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887A -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887A
KR20130141887A KR1020120064977A KR20120064977A KR20130141887A KR 20130141887 A KR20130141887 A KR 20130141887A KR 1020120064977 A KR1020120064977 A KR 1020120064977A KR 20120064977 A KR20120064977 A KR 20120064977A KR 20130141887 A KR20130141887 A KR 20130141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earl
mother
nucleus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오
Original Assignee
최창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오 filed Critical 최창오
Priority to KR102012006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887A/ko
Publication of KR2013014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6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for pearl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은, 모패로서 키조개를 준비하는 모패처리단계와; 상기 모패의 패각 내측면으로부터 외투막 일부를 들어 올린 후에 상기 패각의 내측면 상에서 삽핵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특정 문양이 양각되어 돌출되거나 특정문양이 부착된 구조를 가지는 핵을, 상기 패각의 삽핵위치에 올려놓고, 상기 패각의 삽입위치에 위치한 핵을 상기 외투막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모패의 패각과 외투막 사이에 핵을 삽입하는 삽핵단계와; 상기 핵이 삽입된 모패를 양성하는 양성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를 양식함으로써 개개인의 특성이나 요구를 반영하여 차별화된 흑진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METHOD FOR CULTURING PEARLS HAVING PATTERN}
본 발명은 흑진주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조개를 모패로 하여 진주핵을 삽입하여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를 취득하는 흑진주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주라 함은 연체동물 부족류 조개의 체내에 생긴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슬 모양 또는 반구상의 광택이 나는 이상분비물로서, 진주의 성인(成因)에 관해서는 11세기경부터 많은 학자들이 여러 가지 설을 발표하였다. 17세기 초에는 조개 속에 이물질이 침입하면, 그 자극으로 이상분비가 생기고, 이 분비물이 이물질을 둘러싸게 되어 진주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19세기 중엽에 폰 헤슬링은 진주의 주위에 상피세포(上皮細胞)로 된 주머니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1903년 O.Z.스트라센은 조개의 외투막의 상피세포가 결합조직 내에 침입하여 진주주머니[眞珠袋:pearl sac]를 형성하고, 그 속에 진주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 진주주머니가 외투막의 상피세포라는 것을 밝혀냈다. 또 L.부톤은 진주주머니는 외투막의 표면이 함입(陷入)하여 생긴다고 했고, A.러벨은 진주주머니가 외투막의 상피세포에서 직접 유발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와 같이, 조개껍데기의 진주층을 분비하는 작용을 가진 외투막의 상피조직을 이식하여 인공적으로 진주주머니를 형성시키는 연구가 여러 사람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오늘날의 천연진주인 경우 진주주머니가 어떠한 자극에 의하여 체내에 형성되느냐에 따라 진주의 성인이 달라진다. 상피조직이 어떤 원인으로 다른 조직 내에 침입 또는 함입하여 진주주머니를 형성하여 진주를 만드는데, 이 때 중심이 되는 핵의 존재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양식진주는 분비물이 왕성한 외투막의 소편(小片)과 인공핵을 진주조개의 생식소와 장관 및 소화맹낭 부근에 삽입해준다. 그러면 외투막의 소편의 상피세포는 자력으로 분비·증식해서 진주주머니를 만들어 인공핵을 둘러싸게 된다. 그리하여 진주층을 분비하여 진주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심각한 해양 오염과 함께 천연 진주의 생산량은 급격히 저하되는 추세이다. 이에 약 100여년 전부터 조개에 인공적으로 핵을 삽입하여 진주를 얻는 진주의 양식방법이 발견되어 진주의 대량 양식이 가능해졌다. 즉 진주의 생성 원리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둥근 형상의 진주핵을 조개의 내부에 삽입시켜 진주핵의 표면에 진주층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진주의 양식방법이다.
위와 같은 양식진주를 만드는 패류를 보면, 담수산 진주조개로서 대칭이 조개, 펄 조개, 이켓초 조개 등이 있으며, 해산 조개로서 전복, 진주조개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 밖에 홍합, 맛조개, 피조개, 굴, 바지락, 백합, 개량조개, 소라 등에서도 진주가 생성되나 이들에서 생성되는 진주는 색상, 광택, 모양 등의 가치가 매우 떨어지므로 본격적인 진주양식의 대상종이 되지 않는다.
한편, 진주의 색은 연체동물과 주변환경에 따라 변하며, 흑색에서 백색까지 있다. 그 중에서 흑진주는 흑접패(학명:Pinctada Margaritifera)라는 조개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흑접패는 아열대에서 열대에 걸쳐 넓은 해역에 서식하며, 수온이나 염분, 비중에 대해 대단히 민감한 조개로서 양식하는데 산호가 서식하는 청정한 해수역으로 환경변화가 별로 없는 곳이 아니면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흑진주는 현재까지 양식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진주 양식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개의 경우에는 모두 백색의 진주만을 얻을 수 있을 뿐이므로, 부가가치가 높은 흑진주를 얻기 어려웠다.
또한 흑진주를 얻는다고 하여도 사회의 발전에 따라 개개인의 특색이나 성격을 반영하기 보다는 일정한 구 형태의 동일한 형상의 진주만을 얻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개인의 수요나 특색을 반영하여 차별화할 수 있는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은, 모패로서 키조개를 준비하는 모패처리단계와; 상기 모패의 패각 내측면으로부터 외투막 일부를 들어 올린 후에 상기 패각의 내측면 상에서 삽핵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특정 문양이 양각되어 돌출되거나 특정문양이 부착된 구조를 가지는 핵을, 상기 패각의 삽핵위치에 올려놓고, 상기 패각의 삽입위치에 위치한 핵을 상기 외투막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모패의 패각과 외투막 사이에 핵을 삽입하는 삽핵단계와; 상기 핵이 삽입된 모패를 양성하는 양성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삽핵단계는, 상기 패각의 삽핵위치를 건조시킨 후에 핵을 접착하고, 상기 패각의 삽입위치에 위치한 핵을 상기 외투막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모패의 패각과 외투막 사이에 핵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문양은, 상기 핵이 상기 외투막과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특정문양은, 십자가, 문자, 로고, 숫자, 동식물 형상, 건물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키조개를 모패로 함과 더불어, 키조개의 외투막의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키조개의 패각과 외투막 사이의 삽핵위치에 핵을 견고하게 삽입함으로써 삽입된 핵 또는 진주의 탈락이나 모패의 폐사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를 양식함으로써 개개인의 특성이나 요구를 반영하여 차별화된 흑진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조개를 모패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정에서 키조개에 삽핵되는 핵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흑진주 양식방법의 핵시술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공정에 따라 양식된 흑진주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조개를 모패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모패로서 사용하는 키조개(pen shell)는 사새목 키조개과의 연체동물로서, 이매패류(부족류강;斧足類;Pelecypoda)에 속하며, 껍데기 길이 250∼300㎜, 높이 145∼150㎜, 너비 약 100㎜ 정도이며, 길이는 350㎜에 이르는 것도 있다. 모양은 각정(殼頂)이 매우 좁고 아래로 점점 넓어진 삼각형이어서 마치 곡식 따위를 까부르는 키를 닮은데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러한 키조개의 껍데기는 그 빛깔이 회록갈색이나 암황록색이며, 그 안쪽면은 검은색이며 진주 광택이 난다.
우선, 본 발명은 키조개를 모패로 준비하는 모패처리 단계를 시행한다(S10).
본 발명에서 모패로서 사용되는 키조개의 생식소 안에 생식세포(알 또는 정자)가 충만해 있으면 핵을 시술하기도 어렵고, 핵을 제대로 시술했다고 하더라도 불량진주가 되기 쉬우므로, 키조개의 생식소 발달을 인위적으로 억제하든지 시술시에 생식세포를 방출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이 모패처리(S10)이다.
모패처리(S10)는 일반적으로 억제, 알빼기, 모패선별, 개각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억제는 키조개의 생식소가 발달하지 않도록 해수 유통이 활발치 못한 채롱(억제통)에 키조개 모패를 많이 수용해서 심층(예컨대 5m 이상)에 수하시키는 것을 말한다. 억제는 수온이 낮은 초봄에 시작하게 되는데, 수온이 비교적 높은 곳에서 월동을 한 모패는 겨울에도 생식선이 발달하므로 이런 경우에는 방란 방정이 끝나는 10월 하순경부터 억제를 시작하여야 한다.
억제과정이 시작되면 키조개의 생식선은 발달하지 않고 생식소 내의 생식세포는 흡수되어 버린다. 억제기간 동안에 수용조건을 모든 조개에 동일하게 해주기 위해 족사를 끊어주고 채롱 속의 위치를 바꿔주는 작업을 거듭한다.
억제기간이 길면 모패가 쇠약해지므로 관리 작업 때마다 조개의 활력상태를 면밀히 살펴보아 너무 쇠약해지면 수용밀도를 낮추고(억제통 내의 조개 마리수를 줄이고), 억제가 잘 되고 있지 않으면 수용밀도를 높여 준다.
억제 작업은 6월 초순경까지는 가능하나 이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아무리 억제하여도 생식선이 발달하게 되므로 6월 중순 이후에 시술할 모패는 생식 세포를 방출시키는 방법, 즉 알빼기를 해주어야 한다. 7월 이후에 실시하는 알빼기는 산란 유발 자극에 쉽사리 반응하므로 온도 자극, 비중 자극, 간출 자극, 족사끊기 등의 방법을 쓰나, 이 중에서도 간출 자극과 온도 자극이 많이 쓰인다. 간출 자극은 키조개가 수용된 억제통을 햇볕에 1시간 정도 노출시켰다가 해수에 넣기를 반복하는 것이며, 온도 자극은 키조개를 심층에 매달아 두었다가 갑자기 표층으로 끌어올리기를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억제나 알빼기 작업을 순조롭게 마친 모패는 진주핵을 넣기 위하여 선별 정리한다. 모패에 붙은 부착물은 깨끗이 제거하고 키조개는 크기별로 선별하여 채롱에 넣어 수하한 뒤 약 1주일 후에 다시 조개닦기 및 선별을 반복한다.
선별을 마친 키조개에 핵의 삽입을 위하여 조개 패각을 벌려야 하는데 무리하게 개각하면 패주가 끊어지거나 패각이 상하는 수가 있어 시술 성적이 나빠지므로 자연스럽게 개각하도록 준비한다. 이때 개각 작업이나 개각된 상태가 너무 오래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모패처리(S10)를 거친 키조개는 삽핵단계를 거치게 된다(S20).
상기 삽핵단계(S20)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문양(Design 또는 pattern)(7a,7b)이 형성된 핵(7)을 준비한다.
여기서, 핵(7)은 패각이 두터운 두드럭조개류의 껍데기를 원재료로 하여 구슬과 같은 반구형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며, 표면이 매끈하게 처리되고 색상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것을 사용하며, 무늬가 보이는 것은 피해야 한다. 상기 핵(7)은 완전구형이 아닌 타원형(예를 들면, 계란형상)의 반구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계란을 반으로 자른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문양(7a,7b)은 상기 핵(7)의 일정부분에 양각되어 돌출되거나 상기 핵(7)과 동일재질의 특정문양이 상기 핵(7)의 일정부분에 부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문양(7a,7b)은 상기 핵(7)이 상기 외투막(3)과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특정문양(7a,7b)은 상기 핵(7)이 패각(2)과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특정문양(7a,7b)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가 모양을 가질수도 있고, 도 2의 (b)와 같이, 문자를 가질 수도 있으며, 로고, 숫자, 동식물 형상, 건물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문양(7a,7b)은 생산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거나 특정 개인의 요구에 의해 원하는 문양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다양한 문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모패(1)의 패각(2) 내측면에 특히, 패각(2)과 외투막(3) 사이에서 패각(2)의 내측면에 삽핵위치(5)를 결정한다. 삽핵위치(5)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투막(3)의 일부를 들어올림으로써 노출시키고, 삽핵위치(5)에 핵(7)을 올려놓는다. 그 후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투막(3)으로 핵(7)을 덮음으로써 핵(7)은 패각(2)과 외투막(3) 사이에 삽입되어 핵(7)의 삽입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삽핵단계(S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각(2)과 외투막(3) 사이에서 패각(2)의 내측면 일정위치를 삽핵위치(5)로 결정하고, 삽핵위치(5)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투막(3)의 일부를 들어올림으로써 노출시키고, 이 노출된 삽핵위치(5)를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핵(7)을 삽핵위치(5)의 표면에 접착제(6)를 통해 접착시키고, 그 후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투막(3)으로 핵(7)을 덮음으로써 핵(7)은 패각(2)과 외투막(3) 사이에 삽입되어 핵(7)의 삽입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삽핵위치(5)의 건조는 들어올려진 외투막(3)과 패각(2)의 내측면 사이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건조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삽입위치(5)에 근접한 패각(2)의 외측면을 인두 등과 같은 가열체를 접촉시켜 패각(2)의 외측면으로부터 패각(2)의 내측면으로 일정온도의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삽핵위치(5)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삽핵을 할 때에는 수온 변화에 유의하며 진행하여야 한다. 한 개체에 소형 또는 중형 핵을 2개 넣은 방법과 대형 핵 1개를 넣는 방법이 있는데 생식소의 크기나 상태에 따라 조정해야 한다. 중형이나 대형 핵인 경우 1개는 장관우곡부 가까이의 주머니 모양으로 생긴 생식고 내에 삽핵하고(제1핵), 다른 하나는 소화 맹낭 가까이에 삽핵한다(제2핵).
양성과정(S30)은 삽핵이 끝난 모패를 채롱에 넣어 대략 10일 정도 양성시설에 수하하여 관리하는 과정으로, 이 기간동안 탈핵 및 폐사체를 가려낸다. 이때, 수용용기로는 주머니식 채롱이나 사각 채롱을 사용한다.
또한, 양성과정에서는 채롱을 이용한 수하 양성 대신에 저질(갯벌)에 직접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갯벌에 직접 삽입하는 방법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오염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남해안 갯벌에 키조개의 성장과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양성되기 위하여 갯벌에 각정부를 아래로 하여 심어서 양성한다. 즉, 키조개는 일시부착성 패류로서 부착력이 약하므로, 양성을 할 경우 모 심듯이 갯벌(저질)에 심어서 양성하며, 양성장은 내만으로서 모래질의 함량이 5% 미만인 갯벌(저질)의 간조선 부근이 적당하다.
방양밀도는 작업의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당 40~50 개체가 적당하고, 양성기간은 6개월~1년간이며, 생존률은 80% 정도이고, 방양 시기는 3~8월이 적당하다.
키조개는 갯벌의 저질 바닥에 잠입하여 패각의 입구만 저질 표층에 내놓고 서식하는 관계로 부유물질이나 부니의 퇴적이 심한 곳은 키조개가 질식사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런 지역을 피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갯벌에 직접 삽입하는 방식을 통한 흑진주 양식방법은 키조개가 갯벌 표면으로부터 7~8㎝까지 밖으로 나왔다 들어갔다를 반복함으로써 따게비, 규조류 등의 해적 생물로부터의 피해를 입지 않으며 적조나 태풍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삽핵된 모패의 양성 기간은 핵과 진주의 크기에 따라 다르나, 소형 핵을 시술한 것은 5~7개월, 중형 핵의 경우는 대략 10개월, 대형 핵 시술패는 대략 1년 반이 지나면 수획할 수 있다. 이러한 수획 가능 기간은 통상의 진주양식에 있어서 중형 핵의 경우가 1년 반정도, 대형 핵의 경우가 대략 2년 반임에 비해 현저히 적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양성 과정을 마친 키조개는 그 내부에 충분히 상품가치가 있는 흑진주를 생성하여 보유하게 된다. 이렇게 흑진주가 생성되는 이유는 진주층의 단백질 중에 키조개 껍데기 안쪽에 함유된 특유의 흑갈색 색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며, 흑진주의 색상이 선명한 흑색인 이유는 키조개의 흑갈색 색소와 뻘에서의 양성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개를 수획한 후 패각근을 끊고 패각을 제거한 후 흑진주 원석을 채취하는 마지막 과정을 거치게 된다(S40).
이렇게 채취된 흑진주 원석(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핵(7) 외표면에 진주층(8)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는 상기 흑진주 원석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단면도이다. 상기 흑진주 원석(10)은 핵(7)의 외표면에 진주층(8)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핵(7)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완전구형이 아니라 부분적인 구형인 타원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진주층(8)은 상기 핵(7)의 외표면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핵(7)에 돌출형성된 특정문양(7a,7b)의 형상이 그대로 진주층(8)에도 특정문양(8a)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구형 또는 부분적인 구형의 흑진주 원석(10)의 외표면에 상기 특정문양(8a)이 그대로 나타나므로, 일반적인 흑진주와 차별화된 흑진주(10)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흑진주원석(10)은 가공되어 반지나 목걸이 등의 장식물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1: 모패 2: 패각
3: 외투막 5: 삽핵 위치
7: 핵 7a,7b,8a : 특정문양
8: 진주층 10: 흑진주 원석

Claims (4)

  1.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에 있어서:
    모패로서 키조개를 준비하는 모패처리단계와;
    상기 모패의 패각 내측면으로부터 외투막 일부를 들어 올린 후에 상기 패각의 내측면 상에서 삽핵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특정 문양이 양각되어 돌출되거나 특정문양이 부착된 구조를 가지는 핵을, 상기 패각의 삽핵위치에 올려놓고, 상기 패각의 삽입위치에 위치한 핵을 상기 외투막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모패의 패각과 외투막 사이에 핵을 삽입하는 삽핵단계와;
    상기 핵이 삽입된 모패를 양성하는 양성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핵단계는, 상기 패각의 삽핵위치를 건조시킨 후에 핵을 접착하고, 상기 패각의 삽입위치에 위치한 핵을 상기 외투막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모패의 패각과 외투막 사이에 핵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문양은, 상기 핵이 상기 외투막과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거나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특정문양은, 십자가, 문자, 로고, 숫자, 동식물 형상, 건물형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
KR1020120064977A 2012-06-18 2012-06-18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KR20130141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977A KR20130141887A (ko) 2012-06-18 2012-06-18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977A KR20130141887A (ko) 2012-06-18 2012-06-18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87A true KR20130141887A (ko) 2013-12-27

Family

ID=4998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977A KR20130141887A (ko) 2012-06-18 2012-06-18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8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7593A (zh) * 2014-05-04 2014-07-30 千足珍珠集团股份有限公司 有核珍珠的培育方法
CN105165685A (zh) * 2015-10-13 2015-12-23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一种双白壳熊本牡蛎品系的制种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7593A (zh) * 2014-05-04 2014-07-30 千足珍珠集团股份有限公司 有核珍珠的培育方法
CN105165685A (zh) * 2015-10-13 2015-12-23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一种双白壳熊本牡蛎品系的制种方法
CN105165685B (zh) * 2015-10-13 2017-11-07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一种双白壳熊本牡蛎品系的制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97068B (zh) 一种提高人工繁育砗磲幼贝增殖放流成活率的方法
Lebour The eggs and larvae of the British prosobranch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ose living in the plankton
Abbott Seashells of North America: a guide to field identification
Ruiz-Rubio et al. The influence of culture method and culture period on quality of half-pearls (‘mabé’) from the winged pearl oyster Pteria sterna, Gould, 1851
Hornell The common molluscs of South India
WO2010120515A2 (en) Methods for producing cultured pearls in conch and other gastropods
Dawson et al. Seashore plants of California
CN110269020A (zh) 一种自反馈式淡水珍珠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CN104012432A (zh) 一种适宜北方海区香港巨牡蛎人工育苗的方法
KR20110123483A (ko) 키조개를 모패로 하는 흑진주 양식방법
CN105265350A (zh) 一种海水珍珠养殖采收方法
KR20130141887A (ko) 일정 문양을 가지는 흑진주 양식방법
CN107079856B (zh) 一种用厚壳贻贝养殖有核游离海虹珍珠的方法
Nur et al. Effect of number of nuclei and nucleus position on shell growth and mabe pearl coating in Pteria penguin cultured in coastal waters of Southeast Sulawesi, Indonesia
Tanu et al. Production and quality of mantle tissue transplanted pearls in Lamellidens marginalis cultured in different locations of Mymensingh district, Bangladesh.
RU2374838C1 (ru)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жемчуга заданной формы и размера
CN105475183A (zh) 一种海水珍珠养殖育珠及插核方法
CN105284669A (zh) 一种海水珍珠养殖育珠及插核方法
Tanu et al. Impact of Culture Period on Quality of Image Pearls Produced by the Freshwater Mussel, Lamellidens marginalis, in Bangladesh
Siddique et al. Optimizing pearl production inoculating paraffin image in freshwater mussel (Lamellidens marginalis) cultured in perennial ponds J
Rao et al. Aquaculture of green mussel Mytilus viridis L.: spawning, fertilization and larval development
Kripa et al. Production of designer mabe pearls in the black-lipped pearl oyster, Pinctada margaritifera, and the winged pearl oyster, Pteria penguin, from Andaman and Nicobar Islands, India
KR100595605B1 (ko) 키조개를 이용한 흑진주의 양식방법
Alagarswami Technology of cultured pearl production
CN105309341A (zh) 一种海水珍珠养殖插核育珠施术插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