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515B1 - 알돌화반응의폐수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알돌화반응의폐수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515B1
KR100335515B1 KR1019940014171A KR19940014171A KR100335515B1 KR 100335515 B1 KR100335515 B1 KR 100335515B1 KR 1019940014171 A KR1019940014171 A KR 1019940014171A KR 19940014171 A KR19940014171 A KR 19940014171A KR 100335515 B1 KR100335515 B1 KR 10033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alcohol
molecule
aldolization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72A (ko
Inventor
마리올라뢰츠하임
볼프강그레프
볼프강쯔고르젤스키
칼디터프로닝
클라우스덴크만
하인츠칼브펠
Original Assignee
셀라네제 쉐미칼스 오이로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라네제 쉐미칼스 오이로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셀라네제 쉐미칼스 오이로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5000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05Coales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02Materials removed
    • Y10S210/908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02Materials removed
    • Y10S210/908Organic
    • Y10S210/909Aromatic compound, e.g. pcb, phen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GOD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알돌화 반응의 폐수를 분자내의 탄소수가 8 이상인 1가 알콜 및/또는 분자내의 탄소수가 6 이상인 탄화수소로 추출한다.

Description

알돌화 반응의 폐수 정제방법
본 발명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의 알돌화 반응 또는 알데하이드와 케톤의 혼합 알돌화 반응에서 생성되는 폐수를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한 방법의 목적은 폐수의 COD 값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용어 "알돌화 반응"은 이후 알돌 부가반응 및 알돌 축합 반응을 포함한다.
β-하이드록시카보닐 화합물의 형성과 함께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의 카보닐 그룹 위에서의 활성화된 메틸렌 그룹의 염기-촉매화 또는 산-촉매화 부가 반응을 알돌 부가 반응이라 한다. 알돌 부가후 물의 제거가 수반되는 경우, 이는 쉽게 일어나며 산성 촉매 사용시 통상적이며, 이후에 알돌 축합 반응을 사용한다. 이의 생성물은α.β-불포화 카보닐 화합물이다.
동일한 알데하이드 또는 동일한 케톤 2분자의 알돌화 반응은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반응은 또한 산업적으로 사용된다. 알돌화 반응의 산업적 용도의 예는 n-부티르알데하이드로부터 저급 알콜(메탄올 내지 부탄올)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합성 알콜인 2-에틸헥산올의 제조이다. 2-에틸헥산올의 프탈산 에스테르는 플라스틱에 대한 가소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알콜을 수득하기 위하여. n-부티르알데하이드를 수산화나트름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2-에틸헥센알로 전환시킨다. 알돌화 혼합물을 분리한 후, 불포화 알데하이드를 물로 세척하고 수소화시켜 목적하는 알콜을 수득한다.
제조방법 동안, 이들은 폐수로서 소비된 촉매 수용액, 2-에틸헥센알을 정제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 및 2-에틸헥산을 증류의 물 함유 잔사가 생성된다. 합한 폐수는 모두 개개 반응 단계에서 생성되고 고비율의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부탄올, 부티르산. 부티로락톤, 2-에틸헥센알 및 고비등 축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수가 용성 불순물을 함유한다. 이들의 농도는 통상적으로는 COD 값으로 기술된다. COD 값[COD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을 의미하는 약어이다]은 물 1ℓ의 산화성 성분에 의해 소비된 산소 당량으로 표현한 중크롬산 칼륨의 양이다. COD 값은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는 문헌[참조: Ullmanns Encyc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4th edition (1981), vol. 6, pages 376 ff.]에 기술되어 있다.
폐수를 통상의 정제 설비, 강 또는 기타 수용시설로 도입시키기에 앞서, 폐수중의 최대 오염물질의 농도에 대한 엄격한 법률을 준수하기 위하여 유기 불순물의 함량은 현저하게 감소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내에서의 유기 불순물의 농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알돌화 반응의 폐수 정제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는 폐수의 pH를 0 내지 6으로 조정하고, 필요한 경우, 분리된 유기 상을분리 제거한 다음, 폐수를 분자내의 탄소수가 8 이상인 1가 알콜 및/또는 분자 내의 탄소수가 6 이상인 탄화수소로 추출함을 포함한다.
신규한 방법은 산업적으로 수행하기가 간단하고, 상이한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고, 경제학적 유효성 및 효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폐수에 함유된 유기 불순물의 90% 이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추출 매질은 1가 고급 알콜, 즉 분자내의 탄소수가 8 이상인 알콜이다.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콜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다. 순수한 알콜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성체성 알콜 또는 분자 크기가 상이한 알콜의 혼합물도 또한 적합하다. 유용하다고 입증된 알콜에는 2-에틸헥산올, 3,5,5-트리메틸헥산올, 이소옥틸 알콜, 노닐 알콜, 데실 알콜 및 이소데실 알콜 및 이성체성 C8, C9및 C10알콜의 혼합물이 있다.
알콜 이외에, 분자내의 탄소수가 6 이상. 특히 6 내지 12인 탄화수소도 또한 추출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는 또한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다. 특히 유용하다고 입증된 탄화수소는 무기 오일, 특히 가온 경유의 증류시 저비등 분획으로서 수득되는 상이한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다.
알콜 혼합물 또는 상이한 탄화수소의 혼합물 이외에, 알콜과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또한 폐수로부터의 유기 불순물의 추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혼합 비는 넓은 범위 내에서 확장될 수 있고, 주로 성분의 혼화성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알콜 및/또는 탄화수소는 폐수에 통상적으로 함유된 유기 물질에대한 탁월한 추출 매질임이 입증되었다. 이들이 수상(water phase)에 소량으로만 용해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신규한 방법의 중요한 측면은 일반적으로 알칼리성 폐수의 pH를 0 내지 6, 특히 1 내지 3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다. 그 결과, 수성 상으로부터 유기 상으로의 유기 성분의 거의 완전한 이동이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조치에 의해, 물에서의 추출 매질의 용해도가 추가로 감소된다. 즉, 추출 매질의 용해도는 pH에 의존하고 알칼리성 매질보다 산성 매질에서 상당히 낮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산성 용액에서, 이들은 COD 값의 증가에 약간만 공헌한다. 또한, 폐수에 함유된 카복실산염은 유리 산으로 전환된다. 물에서의 이들의 용해도에 따라, 이들은 추출 단계전에서도 분리 제거할 수 있는 분리 상을 형성한다.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인산, 바람직하게는 황산과 같은 무기산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의한 폐수로부터의 유기 불순물의 추출은 용매 추출용으로 통상적인 장치로 수행된다. 유용하다고 입증된 장치는 다수의 시리즈로 연결된 혼합기-분리기 쌍으로부터 일단계 또는 다단계로서 추출 배터리로서 디자인된 추출기이다. 패킹된 컬럼과 같은 고정상 내부 또는 교반된 컬럼과 같은 이동상 내부를 갖는 추출 컬럼을 또한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 매질 및 캐리어 액체는 병류 또는 바람직하게는 역류로 처리된다. 대기압 및 표준 온도 조건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추출 매질은 증류에 의해 용이하게 재생되므로 반복 사용될 수 있다. 증류잔사를 후처리하여 폐수에 함유된 유기 물질을 분리한다.
신규한 방법은 사용되는 알돌화 방법 및 사용되는 출발 물질과 독립적으로 알돌화 반응의 폐수의 후처리에 적합하다. 따라서, 알돌화 반응은,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아민을 촉매로서 사용하고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지만, 이들 특정 양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8(불연속 추출)
실험을 부티르알데하이드로부터 2-에틸헥산올(2-EH)를 제조중에 생성된 강알칼리성(pH 12) 폐수로 수행한다. 폐수는 사용된 촉매 수용액, 알돌 생성물의 정제를 위해 사용되는 세척수 및 알콜 증류의 물 함유 잔사의 혼합물이다.
폐수를, 농축된 황산을 가하여 먼저 pH를 약 3으로 조정한다. 수상을 산성화 후에 생성된 유기상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수상을 각종 비율로 2-EH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추출한 다음 알콜 상 및 수상을 약 15분 내에 분리한다 정제된 폐수에서의 COD 값을 측정한다. 그 결과를 표에 요약하였다.
실시예 9(연속 실험)
실시예 1 내지 8에서 사용되고 pH가 3으로 조정된 폐수의 정제를 루와(Luwa)ARD 추출기에서 수행한다. 폐수를 연속상으로서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처리하고 추출 매질을 분산상으로서 역류로 처리한다. 추출 매질에 대한 폐수의 비는 8:1이다. COD 함량은 약 22g/1 내지 5g/1로 감소되었다.
표 1

Claims (5)

  1. 폐수의 pH를 0 내지 6으로 조정하고, 분리된 유기 상을 분리 제거한 후, 폐수를 분자내의 탄소수가 8 이상인 1가 알콜 및/또는 분자내의 탄소수가 6 이상인 탄화수소로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여, 알돌화 반응의 폐수를 정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폐수를 분자내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콜로 추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폐수를 탄소수 6 내지 12의 탄화수소로 추출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수의 pH를 1 내지 3으로 조정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pH의 조정을 황산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법.
KR1019940014171A 1993-06-29 1994-06-22 알돌화반응의폐수정제방법 KR100335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21513..0 1993-06-29
DE4321513A DE4321513A1 (de) 1993-06-29 1993-06-29 Verfahren zur Reinigung von Abwässern der Aldolisierungsreaktion
DEP4321513.0 1993-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72A KR950000572A (ko) 1995-01-03
KR100335515B1 true KR100335515B1 (ko) 2002-08-27

Family

ID=649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171A KR100335515B1 (ko) 1993-06-29 1994-06-22 알돌화반응의폐수정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58419B1 (ko)
EP (1) EP0631988B1 (ko)
JP (1) JP2598230B2 (ko)
KR (1) KR100335515B1 (ko)
BR (1) BR9402568A (ko)
DE (2) DE4321513A1 (ko)
TW (1) TW284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8435A1 (en) 1996-10-25 1998-04-29 Kvaerner Process Technology Limited Process and plant for treating an aqueous waste stream containing alkali metal carboxylates
DE19757904C1 (de) * 1997-12-24 1999-07-22 Celanese Gmbh Verfahren zum Reinigen von Abwässern aus einer Aldolisierungsreaktion mit nachfolgender Hydrierung
CN100337934C (zh) * 2004-10-29 2007-09-1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浓度间苯二甲酸生产废水的处理方法
DE102005047460A1 (de) 2005-09-30 2007-04-05 Basf Ag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Abwasser aus Aldolisierungsverfahren
CN101353213B (zh) * 2007-07-25 2010-06-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什醇酸化萃取法治理辛醇废碱液的方法
EP2690071A1 (en) 2012-07-24 2014-01-29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alkaline wastewater
KR20160026783A (ko) 2014-08-28 2016-03-09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폐수의 처리 방법
RU2615422C1 (ru) * 2016-03-30 2017-04-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терхим-Групп"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сол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производства 2-этилгексанола и 2-этилгексановой кислоты,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часток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TWI631082B (zh) * 2017-05-10 2018-08-0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treating chemical oxygen content of wastewater in isooctyl alcohol process
WO2021037572A1 (en) 2019-08-23 2021-03-04 Basf Se Process for treating wastewater from an aldolization proce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0322A (en) * 1978-06-07 1979-12-19 Nippon Kayaku Co Ltd Separation of dichlorobenzene isomer
US4306884A (en) * 1980-12-18 1981-12-22 Biohol Corporation Alcohol and fuel production
US4401570A (en) * 1982-05-26 1983-08-30 Shell Oil Company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waste water
KR910000591A (ko) * 1988-06-03 1991-01-29 나까지마 미쓰루 메타크롤레인 회수방법
KR100631988B1 (ko) * 2005-06-24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용량 다이오드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트립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1602A (en) * 1943-11-23 1948-05-18 Heyden Chemical Corp Recovery of products from pentaerythritol process waste liquors
US3463818A (en) * 1966-01-25 1969-08-26 Int Flavors & Fragrances Inc Unsaturated aldehydes and alcohols
US3839458A (en) * 1971-01-28 1974-10-01 Celanese Corp Separation of acetaldehyde from 3-hydroxybutanal using a cycloalkane
FR2243158B1 (ko) * 1973-09-12 1976-05-14 Rhone Progil
US3920760A (en) * 1974-09-03 1975-11-18 Eastman Kodak Co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eopentyl glycol
US4083931A (en) * 1976-08-23 1978-04-11 Industrial Sales And Factoring Corporation Process for treating aldol-condensation polyol waste liquor
DE3213681A1 (de) * 1982-04-14 1983-10-27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pha)-alkylacroleinen
US5026919A (en) * 1985-12-20 1991-06-25 Mobil Oil Corporation Base-catalyzed reactions using zeolite catalysts
FR2643367B1 (fr) * 1989-02-21 1991-08-30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xtraction de l'acide n-butyrique normal obtenu par fermentation
DE19757904C1 (de) * 1997-12-24 1999-07-22 Celanese Gmbh Verfahren zum Reinigen von Abwässern aus einer Aldolisierungsreaktion mit nachfolgender Hydrier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0322A (en) * 1978-06-07 1979-12-19 Nippon Kayaku Co Ltd Separation of dichlorobenzene isomer
US4306884A (en) * 1980-12-18 1981-12-22 Biohol Corporation Alcohol and fuel production
US4401570A (en) * 1982-05-26 1983-08-30 Shell Oil Company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waste water
KR910000591A (ko) * 1988-06-03 1991-01-29 나까지마 미쓰루 메타크롤레인 회수방법
KR100631988B1 (ko) * 2005-06-24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용량 다이오드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트립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407478D1 (de) 1999-01-28
KR950000572A (ko) 1995-01-03
JPH07136642A (ja) 1995-05-30
DE4321513A1 (de) 1995-01-12
EP0631988B1 (de) 1998-12-16
TW284744B (ko) 1996-09-01
JP2598230B2 (ja) 1997-04-09
EP0631988A1 (de) 1995-01-04
US6358419B1 (en) 2002-03-19
BR9402568A (pt) 199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801B1 (ko) 알돌화 공정 폐수의 처리 방법
KR100335515B1 (ko) 알돌화반응의폐수정제방법
KR100770466B1 (ko) 연속 증류를 이용하여 수소첨가에 의해 제조된트리메틸올프로판을 정제하는 방법
KR100533184B1 (ko) 알돌화반응후의수소화로부터생성되는폐수의정화방법
CN101045682A (zh) 一种从环己烷氧化液中回收有机酸、酯的方法
US3228985A (en) Process of purifying methyl ethyl ketone
US2429484A (en) Purification of ketones and ketols by alkali treatment and distillation
JP4001861B2 (ja) 水溶液からのギ酸の除去方法
US4864066A (en) Preparation of alkanediols from alkynols
CH615899A5 (ko)
US3865880A (en) Decolorization of ketones
US3309407A (en) Process of purifying methyl ethyl ketone
CN100366593C (zh) 用于纯化氢过氧化枯烯裂解产物的方法和系统
CN113480406B (zh) 一种1,3-丁二醇及其制备方法
JP2863437B2 (ja) トリオキサンの精製法
JP3509175B2 (ja) アルコールの精製方法
MXPA99000135A (en) Procedure for cleaning wastewater from a reaction of aldolization followed by hidrogena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