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425B1 - 콤바인의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425B1
KR100338425B1 KR1019990038252A KR19990038252A KR100338425B1 KR 100338425 B1 KR100338425 B1 KR 100338425B1 KR 1019990038252 A KR1019990038252 A KR 1019990038252A KR 19990038252 A KR19990038252 A KR 19990038252A KR 100338425 B1 KR100338425 B1 KR 100338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receiving net
combine
receiv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001A (ko
Inventor
류이치 미나미
데루오 니시
유지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5512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384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2000002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4One-part threshing conc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받이망의 파손등을 생기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비록 받이망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받이망 전체의 교환을 행하지 않아도 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제공한다.
탈곡실(9)에 있어서 탈곡체(10)의 하측에 탈곡체 주변방향을 따라서 팽팽하게 설치된 받이망(11)을, 강판재로 처리물누하구멍(a)을 종횡으로 뚫어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받이망(11)을 탈곡케이스(23)에 고정하는 지지틀(18)에 체결고정가능한 체결부(T1)와, 상기 받이망(11)의 받이면측에 활형상쇠(19,20)를 체결고정가능한 제 2체결부(T2)를 설치하고, 상기 체결부(T1) 및 제 2체결부(T2)의 각각을 상기 받이망(11)의 탈곡체축심방향 및 탈곡체폭방향에서의 중심(X)을 점대칭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장치.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장치{THRESHING APPARATUS OF A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있어서는, 받이망으로서, 주름망으로 구성한 것이나, 합성수지를 망체(網體)모양으로 구성한 것이 주지하는 바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주름망이든, 합성수지제의 망체이든, 그 일부가 파손한 경우에, 전체를 교환하도록 하였다. 그때문에, 비용이 높게 된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받이망의 파손등이 생기기 어렵게 됨과 동시에, 예를들면 받이망의 일부가 파손하여도 받이망전체의 교환을 행하지 않아도 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2는 받이망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받이망을 도시하는 전개평면도;
도 4는 받이망을 도시하는 전개평면도;
도 5는 받이망의 처리물누하구멍이나 살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활형상쇠의 판금재로부터의 타발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탈곡실 10; 탈곡체
11; 받이망 16; 세로살부분
17; 가로살부분 19,20; 활형상쇠
a; 처리물누하구멍 T1; 체결부
T2; 제 2체결부 X; 중심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탈곡장치는, 탈곡실에 있어서 탈곡체의 하측에 탈곡체둘레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받이망을, 강판재로 처리물누하구멍을 종횡으로 뚫어 설치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이망을 탈곡케이스에 고정하는 지지틀에 체결고정가능한 체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받이망의 탈곡체축심방향 및 탈곡체폭방향에서의 중심을 점대칭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구성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탈곡실에 있어서 탈곡체의 하측에 탈곡체둘레방향을 따라서 설치하는 받이망을, 강판재에 처리물누하(아래로 떨어뜨림)구멍을 종횡으로 뚫어 설치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이망을 탈곡케이스에 고정하는 지지틀에 체결고정가능한 체결부를 설치하고, 이것을 받이망의 탈곡체축심방향 및 탈곡체폭방향으로의 중심을 점대칭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받이망이 강판재에 의해 마모하기 어렵게 됨과 동시에, 특히 탈곡처리에 있어서 받이망의 마모가 쉬운 부분의 구멍끼리를 칸막이하는 살부재가 마모로 일부가 없어지는 일이 있어도, 강판재의 받이망을 180도 반전시켜 탈곡실내에 고쳐 부착하는 것만으로, 가장 마모 또는 파손한 부분이 탈곡처리의 방해가 되지않는 위치로 변함과 동시에, 탈곡처리가 집중하여 행해지는 부분에는 양호한 받이면을 면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받이망의 일부가 마모등에 의해 파손되어도, 같은 받이망의 부착방향을 180도 뱐전시켜 고쳐 부착하는 것만으로 탈곡처리를 양호하게 행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일부러 신품으로 교체하는 것같은 비용상승이 생기는 정비를 행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받이망이 강판재이므로 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되고, 장기사용에 견딜 수 있어, 경제적인 것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탈곡장치에서는, 상기 받이망의 받이면측에 활형상쇠를 체결고정가능한 제 2체결부를 설치하고, 및 제 2체결부도 상기 받이망의 탈곡체축심방향 및 탈곡체폭방향에서의 중심을 점대칭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탈곡장치는, 상기 받이망에 있어서 처리물누하구멍사이의 살부분중, 탈곡체축심방향을 따르는 세로살부분의 폭을, 탈곡체둘레방향을 따르는 가로살부분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이면, 받이망에 있어서 처리물누하구멍사이의 살부분중, 탈곡체축심방향에 따른 세로살부분의 폭을, 탈곡체둘레방향을 따르는 가로살부분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처리물로 문지르는 것 등에 의한 마모가 탈곡체둘레방향 즉, 탈곡이빨의 이동방향과는 교차하는 탈곡체축심방향을 따르는 세로살부분은 그것과는 직교하는 둘레방향을 따르는 살부분보다 마모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데, 그 마모등의 우려가 높은 세로살부분에 대하여는 폭을 크게 설정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특히 마모등의 우려가 높은 세로살부분의 폭을 크게 설정한다고 하는 간이한 구조에 의해 받이망으로서의 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될 수 있다.
콤바인의 탈곡장치는, 상기 활형상쇠를, 그 길이방향에서의 양단부근에 있어서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형상쇠를, 그 길이방향으로의 양단부 근처에 있어서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활형상쇠를 판금재로부터 타발(打拔:blanking)하여 제조하는데 있어서, 타발되는 활형상쇠끼리의 판금재상에서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서, 판금재에 있어서, 빼고 남은 부분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낭비없이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콤바인의 탈곡장치(4)를 도시하고 있다. 탈곡장치(4)는, 탈곡부(A), 선별부(B) 및 처리물회수부(C)로 구성되어있다. 즉, 탈곡부(A)는 도시하지않은 예취전처리장치로 베어진 줄기를 피드체인(8)으로 끼워 반송하면서 그 이삭끝부분을 탈곡처리하기 위해서, 탈곡실(9)내에 탈곡체(10)를 전후방향을 따르는 축심(P1)주위에서 회전구동되는 상태로 축지지하고, 이 탈곡체(10)의 하측의 외주를 따르도록 처리물누하용의 받이망(11)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별부(B)는, 받이망(11)으로부터의 처리물을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장치(12)와, 전방으로부터 요동선별장치(12)로 향해서 후방 상방방향으로 선별을 위한 바람을 송풍하는 팬(13)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수부(C)는 요동선별장치(12)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정선된 처리물을 회수하는 제1 회수장치(14)와, 요동선별장치(12)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거칠게 선별한 처리물을 회수하여 요동선별장치(12)로 환원하는 제2 회수장치(1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받이망(11)은, 판두께가 4.5mm 내지 3.2mm의 강판(K)에 프레스가공에 의한 타발에 의해 처리물누하구멍으로서의 다수의 구멍(a)을 뚫어 설치한 것으로, 그 구멍(a)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종횡으로 나란히 설치된 상태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구멍(a)끼리의 살부분중에서, 탈곡체축심방향에 따른 세로살부분(16)의 폭(L1)은 탈곡체둘레방향에 따른 가로살부분(17)의 폭(L2)보다 크게 설정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탈곡체(10)의 회전에 따라 가장 마모하기 쉬운 세로살부분(16)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으로 되고, 더 나아가서는 받이망 전체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강판(K)에는, 그 주위부분에 지지틀(18)로의 체결부(T1)를 설치함과 동시에, 둘레방향에 따라 설치되는 전후 한쌍의 활형상쇠(19,20)의 지지부착을 행하는 제 2체결부(T2)도 설치하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시나사(21)로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틀(18)의 외틀부분과 중간의 틀부분과의 각각에 구멍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강판(K)은 그 전후좌우방향으로 중심점(X)을 중심으로 하여, 받이망(11)의 받이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축심을 대칭축으로 하는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각 구멍부(22)는 중심점(X)을 통하는 축심주위에서 180도의 위치에도 동일의 것이 존재하도록 설정되어있다. 그때문에, 탈곡케이스(23)에 고정된 지지틀(18)에 대하여 중심점(X)주위에서 전후좌우를 반전시켜도 동일하게 지지틀(18)에 부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활형상쇠(19,20)에 대하여도 상기 중심점(X)주위에 대하여 180도 반전한 위치에 대하여도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접시나사(24)로 체결고정하기위한 구멍부(25)를, 강판(K)에 있어서 중심점(X)을 중심으로 하는 180도 점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특히 탈곡부(A)의 입구근처에 그리고 기체안쪽이 받이망의 가장 마모하기 쉬운 부분으로 되는데, 이 부분의 마모에 의해 구멍(a)이 부적당하게 된 상태로 된 경우에는, 받이망(10)의 강판(K)을 전후좌우반전시켜 부착함으로써, 그 불량부분은 피드체인(8)근처의 후측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탈곡처리상 거의 악영향을 주지않는 것으로 되므로, 단일의 강판(K)을 전체의 교환을 하지 않고도 유효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활형상쇠(19,20)의 구조등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활형상쇠(19,2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정됨과 동시에, 그 양단부는 서서히 높이가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판금재로부터 타발(blanking)하여 활형상쇠(19,2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공후 나머지부분이 너무 생기지 않도록 각 활형상쇠(19,20)가 밀접하는 상태로 타발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받이망의 일부가 마모등에 의해 파손되어도, 같은 받이망의 부착방향을 180도 반전시켜 고쳐 부착하는 것만으로 탈곡처리를 양호하게 행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일부러 신품으로 교체하는 것같은 비용상승이 생기는 정비를 행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받이망이 강판재이므로 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되고, 장기사용에 견딜 수 있어, 경제적인 것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받이망에 있어서 처리물누하구멍사이의 살부분중, 탈곡체축심방향에 따른 세로살부분의 폭을, 탈곡체둘레방향을 따르는 가로살부분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처리물로 문지르는 것 등에 의한 마모가 탈곡체둘레방향 즉, 탈곡이빨의 이동방향과는 교차하는 탈곡체축심방향을 따르는 세로살부분은 그것과는 직교하는 둘레방향을 따르는 살부분보다 마모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데, 그 마모등의 우려가 높은 세로살부분에 대하여는 폭을 크게 설정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특히 마모등의 우려가 높은 세로살부분의 폭을 크게 설정한다고 하는 간이한 구조에 의해 받이망으로서의 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될 수 있다.
콤바인의 탈곡장치는, 상기 활형상쇠를, 그 길이방향으로의 양단부근에 있어서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형상쇠를, 그 길이방향으로의 양단부 근처에 있어서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활형상쇠를 판금재로부터 타발하여 제조하는데 있어서, 타발되는 활형상쇠끼리의 판금재위에서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서, 판금재에 있어서, 빼고 남은 부분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낭비없이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탈곡실(9)에 있어서 탈곡체(10)의 하측에 탈곡체둘레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받이망(11)을, 강판재(K)로 처리물누하구멍(a)을 종횡으로 뚫어 설치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받이망(11)을 탈곡케이스(23)에 고정하는 지지틀(18)에 체결고정가능한 체결부(T1)가 설치된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T1)가, 상기 받이망(11)을 상기 지지틀(18)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1)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당해 받이망(11)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부(22)로 구성되고,
    이 구멍부(22)가, 상기 받이망(11)의 탈곡체축심방향 및 탈곡체폭방향에서의 중심점(X)을 통과하며 그리고 당해 받이망(11)의 받이면에 직교하는 축심을 대칭축으로 하는 점대칭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망(11)의 받이면측에 활형상쇠(19,20)를 체결고정가능한 제 2체결부(T2)가 설치되고,
    상기 제 2체결부(T2)가, 상기 받이망(11)의 상기 탈곡체폭방향을 따라 부설되는 활형상쇠(19,20)를 상기 지지틀(18)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구(24)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당해 받이망(11)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부(25)로 구성되고,
    이 구멍부(25)가, 상기 직교하는 축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점대칭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망(11)에 있어서 처리물누하구멍(a)사이의 살부분중에, 탈곡체축심방향에 따른 세로살부분의 폭을, 탈곡체둘레방향에 따른 가로살부분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탈곡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형상쇠(19,20)를, 그 길이방향으로의 양단부 근처에 있어서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탈곡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망(11)을 3.2mm 부터 4.5mm의 두께를 가지는 만곡한 강판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탈곡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망(11)을 프레스가공에 의한 타발에 의해 상기 처리물누하구멍(a)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탈곡장치.
  7. 삭제
  8. 삭제
KR1019990038252A 1998-09-29 1999-09-09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0338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75143 1998-09-29
JP10275143A JP2000092971A (ja) 1998-09-29 1998-09-29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001A KR20000023001A (ko) 2000-04-25
KR100338425B1 true KR100338425B1 (ko) 2002-05-27

Family

ID=1755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252A KR100338425B1 (ko) 1998-09-29 1999-09-09 콤바인의 탈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092971A (ko)
KR (1) KR100338425B1 (ko)
CN (1) CN110744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733A (ja) * 2005-03-15 2006-09-28 Yanmar Co Ltd 脱穀装置
US20150156970A1 (en) * 2011-01-05 2015-06-11 Zharylkasyn Sadykov Crop threshing method
CN109906778B (zh) * 2019-03-18 2023-09-26 江苏大学 一种双侧板组合夹紧脱粒间隙可调的脱粒装置及联合收获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853B2 (ja) * 1989-11-16 1995-10-11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CN1071989C (zh) * 1996-01-25 2001-10-03 洋马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9127A (zh) 2000-04-05
CN1107442C (zh) 2003-05-07
KR20000023001A (ko) 2000-04-25
JP2000092971A (ja) 200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00650A1 (en) Method and detail for processing a stator vane
KR100338425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BR9901538A (pt) Processo, e, sistema de moagem de farinha.
ES2164921T3 (es) Dispositivo de cribado, tal como un cilindro de cribad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l dispositivo de cribado.
SE9900411L (sv) Radioantennenhet
RU2006131554A (ru) Резцедержатель, демпфирующий вибрации
PT1008683E (pt) Processo para a compensacao da alteracao da extencao e tensao numa urdidura, e tear para execucao do processo.
ZA905034B (en) Screening machine
FR2802766B1 (fr) Element de coupe d'une machine de coupe de vegetaux rotative et machine de coupe de vegetaux rotative comportant un tel element de coupe
IT1312332B1 (it) Metodo e macchina tessitrice per tessere un tessuto di pelo.
ES2172399B1 (es) Maquina tricotosa de urdimbre
CN101125330A (zh) 一种波浪形插入式不紧固筛板
CN215353730U (zh) 一种搅拌块固定式耐磨破碎筛分轴
CA2546273A1 (en) Shaped slot vacuum dewatering box cover
CN110479588A (zh) 一种筛板安装结构、筛板组件及筛分机
CN215586634U (zh) 一种可更换搅拌块的破碎筛分轴
CN213001189U (zh) 弹性弛张聚氨酯筛板
DE50308876D1 (de) Löffelbagger
KR100411799B1 (ko) 스틸벨트 절단용 나이프의 고정구조
CN217664537U (zh) 一种新型筛网清理器及摇摆筛
FR2781817B1 (fr) Procede de tricotage d'une poche dans un tricot trame, et tricot trame a poche obtenu
CN208852998U (zh) 一种牦牛骨蛋白肽生产用牦牛骨处理系统
CN207669406U (zh) 一种经编机剖幅装置
EP1166875A2 (en) Rotor with cutting tools particularly for shredders
CS246481B1 (cs) Třídicí ploc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