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282B1 - 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 Google Patents

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282B1
KR100338282B1 KR1019990050434A KR19990050434A KR100338282B1 KR 100338282 B1 KR100338282 B1 KR 100338282B1 KR 1019990050434 A KR1019990050434 A KR 1019990050434A KR 19990050434 A KR19990050434 A KR 19990050434A KR 100338282 B1 KR100338282 B1 KR 10033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witch
rail
carrier plate
upper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6606A (en
Inventor
전제형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282B1/en
Publication of KR2001004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6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82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1), 와이어(2),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 및 레일(4) 및 스위치 작동구(6)를 구비한 캐리어 플레이트(5)로 구성된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일(4)은 사각관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면 중심선상에는 가이드 공(41)을 형성하고,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로는 푸쉬 스위치를 채택하여 그의 작동레버(31)가 하방부를 향하도록 하여 레일(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구(6)로는 베어링을 채택하되 상기 베어링은 축(61)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5)에 축지시켜 모터(1)의 회동력에 의해 와이어(2)가 회동될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5)와 베어링이 상기 레일(4)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므로써,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 또는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드 사이등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마찰력이 발생되거나,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의 어느 일측에 물체가 끼게 됨으로 인해 글래스 및 캐리어 플레이트가 회전하더라도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축지된 체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베어링형 스위치 작동구가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인 푸쉬 스위치의 레버를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어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만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mit switch operating device for detecting an upper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and in particular, a window regulator motor (1), a wire (2), a limit switch (3) for detecting a glass upper limit and a rail (4) and switch operation. In the safety glass regulator system composed of a carrier plate 5 having a sphere 6, the rail 4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but a guide hole 41 is formed on the front center line, and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is performed. For the limit switch 3, a push switch is adopted so that its actuating lever 31 faces downward, an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ail 4, and the switch actuating hole 6 adopts a bearing, but the bearing The carrier plate 5 and the bearing follow the rail 4 when the wire 2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 so that the carrier plate 5 is axially supported through the shaft 61. This allows the carrier to move up and down, even if th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due to some reason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or between the rail and the carrier plate, or the object is caught between one side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A bearing-type switch actuating device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 sieve rail supported on a plate can precisely operate the lever of a push switch,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glass upper limit, to satisfy the regulations required by the safety glass regulator system. Of course, the safety can be secured that much.

Description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작동장치{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본 발명은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글래스의 저부에 고정된체 레을을 따라 승하강되는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드가 유동되더라도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를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글레스의 상단부가 도어 샤시에 완전히 밀접되었을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만약 물체가 낀 상태에서 소정압력(즉, 10Kgf 이하) 이상으로 가해지면 모터를 역회전시켜 글래스가 자동 하강하도록 된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mit switch operating device for detecting an upper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and more particularly, an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even when a carrier plate of a safety glass regulator is moved up and down along a sieve fixed to the bottom of the glass. When the upper end of the glass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chassis, the motor is stopped.If the object is caught with a certain pressure (that is, less than 10kgf), the motor rotates in reverse. It was invented to satisfy safety regulations as well as to automatically lower.

최근들어 대부분의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를 이용하여 개폐시키는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Recently, most automotive door glasses adopt a safety glass regulator which is opened and closed using a window regulator motor.

이와같은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방식에 의한 도어 글래스 개폐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판넬(7)의 내측면 중간부에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1), 와이어(2),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 및 레일(4)로 구성되는 레귤레이터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4)에는 글래스(9)를 고정한 체 모터(1)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2)가 회전되면 상기 레일(4)을 따라 승하강 하는 판체형의 캐리어 플레이트(5)가 설치되며, 이 캐리어 플레이트(5)의 일측부에는 상기 레일(4)을 따라 승하강 하다가 최상단에 이르르면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편(8)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oor glass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afety glass regulator method is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window regulator motor 1, the wire 2, and the glass upper limit point in the middle of the inner side of the door panel 7. A regulator assembly consisting of a (3) and a rail (4) is installed, and when the wire (2)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ieve motor (1) in which the glass (9) is fixed to the rail (4), the rail (4) A plate-shaped carrier plate 5 which is moved up and down is installed, and on one side of the carrier plate 5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il 4 and reaches the uppermost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glass upper limit point. 3) The switch operating piece 8 which operates 3) is provided.

따라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운전석 주변 및 도어 판넬 일측부에 설치된 글래스 업/다운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1)가 정방 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레일(4)과 모터(1)의 풀리 및 캐리어 플레이트(5)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일정 형상을 갖는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어, 상기 와이어(2)의 일측과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5)가 레일(4)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도어의 글래스(9)가 자동 개폐되는 것이다.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the window regulator motor 1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en the glass up / down switch is installed around the driver's seat and on one side of the door panel so that the pulleys of the rail 4 and the motor 1 are rotated. And a wire 2 installed between the carrier plates 5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carrier plate 5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re 2 is along the rail 4. As it is raised or lowered, the glass 9 of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이때, 상기 레일(4)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래스(9)가 완전히 닫혀지는 시점에서 캐리어 플레이트(5)에 설치되어 레일(4)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스위치 작동편(8)에 의해 작동되어 모터(1)로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4 is installed on the carrier plate 5 when the glass 9 is completely closed, as shown in FIG. 2. It is operated by the switch operating piece 8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ail 4 to cut off the power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1.

그런데,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다 보면 글래스(9)와 도어 샤시(71) 사이 또는 레일(4)과 캐리어 플레이트(5) 사이등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나, 글래스(9)와 도어 샤시(71) 사이의 어느 일측에 물체가 끼었을시에는 글래스(9) 및 캐리어 플레이트(5)가 유동(회전)하게 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5) 상에 고정된체 레일(4)을 따라 승하강 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작동편(8)의 위치가 변화되는데도 불구하고, 종래의 세이프티 도어 글래스 개폐장치에서는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를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채택하고, 또 이 마이크로 스위치의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캐리어 플레이트(5) 상에 스위치 작동편(8)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However, when the door glass is raised and lowered, any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glass 9 and the door chassis 71 or between the rail 4 and the carrier plate 5, or between the glass 9 and the door chassis 71, is obtained. When the object is caught on one side, the glass 9 and the carrier plate 5 is moved (rotated)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body rail (4) fixed on the carrier plate (5) Although the position of (8) is changed, in the conventional safety door glass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is adopted as a micro switch operated by a lever, and the lever of this micro switch is used. The switch operation piece 8 is provided on the carrier plate 5 as a means for operating.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캐리어 플레이트(5)가 회전할 경우 도 3의가상선과 같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5) 상에 고정 설치된 체 레일(4)을 따라 승하강되는 스위치 작동편(8)이 마이크로 스위치로 된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의 레버로 부터 벋어나게 되므로 글래스(9) 자체는 상한점에 도달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에서 그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여 모터(1)가 계속 구동하게 되어 과열로 인해 모터(1)가 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글래스(9)와 도어 샤시(71) 사이에 낀 물체에 계속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물체를 손상(사람인 경우 부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carrier plate 5 rotates for the same reason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operating piece 8 which is lowered along the sieve rail 4 fixed on the carrier plate 5 as shown in the virtual line of FIG. Since the glass 9 itself has reached the upper limit,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detects its position because it is released from the lever of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that is a switch. If not, the motor 1 continues to be driven and the motor 1 may be burned out due to overheating. In addition, the object is damaged by continuously applying pressure to an object caught between the glass 9 and the door chassis 71. There is a problem such as causing (injuries if a person).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 또는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드 사이등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마찰력이 발생되거나,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의 어느 일측에 물체가 끼게 됨으로 인해 글래스 및 캐리어 플레이트가 유동(회전)하더라도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체 레일을 따라 승하강 되는 스위치 작동구가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를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due to some cause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or between the rail and the carrier plate, or the object is caught between one side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As a result, even if the glass and carrier plate move (rotate), the switch operating mechanism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xed rail on the carrier plate can operate the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accurately so that it can satisfy the regulations and ensure safe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mit switch actuator for detecting an upper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that can be secur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 와이어,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및 레일 및 스위치 작동구를 구비한 캐리어 플레이트로 구성된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시스템에 있어서,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ty glass regulator system comprising a carrier plate having a window regulator motor, a wire, a glass upper limit detection switch and a rail, and a switch operating port,

상기 레일은 사각관체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면 중심선상에는 가이드 공을 형성하고,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로는 푸쉬 스위치를 채택하여 그의 작동레버가 하방부를 향하도록 하여 레일의 상단부에 설치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구로는 베어링을 채택하되 상기 베어링은 축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에 축지시켜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와이어가 회동될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베어링이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이동하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rail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but a guide ball is formed on the front center line, and a push switch is adopted as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switch so that its operating lever is directed downward and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ail. The switch can be achieved by adopting a bearing, but the bearing is supported on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shaft so that the carrier plate and the bearing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ail when the wire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따라서,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 또는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드 사이등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마찰력이 발생되거나,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의 어느 일측에 물체가 끼게 됨으로 인해 글래스 및 캐리어 플레이트가 회전하더라도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축지된 체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베어링형 스위치 작동구가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인 푸쉬 스위치의 레버를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어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만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due to some cause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or between the rail and the carrier plate, or the object is caught between one side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even if the glass and the carrier plate are rotated, the paper sheet on the carrier plate The bearing switch actuating up and down along the conventional sieve rail can operate the lever of the push switch, the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glass upper limit, to meet the regulations required by the safety glass regulator system.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도 1은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가 설치된 자동차의 일부 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in which a safety glass regulator is installed.

도 2는 종래 세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에서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cut-out showing a state of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operation in the conventional safety glass regulator.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절취 정면도.4 is a partially cut away front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6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 2 : 와이어1: window regulator motor 2: wire

3 :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4 : 레일3: Limit switch for glass upper limit detection 4: Rail

5 : 캐리어 플레이트 6 : 스위치 작동구5 carrier plate 6 switch operation por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절취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4 shows a partial cutaway front view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n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1), 와이어(2),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 및 레일(4) 및 스위치 작동구(6)를 구비한 캐리어 플레이트(5)로 구성된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시스템에 있어서,According to this, the safety glass regulator consists of a window regulator motor 1, a wire 2, a limit switch 3 for detecting the glass upper limit, and a carrier plate 5 having a rail 4 and a switch operating port 6. In the system,

상기 레일(4)은 사각관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면 중심선상에는 가이드 공(41)을 형성하고,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로는 푸쉬 스위치를 채택하여 그의 작동레버(31)가 하방부를 향하도록 하여 레일(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구(6)로는 베어링을 채택하되 상기 베어링은 축(61)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5)에 축지시켜 모터(1)의 회동력에 의해 와이어(2)가 회동될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5)와 베어링이 상기 레일(4)을 따라 승하강이동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il 4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but a guide hole 41 is formed on the front center line, and a push switch is adopted as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switch 3 so that its operating lever 31 has a lower portion. To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ail (4), the switch operating port (6) adopts a bearing, the bearing is held on the carrier plate (5) through the shaft 61 to rot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 When the wire 2 is rotated by the carrier plate 5 and the bea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along the rail (4).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 장치에서 주요 구성요소는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와 스위치 작동구(6)를 어떤 것으로 채택하여 레일(4)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며 도어의 글래스(9)를 직접적으로 개폐시키는 캐리어 플레이트(5)가 어떠한 원인으로 회전되더라도 글래스(9)가 상한점에 이르렀을시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가 정확히 작동되도록 하는데 있다.First, the main components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and the switch operating opening 6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il 4 to directly move the glass 9 of the door. Even if the carrier plate 5 to be opened and closed is rotated for any reason,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switch 3 is operated correctly when the glass 9 reaches the upper limit.

따라서, 본 발명 장치에서는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와 스위치 작동구(6)를 원할히 설치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4)을 사각관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면 중심선상에는 상기 스위치 작동구(6)인 베어링의 축(61)이 승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공(41)을 형성하였다.Therefore,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4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ular shape so that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switch 3 and the switch operating port 6 can be installed and moved smoothly. The guide ball 41 was formed so that the shaft 61 of the bearing (6) could move up and down.

또한, 종래에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던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를 푸쉬 스위치로 채택하되 그의 작동레버(31)는 하방부를 향하도록 하여 레일(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하고, 또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구(6)로는 베어링을 채택하여 레일(4)의 내부에 설치하였다.In addition,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which used a micro switch, is conventionally adopted as a push switch, but its operating lever 3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ail 4 so as to face downward. As the switch operating opening 6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a bearing was adopted and installed inside the rail 4.

이때, 상기 베어링은 축(61)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5)의 중신선상에 축지시켜 주므로써, 모터(1)의 회동력에 의해 와이어(2)가 회동될시 상기 와이어(2)상에 고정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5)와 베어링이 레일(4)을 따라 동시에 승하강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aring is held on the middle wire of the carrier plate 5 through the shaft 61, so that when the wire 2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 is fixed on the wire (2) The carrier plate 5 and the bearing can move up and down simultaneously along the rail 4.

한편, 운전자 등이 운전석 주변 및 도어 판넬 일측부에 설치된 글래스 업/다운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1)가 정방 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모터(1)와 연동되는 와이어(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일정 형상을 갖는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2)의 일측과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5)와 스위치 작동구(6)가 레일(4)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도어의 글래스(9)가 자동 개폐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or the like operates the glass up / down switch installed around the driver's seat and on one side of the door panel, and the window regulator motor 1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wire 2 interlocking with the motor 1 is Since it rotates by drawing a trajector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carrier plate 5 and the switch operating port 6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re 2 ar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rail 4 so that The glass 9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또한, 상기 레일(4)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로써의 푸쉬 스위치는 글래스(9)가 완전히 닫혀지는 시점에서 캐리어 플레이트(5)와 축(61)을 통해 연결된 스위치 작동구(6)로써의 베어링이 레일(4)의 상단부에 이르므로 상기 베어링의 누룸작용에 의해 상기 푸쉬 스위치의 작동레버(31)가 눌러져 모터(1)로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자동 차단시키게 것이다.Moreover, the push switch as th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limit switch 3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aid rail 4 has the carrier plate 5 and the shaft 61 at the time when the glass 9 is fully closed. Since the bearing as the switch operating port 6 connec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ail 4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rail 4, the actuating lever 31 of the push switch is pressed by the bearing actuation of the bearing to automatically supply the power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1. Will block.

그런데,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다 보면 글래스(9)와 도어 샤시 사이 또는 레일(4)과 캐리어 플레이트(5) 사이등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나, 글래스(9)와 도어 샤시 사이의 어느 일측에 물체가 끼었을시에는 글래스(9) 및 캐리어 플레이트(5)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기 스위치 작동구(6)로써의 베이링은 레일(4)의 내부에서 전혀 유동되지 않고(비록 외동된다 하더라도 원형 형상 자체는 변화되지 않음) 그데로 레일(4)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로써의 푸쉬 스위치의 작동레버(31)를 정확히 조작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door glass is raised and lowered, an object may be caught between the glass 9 and the door chassis or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rail 4 and the carrier plate 5, or between the glass 9 and the door chassis. At the time, the glass 9 and the carrier plate 5 are rotated. In this case, the bearing acting as the switch actuating device 6 does not flow at all inside the rail 4 (although it moves outwards). Is not changed.) Therefore, the moving lever move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rail 4, so that the operation lever 31 of the push switch as the limit switch 3 for detecting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is accurately operated.

따라서,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 또는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드 사이등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마찰력이 발생되거나,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의 어느 일측에 물체가 끼게 됨으로 인해 글래스(9) 및 캐리어 플레이트(5)가 회전하더라도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축지된 체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베어링형 스위치 작동구가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인 푸쉬 스위치의 레버를 정확히 작동시켜 모터(1)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시킬 수 있어 상한점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므로 인한 모터(1)의 소손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글래스(9)와 도어 샤시(71) 사이에 낀 물체에 계속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물체를 손상 및 부상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glass 9 and the carrier plate 5 are rotated due to frictional forces generated due to any cause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or between the rail and the carrier plate, or an object is caught between one side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Even if the bearing switch actuating device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ieve rail accumulated on the carrier plate, the power switch applied to the motor 1 can be cut off by precisely operating the lever of the push switch, the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glass upper limit. Since the upper limit position is not detected, damage to the motor 1 can be completely prevented, as well as damage and injury by continuously applying pressure to an object caught between the glass 9 and the door chassis 71.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로는 푸쉬 스위치를 채택하고, 스위치 작동구로는 베어링을 채택하여 축을통해 캐리어 플레이트에 축지시켜 주므로써,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 또는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드 사이등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마찰력이 발생되거나, 글래스와 도어 샤시 사이의 어느 일측에 물체가 끼게 됨으로 인해 글래스 및 캐리어 플레이트가 회전하더라도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축지된 체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베어링형 스위치 작동구가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인 푸쉬 스위치의 레버를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어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만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switch is adopted as the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glass upper limit point, and the bearing is adopted as the switch operation port to be held on the carrier plate through the shaft, thereby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or the rail. Bearings that ar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sieve rails bearing on the carrier plate even if the glass and the carrier plate are rotated due to friction caused by any cause, or between the glass and the door chassis. The type switch operating mechanism can operate the lever of the push switch, which is the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glass upper limit, to satisfy the laws and regulations required by the safety glass regulator system as well as to ensure safety. Will be.

Claims (1)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1), 와이어(2), 푸쉬 스위치형 글래스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3) 및 베어링형 레일(4) 및 스위치 작동구(6)를 구비한 캐리어 플레이트(5)로 구성된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 시스템에 있어서,Safety consisting of a window regulator motor (1), a wire (2), a limit switch (3) for push switch type glass upper limit detection, and a carrier plate (5) with a bearing rail (4) and a switch operating opening (6) In the glass regulator system, 상기 레일(4)은 사각관체 형상으로 형성하되 전면 중심선상에는 상기 스위치 작동구(6)인 베어링의 축(61)이 유도없이 레일을 따라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공(4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작동장치.The rail 4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but on the front center line, a guide hole 41 is formed to allow the shaft 61 of the bearing, which is the switch operating hole 6,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il without induction. Limit switch opera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upper limit of the safety glass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90050434A 1999-11-13 1999-11-13 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KR100338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434A KR100338282B1 (en) 1999-11-13 1999-11-13 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434A KR100338282B1 (en) 1999-11-13 1999-11-13 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606A KR20010046606A (en) 2001-06-15
KR100338282B1 true KR100338282B1 (en) 2002-05-27

Family

ID=1961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434A KR100338282B1 (en) 1999-11-13 1999-11-13 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2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8957B2 (en) * 2019-02-08 2021-07-07 株式会社城南製作所 Wind regul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17A (en) * 1995-07-26 1997-02-19 김태구 Indicator light on the vehicle's power wind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17A (en) * 1995-07-26 1997-02-19 김태구 Indicator light on the vehicle's power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606A (en)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5352B2 (en) Shielding door device for radiation inspection system
JP2001507418A (en) Cable-type window lifter with guide rail
CN101500926A (en) Elevator
KR100338282B1 (en) Limit switch operator for detecting a top limit of a safety glass regulator
JP4938360B2 (en) Opening and closing door device
USH1362H (en) Drive mechanism for elevator door
KR0176037B1 (en) Bus automatic door safety device
JP2002256762A (en) Electric moving device
KR100516696B1 (en) Glass Safety Device of Slide-Door
KR100316920B1 (en) A safety power window apparatus for vehicles
KR20030027588A (en) Power window safety system in vehicle
KR101007187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of electric rail car doorway
KR200258121Y1 (en) Lift apparatus for cars
KR100494487B1 (en) Safety device for a sliding side door for veh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307212B1 (en) Device for opening trunk lid of vehicle
KR100307963B1 (en) Vehicle Power Window Glass Stopper_
JP5470573B2 (en) Automatic sliding door with forced pushing means
JP2009234708A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JP2005008383A (en) Elevator device
KR200142281Y1 (en) Power window device for a car
KR100534270B1 (en) Power window operating motor protection device
KR19980048988U (en) Power window safety device of car
KR200337417Y1 (en) Door glass guide apparatus of car
KR100318603B1 (en) Window regulator for raising/lowering a window pane in a motor vehicle
KR100334725B1 (en) Glass safety device of a door for an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