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596B1 - 모드자동변환제어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모드자동변환제어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596B1
KR100335596B1 KR1019940038747A KR19940038747A KR100335596B1 KR 100335596 B1 KR100335596 B1 KR 100335596B1 KR 1019940038747 A KR1019940038747 A KR 1019940038747A KR 19940038747 A KR19940038747 A KR 19940038747A KR 100335596 B1 KR100335596 B1 KR 100335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ode
electric field
executing
mod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672A (ko
Inventor
조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1994003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596B1/ko
Publication of KR96002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04N5/505Invisible or silent tu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카아 오디오
2. 종래의 문제점에 대한 기술적과제
종래의 카아 오디오는, 라디오 청취중 굴속, 지하도 또는 계곡같은 약전계지연 진입시,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증가하여 청취자의 귀를 거슬리게 하거나, 또는 운전자및 청취자가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모드를 전환시켜야 하므로 운전자 또는 청취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줌과 동시에 안전운전에 많은 영향을 가져다 주는등 문제점이 있었다.
3.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과제
본발명은 라디오 청취중 굴속, 지하도 또는 계곡같은 약전계지역 진입시, 테이프 또는 시-디(CD)모드로 자동 전환되게 하여 청취자로 하여금 노이즈가 없는 항상 맑은 음을 청취할 수 있하고, 약전계지역을 벗어나면 초기모드 상태로 자동전환되게 하여 청취자의 불편함을 해소시켜줌과 동시에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에만 전념할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드자동변환 제어방법및장치
본발명은 카아오디오(Car Audio)에 적용되는 모드(Mode)자동변환 제어방법및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라디오 청취중 굴속, 지하도 또는 계곡같은 난청지역을 통과시에는 테이프 또는 시-디(CD)모드로 자동 전환되게하여 청취자로 하여금 노이즈(Noise)가 없는 항상 맑은음을 청취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카아 오디오는, 라디오 청취중 굴속, 지하도 또는 계곡같은 약전계지역 진입시,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증가하여 청취자의 귀를 거슬리게 하거나, 또는 운전자및 청취자가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모드를 전환 시켜야 하므로 운전자 또는청취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줌과 동시에 안전운전에 많은 영향을 가져다 주는등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본발명은 상기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라디오 청취중 굴속, 지하도 또는 계곡같은 약전계지역을 통과시에는 테이프 또는 시-디(CD)모드로 자동 전환되게 하여 청취자로 하여금 노이즈가 없는 항상 맑은음을 청취할 수 있게하고, 약전계 지역을 벗어나면 초기모드 상태로 자동전환되게 하여 청취자의 불편함을 해소 시켜줌과 동시에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에만 전념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발명의 블럭 구성도로서, 제1도에서와같이, 에프-엠(FM), 에이-엠(AM)의 전계신호세기를 전달하는 라디오부(10)와, 청취되고 있는 방송세기를 주기적으로 스캔링(scaning)하여 모든 기능을 통제하는 마이컴(MICOM)과, 노 시-디(NO CD), 노 테이프(NO TAPE)의 안착상태를 판단하여 테이프나 시-디(CD)가 스텐바이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스텐드바이모드판단부(20)와, 노 시-디(NO CD), 노 테이프(NO TAPE)의 안착상태유무에 따라 삑하는 음을 발생시키거나 뮤트기능을 실행시키는 알람/뮤트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MICOM)은 기준레벨과 전계레벨과를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부(1)와, 모드전환명령을 실행할때 테이프나 시-디(CD)가 시스템내에 안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시스템모드판단부(2)로 구성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작용효과를 제1도및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컴(MICOM)에서는 라디오부(10)로부터 에프-엠(FM), 에이-엠(AM)방송이 청취되고 있는 방송세기(전계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스캔링하여 노이즈 기준레벨보다 전계레벨이 크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라디오부(10)로부터 수신된 전계신호세기가 약전계인가를 판단하여(단계1) 약전계이면 시스템모드판단부(2)에서는 모드전환명령을 실행한다.
모드전환명령을 실행할때 스텐바이모드판단부(20)에서는 테이프나 시-디(CD)가 시스템내에 안착되어 있는가를 판단한후 안착유무에 따라 테이프나 시-디(CD)가 스텐드바이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단계2)
만일 시스템내에 테이프나 시-디(CD)가 안착되어 있지않으면 알람/뮤트부(30)에서는 삑(beep)하는 음을 3회 발생시킨후 뮤트동작을 실행시키고(단계3) 시스템내에 테이프나 시-디(CD)가 안착되어 스텐드바이 상태로 되어 있으면 모드전환가 동시에 시-디(CD)나 테이프를 플레이(PLAY)시킨다.(단계4)
이때 마이컴(MICOM)에서는 수신전계레벨이 높아 졌는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단게5) 수신전계레벨이 일정이하의 전계이면 단계4로 보내고, 일정이상의 전계이면 알람/뮤트부(30)를 통해 삑하는 음을 1회 발생시킨후 초기모드로 전환 시킨다.(단계6)
이상과같이 본발명은 라디오 청취중 굴속, 지하도 또는 게곡같은 약전계지역을 통과시에는 테이프 또는 시-디(CD)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청취자로 하여금 노이즈가 없는 항상 맑은 음을 청취할 수 있게 하였으면, 또한 약전계지역을 벗어나면초기 모드상태로 자동 전환되므로 청취자의 불편함을 해소 시켰으면, 또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에만 전념할 수 있게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발명의 블럭구성도
제 2 도는 본발명을 위한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교판단부 2 : 시스템모드판단부
10 : 라디오부 20 : 스텐드바이모드판단부
30 : 알람/뮤트부 MICOM : 마이컴

Claims (3)

  1. 라디오로부터 수신된 전계신호세기가 약전계인가를 판단하여 약전계이면 모드전환명령을 실행하는 모드전환단계와,
    모드전환명령을 실행할때 테이프나 시-디(CD)가 시스템내에 안착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안착단계와,
    안착유무에 따라 테이프나 시-디(CD)가 스텐바이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스텐바이 단계와,
    만일 시스템내에 테이프나 시-디(CD)가 안착되어 있지않으면 삑하는 음을 3회 발생시킨후 뮤트동작을 실행시키는 음발생단계와,
    시스템내에 테이프나 시-디(CD)가 안착되어 스텐바이 상태로 되어있으면 모드전환과 동시에 시-디(CD)나 테이프를 플레이 시키는 플레이단계와,
    플레이 실행후 수신전계레벨이 높아 졌는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체크단계와, 수신전계레벨이 일정이상의 레벨이면 삑하는 음을 1회 발생시킨후 초기모드로 전환시키는 초기모드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모드자동변환 제어방법.
  2. 에프-엠(FM), 에이-엠(AM)의 전계신호세기를 전달하는 통상의 라디오부(10)와, 청취되고 있는 방송세기를 주기적으로 스캔링하여 모든 기능을 통제하는 마이컴(MICOM)과, 노 시-디(NO CD), 노 테이프(NO TAPE)의 안착상태를 판단하여 테이프나 시-디(CD)가 스텐바이 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스텐바이모드판단부(20)와, 노 시-디, 노 테이프의 안착상태유무에 따라 삑하는 음을 발생시키거나 뮤트기능을 실행시키는 알람/뮤트부(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모드자동변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MICOM)은 기준레벨과 전계레벨과를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부(1)와, 모드전환명령을 실행할때 테이프나 시-디(CD)가 시스템내에 안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시스템모드판단부(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모드자동변환 제어장치.
KR1019940038747A 1994-12-29 1994-12-29 모드자동변환제어방법및장치 KR100335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47A KR100335596B1 (ko) 1994-12-29 1994-12-29 모드자동변환제어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47A KR100335596B1 (ko) 1994-12-29 1994-12-29 모드자동변환제어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72A KR960025672A (ko) 1996-07-20
KR100335596B1 true KR100335596B1 (ko) 2002-10-25

Family

ID=3747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747A KR100335596B1 (ko) 1994-12-29 1994-12-29 모드자동변환제어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5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672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3619B2 (ja) 交通情報放送用ラジオ受信機
JP3100476B2 (ja) デジタル受信機において動作を示す背景ノイズ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335596B1 (ko) 모드자동변환제어방법및장치
JPH02127808A (ja) 車載音響装置における自動音量調整装置
JPS6320195Y2 (ko)
JPS6320196Y2 (ko)
JPH0354442Y2 (ko)
JPS633238Y2 (ko)
JPH0614523Y2 (ja) ラジオ付き車載用電子機器の自己診断装置
KR200182966Y1 (ko)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JPH0424664Y2 (ko)
KR200180979Y1 (ko) 오디오주파수 자동검색장치
KR0174470B1 (ko) 알디에스 방송을 이용한 라우드니스 제어 방법
KR100209143B1 (ko) 오디오 신호 수신 장치의 구동 방법
KR0180321B1 (ko) 무선헤드폰비착용시 음량검출에 의한 경고장치
JPS5853237A (ja) 屋外受信装置出力制御方式
JPH05136702A (ja) 車載用音響機器
JPS63177635A (ja) Am受信機
KR19990002191A (ko) 자동선국 기능을 갖는 오디오
JPS63234634A (ja) 車載用受信機
KR19980022741A (ko) 자동 볼륨 조절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KR19990043943A (ko) 수신감도별 오디오 레벨 제어방법
KR100213484B1 (ko) 방송모드 자동전환방법
JPS62115933A (ja) 放送中継制御方式
JPH03224190A (ja) 自動車用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