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063B1 -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063B1
KR100338063B1 KR1019990022878A KR19990022878A KR100338063B1 KR 100338063 B1 KR100338063 B1 KR 100338063B1 KR 1019990022878 A KR1019990022878 A KR 1019990022878A KR 19990022878 A KR19990022878 A KR 19990022878A KR 100338063 B1 KR100338063 B1 KR 10033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data
image
roller
forming apparatu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855A (ko
Inventor
현호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063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4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라인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압레벨과 정착기의 가열롤러에서 발생하는 정착온도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와 압착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접수되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되고; 인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노광장치에서 각 라인별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소정단위로 노광장치에 전송하며; 메모리로부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정상데이터구간이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온시키며; 검출결과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이면 전사전압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도록 한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전압의 공급상태와 정착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사롤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잔류토너로 인한 인쇄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며, 가열롤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 TRANSCRIPTION VOLTAGE AND FIXING TEMPERATURE I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라인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라인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정착기의 가열롤러에서 발생하는 정착온도를 제어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라인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압레벨과 정착기의 가열롤러에서 발생하는 정착온도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등과 같이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이미지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기 위하여 픽업롤러(101)와, 대전롤러(102), 감광드럼(OPC: Organic Photoconductive)(103), 전사롤러(104), 현상롤러(105), 공급롤러(106), 정착기(107) 및 노광장치(108)로 이루어진다. 즉, 고압의 대전전압에 의해 대전된 대전롤러(102)가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03)의 외주면에 도포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면, 노광장치(108)에서 발생된 빛이 대전된 감광드럼(103)의 표면상에 인쇄하고자 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후, 고압의 공급전압을 인가받은 공급롤러(106)와 공급롤러(106)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을 인가받은 현상롤러(105)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공급롤러(106)로부터 현상롤러(105)에 음전하가 이동한다. 이렇게 현상롤러(105)로 공급된 토너는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고압의 전사롤러(104)는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도포된 토너가 형성한 가시상을 이송되는 인쇄용지(109)에 전사시킨다. 인쇄용지(109)에 전사된 가시상은 정착기(107)내에 구성된 가열롤러(110)와 압착롤러(111)의 고열 및 압력에 의해 인쇄용지(109)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공급전압과 현상전압 및 전사전압과 대전전압은 인쇄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각각 공급롤러(106)와 현상롤러(105) 및 전사롤러(104)와 대전롤러(102)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정착기(107)내의 가열롤러(110)는 인쇄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전사작업은 감광드럼에 현상된 가시상을 인쇄용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전사롤러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데이터가 없는 백화상 구간에도 고압의 전사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감광드럼에 잔류하는 잔류토너가 전사되어 인쇄품질이 저하되고, 전사롤러에 고압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전사롤러의 수명이 단축된다.
또한, 정착작업은 인쇄용지에 전사된 토너를 녹여서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을 말하는데, 데이터의 유무에 무관하게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됨에 따라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가열롤러가 고온의 상태로 장시간 방치됨에 따라 정착기의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라인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효한 데이터부분만 전사전압을 공급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전사롤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잔류토너로 인한 인쇄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라인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효한 데이터부분만 가열롤러를 정착온도로 유지시키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정착기의 수명이 연장되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라인에 대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롤러와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효한 데이터부분만 전사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가열롤러를 정착온도로 유지시키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중앙처리장치 202: 노광장치
203: 데이터 검출부 204: 전사전압 제어부
205: 전사롤러 206: 전력변환부
207: 메모리 208: 감광드럼
212: 정착기 213: 가열롤러
215: 정착온도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와 압착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접수되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되고; 인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노광장치에서 각 라인별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소정단위로 노광장치에 전송하며; 메모리로부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정상데이터구간이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하며;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이면 전사전압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인쇄데이터를 라인단위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쇄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인가를 비교하며; 비교결과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이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하고; 비교결과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상이면 전사전압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와 압착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접수되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되고; 인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노광장치에서 각 라인별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소정단위로 노광장치에 전송하며; 메모리로부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정상데이터구간이면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온시키며; 검출결과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이면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도록 한 점에 있다.
이때,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인가를 비교하며; 비교결과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이면,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온시키고; 비교결과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상이면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와 압착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접수되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되고; 인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노광장치에서 각 라인별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소정단위로 노광장치에 전송하며; 메모리로부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정상데이터구간이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온시키며; 검출결과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이면 전사전압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도록 한 점에 있다.
이때, 검출결과가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인가를 비교하며; 비교결과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이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온시키고; 비교결과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상이면 전사전압이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정착기내에 구성된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20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중앙처리장치(201)는 노광장치(202)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동기시켜 데이터 검출부(203)에서 전송된 검출결과에 따라 전사전압 제어부(204)를 제어하여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한다.
전력변환부(206)는 가정용 상용전압(110V/220V)을 인가받아 프린터엔진내의 각 구성부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변환(승압)한 후,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엔진에 인가한다.
전사전압 제어부(204)는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전사롤러(205)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한다. 즉, 전사전압 제어부(204)는 중앙처리장치(201)에 의해 검출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를 받아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1.5[㎸] 혹은 0[V]로 제어한다.
메모리(207)는 중앙처리장치(201)가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린터엔진을 통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가 저장된다.
노광장치(202)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의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감광드럼(208)에 주사하여 감광드럼(208)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데이터 검출부(203)는 메모리(207)에 저장된 인쇄데이터가 라인단위로 프린터엔진에 전송될 때, 해당 라인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09는 대전롤러이고, 210은 현상롤러이며, 211은 공급롤러이고, 212는 정착기이며, 213은 가열롤러이고, 214는 압착롤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노광장치(202)에서 발생된 광이 유기감광체인 감광드럼(208)에 조사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현상롤러(210)에서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현상된 인쇄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전사시킨 후, 정착기(212)를 통해 정착시킴으로써 인쇄데이터를 인쇄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인쇄명령(혹은 복사명령)이 접수되면(S1), 중앙처리장치(201)는 화상형성장치를 인쇄대기모드로전환시키고(S2),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 혹은 스캐닝된 인쇄데이터를 메모리(207)에 라인단위로 순차 저장한다(S3).
중앙처리장치(201)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된 후 노광장치(202)에서 라인단위로 인쇄데이터를 조사할 때, 노광장치(202)는 각 라인의 시작위치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출력한다(S4). 중앙처리장치(201)는 노광장치(202)에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수평동기신호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한 후 인쇄할 인쇄데이터를 메모리(207)로부터 검출하여 라인단위로 노광장치(202)에 전송한다(S5). 이때, 데이터 검출부(203)는 메모리(207)로부터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각 라인별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한다(S6).
중앙처리장치(201)는 데이터 검출부(203)로부터 검출된 결과에 대응하여 전사전압 제어부(204)를 제어하여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제어한다.
예컨대, 인쇄용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라인수만큼과 인쇄용지의 종단으로부터 일정 라인수만큼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구간이며, 인쇄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인쇄데이터가 기록되는 사이에도 일정한 무데이터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201)는 데이터 검출부(203)로부터 검출된 인쇄데이터 유무에 대한 결과값을 분석하고(S7), 전사전압 제어부(204)를 제어하여 인쇄데이터가 있는 해당 라인에서는 전사롤러(205)에 정상적인 레벨의 전사전압(예컨대, +1.5[㎸])을 공급하며(S10), 인쇄데이터가 없는 인쇄용지의 선단부와 종단부 및 무데이터구간에서는 전사전압의 공급을 중단한다(S11). 무데이터구간에서 감광드럼(208)에 잔류토너가 있더라도 전사전압이 차단됨에 따라 전하의 이동이 없으므로, 감광드럼(208)에 잔류하는 잔류토너는 인쇄용지에 전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용지의 인쇄품질이 저하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조정함에 있어서, 각 라인별로 조정하는 것 대신에 소정범위(예컨대, 밴드단위 혹은 임의의 라인수)를 기준으로 전사전압을 조정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데이터 검출부(203)에서 검출된 결과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무데이터구간에 해당하는 라인수를 검출하여(S8), 검출된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 이내일 때에는(S9)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하고(S10), 무데이터구간에 해당하는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 이상일 때에는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차단한다(S11). 이러한 경우, 전사롤러(205)에 전사전압이 공급상태가 라인단위로 빈번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인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전압의 공급상태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사롤러(205)의 수명이 연장되고, 잔류토너로 인한 인쇄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2와 동일한 구성블럭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20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중앙처리장치(201)는 노광장치(202)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동기시켜 데이터 검출부(203)에서 전송된 검출결과에 따라 정착온도 제어부(215)를 제어하여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정착온도를 제어한다.
전력변환부(206)는 가정용 상용전압(110V/220V)을 인가받아 프린터엔진내의 각 구성부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변환(승압)한 후,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엔진에 인가한다.
정착온도 제어부(215)는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정착온도를 제어한다. 즉, 정착온도 제어부(215)는 중앙처리장치(201)에 의해 검출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를 받아 가열롤러(213)에 전류의 공급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가열롤러(213)를 온/오프시킨다.
메모리(207)는 중앙처리장치(201)가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린터엔진을 통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가 저장된다.
노광장치(202)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의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감광드럼(208)에 주사하여 감광드럼(208)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데이터 검출부(203)는 메모리(207)에 저장된 인쇄데이터가 라인단위로 프린터엔진에 전송될 때, 해당 라인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부터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인쇄명령(혹은 복사명령)이 접수되면(S12), 중앙처리장치(201)는 화상형성장치를 인쇄대기모드로 전환시키고(S13),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 혹은 스캐닝된 인쇄데이터를 메모리(207)에 라인단위로 순차 저장한다(S14).
중앙처리장치(201)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된 후 노광장치(202)에서 라인단위로 인쇄데이터를 조사할 때, 노광장치(202)는 각 라인의 시작위치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출력한다(S15). 중앙처리장치(201)는 노광장치(202)에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수평동기신호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한 후 인쇄할 인쇄데이터를 메모리(207)로부터 검출하여 라인단위로 노광장치(202)에 전송한다(S16). 이때, 데이터 검출부(203)는 메모리(207)로부터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각 라인별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한다(S17).
중앙처리장치(201)는 데이터 검출부(203)로부터 검출된 결과에 대응하여 정착온도 제어부(215)를 제어하여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한다.
예컨대, 인쇄용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라인수만큼과 인쇄용지의 종단으로부터 일정 라인수만큼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구간이며, 인쇄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인쇄데이터가 기록되는 사이에도 일정한 무데이터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201)는 데이터 검출부(203)로부터 검출된 인쇄데이터 유무에 대한 결과값을 분석하고(S18), 정착온도 제어부(215)를 제어하여 인쇄데이터가 있는 해당 라인에서는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를 턴-온시켜 가열롤러(213)가 정착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하며(S21), 인쇄데이터가 없는 인쇄용지의 선단부와 종단부 및 무데이터구간에서는 가열롤러(213)를 턴-오프시킨다(S22). 따라서, 무데이터구간에서는 가열롤러(213)가 턴-오프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함에 있어서, 각 라인별로 제어하는 것 대신에 소정범위(예컨대, 밴드단위 혹은 임의의 라인수)를 기준으로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데이터 검출부(203)에서 검출된 결과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무데이터구간에 해당하는 라인수를 검출하여(S19), 검출된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 이내일 때에는(S20) 가열롤러(213)를 턴-온시키고(S21), 무데이터구간에 해당하는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 이상일 때에는 가열롤러(213)를 턴-오프시킨다(S22). 이러한 경우,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가 라인단위로 빈번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인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여 정착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정착기(212)(특히, 가열롤러(213))의 수명이 연장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 2 및 도 4와 동일한 구성블럭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20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중앙처리장치(201)는 노광장치(202)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동기시켜 데이터 검출부(203)에서 전송된 검출결과에 따라 전사전압 제어부(204)를 제어하여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함과 동시에 정착온도 제어부(215)를 제어하여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정착온도를 제어한다.
전력변환부(206)는 가정용 상용전압(110V/220V)을 인가받아 프린터엔진내의 각 구성부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변환(승압)한 후,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엔진에 인가한다.
전사전압 제어부(204)는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전사롤러(205)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한다. 즉, 전사전압 제어부(204)는 중앙처리장치(201)에 의해 검출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를 받아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1.5[㎸] 혹은 0[V]로 제어한다.
정착온도 제어부(215)는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정착온도를 제어한다. 즉, 정착온도 제어부(215)는 중앙처리장치(201)에 의해 검출된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1)의 제어를 받아 가열롤러(213)에 전류의 공급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가열롤러(213)를 온/오프시킨다.
메모리(207)는 중앙처리장치(201)가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린터엔진을 통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가 저장된다.
노광장치(202)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의 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감광드럼(208)에 주사하여 감광드럼(208)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데이터 검출부(203)는 메모리(207)에 저장된 인쇄데이터가 라인단위로 프린터엔진에 전송될 때, 해당 라인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부터 인새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인쇄명령(혹은 복사명령)이 접수되면(S23), 중앙처리장치(201)는 화상형성장치를 인쇄대기모드로 전환시키고(S24),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 혹은 스캐닝된 인쇄데이터를 메모리(207)에 라인단위로 순차 저장한다(S25).
중앙처리장치(201)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된 후 노광장치(202)에서 라인단위로 인쇄데이터를 조사할 때, 노광장치(202)는 각 라인의 시작위치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출력한다(S26). 중앙처리장치(201)는 노광장치(202)에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수평동기신호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한 후 인쇄할 인쇄데이터를 메모리(207)로부터 검출하여 노광장치(202)로 전송한다(S27). 이때, 데이터 검출부(203)는 메모리(207)로부터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각 라인별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중앙처리장치(201)에 전송한다(S28).
중앙처리장치(201)는 데이터 검출부(203)로부터 검출된 결과에 대응하여 전사전압 제어부(204)를 제어하여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제어함과 동시에 정착온도 제어부(215)를 제어하여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한다.
예컨대, 인쇄용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라인수만큼과 인쇄용지의 종단으로부터 일정 라인수만큼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구간이며, 인쇄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인쇄데이터가 기록되는 사이에도 일정한 무데이터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201)는 데이터 검출부(203)로부터 검출된 인쇄데이터유무에 대한 결과값을 분석하고(S29), 전사전압 제어부(204)를 제어하여 인쇄데이터가 있는 해당 라인에서는 전사롤러(205)에 정상적인 레벨의 전사전압(예컨대, +1.5[㎸])을 공급함과 동시에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를 턴-온시켜 가열롤러(213)가 정착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하며(S32), 인쇄데이터가 없는 인쇄용지의 선단부와 종단부 및 무데이터구간에서는 전사전압의 공급을 중단함과 동시에 가열롤러(213)를 턴-오프시킨다(S33).
무데이터구간에서 감광드럼(208)에 잔류토너가 있더라도 전사전압이 차단됨에 따라 전하의 이동이 없으므로, 감광드럼(208)에 잔류하는 잔류토너는 인쇄용지에 전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용지의 인쇄품질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무데이터구간에서는 가열롤러(213)가 턴-오프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조정함과 동시에 정착기(212)내에 구성된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함에 있어서, 각 라인별로 조정하는 것 대신에 소정범위(예컨대, 밴드단위 혹은 임의의 라인수)를 기준으로 전사전압을 조정함과 동시에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데이터 검출부(203)에서 검출된 결과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무데이터구간에 해당하는 라인수를 검출하여(S30), 검출된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 이내일 때에는(S31)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가열롤러(213)를 턴-온시키고(S32), 무데이터구간에 해당하는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 이상일 때에는 전사롤러(205)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차단함과 동시에 가열롤러(213)를 턴-오프시킨다(S33). 이러한 경우, 전사롤러(205)에 전사전압이 공급상태가 라인단위로 빈번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가 라인단위로 빈번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인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전압의 공급상태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사롤러(205)의 수명이 연장되고, 잔류토너로 인한 인쇄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롤러(213)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여 정착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정착기(212)(특히, 가열롤러(213))의 수명이 연장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인쇄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전사전압의 공급상태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사롤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잔류토너로 인한 인쇄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롤러의 온/오프상태를 제어하여 정착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정착기(특히, 가열롤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와 압착롤러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전사된 상기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접수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인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노광장치에서 각 라인별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쇄데이터를 소정단위로 상기 노광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상기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정상데이터구간이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이면 상기 전사전압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인쇄데이터를 라인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의 소정단위는,
    라인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인가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상기 소정범위이내이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상기 소정범위이상이면 상기 전사전압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제어방법.
  5.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와 압착롤러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전사된 상기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접수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인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노광장치에서 각 라인별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쇄데이터를 소정단위로 상기 노광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상기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정상데이터구간이면 상기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이면 상기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인쇄데이터를 라인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의 소정단위는,
    라인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인가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상기 소정범위이내이면, 상기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온시키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상기 소정범위이상이면 상기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온도 제어방법.
  9.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내의 가열롤러와 압착롤러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전사된 상기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쇄명령이 접수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인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노광장치에서 각 라인별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쇄데이터를 소정단위로 상기 노광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노광장치에 라인단위로 전송되는 상기 인쇄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정상데이터구간이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이면 상기 전사전압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인쇄데이터를 라인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의 소정단위는,
    라인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검출결과가 상기 인쇄데이터가 무데이터구간일 때,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소정범위이내인가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상기 소정범위이내이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전사전압을 정상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온시키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무데이터구간의 라인수가 기 설정된 상기 소정범위이상이면 상기 전사전압이 상기 전사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정착기내에 구성된 상기 가열롤러를 턴-오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KR1019990022878A 1999-06-18 1999-06-18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KR10033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878A KR100338063B1 (ko) 1999-06-18 1999-06-18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878A KR100338063B1 (ko) 1999-06-18 1999-06-18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855A KR20010002855A (ko) 2001-01-15
KR100338063B1 true KR100338063B1 (ko) 2002-05-24

Family

ID=1959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878A KR100338063B1 (ko) 1999-06-18 1999-06-18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0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855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957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538846B2 (ja) 画像形成装置
US76847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torage battery
JP4388876B2 (ja) 画像形成装置
JP3564925B2 (ja) 自動電源オフ回路
KR10029142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잔류토너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0338063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압 및 정착온도 제어방법
JP4491504B2 (ja) 画像形成装置
US7305196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high volta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93311A (ja) 画像形成装置
JPH1039673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25815B1 (ko)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품질 향상방법
US20210080884A1 (en) Start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03650B1 (ko) 화상형성장치의잔류토너제거방법
US5095329A (en) Copying machine
KR10054144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34109B1 (ko) 프린터의 현상전압 제어장치
JP2001331057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853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4750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44897B1 (ko)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전압자동제어방법및그장치
KR100334112B1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방법
KR20010002851A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구동제어방법
JPH10247007A (ja) 画像形成装置の電源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JP2019161893A (ja) 電源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