    상기 생식기(4) 형태로 만든 독성을 제거한 창호지로 만든 진주핵(5)을 상기 절개부(6)를 통해 상기 꺼내놓은 생식기(4)가 있던 자리에 삽입시키고;
    상기 꺼내놓은 생식기(4)를 다시 절개부(6)를 통해 삽입시키고;
    상기 창호지로 만든 진주핵(5)이 삽입된 간장 각상부(1)를 살균한 후, 전복을 휴식시켜 안정시키고; 그리고,
    상기 전복의 각질, 능주질 및 진주질의 분비를 차례로 유도하여 상기 창호지로 만든 진주핵(5)을 감싸서 진주를 생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의 간장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2. 삭제
KR1019990045878A 1999-10-21 1999-10-21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KR10033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878A KR100338690B1 (ko) 1999-10-21 1999-10-21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878A KR100338690B1 (ko) 1999-10-21 1999-10-21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28A KR20000000428A (ko) 2000-01-15
KR100338690B1 true KR100338690B1 (ko) 2002-05-30

Family

ID=1961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878A KR100338690B1 (ko) 1999-10-21 1999-10-21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6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325A (ko) * 1992-12-24 1994-07-15 배두안 전복의 생식낭내에 핵을 주입한 진주의 양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325A (ko) * 1992-12-24 1994-07-15 배두안 전복의 생식낭내에 핵을 주입한 진주의 양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28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es XXXI.—The life-history of Xenopus laevis, Daud
Sastry The development and external morphology of pelagic larval and post-larval stages of the bay scallop, Aequipecten irradians concentricus Say, reared in the laboratory
Owen Lectures on the comparativ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invertebrate animals
Scheltema Pelagic larvae of New England intertidal gastropods. I. Nassarius obsoletus Say and Nassarius vibex Say
Haniffa et al. Breeding behaviour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koi carp (Cyprinus carpio)
Boglione et al.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thicklipped mullet (Chelon labrosus) under controlled reproduction conditions
Pace et al.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Mediterranean freshwater crab, Potamon edulis (= P. fluviatile)(Crustacea, Decapoda, Potamonidae)
KR100338690B1 (ko) 전복의 간장 각상부를 이용한 유핵진주 양식방법
KR100363672B1 (ko) 전복진주의 양식방법
Mi et al.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seahorse Hippocampus kuda
KR20110123483A (ko) 키조개를 모패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
Jones Boring of shell by Caobangia in freshwater snails of Southeast Asia
RU2374838C1 (ru)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жемчуга заданной формы и размера
KR100328393B1 (ko) 홍합을 모패로 사용하는 무핵진주 양식방법
Couret Jr et al. Larval development of Halocaridina rubra Holthuis (decapoda, atyidae)
Cockcroft The larval development of Macropetasma africanum (Balss, 1913)(Decapoda, Penaeoidea) reared in the laboratory
KR100309421B1 (ko) 전복 진주의 양식 방법
KR910006413B1 (ko) 무핵 전복 진주의 양식방법
JPH06209673A (ja) アワビ真珠養殖法
Uyan et al. The larval development stages of the Japanese snail, Rapana thomasiana, Gross 1861, in the egg capsule
Yonge On the monomyarian, Acostaea rivoli and evolution in the family Etheriidae (Bivalvia: Unionacea)
Terrence The first record of Polycerella Verrill, 1881, from the Pacific,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KR20130141887A (ko)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JPH1084806A (ja) 核を挿入しない鮑真珠の養殖方法
KR20020004091A (ko) 전복을 모패로 사용하는 무핵진주 양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