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703B1 - 디지탈화상복호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화상복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703B1
KR100334703B1 KR1019970007051A KR19970007051A KR100334703B1 KR 100334703 B1 KR100334703 B1 KR 100334703B1 KR 1019970007051 A KR1019970007051 A KR 1019970007051A KR 19970007051 A KR19970007051 A KR 19970007051A KR 100334703 B1 KR100334703 B1 KR 10033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frame
compression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643A (ko
Inventor
히데오 오오히라
아쯔미찌 무라까미
고따로 아사이
도시아끼 시마다
겐이찌 아사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503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98731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7Motion compensation with bidirectional frame interpolation, i.e. using B-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group of pictures [G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04N19/4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using memory downsizing methods
    • H04N19/428Recompression, e.g. by spatial or temporal dec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화상의 열화가 적은 복호를 가능하게 한다.
압축률 판정부(106)가 프레임 메모리의 사이즈와 화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화상 열화가 적은 압축률을 결정하고, 압축부(102)는 결정된 압축률을 이용하여 복호부(101)에서 복호된 데이타를 압축하고,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억시킨다.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데이타중 복호부(101)에서 필요한 데이타를 신장 A부(104)를 중간에 두고 압축률에 기초하여 신장하여 복호부에 공급한다. 표시용 프레임은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로부터 판독된 후, 신장 B부(105)에서 압축률에 기초하여 신장 처리를 받아 출력되어, 표시 장치에 공급된다.

Description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 수신 장치나 디지탈 CATV나 디지탈 방송 시스템 등에 사용하는 디지탈 화상 신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4 및 도 55는 예를 들면, SGS-Thomson Microelectronics사가 발행하고 있는 화상 처리 LSI인 STi3500이 매뉴얼에 기재된 LSI의 블록 다이아그램 및 외부 메모리의 메모리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4에서 참조 번호 501은 마이크로컴퓨터 인터페이스, 502는 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 503은 스타트 코드 검출부, 504는 메모리 I/O(Input/Output) 유닛, 505는 가변 길이 복호부, 506은 복호 처리부, 507은 표시 처리부, 508은 외부 메모리, 550은 마이크로컴퓨터 인터페이스선, 551은 마이크로컴퓨터 버스, 552는 데이타선, 553은 데이타선, 554는 외부 메모리 버스, 555는 입출력선이다.
도 55에서 참조 번호 601은 비트 버퍼 영역, 602는 OSD(On Screen Display)영역, 603은 예측 프레임 메모리1 영역, 604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2 영역, 605는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이다.
다음에 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메모리(508)의 비트 버퍼 영역(601)에 축적된 부호화 데이타는 외부 메모리 버스(554)를 통하여 스타트 코드 검출부(503)로 보내지고, 여기에서 스타트 코드가 검출된다. 이 스타트 코드의 검출후, 스타트 코드의 연속하는 부호화 데이타가 FIFO 메모리(502)를 통하여 가변 길이 복호부(505)에 공급되고, 가변 길이 복호부(505)에서 가변 길이 복호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가변 길이 복호 후, 복호 처리부(506)에서 화상 복호 처리가 행해지고, 메모리 I/O 유닛(504)을 경유하여 복호 화상이 외부 메모리(508)에 기입된다.
이 외부 메모리(508)는 복호 화상을 저장하는 장소로서 예측 프레임 메모리1 영역(603), 예측 프레임 메모리2 영역(604),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605)을 갖고 있고, 다른 프레임의 예측 및 표시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타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1 영역(603) 또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2 영역(604)에 기입되고, 표시에만 사용되는 화상 데이타는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605)에 기입된다.
예측 프레임 메모리1 영역(603), 예측 프레임 메모리2 영역(604),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605)에 기입된 데이타는 텔레비젼 화면 등의 수평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되고, 외부 메모리 버스(554)를 통하여 표시 처리부(507)로 출력된다.
외부 메모리(508) 내의 OSD(On Screen Display) 영역(602)에는 캐릭터 데이타 등의 표시용 데이타가 기입되고, 필요에 따라서 예측 프레임 메모리1영역(603), 예측 프레임 메모리2 영역(604),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605)과 동일하게 억세스되고, 외부 메모리 버스(554)를 통하여 표시 처리부(507)에 공급된다. 그리고, 표시 처리부(507)는 OSD 영역(602)의 데이타가 유효하면, 예측 프레임 메모리1 영역(603), 예측 프레임 메모리2 영역(604),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605)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에 OSD 영역(602)의 데이타를 오버레이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외부 메모리(508)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 영상이 얻어진다.
상기 종래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에서는, 외부 메모리(508)에서 복호(decoding step)에 필요한 데이타를 모두 기억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프레임간 부호화가 행해진 부호화 데이터의 경우, 특성 프레임 화상 데이타를 복호하기 위해서, 그 프레임의 부호화(encode)에 사용된 다른 프레임의 데이타를 모두 기억하여 두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서, 복호 때문에 거대한 데이타의 기억이 필요하게 되고, 외부 메모리(508)의 용량이 커지게 되어 하드웨어의 규모가 커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메모리의 용량을 가능한 한 적게 억제하는 것에 의한 하드웨어의 축소화를 실현 가능하게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및 디지탈 화상 복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메모리의 용량을 가능한 한 적게 억제하는 경우에도, 화상 사이즈 정보를 기본으로 화상 열화를 최소로 억제하는 것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및 디지탈 화상 복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이하의 요소를 갖고, 소정의 화상 사이즈의 화상을 복호화한 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화상을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프레임 단위의 복호 데이타를 얻는 복호부,
(b) 화상 데이타를 소정의 용량으로 프레임 단위로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부,
(c) 상기 복호부에서 복호된 복호 데이타를 압축(compression)하여, 압축된 복호 데이타를 압축 데이타로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시키는 압축부,
(d)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압축 데이타를 신장(compression)하여 출력하는 신장부.
상기 복호부에 입력되어 오는 부호화 데이타는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의해 프레임간 부호화된 데이타이고, 상기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부호화 데이타를 입력하고, 부호화 방식을 판정하는 프로파일 판정부를 소거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프로파닐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 처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부는
양자화 테이블이 상이한 복수의 양자화기(量子化器)와,
각 양자화기의 양자화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양자화 테이블을 선택하는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와,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에 의해 선택된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한 양자화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셀렉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상기 화상의 화상 사이즈를 나타내는 화상 사이즈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 사이즈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의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하기 위한 압축율을 판정하는 압축율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율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압축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부에서 복호된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여, 압축된 복호 데이타를 압축 데이타로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신장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상기 압축율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압축율에 기초하여 압축 데이타를 신장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부는 압축율이 상이한 복수의 압축 모드를 갖고,
상기 압축율 판정부는 복수의 압축 모드 중에서, 압축 데이타의 사이즈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의 용량 이하이며, 동시에 최대로 되는 압축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부호화 데이타를 입력하여, 부호화 방식을 판정하는 프로파일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 처리를 변경하고,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는 부호화 방식으로서, 과거 및 미래의 프레임으로부터 예측을 행하는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과 과거의 프레임으로부터만 예측을 행하는 한쪽 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 중의 어느 한쪽을 판정하고,
상기 압축부는 한쪽 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타인 경우에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지 않고,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타인 경우에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부는 M화소*N화소를 1블럭으로 하는 복호 데이타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장부는 압축 데이타를 양자화하여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로 신장하는 신장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 처리부는 양자화 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양자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의 소정의 특성을 조사하는 특성 서치부와,
상기 특성 서치부가 조사한 소정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처리부의 복수의 양자화기로부터 하나의 양자화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양자화기에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양자화시키는 양자화기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기 선택부는,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입력하여, 인접하는 화소간의 차분값의 최대치를 구하여 출력하는 최대치 검출부와,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입력하여, 인접하는 화소간의 차분값의 최소치를 구하여 출력하는 최소치 검출부와,
상기 최대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대치와 상기 최소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소치를 양자화하기 위한 특성 양자화 테이블과,
상기 최대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대치와 상기 최소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소치를 입력하여, 상기 특성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치와 최소치를 양자화하여 양자화값으로서 출력하는 특성 양자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기 선택부는,
상기 양자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처리부의 복수의 양자화기 중에서 하나의 양자화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테이블과,
상기 선택 테이블에 기초하여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는데 최적인 양자화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프레임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프레임 메모리의 비트 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프레임 메모리의 동작도.
도 5는 압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6은 압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7은 양자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의 비트 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압축 처리의 방식인 하르(Harr) 변환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신장에 필요한 데이타 영역과 복호할 필요가 있는 데이타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신장 A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신장 B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신장 B부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부호화열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부호화열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압축 처리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7은 예측 프레임 메모리의 개략 비트 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한 실시 형태의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에 의한 압축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한 실시 형태의 블럭도.
도 33은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에서의 양방향 예측 프레임 메모리의 메모리 맵.
도 34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에서의 한쪽 방향 예측 프레임 메모리의 메모리 맵.
도 35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압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압축부의 내부 블럭도.
도 40은 본 발명의 양자화 처리부의 내부 블럭도.
도 41은 본 발명의 양자화기의 양자화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양자화기 q2의 양자화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양자화기 q15의 양자화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본 발명의 한 화소의 압축 데이타를 도시한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특성 서치부와 양자화기 선택부의 내부 블럭도.
도 46은 본 발명의 특성 양자화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선택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신장 B부의 내부 블럭도.
도 49는 본 발명의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제어부와 압축부의 내부 블럭도.
도 51은 본 발명의 양자화 처리부의 내부 블럭도.
도 52는 본 발명의 특성 서치부와 양자화기 선택부의 내부 블럭도.
도 53은 본 발명의 신장 B부의 내부 블럭도.
도 54는 종래예의 블럭도.
도 55는 종래예의 프레임 메모리의 비트 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복호부
102 : 압축부
103 :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
104 : 신장 A부
105 : 신장 B부
106 : 압축율 판정부
107a 내지 107c : 압축부
108 : 신장 A부
109 : 신장 B부
110 : 프로파일 판정부
111 : 압축부
112 : 압축부
113 : 신장 A부
114 : 신장 B부
120 : 감산기
121a 내지 121d : 양자화기
122a 내지 122d : 역양자화기
123a 내지 123d : 셀렉터
124 : 1 화소 지연 회로
125 : 셀렉터 선택 신호 생성기
126 : 셀렉터 선택 신호 생성기
127a, 127b : 셀렉터
128 : 셀렉터
129 : 셀렉터 선택 신호 생성기
150 : 부호화 데이타
151 : 복호 데이타
152, 153 : 압축 데이타
154 : 표시 데이타
155 : 신장 데이타
156 : 화상 사이즈 정보
157 : 압축율 정보
158 : 프로파일 정보
159 : 셀렉터 신호
160 : 셀렉터 신호
201 : 블럭
220 : 화상 프레임
221 : 복호 예측 블럭
222 : 신장용 블럭군
230a 내지 230n : 양자화기
231a 내지 231n: 지연 회로
232a 내지 232n : 차분 회로
233a 내지 233n : 절대치 회로
234a 내지 234n : 누산 회로
235 :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
250a 내지 250n : 양자화 데이타
270 : 신장 처리부
271 : 블럭 라인 메모리
280 : 블럭 복호 시간
281 : 압축 처리 시간
282 : 신장 처리 시간
301a 내지 301c : 예측 프레임
302a 내지 302d : 표시 프레임
310a 내지 310c :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
311 :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
501 :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
502 : FIFO 메모리
503 : 스타트코드 검출부
504 : 메모리 I/O 유닛
505 : 가변길이 복호부
506 : 복호 처리부
507 : 표시 처리부
508 : 외부 메모리
550 : 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선
551 : 마이크로 컴퓨터 버스
552, 553 : 데이타선
554 : 외부 메모리 버스
555 : 입출력선
601 : 비트 버퍼 영역
602 :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
603 : 예측 프레임 메모리 1영역
604 : 예측 프레임 메모리 2영역
605 :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
700 : 제어부
701 : 특성 서치부
702 : 양자화기 선택부
703 : 양자화 처리부
704 : 최대치 검출부
705 : 최소치 검출부
706 : 특성 양자화기
751 : 특성 신호
752 : 선택 신호
760, 761, 762 : 제어선
770 : 최대치 양자화치
771 : 최소치 양자화치
781 : 특성 양자화 테이블
782 : 선택 테이블
783 : 선택부
784 : 특성 양자화 테이블 설정부
785 : 선택 테이블 설정부
786 : 양자화 특성 설정부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함)에 관하여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치의 개략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101은 화상 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하는 복호부, 참조 번호 102는 복호된 데이타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부, 참조 번호 103은 예측 프레임 메모리 및 표시 프레임 메모리로 이루어진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 참조 번호 104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로부터 압축 데이타를 판독하고 압축 데이타의 신장을 행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복호부로 출력하는 신장 A부(예측 프레임용 신장부), 참조 번호 105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로부터 압축 데이타를 판독하고 압축 데이타의 신장을 행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는 신장 B부(표시용 신장부)이다.
또, 참조 번호 150은 부호화 데이타, 참조 번호 151은 복호 데이타, 참조 번호 152는 압축 데이타, 참조 번호 153은 압축 데이타, 참조 번호 154는 표시 데이타, 참조 번호 155는 신장된 데이타이다.
다음으로, 도 1의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복호부(101)은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타에 관하여 신장 데이타(155)를 예측 데이타로서 이용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복호 데이타(151)은 압축부(102)에서 비가역 압축 처리 또는 가역 압축 처리되고, 정보량이 압축 삭감된다. 여기서, 비가역 압축 처리란, 압축 전의 데이타와 신장 후의 데이타가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는 압축 처리를 말한다. 또, 가역 압축 처리란 압축 전의 데이타와 신장 후의 데이타가 완전히 일치하는 압축 처리를 말한다. 압축부(102)에서 압축된 압축 데이타(152)는 미래에 복호하는 프레임에 대한 예측 데이타로서 이용함과 동시에, 표시를 위해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입된다. 또한, 예측에 이용하지 않는 프레임의 압축 데이타는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기입하고, 예측 및 표시에 이용하는 프레임의 압축 데이타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기입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드시 모든 데이타를 압축하지 않아도 된다.
기입된 압축 데이타는 화상 표시를 위해 신장 B부(105)에서 신장 처리되고, 신장된 데이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라스터 순서로 판독되어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한편, 신장 A부(104)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을 억세스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압축된 데이타에 관하여 신장 처리를 행하며, 이를 복호부(101)에 있어서의 복호 처리시에 필요한 신장 데이타(155;예측 데이타)로서 공급한다.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은 압축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해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타가 갖는 정보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참조 번호 301a∼301c는 다른 화상 프레임의 복호에 이용하는 예측 프레임, 참조 번호 302a∼302d는 화상 표시에만 이용하는 표시 프레임이다. 또, 도 3에서, 참조 번호 310a는 제1 예측 프레임을 기억하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 참조 번호 310b는 제2 예측 프레임을 기억하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 참조 번호 311은 표시 프레임을 기억하는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이다.
부호화 데이타(150)은 부호화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이하의 순서로 생성되어 복호부(101)에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1) 예측 프레임(301a)
(2) 예측 프레임(301b)
(3) 표시 프레임(302a){예측 프레임(301a 와 301b)로부터 예측}
(4) 표시 프레임(302b){예측 프레임(301a 와 301b)로부터 예측}
(5) 예측 프레임(301c)
(6) 표시 프레임(302c){예측 프레임(301b 와 301c)로부터 예측}
(7) 표시 프레임(302d){예측 프레임(301b 와 301c)로부터 예측}
복호 데이타(151) 및 압축 데이타(152)도 상기 (1)∼(7)의 순서로 압축부 및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에 입력된다. 압축 데이타(152)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한 순서로 기억되어 표시된다.
예측 프레임(301a∼301c)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310b)에 기억되고, 표시에 이용되며, 다른 예측 프레임의 복호 처리에 이용됨과 동시에, 표시 프레임(302a∼302d)의 복호 처리에 이용된다. 한편, 표시 프레임(302a∼302d)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311)에 기억되고, 표시를 위해서만 이용된다.
표시 프레임의 데이타는 표시에만 이용된다. 이때문에, 도 1의 압축부(102)에서 비가역 압축 방식으로 표시 프레임의 데이타를 압축하여 신장시킬 때, 압축 전의 데이타에 대하여 신장 후의 데이타가 일치하지 않는 에러가 발생해도 다른 프레임은 표시 프레임(302a∼302d)를 참조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 프레임의 신장시에 발생한 에러는 전반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가역 압축 방식이란 압축 후신장시켜도 완전하게는 압축 전의 데이타를 복원할 수 없는 압축 방식을 말한다. 즉, 데이타로스가 발생하여 압축 전의 데이타와 압축 후의 데이타가 일치하지 않는 에러가 발생하는 압축 방식이다.
한편,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310b)에 기입된 예측 프레임에 관한 데이타는 별도의 화상 프레임의 복호에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측 프레임(301a~301c)를 비가역 압축 방식으로 압축시킨 경우, 이 압축에 의해 생긴 에러가 별도의 화상 프레임에 전반되어 버린다. 그래서, 압축부(102)에서 이용하는 압축 방식이 비가역 압축 방식인 경우, 예측 프레임(301a∼301c)에 대한 압축을 가하지 않고 복호 데이타를 그대로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310b)에 축적함으로써 압축에 의한 에러가 다른 프레임에 전반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압축 전의 데이타와 압축 후의 데이타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가역 압축 방식에 의한 압축 처리를 압축부(102)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압축 전이 데이타가 완전하게 복원 가능한 것이므로, 예측 프레임(301a∼301c) 및 표시 프레임(302a∼302d)의 양쪽에 관하여 압축 처리를 행하여 정보량을 삭감시킨다.
도 5는 압축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와 같이, 복호부(101)로부터 출력되는 복호 화상 프레임에 관하여 그것이 예측과 표시에 이용되는 예측 프레임이 되는 데이타인지, 표시에만 이용하는 표시 프레임이 되는 데이타인지를 판정하고, 예측 프레임이 되는 데이타는 압축시키지 않고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310b)에 기입한다. 한편, 표시에만 이용하는 표시 프레임 데이타는 압축 처리를 행하여 예측 · 표시 프레임메모리부(103)의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311)에 기입한다. 이 처리는 압축 처리의 영향이 다른 프레임에 관하여 나타나지 않고, 압축부(102)가 비가역 압축 방식의 압축 처리를 채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처리에 가역식 압축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예측 프레임과 표시 프레임의 양쪽 데이타를 압축 처리하여 예측과 표시에 이용하는 예측 프레임 데이타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310b)에 기입하고, 표시에만 이용하는 표시 프레임 데이타에 관해서는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311)에 기입한다.
또한, 화상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서는 예측 프레임 데이타에 관해서만 압축처리를 행하는 것이 적합한 경우도 있다.
도 7에 압축 처리의 순서의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복호부(101)에 있어서, 복호된 M화소 * N라인(화소)의 블럭(201)의 데이타는 소정의 변환 처리를 받는다. 여기서, 각 화소가 r비트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1블럭의 정보량은 M * N * r 비트이다. 그리고, 이산 코사인 변환 등의 변환 처리를 받은 M화소 * N라인의 데이타에서는 좌측 상부가 저역 신호 영역(292), 중앙 부분이 중역 신호 영역(293), 우측 하부가 고역 신호 영역(294)로 된다.
도 8은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103)에 있어서의 압축된 1프레임분의 데이타 메모리 맵이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210은 압축된 1프레임의 정보의 저장 위치, 참조 번호 211은 압축된 1프레임 중의 t번째의 블럭의 정보 저장 위치이다.
압축부(102)에 있어서의 처리에서는 화상의 특성에 따라 M * N화소 단위의 블럭(201)에 관하여 변환 처리를 행하고, 변환 후의 블럭을 저역 신호 영역(292), 중역 신호 영역(293), 고역 신호 영역(294)로 나눈다. 저역 신호의 화소수를 r1, 저역신호의 비트수 할당을 s1비트/화소, 중역 신호의 화소수 r2, 중역 신호의 비트수 할당을 s2비트/화소, 고역 신호의 화소수 r3, 고역 신호의 비트수 할당을 s3비트/화소와 같이 할당한다(단, s1>s2>s3<, r1+r2+r3=M * N). 이와 같이 저역만큼 큰 비트수를 할당하는 것은 저역의 신호만큼 화상에 대한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에 따라 화상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해서 데이타량의 압축 삭감이 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트수를 할당하여 양자화를 행하면,
블럭의 정보 발생량 S=r1*s1*r2+s2+r3*s3
이 항상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블럭 단위의 어드레싱은 규칙적으로 구할 수 있고, 메모리에 축적된 압축 화상 프레임을 임의의 블럭으로부터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된 프레임의 선두 번지가 A번지로 한 경우, 압축된 프레임의 t블럭의 어드레스는 (A+(t-1)*S)번지∼(A+t*S-1)번지이다. 따라서, t블럭의 복호 처리를 행하기 위해 억세스를 행하는 경우, 어떤 압축된 프레임에 대해서도 메모리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블럭 단위의 억세스가 가능해진다.
도 9는 변환 부호화 알고리즘에 비가역 변환의 하나인 하르 변환(Haar 변환)을 이용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의 H가 변환의 8화소*8라인에 대한 계수 매트릭스를 나타내고있다.
1차원 Haar 변환 전의 블럭의 화상을 X로 하고, 변환 후의 블럭을 B로 하면,
B=HX
이고, B를 양자화하여 압축을 행한 후의 블럭을 B'로 하면 이것을 신장시켜 얻어지는 신장 후의 블럭 Y는
Y=H-1B
으로, 이와 같은 연산에 의해 압축 · 신장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처리에서는 변환 후, 양자화에 의한 비트수의 삭감을 행하기 때문에 비가역 압축으로 된다. 또한, 여기서는 Haar 변환의 예를 나타냈으나, Haar 변환 이외의 방식도 상관없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1프레임의 화상 데이타에 있어서의 각종 영역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220은 화상 프레임, 참조 번호 221은 복호에 필요로 하는 K화소*L라인의 복호자측 블럭, 참조 번호 222는 신장에 필요한 신장용 블럭군이다.
상기 도 10에 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호부(101)에서는 예측용 화상 데이타로서 이미 복호 처리로 하여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축적되어 있는 화상 프레임(220)의 임의의 점에서 얻은 K화소 * L라인의 복호 예측 블럭(221)을 이용한다. 한편, 예측 · 표시 프레임메모리부(103) 내의 데이타는 블럭 단위로 압축 처리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호 처리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K화소 * L라인의 복호 예측 블럭(221)이 블럭 사이에 걸치는 경우는, 1블럭을 신장한 것만으로는 필요한 데이타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신장A부(104)에서는 복호 예측 블럭(221)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장용 블럭군(222)를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으로부터 취출하고, 각 블럭 단위로 신장 처리를 행한 후, 복호부(101)이 필요로 하는 복호 예측 블럭(221)의 데이타를 취출하여 복호부(101)로 공급한다. 또, 신장A부(104)가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으로부터 압축 데이타의 취출을 행하는 경우, 압축 데이타의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 내 어드레스는 상술한 어드레싱으로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블럭 단위로 압축되어 저장된 데이타의 임의의 영역의 복호 예측 블럭의 데이타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신장 처리를 행한 후의 신장용 블럭군(222)의 데이타를 신장A부(104) 내의 신장 데이타용의 블럭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축적함으로써, 복호부(101)이 다음 블럭의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예측용 화상 데이타는 새롭게 필요로 하는 부분을 갱신하면 된다. 특히, 복호시에 필요로 하는 복호 예측 블럭의 위치는 각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 벡터 등에 기초로 하여 예측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블럭 사이에서는 재차 이용될 확률이 높다. 그래서, 소정수의 신장 후의 블럭을 신장A부(104) 내에 기억해 두고 다음 블럭에 있어서, 다른 블럭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블럭 단위로 갱신하는 것으로, 신장 처리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신장된 복수 블럭의 화상 데이타를 화상 프레임과 같은 열로 기억하는 메모리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소정의 순서, 예를 들면 수평 라인마다 데이타를 판독하고, 그 중의 필요한 부분만을 게이트 회로에서 취출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메모리는 후술하는 블럭 라인 메모리와 같이 구성하면 좋다.
또한, 복수 블럭의 화상 데이타가 기억된 메모리로부터, 필요한 범위의 데이타만을 판독하고, 복호부(101)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전술의 K화소 * L라인의 데이타만을 순차 판독하고, 이것을 복호부(101)에 공급하면 좋다.
도 11은 처리 타이밍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 번호(280)은 복호부(101)에 있어서 하나의 블럭의 복호 처리에 관한 블럭 복호 시간, 참조 번호(281)은 압축부(102)에 있어서 하나의 블럭의 압축 처리에 관한 압축 처리 시간, 참조 번호(282)는 신장A부(104)에 있어서 복호부(101)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타(K화소 * L라인)의 복호 처리에 관한 신장 처리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복호부(101)에 있어서, 블럭 단위로 부호화되어 있는 데이타가 블럭 복호 시간(280) 내에 복호된다. 그 때,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임의의 스타트 위치로부터 K화소 * L라인의 데이타를 예측 데이타로서 필요로 한다. 그래서, 신장A부(104)는 복호부(10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필요한 데이타를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로부터 취출하고 신장하여 복호부(101)에 공급한다. 신장 처리 시간(282)는 복호부(101)이 신장A부(04)에 요구를 내고나서 복호부(101)에 데이타를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다. 복호부(101)에 의해 처리된 복호 데이타(151)은 압축부(102)에 전송된다. 그리고, 전송되는 데이타에 관해서는 복호부(101)로부터 다음 블럭의 복호 데이타(151)이 전송되는 시간 내에 압축 처리가 종료하여,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호화된 동화상 상의 복호 처리를 리얼 타임에 행하여 복호 화상을 압축하여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하여 정보량을 삭감하더라도, 문제없이 동작 가능하다.
도 12는 신장B부(105)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 번호 270은 신장 처리부, 참조 번호 271은 블럭 라인 메모리를 도시한다.
신장B부(105)에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로부터 판독된 블럭 단위의 데이타가 입력된다. 입력된 블럭 단위의 데이타는 우선 신장 처리부(270)에 의해 신장 처리된다. 신장 처리된 데이타는 블럭 라인 메모리(271)의 소정의 위치에 블럭마다 순차 기억된다. 여기서, 블럭 라인 메모리(271)은 화상 프레임(220)의 수평 방향의 블럭(블럭라인) 전부를 축적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예를 들면, 화상 프레임(220)의 수평 방향이 T 화소로 구성되고, 블럭 단위는 1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면, 블럭 라인 메모리(271)은 J 개의 블럭분의 용량을 갖는다.
이 블럭 판독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 단위가 아니고, 화상을 구성하는 주사선 방향(블럭을 넘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에 화소마다 행해진다. 즉, 1수평 주사선의 모든 화소 데이타가 순차 판독된다. 그리고, 1수평 주사선에 대한 판독이 종료한 경우에는, 다음 수평 주사선에 대한 각 화소의 데이타가 판독되며, 이것이 반복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블럭 단위로 압축된 데이타를 한번 블럭 라인분의 축적을 행함으로써 라스터 방향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어, 표시 화상에 출력이 행하여지에 된다. 예를 들면, 1수평 주사선의 데이타를 표시 화면의 1수평 주사선을 규정하는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판독함으로써, 표시용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도 14, 도 15는 부호화열의 종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압축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압축된 데이타가 유지되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의 개략 비트 맵이다.
부호화 데이타열에는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예측에 의한 것과, 한쪽 방향 예측에 의한 것의 2종류가 있다. 즉, 전(前) 프레임 및 후(後)프레임의 양쪽의 데이타를 예측 데이타로서 이용하여 화상을 복호하는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열과, 전프레임만의 데이타를 예측데이타로서 이용하여 화상을 복호하는 한쪽 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열의 2종류가 있다.
그래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화 데이타열의 종류를 판정하고, 한쪽 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열의 경우는 압축부(102)에서 압축하지 않고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310b)에 복호된 데이타를 순차 기입한다. 한편, 부호화 데이타열이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열인 경우는 압축을 행하고, 2개의 압축된 프레임 데이타를 각각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및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b)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가 기억된다. 즉,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열인 경우에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및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b)에 예측에 이용되는 2프레임분의 압축 데이타가 각각 기억된다. 따라서, 이들을 이용하여 복호부(101)에서 복호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한쪽 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열인 경우,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310b)에 기억되는 1프레임분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복호가 행해진다.
또, 이와 같이, 한쪽 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의 경우는 압축하지않고 복호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에 기인하는 화상의 열화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의 경우에는 2개의 예측 프레임을 이용하여, 그 사이의 프레임을 예측 부호화하기 때문에, 더욱 고효율의 부호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부(102)에 있어서, 압축한 데이타를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억함으로써, 메모리의 용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술한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화상 사이즈에 상관없이 압축 처리가 행해지므로, 프레임 메모리에 격납가능한 화상 사이즈보다 작은 화상 사이즈의 데이타에서도 압축 처리가 행해져, 불필요한 화상 열화가 행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압출율이 고정에서 약 절반으로 압축되어 버리는 경우, 가령 화상 사이즈가 프레임 메모리 사이즈의 1.1배 정도인 경우에도 약 1/2로 압축이 행해져, 필요 이상의 화상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호화 데이타에 포함되는화상 사이즈 정보와 함께 프레임 메모리의 사이즈와 화상 사이즈에 따라 압축율을 변화시켜 화상 열화를 최소로 억제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를 설명한다.
또, 화상 사이즈는 「화상을 형성하는 1 프레임의 화소수 * 화소당 비트 폭」에 의해 구해진다. 즉, 화상 사이즈는 「1라인의 화소수 T * 1 프레임의 라인 수*1 화소당 비트 폭 r」로 구해진다.
도 18은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개략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101은 화상 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하는 복호부, 103은 예측 프레임 메모리 및 표시 프레임 메모리로 구성되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 107a는 복호된 데이타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부, 108은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압축된 데이타의 신장을 행하는 신장 A부, 109는 래스터 순서로 데이타를 출력하는 신장 B부, 106은 압축율 판정부, 150은 부호화 데이타, 151은 복호 데이타, 152는 압축 데이타, 153은 압축 데이타, 154는 표시 데이타, 155는 신장 데이타, 156은 화상 사이즈 정보, 157은 압축율 정보이다. 여기에서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내용은 도3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복호부(101)는 화상 사이즈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타(150)을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프레임 단위의 복호 데이타(151)를 얻는다.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는 화상 데이타를 소정의 용량으로 프레임 단위로 기억한다. 예측,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는 이하, 간단히 프레임 메모리부라고 칭한다.
압축율 판정부(106)는 상기 화상의 화상 사이즈를 표시하는 화상 사이즈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 사이즈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 데이타(151)를 압축하여 상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억하기 위한 압축율을 판정한다. 화상 사이즈 정보(156)는 화상 사이즈 그것으로도 좋고, 화상 사이즈를 식별하는 식별자이어도 좋다. 화상 사이즈 정보(156)는 화상 사이즈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로부터 취출되지만, 화상 사이즈 정보(156)를 특별히 외부에서 압축율 판정부(106)로 입력하여도 좋다.
압축부(107a)는 상기 압축율 판정부(106)에 의해 판정된 압축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부(101)에서 복호된 복호 데이타(151)를 압축하고, 압축된 복호 데이타를 압축 데이타(152)로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억시킨다.
신장 A부(108)와 신장 B부(109)를 합해서 신장부라고 부르기로 하고, 신장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억된 압축 데이타(152)를 취출하고, 상기 압축율 판정부(106)에 의해 판정된 압축율에 기초하여 압축 데이타를 신장한다.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103)는 상기 복호부(101)가 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하기 위해 참조하는 예측 프레임의 복호 데이타를 기억하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압축부(107a)는 예측 프레임의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여 예측 프레밍 메모리에 기억시키며, 상기 신장부는 예측 프레임 메모리에 기억된 예측 프레임의 복호 데이타를 신장하여, 상기 복호부(101)에 출력하는 신장 A부(108)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103)는 화상 표시에 이용되는 표시용 프레임의 복호 데이타를 기억하는 표시 프레임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압축부(107a)는 표시용 프레임의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여 표시 프레임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신장부는 표시 프레임 메모리에 기억된 표시용 프레임의 복호 데이타를 신장하고, 신장한 데이타를 출력하는 신장 B부(109)를 갖는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도 19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복호부(101)는 부호화 데이타(150) 및 예측으로서 이용되는 신장 데이타(155)로부터 화상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S1). 한편으로, 압축율 판정부(106)에서는 부호화 데이타(150)에 포함되어 있는 화상 사이즈 정보(156)에 근거하여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용량을 고려하여 최적인 압축율을 판정한다(S3). 여기의 예에서의 압축율의 정의는
압축율 = (압축전의 정보량)/(압축후의 정보량)
으로 한다.
압축율은 l1- ln(n : 자연수, lm≥ 1, l ≤ m ≤ n)의 n종류로부터 선택한다. 예를 들면, 화상 사이즈가 T화소 * U라인에서, 1화소당 비트 폭이 r비트로 하고,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의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및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b) 및 표시 프레임 메모리 영역(311)의 용량을 각각 Z 비트로 하면,
T * U * r /lm≤ Z
가 되는 lm에서 최소의 lm을 선택한다.
압축부(107a)에서는 압축율 판정부(106)로부터의 압축율 정보(157)에 대응하고, 복호부(101)로부터의 복호 데이타(151)에 압축 처리를 행하여 정보량의 소멸을 행한다(S4). 압축율 정보(157)는 압축율 그것이어도 좋고, 압축율을 어느 정도의 범위로 구분짓는 각 범위의 대표값이어도 좋고, 각 범위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이어도 좋다. 상기 압축율이나 대표값이나 식별 정보는 상술한 압축부(107a)의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된다. 압축부(107a)에서 압축된 압축 데이타(152)는 종래에 미래에 복호할 프레임에 대한 예측 데이타로서 이용하기 위해 그리고 표시 데이타로서 이용하기 위해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입을 행한다(S6, S8). 기입된 압축 데이타는 화상의 표시를 행하기 위해 신장 B부(109)에 의해 신장되고(S9), 래스터 순서로 독출되어 표시된다(S10). 신장 B부(109)의 신장처리는 압축율 판정부(106)로부터의 압축율 정보(157)에 근거하여 행한다.
복호부(101)에 필요한 데이타를 공급하기 위해, 신장 A부(108)에서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로부터 필요한 데이타의 액세스를 행하여 압축된 데이타의 신장 처리를 행하는 복호부(101)에 필요한 데이타를 공급한다(S7). 신장 A부(108)의 신장 처리에 관해서도 신장 B부(109)와 동일하게 압축율 판정부(106)로부터의 압축율 정보(157)에 근거하여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는 데이타가 압축되어 기억되기 때문에,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타를 갖는 정보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 부호화 데이타의 화상 사이즈에 따라 압축율의 변경을 행하는 최적인 압축율을 선정함으로서, 필요 이상의 화상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화상 데이타의 압축이 행해지게 된다.
도 20 내지 도 23은 압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압축부에 있어서의 제1 압축 처리 방식, 도 21은 압축부에 있어서의 제2 압축 처리 방식, 도 22는 압축부에 있어서의 제3 압축 처리 방식, 도 23은 압축부에 있어서의 제4 압축 처리 방식을 도시한다.
도 24는 압축부(107a)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120은 감산기, 121은 양자화기, 122는 역양자화기, 123a 및 123b는 셀렉터, 124는 화소 지연 회로, 125는 셀렉터 선택신호 생성기, 159는 셀렉터 신호이다.
도 20 내지 도 23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3에서는 압축부(107a)에 의한 압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의 예에서는 블럭 사이즈가 M=8, N=8의 8*8 비트(r=8비트/화소)로, 압축 방식에 1차원 DPCM(1 Dimemtion-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 ID-DPCM)을 이용하는 4종류의 압축 모드를 구비한다. 1차원 DPCM은 인접 화소와의 차분 데이타에 대해 4 비트(p=4)의 양자화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1) 8 화소 단위(L=8)에 1D-DPCM을 행하는 모드 1(압축율=1.78)
(2) 4 화소 단위(L=4)에 1D-DPCM을 행하는 모드 2(압축율=1.6)
(3) 2 화소 단위(L=2)에 1D-DPCM을 행하는 모드 3(압축율=1.3)
(4) 압축하지 않는 모드 4(L=1, 압축율=1)
의 4가지 모드를 구비한다.
모드 1에서는 8화소 단위의 1D-DPCM이므로, 압축후의 정보량은 1화소째가 8비트, 2-7화소째가 4 비트로 되고, 이것이 N=8회 반복되므로 (8+4*7)*8비트의 정보량으로 되고, 압축전의 정보량은 8*8*8비트이므로,
압축율 = (압축전의 정보량)/(압축후의 정보량)
= (8*8*8)/((8+4*7)*8) = 1.78
로 된다.
모드 2에서는 압축율 = (8*8*8)/((8+4*3)*16) = 1.6
으로 된다.
모드 3에서는 압축율 = (8*8*8)/((8+4*1)*32) = 1.3
으로 된다.
모드 4에서는 압축율 = (8*8*8)/((8*8*8) = 1
로 된다.
도 24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율 정보(157)은 압축부(107a)의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압축율 정보(157)에 표시하는 모드에 따라, DCPM의 선두 화소에 대해서는 8 비트의 복호 데이타(151)가 그대로 1화소 지연 회로(124)에 입력된다. 그것 이외의 복호 데이타(151)에 대해서는 1화소 지연 회로(124)의 출력과 감산기(120)에 의해 차분을 얻고, 또 차분 데이타에 대해 양자화기(121)로서 4 비트로의 양자화를 행한다.
양자화된 압축 데이타(152)는 압축부(107a)의 외부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역양자화기(122)에 의해 국부적으로 복호되고, 1화소 지연 회로(124)에 입력된다.
이것이 1D-DCPM에 의한 압축의 동작이지만, 압축부(107a)는 압축율 정보(157)에 따라 셀렉터 선택 신호 생성기(125)에 의해 모드 1인 경우, 8화소마다, 8 비트의 복호 데이타(151)를 셀렉터(123a)로서 선택하도록 한다. 나머지 7화소에 대해서는 양자화기(121)로부터의 4비트의 양자화된 데이타를 셀렉터(123a)에 의해 선택한다.
동일하게 모드 2에서는 4 화소마다 모드 3에서는 2 화소마다, 모드 4에서는 1화소마다 8비트의 복호 데이타(151)를 선택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1화소째가 r=8비트 그대로 출력되고 있지만, 1화소째도 t비트(t≤r)에 양자화하여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8*8화소를 1클럭으로 하였지만, M*N화소(M=N 또는 M≠N)를 1클럭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1D-DCPM을 행하였지만, 수직 방향으로 L화소(L≤N) 단위로 ID-DCPM을 행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압축부는 압축율에 따라 압축을 행하는 단위 L(L≤M 또는 L≤N에서, L은 M 또는 N의 공약수이다)의 값을 결정하고, L화소(L≤M 또는 L≤N) 단위로 1화소당 정보량을 r비트로 하면, L화소의 기준으로 되는 1화소를 t비트(t≤r)로 양자화하고, 그것 이외의 화소에 대해서는 인접 화소와의 차분에 대해 p비트(p≤r)의 양자화 처리를 행함으로서 M*N화소의 클럭의 발생 정보량을 압축율에 따라 소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3
도 25 내지 도 28은 압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압축부에 있어서의 제1 압축 처리 방식, 도 26은 압축부에 있어서의 제2 압축 처리 방식, 도 27은 압축부에 있어서의 제ㅋ3 압축 처리 방식, 도 28은압축부에 있어서의 제4 압축 처리 방식을 도시한다.
도 29는 압축부(107b)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123c, 123d, 127a, 127b는 셀렉터, 129는 셀렉터 선택신호 생성기, 160은 셀렉터 신호이다.
도 25 내지 도 2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28에서는, 압축부(107b)에 의한 압축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예에서는, 블록 사이즈가 M=8, N=8의 8*8 화소(r=8 비트/화소)이고, 압축 방식으로 1 차원 DPCM을 사용하며, 4가지 압축 모드를 구비한다. 1 차원 DPCM은, 인접 화소와의 차분 데이터에 대하여 적절하게 비트를 변화시켜 양자화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1) 8 화소 단위(L=8)에 1D-DPCM, 4 비트(p=4)의 양자화를 행하는 모드(1),
(2) 8 화소 단위(L=8)에 1D-DPCM, 5 비트(p=5)의 양자화를 행하는 모드(2),
(3) 8 화소 단위(L=8)에 1D-DPCM, 6 비트(p=6)의 양자화를 행하는 모드(3),
(4) 8 화소 단위(L=8)에 1D-DPCM, 7 비트(p=7)의 양자화를 행하는 모드(4)를 구비한다.
즉, 모드(1)에서는, 4 비트 양자화기의 1D-DPCM이므로, 압축 후의 정보량은, (8+4*7)*8 비트에 대하여, 압축 전의 정보량은, 8*8은 비트이므로,
압축율 = (압축 전의 정보량) / (압축 후의 정보량)
= (8*8*8) / ((8+4*7)*8) = 1.78
이 된다. 마찬가지로,
모드(2)에서는, (8*8*8) / ((8+5*7)*8) ≒ 1.49 의 압축율,
모드(3)에서는, (8*8*8) / ((8+6*7)*8) = 1.28 의 압축율,
모드(4)에서는, (8*8*8) / ((8+7*7)*8) ≒ 1.12 의 압축율이 된다.
도 2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DPCM의 선두 화소에 대하여는, 8비트의 복호 데이터(151)가 그대로 1 화소 지연 회로(124)에 입력된다. 그것 이외의 복호 데이터(151)에 대하여는, 1 화소 지연 회로(124)의 출력과 감산기(120)에 의하여 차분을 구하고, 다시, 차분 데이터에 대하여 양자화기(121a∼121d)에 의하여 양자화를 행한다.
양자화에 처하여는, 모드(1)의 경우는, 4 비트 양자화기(121a), 모드(2)의 경우는, 5 비트 양자화기(121b), 모드(3)의 경우는, 6 비트 양자화기(121C), 모드(4)의 경우는, 7 비트 양자화기(121d)에서 양자화된 데이터가 압축율 정보(157)의 모드에 따라, 셀렉터(127a)에 의하여 선택된다.
양자화된 데이터는, 셀렉터(123c)를 거쳐 압축 데이터(152)로서 압축부(107b)의 외부에 출력됨과 동시에, 역 양자화기(122a∼122d)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복호되어, 모드에 따라 셀렉터(127b)에 의하여 선택되어, 1 화소 지연 회로(124)에 입력된다.
역 양자화에 처하여는, 양자화와 마찬가지로, 모드(1)의 경우는, 4 비트 역 양자화기(122a), 모드(2)의 경우는, 5 비트 역 양자화기(122b), 모드(3)의 경우는, 6 비트 역 양자화기(122c), 모드(4)의 경우는, 7 비트 역 양자화기(122d)에서 역 양자화된 데이터가 선택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압축부는, 압축을 행하는 단위(L)(L≤M 또는 L≤N이며, L은 M 또는 N의 공약수)의 값은, 압축율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게 행하고, L화소 단위에 기준이 되는 1 화소를 t 비트로 양자화하며, 그것 이외의 화소에 대하여는, 인접 화소와의 차분에 대하여 p 비트의 양자화 처리를 행하고, 또한, t 및 p의 값은 압축율의 값에 응답하여 변경함으로써, M*N 화소의 블록 정보량을 압축율에 응답하여 소멸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형태 4
도 30은, 압축부(107c)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4 및 도 29와 동일 기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내용을 나타낸다.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DPCM의 선두 화소에 대하여는, 8 비트의 복호 데이터(151)가 그대로 1 화소 지연 회로(124)에 입력된다. 그것 이외의 복호 데이터(151)에 대하여는, 1 화소 지연 회로(124)의 출력과 감산기(120)에 의하여 차분을 구하며, 다시, 차분 데이터에 대하여 양자화기(121a∼121d)에 의하여 양자화를 행한다.
양자화에 처하여는, 압축율 정보(157)의 모드에 따라, 셀렉터(127a)가 4 비트 양자화기(121a), 5 비트 양자화기(121b), 6 비트 양자화기(121c), 7 비트 양자화기(121d) 중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한다. 양자화된 압축 데이터(152)는, 압축부(107c)의 외부에 출력됨과 동시에, 역 양자화기(122a∼122d)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복호되어, 1 화소 지연 회로(124)에 입력된다. 역 양자화에 처하여는, 양자화와 마찬가지로, 셀렉터(127b)가, 4 비트 역 양자화기(122a), 5 비트 역양자화기(122b), 6 비트 역 양자화기(122c), 7 비트 역 양자화기(122d) 중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한다.
다시, 압축율 정보(157)의 모드에 따라, 셀렉터 선택 신호 생성기(125)에 의하여 8 화소 단위, 4 화소 단위, 2 화소 단위, 1 화소 단위를 선택하여 셀렉터(123a)가 8 비트의 복호 데이터(151)나, 셀렉터(127a)로부터 선택된 양자화된 데이터 중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하여, 세밀한 양자화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압축부는, 압축을 행하는 단위(L)를 압축율에 의하여 가변하게 하고, 또한, L화소 단위에 기준이 되는 1 화소를 t 비트로 양자화하며, 그것 이외의 화소에 대하여는, 인접 화소와의 차분에 대하여 p 비트의 양자화 처리를 행하고, 압축율에 의하여 t 및 p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M*N 화소의 블록 정보량을 압축율에 응답하여 변경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형태 5
도 31은 압축부(102a)의 양자화기의 양자화 테이블의 일예와 그의 최적 테이블을 선택하는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1에 나타내는 압축부(102a)는, 도 1에 나타내는 압축부(102) 대신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31에 나타내는 압축부(102a)를 사용하는 경우는, 압축율 판정부(106)는 필요없어진다.
230a∼230n은 양자화 테이블이 상이한 n개의 양자화기, 231a∼231n은 지연회로, 232a∼232n은 차분 회로, 233a∼233n은 절대치 회로, 234a∼234n은 누산(累算)회로, 235는 각 양자화기(230a∼230m)의 양자화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양자화 테이블을 선택하는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 128은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235)에 의하여 선택된 양자화 테이블을 사용한 양자화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셀렉터이다.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호부(101)로부터 출력된 복호 데이터(151)는, 각 양자화기(230a∼230n)에서 각각 양자화된다. n개의 양자화 테이블을 구별하기 위하여, e 비트의 할당을 하고 있는 경우, 양자화 테이블은, 2e(n≤2e)개 이하의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다.
양자화 전의 복호 데이터(151)는, 각 양자화기(230a∼230n)에 의하여 양자화 된다. 양자화된 양자화 데이터(250a∼250n)는, 양자화 전의 복호 데이터(151)와 차분 회로(232a∼232n)에서 차분이 구해지고, 다시, 절대치 회로(233a∼233n), 누산 회로(234a∼234n)에서 DPCM의 단위(L)로 차분 절대치합이 구해진다.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235)는, 셀렉터(128)를 사용하여, 양자화 데이터(250a∼250n) 중에서, 블록 단위의 절대치합의 최소를 구하는 양자화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것에 의하여, 양자화 테이블을 복수개 준비함으로써, 최적 양자화 테이블의 선택이 가능해지며, 보다 열화가 적은 양자화 테이블을 DPCM의 단위(L)로 선택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32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블록도이고, 110은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고, 부호화 방식을 판정하는 프로파일 판정부, 111은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110)에 의하여 판정된 부호화 방색에 기초하여, 압축 처리를 변경하는 압축부이다.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110)는, 부호화 방식으로서, 과거 및 미래의 프레임으로부터 예측을 행하는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과, 과거의 프레임으로부터만 예측을 행하는 편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 중의 어느 것인가를 판정하며, 상기 압축부(111)는, 편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의 경우에 비하여,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의 경우에, 복호 데이터의 압축율을 높인다. 또한, 도 32에서, 158은 전술한 부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프로파일 정보이며, 도 18과 동일 번호는, 동일 내용 또는 그에 상당하는 내용을 나타낸다.
또한, 도 33과 도 34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양방향 예측과 편방향 예측의 프레임 메모리의 메모리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압축부(111)의 구성도이며, 126은 도 24와는 상이한 셀렉터 선택 신호 생성기이다.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호부(101)는, 부호화 데이터(150) 및 예측으로서 사용하는 신장 데이터(155)로부터 화상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 한편 압축율 판정부(106)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50)에 포함되는 화상 사이즈 정보(156)를 기초로, 예측·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사이즈로부터 최적의 압축율을 판정한다. 압축율은, l1∼ln( n: 자연수, lm≥1, l≤m≤n)의 n 종류로부터 선택한다. 예를 들면, 화상 사이즈가 T 화소 * U 라인이고, 1 화소당 비트 폭이 r비트로 하며, 예측·표시 프레임 메모리의 1 프레임 분의 용량을 Z 비트로 하면,
T*U*r/lm≤ Z
가 되는 lm에서, 최소의 lm를 선택한다.
프로파일 판정부(110)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50)가, 과거로부터의 예측만으로부터 성립하는 편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인지, 과거 및 미래로부터의 예측의 양방으로부터의 예측을 사용하는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인지를 판정한다. 이 프로파일 정보(158)를, 압축부(111)에 전달한다.
압축부(111)에서는, 압축율 판정부(106)로부터의 압축율 정보(157) 및 프로파일 판정부(110)로부터의 프로파일 정보(158)에 응답하여, 복호부(101)로부터의 복호 테이터(151)에 압축 처리를 행하여, 정보량의 소멸을 행한다.
예를 들면, 압축 방식이 실시 형태 2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경우, 셀렉터 선택 신호 생성기(126)에서, 압축율 정보(157) 및 프로파일 정보(158)로부터 1D-DPCM의 단위를 설정한다.
편방향 예측과 양방향 예측의 개략을 도 14와 도 15에 도시하였으나, 양방향 예측은 과거 및 미래의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예측을 행하기 때문에, 2면의 화상 프레임을 축적할 필요가 있으나, 편방향 예측의 경우, 과거의 화상 프레임만으로부터예측을 행하기 때문에 1면의 화상 프레임을 축적해 두면 된다.
그 때문에, 도 33,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 정보(158)가 편방향 예측의 경우, 양방향 예측에 비교하여,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c)에서, 예측 프레임 메모리 영역(310a, 310b)에 비하여 2배의 영역이 사용가능해지므로, 동일 화상 사이즈에서도, 양방향 예측의 압축율(X)에 비교하여 편방향 예측의 경우는, 압축율을 반분 X/2로 하여 압축 처리를 행한다.
양방향 예측시의 압축율이 '2' 이하인 때는, 편방향 예측의 경우는, 압축하지 않고 처리가 가능해진다. 압축부(111)에서 압축된 압축 데이터(152)는, 종래에 복호하는 프레임에 대한 예측 데이터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예측·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입을 행한다.
이와 같이, 압축부에서는 편방향 예측만으로부터 성립하는 부호화 데이터는, 동일 화상 사이즈의 양방향 예측의 프레임간 부호화 데이터에 비교하여, 압축율을 떨어뜨려 압축하는(또는 압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입된 압축 데이타는 화상의 표시를 행하기 위해 신장 B부(109)에 의해 신장된 래스터(raster) 순서로 판독되어 표시된다. 신장 B부(109)의 신장 처리는 압축률 판정부(106)로부터의 압축률 정보(157)를 기본으로 한다.
복호부(101)에 필요한 데이타를 공급하기 위해서, 신장 A부(108)에서는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로부터 필요한 데이타의 억세스를 행하고, 압축된 데이타의 신장 처리를 행하여 복호부(101)에 필요한 데이타를 공급한다. 신장 A부(108)의 신장 처리에 관하여도 신장 B부(109)와 동일하게 압축률 판정부(106)로부터의 압축률 정보(157)를 기본으로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는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타가 갖는 정보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 부호화 데이타의 화상 사이즈에 의해 압축률의 변경을 행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압축률을 선정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화상 열화를 발생하는 일 없이 화상 데이타의 압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32에서 나타낸 경우는, 압축률 판정부(106)가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압축률 판정부(106)가 없는 경우이어도 좋다. 압축률 판정부(106)가 없는 경우, 압축부(111)는 프로파일 정보(158)만에 기초하여 압축 처리를 실행한다.
도 36은 예측 프레임만을 압축 신장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7은 표시하는 프레임만을 압축 신장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예측 프레임과 표시하는 프레임중 어느 한 쪽만을 압축 신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7
도 38은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블럭도이다.
도 38에서, 특징으로 하는 점은 압축부(112)와 신장 A부(113)와 신장 B부(114)가 실시 형태 1과 다른 점이다.
도 39는 압축부(112)의 내부 블럭도이다.
양자화 처리부(703)는 양자화 특성이 다른 복수의 양자화기를 구비하고 있다. 특성 서치부(701)는, 복호 데이타(151)를 입력하고, M 화소*N화소 블럭의 복호데이타의 인접 화소의 차분치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소정의 특성으로서 조사하는 것이다. 양자화기 선택부(702)는 특성 서치부(701)로부터 출력되는 최대치, 최소치 등의 소정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신호(751)에 기초하여 양자화 처리부(703) 내에서 최적의 양자화기를 선택하여 선택 신호(752)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40은 양자화 처리부(703)의 내부 블럭도이다.
양자화 처리부(703)에는 양자화기(q0)에서 (q15)까지의 16개의 양자화기가 구비되어 있다. 각 양자화기는 도 4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범위에서 양자화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양자화기(q2)는 0∼255의 범위를 양자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양자화기(q15)는 -255∼+255의 범위를 양자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2는 양자화기(q2)의 양자화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양자화기(q2)는 0∼255까지의 값을 0∼9의 10단계로 양자화하는 양자화기이다.
도 43은 양자화기(q15)의 양자화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양자화기(q15)는 -255∼+255까지의 값을 0∼9의 10단계로 양자화하는 양자화기이다.
도 42와 도 43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자화기(q2)는 양자화기(q15)와 비교하여 2배의 정밀도로 양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 40에서 나타낸 양자화기(q0∼q15)는 도 4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양자화 특성을 미리 갖고 있다. 압축부(112)가 M화소*N화소(예를들면, 8화소*8화소)를 1블럭으로 하는 복호 데이타(151)를 양자화하는 경우, 양자화 처리부(703) 내에 있는 복수의 양자화기중 하나의 양자화기를 선택하여 행한다.
도 44는 양자화 처리부(703)으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데이타(152)의 압축 데이타의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1화소에 대한 압축 데이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4에서 나타내는 압축 데이타의 포맷은 16개의 압축화기에 공통의 것이다. 압축 데이타의 y 비트는 양자화 처리부(703)에서 양자화에 이용되는 양자화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16개의 양자화기를 식별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기 때문에, y 비트는 4비트이다. 또, 1화소의 양자화 결과로서, z 비트의 양자화 인덱스를 출력한다. 도 42 및 도 4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0단계의 양자화를 행하는 경우는, z 비트는 4비트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양자화기를 나타내는 y 비트와 양자화 인덱스를 나타내는 z비트의 양자를 1화소의 압축 데이타로서 출력한다.
양자화기의 선택은 이하에서 서술하는 방법에 의해서 행해진다.
도 45는 특성 서치부(701)와 양자화기 선택부(702)의 내부 블럭도이다.
최대치 검출부(704)는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입력하고, 서로 이웃하는 화소의 차분치의 최대치를 구하는 최대치 검출부이다. 최소치 검출부(705)는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입력하고, 서로 이웃하는 화소의 차분치의 최소치를 구하는 최소치 검출부이다. 특성 양자화기(706)는 최대치 검출부(704)에 의해 구해진 최대치와 최소치 검출부(705)에 의해 구해진 최소치를 입력하고, 특성 양자화 테이블(781)을 이용하여 최대치와 최소치를 양자화하는 것이다.
도 46은 특성 양자화 테이블(781)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에서 나타낸 예는, 복호 데이타가 -255∼+255의 값(즉, 9비트)을 취하여, 양자화 스텝수를 10으로 한 경우의 예이다. 최대치 검출부(704)로부터 출력되는 최대치가 n, 최소치 검출부(705)로부터 출력되는 최소치가 m이고, A2
Figure pat00056
n<A3, (-A2)
Figure pat00057
m<(-A1)을 만족할 때, 최대치의 양자화 대표치는 AD8, 최대치 양자화치(770)는 S8, 또 최소치의 양자화 대표치는 AD2, 최소치 양자화치(771)는 S2이다.
이와 같이, 특성 양자화기(706)는 최대치 n와 최소치 m을 입력하고, 특성 양자화 테이블(781)을 참조하여 최대치 양자화치(770) 및 최소치 양자화치(771)를 특성 신호(751)로서 출력한다.
양자화기 선택부(702)는 특성 신호(751)을 입력하고, 선택부(783)에 의해 선택 테이블(782)을 참조하여 최적의 양자화기를 선택한다.
도 47은 선택 테이블(782)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에서 나타낸 선택 테이블(782)은 도 41에서 나타낸 각 양자화기의 특성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이다. 최대치 양자화치(770)가 S8이고, 최소치 양자화치(771)가 S2인 경우는, 도 47로부터 양자화기 q14가 선택된다. 양자화기 q14는 도 4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A3∼A3의 데이타의 범위에서, 양자화를 행하는 양자화기이다. 다른 예로서 만약 최대치 양자화치(770)가 S9이고 최소치 양자화치(771)이 S5인 경우에는 양자화기 q2를 이용하게 된다. 선택 테이블(782)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양자화 특성을 갖는 16개의 양자화기 중에서 최대치 양자화치(770)와 최소치 양자화치(771)로 나타내는 데이타를 최적으로 양자화할 수 있는 양자화기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선택 신호(752)는 어느 양자화기를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도 4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화 처리부(703)에 입력된다. 양자화 처리부(703)는 양자화 처리부(703)내의 선택된 양자화기만을 동작시킨다. 선택되지 않은 양자화기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양자화 처리부(703)는 복호 데이타(151)을 입력하고 압축 데이타(152)을 출력한다.
도 48은 신장 B부(114)의 내부 블럭도이다.
신장 B부(114)에는 신장 처리부(270)과 라인 블럭 메모리(271)가 구비되어 있다. 신장 처리부(270)에는 역양자화기(r0∼r15)가 구비되어 있다. 역양자화기(r0∼r15)는 양자화기(q0∼q15)에 대응하여 설치된 것이다. 즉, 역양자화기(r0∼r15)는 도41에서 나타낸 각 양자화기의 데이타의 범위에서 역양자화를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역양자화기(r0)는 양자화기(q0)에 대응하고 있으며, 압축 데이타(153b)를 입력하여 압축 데이타의 역양자화를 행하고, 0∼A3의 범위의 복호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이다. 다시,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신장 처리부(270)는 도 44에서 나타낸 압축 데이타를 입력하고, y 비트로 나타낸 양자화기에 대응하는 역양자화기를 동작시키고, z 비트로 나타낸 양자화 인덱스를 입력하여 역양자화하는 것이다. y 비트로 나타낸 양자화기에 대응하는 역양자화기 이외의 역양자화기는 동작하지 않는다. 신장 처리부(270)에서 신장 처리가 실시된 복호 데이타는 라인 블럭 메모리(271)에 입력된다. 그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신장 A부(113)에서도 도 48에서 나타낸 신장처리부(270)와 동일한 구성의 처리부가 존재하고 있고, 복수의 역양자화기중 어느 것인가가 동작하여 압축 데이타의 복호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화상 데이타가 압축되어 기억되기 때문에,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를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타가 갖는 정보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압축을 행하는 단위 마다 데이타의 특성을 산출하고, 그 특성에 최적인 양자화기로 양자화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에 기입하는 데이타가 최적으로 압축되고,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타가 갖는 정보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압축에 의한 화상 열화를 될 수 있는 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예측 · 표시 프레임 메모리부(103)의 소형화에 의해 메모리 용량의 삭감뿐만 아니라, 메모리의 판독 및 기입에 필요한 어드레스 공간 및 데이타의 비트 폭을 삭감하고, 장치의 소형화 및 코스트의 삭감을 대폭으로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도 49는 이 실시 형태에 의한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가 도 38과 특히 다른 점은 제어부(700)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어부(700)는 압축부(112a)의 양자화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제어부(700)는 신장 A부(114a)의 역양자화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50은 제어부(700)와 압축부(112a)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51은 양자화 처리부(703a)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52는 특성 서치부(701a)와 양자화기 선택부(702a)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5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00)에는 특성 양자화 테이블 설정부(784)와 선택 테이블 설정부(785)와 양자화 특성 설정부(786)가 설치되어 있다. 특성 양자화 테이블 설정부(784)는 도 5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선(760)를 이용하여 특성 서치부(701a)에 특성 양자화 테이블(781a)을 설정하는 것이다. 선택 테이블 설정부(785)는 양자화기 선택부(702a)에 대하여 제어선(761)을 이용하여 선택 테이블(782a)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양자화 특성 설정부(786)는 양자화 처리부(703a)의 각 양자화기에 대하여 제어선(762)을 이용하여 양자화하는 데이타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양자화기(q0∼q15)는 제어선(762)으로부터 지정된 데이타의 범위에 기초하여 양자화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양자화기이다. 예를 들면, 도 5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화 특성 설정부(786)는 제어선(762)를 이용하여 양자화기(q0)에 0∼A3의 범위를 양자화하도록 설정된다. 또, 양자화기(q1)에 대하여 -A3∼0의 범위를 양자화하도록 설정한다.
도 53은 신장 B부(114a)의 내부 블럭도이다.
신장 B부(114a)의 신장 처리부(270a)는 복수의 역양자화기를 구비하고 있고, 도 51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게, 각 역양자화기는 제어선(762)를 거쳐 역양자화하는 데이타의 범위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양자화기에 대응하는 역양자화기가 준비되게 된다.
또, 실시 형태 7, 8에서는 특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압축 방식으로서 1차원DPCM 또는 2차원 DPCM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로부터 실시 형태 6에서는, 1차원 DPCM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2차원 DPCM을 이용하는 경우이어도 상관 없다. 또는, 그 이외의 압축방식을 이용하여 압축을 행하는 경우이어도 상관 없다.
또, 실시 형태 1로부터 실시 형태 7에서는, 특히 프레임간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타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프레임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타의 경우도 압축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메모리의 화상 데이타를 압축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프레임 메로리, 즉, 소규모의 하드웨어로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사이즈와 프레임 메모리 사이즈의 관계로부터 최적의 압축율을 선택함으로써 화상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부에서 1D-DPCM에 의해 압축을 행하고 나서, 1D-DPCM의 단위를 압축율에 따라서 가변으로 하고, 화상 사이즈에 의해 압축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상의 열화를 최소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부에서 1D- DPCM에 의해 압축을 행하고 나서, 1D-DPCM의 양자화의 비트수를 압축율에 따라서 가변으로 하고, 화상 사이즈에 의해 압축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상의 열화를 최소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자화 테이블을 여러개 준비하고, 보다 양자화 오차가 적어지도록 최적 테이블을 선택함으로써, 화상의 열화를 최소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 방향 예측과 양방향 예측의 부호화 데이타를 판별하고, 동일 화상 사이즈에서도 압축율을 변화시켜, 프레임 메모리를 최대한으로 이용함으로써, 화상의 열화를 최소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타를 압축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프레임 메모리로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부에 양자화 특성이 다른 복수의 양자화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최적의 데이타 압축이 가능해져서, 압축에 의한 열화가 적은 화상 압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성 서치부에 의해 압축 단위마다의 화상 데이타의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 화소간의 차분 데이타의 최대치 및 최소치를 계산하고, 그 최대치 · 최소치에 대하여 양자화를 행함으로써 간단한 회로 또는 모듈로 용이하게 화상 데이타의 특성을 파악한 압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양자화기에 대응하여 복수의 역양자화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복호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에 의해, 양자화 특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복호 데이타의 특성에 맞춰서 압축 특성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고,적은 용량의 프레임 메모리로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소정 크기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encoded data)를 복호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digital image decoding apparatus)에 있어서,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부,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 내에서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부호화(inter/intra-frame coding)에 따라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복호화에 따라서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복호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와 복호부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복호부로부터 출력된 복호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복호 데이터를 비프레임간 또는 비프레임내 부호화(non-inter/intra-frame coding)에 따라서 압축하고, 상기 압축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압축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출력하기 위한 압축부(compressing section),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와 복호부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reading out)하여 비프레임간 또는 비프레임내 복호화(non-inter/intra-frame decoding)에 따라서 신장하며(expanding), 신장된 데이타를 상기 복호부에 출력하기 위한 신장부(expanding section)를 포함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부로 입력되어 오는 부호화 데이타는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의해 프레임간 부호화된 데이타이며,
    상기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부호화 데이타를 입력하고, 부호화 방식을 판정하는 프로파일(profile)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 처리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양자화 테이블이 상이한 복수의 양자화기(量子化器)와,
    각 양자화기의 양자화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양자화 테이블을 선택하는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와,
    최적 테이블 선택 회로에 의해 선택된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한 양자화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셀렉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상기 화상의 화상 사이즈를 나타내는 화상 사이즈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 사이즈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의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하기 위한 압축율을 판정하는 압축율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율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압축율에 기초하여, 상기복호부에서 복호된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여, 압축된 복호 데이타를 압축 데이타로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신장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기억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상기 압축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압축율에 기초하여 압축 데이타를 신장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압축율이 상이한 복수의 압축 모드를 갖고,
    상기 압축율 판정부는 복수의 압축 모드 중에서, 압축 데이타의 사이즈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의 용량 이하이며, 동시에 최대로 되는 압축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는 부호화 데이타를 입력하고, 부호화 방식을 판정하는 프로파일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 처리를 변경하고,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는 부호화 방식으로서, 과거 및 미래의 프레임으로부터 예측을 행하는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과 과거의 프레임으로부터만 예측을 행하는 한쪽 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 중의 어느 한쪽을 판정하고,
    상기 압축부는 한쪽 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타인 경우에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지 않고,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데이타인 경우에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M화소*N화소를 1블럭으로 하는 복호 데이타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장부는 압축 데이타를 양자화하여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로 신장하는 신장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 처리부는 양자화 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양자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의 소정의 특성을 조사하는 특성 서치(search)부와,
    상기 특성 서치부가 조사한 소정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처리부의 복수의 양자화기로부터 하나의 양자화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양자화기에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양자화시키는 양자화기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기 선택부는,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입력하여, 인접하는 화소간의 차분값의 최대치를 구하여 출력하는 최대치 검출부와,
    M화소*N화소의 복호 데이타를 입력하여, 인접하는 화소간의 차분값의 최소치를 구하여 출력하는 최소치 검출부와,
    상기 최대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대치와 상기 최소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소치를 양자화하기 위한 특성 양자화 테이블과,
    상기 최대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대치와 상기 최소치 검출부에 의해 구해진 최소치를 입력하여, 상기 특성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최대치와 최소치를 양자화하여 양자화값으로서 출력하는 특성 양자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기 선택부는,
    상기 양자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 처리부의 복수의 양자화기 중에서 하나의 양자화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테이블과,
    상기 선택 테이블에 기초하여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는데 최적인 양자화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8. 소정 크기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복호부,
    상기 복호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압축부,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신장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호부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복호하여 M개의 화소*N개의 화소*r개의 비트의 복호 데이터의 블록을 출력하며,
    상기 압축부는 상기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터를 상기 블록 단위의 압축 데이터로 종래의 방법-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상기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터의 화질의 계수를 계산하고, 화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계수에 대한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터에 더 긴 비트 길이를 할당하고, 화질에 더 작은 영향을 미치는 계수에 대한 복호 데이터에 더 작은 비트 길이를 할당함-에 따라서 압축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터를 고정된 비트 길이의 블록 단위의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9. 소정 크기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복호부,
    상기 복호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압축부,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신장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는 상기 복호부내에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에측복호(predictive decoding)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예측 프레임(predictive frame)의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예측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표시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표시 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상기 예측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예측 프레임의 복호화 데이터를 압축 예측 데이터로 압축하며, 상기 표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표시 프레임의 복호화 데이터를 압축 표시 데이터로 압축하며,
    상기 신장부는
    상기 예측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예측 프레임의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예측 데이터(expanded predictive data)를 출력하기 위한 예측 데이터 신장부, 및
    상기 표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표시 프레임의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표시 데이터(expanded display data)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상기 프레임 단위로 복호된 예측 데이터(frame-based decoded predictive data)를 블록 단위로 압축하고, 블록 단위로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예측 데이터 신장부는 상기 복호부에서 요구하는 K화소×L행의 적어도 일부의 블록 데이터- 상기 요구되는 블록 데이터는 상기 예측 프레임 메모리내에 저장된 예측 프레임의 일부임- 를 포함하는 상기 압축 예측 데이터의 블록을 블록단위로 취출하고, 상기 블록 단위로 압축된 예측 데이터의 취출된 블록을 신장하며, 상기 K화소×L행의 요구된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취출된 블록의 블록 단위로신장된 예측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예측 데이터 신장부는 상기 예측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취출된 블록의 블록 단위로 신장된 예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블록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메모리는 상기 복호부에서 요구하는 블록 데이터가 새롭게 될 때마다 블록 단위로 갱신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
  10. 소정 크기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복호부,
    상기 복호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압축부,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신장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는 상기 복호부내에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에측 복호(predictive decoding)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예측 프레임(predictive frame)의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예측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를 위하여 사용되는 표시 프레임의 부호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표시 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상기 예측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예측 프레임의 복호화데이터를 압축된 예측 데이터로 압축하며, 상기 표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표시 프레임의 복호화 데이터를 압축된 표시 데이터로 압축하며,
    상기 신장부는
    상기 예측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예측 프레임의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 예측 데이터(expanded predictive data)를 출력하기 위한 예측 데이터 신장부, 및
    상기 표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표시 프레임의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된 표시 데이터(expanded display data)를 표시를 위하여 출력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상기 프레임 단위로 복호된 표시 데이터(frame-based decoded display data)를 블록 단위로 압축하고, 블록 단위로 압축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표시 데이터 신장부는 상기 표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된 표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취출하고, 상기 블록 단위로 압축된 표시 데이터의 취출된 블록을 신장하며, 상기 블록 단위로 신장된 표시 데이터를 수평 주사 방향(horizontal scanning direction)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상기 표시 데이터 신장부는 상기 블록 단위로 신장된 표시 데이터의 취출된 블록을 수평 주사 방향에 따르는 폭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블록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데이터 신장부는 상기 표시 메모리로부터 취출된, 블록 단위로 신장된 표시 데이터를 화상 표시 주사선(image display scan line)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
  11. 소정 크기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복호부,
    상기 복호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압축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신장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신장부, 및
    상기 주어진 화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화상 사이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어진 화상 사이즈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의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하기 위한 압축율을 판정하기 위한 압축율 판정부(compression rate judging section)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 데이타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신장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고, 상기 압축율에 기초하여 압축 데이타를 신장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
  12. 소정 크기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복호부,
    상기 복호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압축부,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신장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신장부, 및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부호화 방식의 프로파일을 판정하는 프로파일 판정부(profile judging section)를 포함하며,
    상기 복호부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방식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며,
    상기 압축부는 다수의 압축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모드중에서 상기 부호화 방식에 최적인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프로파일 판정부는 과거 및 미래의 프레임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예측하기 위한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bidirectional prediction inter-frame coding method)과 과거의 프레임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예측하기 위한 순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forward prediction inter-frame coding method)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방식을 판정하고,
    상기 압축부는 양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을 포함하는 복호 데이터를 압축하고, 순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 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압축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13. 소정 크기의 화상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프레임 메모리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호하고,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복호부,
    상기 복호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압축부,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압축 데이타를 취출하여 신장하며, 신장된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신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M화소*N화소의 블록 단위로 복호 데이타를 양자화하여 상기 블록 단위로 압축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양자화부(quantizing section)를 포함하고,
    상기 신장부는 상기 블록 단위로 압축된 데이타를 역양자화하여(dequantizing), 상기 M화소*N화소의 블록 단위로 상기 신장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장기(expander)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화부는 각각 고유한 양자화 특성을 갖는 복수의 양자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M화소*N화소의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타의 특성을 검색하기 위한 특성 검색부(characteristic searching section)와,
    상기 특성 검색부가 검색한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부의 복수의 양자화기 중 하나의 양자화기를 선택하고, M화소*N화소의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타를 양자화하기 위하여 선택된 양자화기만을 배타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양자화기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화기 선택부는,
    M화소*N화소의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타를 수신하여, 인접하는 화소간의 차분값의 최대치를 계산하여 최대치를 제1 특성으로서 출력하는 최대치 검출부와,
    M화소*N화소의 블록 단위의 복호 데이타를 수신하여, 인접하는 화소간의 차분값의 최소치를 계산하여 최소치를 제2 특성으로서 출력하는 최소치 검출부와,
    상기 제1 특성인 최대치와 상기 제2 특성인 최소치를 양자화하기 위한 특성 양자화 테이블과,
    상기 최대치와 최소치를 수신하고, 상기 특성 양자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최대치와 최소치를 양자화하여, 각각 최대 및 최소의 양자화된 값으로서 출력하는 특성 양자화기,
    상기 최대 및 최소의 양자화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화부의 복수의 양자화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테이블과,
    상기 선택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양자화기 중에서 상기 복호 데이터에 최적인 양자화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포함하는 디지탈 화상 복호 장치.
  14. M*N화소의 블록 단위로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부호화 방식에 따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 단계에 이어서, M*N화소의 블록 단위로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복호화 방식에 따라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단계,
    상기 복호 단계에 이어서, 상기 M*N화소의 블록 단위로 복호된 데이터를,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부호화 방식에 의하지 않고, 양자화에 의하여 압축하고, 블록 단위로 압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압축 단계에 이어서, 프레임 메모리부의 예측 프레임 메모리내에 블록 단위로 압축된 데이터의 예측 프레임- 상기 예측 프레임은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부호화 방법을 통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하여 사용됨- 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압축 단계에 이어서, 상기 블록 단위로 압축된 데이터의 표시 프레임-상기 표시 프레임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됨- 을 상기 프레임 메모리부의 표시 프레임 메모리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예측 프레임 저장 단계에 이어서, 상기 예측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취출된 압축된 예측 프레임 데이터를,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복호화방식을 통하지 않고, 역양자화를 통하여 신장하고, 신장된 예측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복호 단계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프레임 저장 단계에 이어서, 상기 표시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취출된 압축된 표시 프레임 데이터를, 프레임간 또는 프레임내 복호화방식을 통하지 않고, 역양자화를 통하여 신장하고, 신장된 표시 프레임 데이터를 화상 표시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KR1019970007051A 1996-03-04 1997-03-04 디지탈화상복호장치 KR100334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46346 1996-03-04
JP4634696 1996-03-04
JP20249296 1996-07-31
JP96-202492 1996-07-31
JP8350305A JPH1098731A (ja) 1996-03-04 1996-12-27 ディジタル画像復号装置及びディジタル画像復号方法
JP96-350305 199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643A KR970068643A (ko) 1997-10-13
KR100334703B1 true KR100334703B1 (ko) 2002-10-12

Family

ID=2729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051A KR100334703B1 (ko) 1996-03-04 1997-03-04 디지탈화상복호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08689B1 (ko)
KR (1) KR100334703B1 (ko)
TW (1) TW3713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7761B2 (ja) * 1997-06-20 2005-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3271585B2 (ja) * 1998-06-19 2002-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像復号装置
JP2001136535A (ja) * 1999-08-25 2001-05-18 Fuji Xerox Co Ltd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量子化特性決定装置
WO2002005562A2 (en) * 2000-07-11 2002-01-17 Mediaflow, Llc Video compression using adaptive selection of groups of frames, adaptive bit allocation, and adaptive replenishment
US6983017B2 (en) * 2001-08-20 2006-01-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reduced memory mode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ES2299171T3 (es) * 2002-02-01 2008-05-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imiento de codificacion de imagenes en movimiento y aparato de codificacion de imagenes en movimiento.
US20050182824A1 (en) * 2002-04-30 2005-08-18 Pierre-Alain Cotte Communications web site
KR100436765B1 (ko) * 2002-07-12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의 신호처리장치 및 방법
JP4589709B2 (ja) * 2004-12-10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
EP1845735A4 (en) * 2004-12-28 2009-07-15 Nec Corp CODING PROCESS FOR MOBILE PICTURES AN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HEREWITH
US20060158677A1 (en) * 2005-01-18 2006-07-20 Atousa Soroushi Enhanced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4273426B2 (ja) * 2005-12-07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90052536A1 (en) * 2006-02-09 2009-02-26 Nec Corporation Video Decoding Device, Decoded Image Recording Device, Their Method and Program
KR101270167B1 (ko) * 2006-08-17 201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복잡도의 이미지 압축 방법 및 장치, 저복잡도의 이미지복원 방법 및 장치
KR100837410B1 (ko) * 2006-11-30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주관적인 무손실 이미지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장치
US8594137B2 (en) * 2007-02-20 2013-11-26 Teradici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age decoding
US20090319547A1 (en) * 2008-06-19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Compression Using Hashes
US8761531B2 (en) * 2009-07-09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Image data compression involving sub-sampling of luma and chroma values
CN103283231B (zh) 2011-01-12 2018-04-27 西门子公司 在视频编码器中参考图像的压缩和解压缩
JPWO2012132624A1 (ja) * 2011-03-29 2014-07-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制御回路
US20130243100A1 (en) * 2012-03-15 2013-09-19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Frame Re-compression in Video Processing System
KR101676792B1 (ko) 2015-06-01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임베디드 압축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5825B1 (ko) 2015-06-03 202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 및 시스템 온 칩의 동작 방법
US10742979B2 (en) * 2016-12-21 2020-08-11 Arris Enterprises Llc Nonlinear local activity for adaptive quant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134B2 (ja) * 1991-04-23 2000-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US5414527A (en) * 1991-08-14 1995-05-09 Fuji Xerox Co., Ltd. Image encoding apparatus sensitive to tone variations
US5663763A (en) * 1992-10-29 1997-09-02 Sony Corp. Picture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icture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5724097A (en) * 1993-10-18 1998-03-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daptive quantization of video based on edge detection
JP3732867B2 (ja) * 1995-03-09 2006-01-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画像伸張装置
US5701158A (en) * 1996-03-04 1997-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image decoding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PEG-1(1991.11.22 Rev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71387B (en) 1999-10-01
US6208689B1 (en) 2001-03-27
KR970068643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703B1 (ko) 디지탈화상복호장치
EP1065883B1 (en) Image predictive decoding method
US6567561B2 (en) Video coding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US8582903B2 (en) Efficient macroblock header coding for video compression
WO2005088981A1 (en) Encoding apparatus, encoding method, de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JPH09182084A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装置
CA2151023A1 (en) Method of coding/decoding of a data stream
JPH07288474A (ja) ベクトル量子化符号化装置と復号化装置
US6330364B1 (en) Video coding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JPH1098731A (ja) ディジタル画像復号装置及びディジタル画像復号方法
US7925120B2 (en) Methods of image processing with reduced memory requirements for video encoder and decoder
JP3087835B2 (ja)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画像復号方法および装置
US6687304B1 (en) Efficient video data data access using fixed ratio compression
US5701158A (en) Digital image decoding apparatus
US5701159A (en) Digital image decoding apparatus
KR20010074935A (ko) 정보의 압축 저장
JP2918360B2 (ja) 逆量子化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復元装置
JPH05316359A (ja) 画像データ符号化装置
KR19990041929A (ko)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압축율 자동-변환 장치
KR100221003B1 (ko) 디지탈화상 복호장치
US6754268B1 (en) Video coding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JPH104549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US76028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ression of a video stream
JPH10145797A (ja)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
JPH0851628A (ja) 動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728

Effective date: 2001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