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313B1 - 석재용 연마휠 - Google Patents

석재용 연마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313B1
KR100336313B1 KR1019990048271A KR19990048271A KR100336313B1 KR 100336313 B1 KR100336313 B1 KR 100336313B1 KR 1019990048271 A KR1019990048271 A KR 1019990048271A KR 19990048271 A KR19990048271 A KR 19990048271A KR 100336313 B1 KR100336313 B1 KR 10033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heel body
wheel
tip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117A (ko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수 filed Critical 최종수
Priority to KR101999004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3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의 표면을 연마하는 석재용 연마휠에 관한 것으로, 연마기의 회전축에 결착시킬 수 있는 결착공과 다수의 살빼기공이 형성된 휠본체와, 상기 휠본체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보강부와, 상기 각 보강부에 다수의 연마팁을 적당한 간격으로 용접하여 배치시킨 석재용 연마휠에 있어서, 상기 휠본체에 형성된 살빼기공에 충진되게 하고, 상기 휠본체 저면의 각 보강부는 완전히 매몰되게 하며, 상기 각 보강부에 적당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연마팁들의 사면은 매몰되게 하면서 각 연마팁의 팁표면만 표출되도록 모래나 금강사 재질로 된 연마재를 휠본체의 저면에 몰딩시켜 연마휠의 저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휠본체의 저면에 수평상으로 몰딩된 연마재의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수개의 배출통로를 형성시켜 냉각수와 분진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면서 대리석을 연마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석재용 연마휠{Grinding wheel for stone}
본 발명은 천연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의 표면을 연마하는 석재용 연마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대리석이나 인조 대리석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휠은 연마기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천연 및 인조 대리석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휠의 일례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휠본체(100)의 중심에는 연마기의 회전축에 결착시킬 수 있는 결착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대체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저면에는 상기 결착공(101) 주위에서 부터 둘레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각 돌출부(102)에 일부는 매설되고 일부는 돌출되도록 다수의 연마팁(103)을 적당한 간격 즉, 상기 휠본체(100)가 1회전하였을 때 다수의 연마팁(103)이 휠본체(100)의 원형 단면적 전체를 연마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연마휠은 휠본체(100)에 사용되는 다수의 연마팁(103)들이 다이아몬드 입자가 혼합된 합금재질로 제작된 것이므로 연마휠의 생산가는 매우 비쌀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연마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연마휠은 휠본체(100)의 저면의 방사상으로 돌출된 각 돌출부(102)에 적당한 간격으로 매설된 다수의 연마팁(103)만으로 천연 및 인조 대리석(200)의 표면을 연마하게 되므로 고가의 연마팁(103)이 마모되는 현상이 빠르게 나타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고가의 연마휠의 사용수명이 짧아진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둘째, 상기 연마휠은 휠본체(100)의 저면에 적당간격으로 배치된 개개의 연마팁(103)들이 휠본체(100)의 저면에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천연 및 인조 대리석(200)을 연마가공하는 작업 중에 대리석(2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분에 연마팁(103)이 걸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연마작업 중에 연마팁(103)이 대리석(200)의 가장자리나 모서리 부분에 걸리게 되면 그 부분이 깨지게 되므로 고가의 대리석(200)이 연마가공 중에 불량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셋째, 상기 연마휠의 연마팁(103)들은 휠본체(100) 저면에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취급시 상기한 연마팁(103)이 외부의 물건들과 강하게 접촉하게 될 경우에는 손상될 수 있으며, 또한 연마팁(103)은 매우 날카롭기 때문에 연마휠 취급도중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연마팁(103)에 손을 다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마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천연 대리석 및 인조 대리석을 연마가공하는 연마휠 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각 돌출부는 완전히 매몰되고 상기의 각 돌출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연마팁들의 팁표면만 표출된 상태가 되도록 연마휠의 저면을 모래나 금강사 등의 재질로 된 연마재로 몰딩시키는 수단으로 연마가공시 다수의 연마팁이 대리석을 연마가공함과 동시 연마팁의 팁표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몰딩된 연마재도 연마팁과 함께 대리석을 연마가공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서 연마휠의 연마가공력을 향상시켜 연마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연마팁의 마모현상도 줄여 연미휠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거 나아가 연마팁이 연마재에 매설된 상태이므로 취급시 연마팁이 손상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다치는 사례를 완벽하게 배제할 수 연마휘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마기의 회전축에 결착시킬 수 있는 결착공과 다수의 살빼기공이 형성된 휠본체와, 상기 휠본체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보강부와, 상기 각 보강부에 다수의 연마팁을 적당한 간격으로 용접하여 배치시킨 석재용 연마휠에 있어서,
상기 휠본체에 형성된 살빼기공에 충진되게 하고, 상기 휠본체 저면의 각 보강부는 완전히 매몰되게 하며, 상기 각 보강부에 적당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연마팁들의 사면은 매몰되게 하면서 각 연마팁의 팁표면만 표출되도록 모래나 금강사 재질로 된 연마재를 휠본체의 저면에 몰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휠본체의 저면에 몰딩된 연마재의 표면에는 결착공에서부터 둘레부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수개의 배출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연마휠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마휠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종래 기술의 연마휠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연마휠의 저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휠본체 2 : 연마기
3 : 연마팁 4 : 연마재
5 : 배출통로 6 : 대리석
11 : 결착공 12 : 보조결착공
13 : 보강돌부 14 : 살빼기공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연마휠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연마휠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를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금속으로 주조된 휠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휠본체(1)에는 연마기(2)의 회전축(21)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결착공(11)과 그 주위에 복수개의 보조결착공(12)이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휠본체(1)는 그 저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부(13)와 상기 각 보강부(13)들 사이에 살빼기공(14)이 일체로 형성되는 상태로 주조되는 것이다.
상기한 각 보강부(13)들은 휠본체(1)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결착공(11)에서부터 둘레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13)들 각각에는 다수의 연마팁(3)들이 한개에서부터 수개까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데, 이와 같이 배치되는 상기 각 연마팁(3)들은 휠본체(1)가 1회전하였을 휠본체(1)의 원형 표면적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각 연마팁(3)들은 각 보강부(13)에 일부가 매설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본체(1)의 저면 전체에 모래나 금강사로 된 연마재(4)를 몰딩시키는데, 상기 연마재(4)의 몰딩두께는 휠본체(1)의 저면에서부터 각 보강부(13)에 용접된 각 연마팁(3)의 팁표면과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두께로 몰딩되게 하므로서 연마휠의 저면은 수평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또한 휠본체(1)의 각 보강부(13)들 사이에 형성된 살빼기공(14)도 연마재(4)가 충진되게 하는 한편, 상기 휠본체(1)에 형성된 결착공(11)과 보조결착공(12)에는 연마재(4)가 충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휠본체(1)의 저면에 몰딩된 연마재(4)의 표면에는 결착공(11)에서부터 둘레까지 연장되는 수개의 배출통로(5)를 형성하여 대리석(6) 표면을 연마가공할 때 냉각수와 분진이 상기 배출통로(5)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휠본체(1)와 그 저면에 몰딩된 연마재(4)는 일체화상태로 접합된 상태이고, 또한 상기 연마재(4)의 표면과 각 연마팁(3)의 팁표면은 수평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휠본체(1)를 연마기(2)의 회전축에 결착시킨 다음 대리석(6)을 연마가공하게 될 경우 연마팁(3)의 팁표면과 연마재(4)의 표면이 동시에 대리석(6) 표면에 수평상으로 동시에 접촉하여 연마가공을 하게 되므로 대리석(6) 표면은 연마팁(3)과 연마재(4)의 이중적인 연마작용에 의하여 연마가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 연마팁(3)의 팁표면과 수평면을 이루는 연마재(4)의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출통로(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마휠에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연마작업을 행할 때 연마재(4) 표면에 공급된 냉각수와 연마가공시 발생된 분진이 상기 배출통로(5)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연마가공이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휠본체(1) 저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연마팁(3)들은 연마재(4)에 의하여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연마작업시 각 연마팁(3)들이 대리석(6)의 가장자리부분이나 모서리부분에 걸리게 되는 현상없이 연마작용이 진행되므로 대리석(6)을 불량없이 연마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휠본체(1) 저면에 배치된 다수의 각 연마팁(3)들은 연마재(4)와 함께 대리석(6)을 연마하게 되므로 대리석(6)의 연마가공은 신속하게 진행되는 한편, 고가의 각 연마팀(3)의 마모현상은 줄일 수 있어 연마휠 자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다수의 각 연마팁(3)들이 연마재(4)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취급시에도 연마팁(3)이 손상되는 현상이나 연마팁(3)에 의하여 상해를 입게 되는 등의 현상을 배제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대리석 및 인조 대리석을 연마하는 기존의 연마휠의 저면에 모래나 금강사로 된 연마재를 휠본체 저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연마팁의 팁표면과 수평상태가 되게 몰딩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각 연마팁과 연마재가 동시에 대리석을 연마가공하도록 하므로서 종래 연마휠의 저면에 배치시킨 다수의 연마팁만으로 대리석의 연마가공하는 것에 비하여 보다 신속하게 연마가공할 수 있어 연마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휠본체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각 연마팁들이 연마재에 의하여 매설된 상태에서 팁표면만 연마재와 수평상태로 표출되어 있어 대리석 연마가공시 대리석의 가장자리부분이나 모서리부분이 연마팁에 걸리지 않고 연마재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연마가공되므로 양질의 정품만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연마팁과 연마재가 함께 연마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고가의 연마팁의 마모현상을 줄일 수 있어 연마휠 자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 연마휠을 운반이나 사용할 때 연마팁이 외부의 물건과 충돌하는 현상 그리고 작업자가 날카로운 연마팁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연마휠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연마기의 회전축에 결착시킬 수 있는 결착공과 다수의 살빼기공이 형성된 휠본체와, 상기 휠본체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보강부와, 상기 각 보강부에 다수의 연마팁을 적당한 간격으로 용접하여 배치시킨 석재용 연마휠에 있어서,
    상기 휠본체 저면의 각 보강부는 완전히 매몰되게 하고, 상기 각 보강부에 적당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연마팁들의 사방면은 매몰되게 하면서 각 연마팁의 팁표면만 표출되도록 모래나 금강사 재질로 된 연마재를 휠본체의 저면에 몰딩하여 연마휠의 저면이 상기 연마재에 의하여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용 연마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본체의 저면에 몰딩된 연마재의 수평한 표면에 방사상으로 수개의 배출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용 연마휠.
KR1019990048271A 1999-11-03 1999-11-03 석재용 연마휠 KR10033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271A KR100336313B1 (ko) 1999-11-03 1999-11-03 석재용 연마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271A KR100336313B1 (ko) 1999-11-03 1999-11-03 석재용 연마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117A KR20010045117A (ko) 2001-06-05
KR100336313B1 true KR100336313B1 (ko) 2002-05-13

Family

ID=1961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271A KR100336313B1 (ko) 1999-11-03 1999-11-03 석재용 연마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067B1 (ko) 2009-11-30 2010-08-30 현주빈 석재용 연마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067B1 (ko) 2009-11-30 2010-08-30 현주빈 석재용 연마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117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1678B1 (en) Grinding wheel
JP3923729B2 (ja) 研削または切削装置で使用するためのリムタイプ切削チップを有するダイヤモンドブレード
JP2004527384A (ja) 工作物目視特性を備えた砥粒ホイール
JP2011025382A (ja) 回転砥石
CA1091028A (en) Abrasive sheet
KR100336313B1 (ko) 석재용 연마휠
US1027536A (en) Abrading-wheel.
JP3049921U (ja) 超砥粒ホイール
US3248824A (en) Abrasive tool
JPH03131478A (ja) 石材研磨用ダイヤモンド砥石
JPS643647Y2 (ko)
JPH065862U (ja) 研磨装置
JP4381520B2 (ja) 研削面観察用透視孔が開けられたオフセット型フレキシブル砥石
CN217255604U (zh) 一种盘型砂轮石材磨切刀具结构
KR200193826Y1 (ko) 연삭기용 연삭휠
CN219054073U (zh) 一种研磨件结构
JPS5817726Y2 (ja) 石材平面研摩用砥石
KR200360930Y1 (ko) 연마휠
JPS5835817B2 (ja) 鋸歯の研削方法
JPH0222219Y2 (ko)
JPS6348381Y2 (ko)
JPH06262529A (ja) 石材研磨用ダイヤモンド砥石
JPH0243660Y2 (ko)
JPH08132348A (ja) 曲面加工用研摩工具
JPS5941010Y2 (ja) 回転砥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