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038B1 -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038B1
KR100334038B1 KR1020000010046A KR20000010046A KR100334038B1 KR 100334038 B1 KR100334038 B1 KR 100334038B1 KR 1020000010046 A KR1020000010046 A KR 1020000010046A KR 20000010046 A KR20000010046 A KR 20000010046A KR 100334038 B1 KR100334038 B1 KR 100334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uel tank
fuel
inlet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768A (ko
Inventor
이귀주
Original Assignee
김기삼
학교법인조선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삼, 학교법인조선대학교 filed Critical 김기삼
Priority to KR102000001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0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측판(8)을 따라 승강되는 유수분리수단을 갖추고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연료유/출입구(2)와 해수유입구(3)가 형성된 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유/출입구(3)에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유통로(4)를 갖는 신축수단이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기 해수유입구(3)는 선저(1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Fuel tank for a vessel with weight compens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연료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항시 소비되는 연료로 인해 선체의 무게중심이 변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선박의 홀수 및 종경사 변화로 엔진의 추진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한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의 중량 및 선체내에 설치되는 연료저장탱크로 인해 운항중 물속에 일정깊이 만큼 잠겨있게 되어 적절한 흘수(draft:선체가 물에 잠겨 있는 깊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흘수와 종방향 경사가 소정범위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선체의 저항추진성능과 운동성능 및, 작업성능과 같은 각종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한편 연료저장탱크에 연료가 가득 차여 있을 때에는 연료의 무게로 인해 선체의 흘수가 깊어지고 종방향 경사가 선미(船尾)쪽으로 발생하게 되며, 연료를 소모하면 반대로 흘수가 얕아지고 종방향 경사가 감소하거나 선미쪽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선박이 항해할 때에는 프로펠러의 잠긴 깊이가 추진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려면 흘수가 종경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박은 출항시와 운항시 혹은 귀항시의 연료소모량이나 유수거선박의 경우에는 수거된 기름으로 인한 기름저장탱크의 중량증가로 흘수 및 종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연료탱크내에 이동형 격벽을 설치하여 연료탱크내로 소모한 연료량 만큼 해수(ballast)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운항시 소비되는 연료로 인해 선체의 무게중심이 변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홀수 및 종경사 변화로 엔진의 추진력이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한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를 개략도시한 단면도,
도 2는 1실시예를 적용한 선박에서 연료를 사용함에 따라 연료탱크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를 개략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2실시예를 적용한 선박에서 연료를 사용함에 따라 연료탱크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실시예를 개략 도시한 딘면도이다.
1 --- 본체, 2 --- 연료 유/출입구,
3 --- 해수유입구, 4 --- 유통로,
5 --- 연료탱크, 6 --- 선체,
7 --- 이동형 격벽, 8 --- 측판,
9 --- 압축성튜브, 10 --- 선저,
11 --- 해수, 12 --- 연료,
13 --- 고무튜브, 14 --- 수거기름저장탱크,
15 --- 역지밸브, 16 --- 수거기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판을 따라 승강되는 유수분리수단을 갖추고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연료유/출입구와 해수유입구가 형성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유/출입구에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유통로를 갖는 신축수단이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기 해수유입구는 선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를 개략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1실시예를 적용한 선박에서 연료를 사용함에 따라 연료탱크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개략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각박스형태를 하고서 유수분리수단을 갖춘 본체(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연료유/출입구(2)와 해수유입구(3)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료유/출입구(2)에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유통로(4)가 형성된 신축수단이 연결설치된 연료탱크(5)가 선체(6)의 하단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수분리수단은 본체(1)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는 이동형 격벽 (7)으로 이루어지되, 본체(1)를 구성하는 측판(8)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간극을 갖도록 설치되어 측판(8)의 수직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신축수단은 예컨대 벨로우즈 신축관과 같이 압축과 신장될 수 있는 압축성튜브(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하부면이 선저(10)에 맞닿으면서 선저(10)와 연통되어 해수(11)가 해수유입구(3)를 통해 연료탱크(5)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선박의 항해에 따라 엔진(동작되지 않음)이 작동되면 유통로(4)를 통해 연료가 엔진으로 송출되고 이에 따라 연료탱크(5)에 수용되어 있던 연료(12)가 소모되면, 연료의 중량으로 이동형 격벽(7)에 가해지고 있던 압력이 서서히 낮아지게 되어 소모되는 연료량 만큼 이동형 격벽(7)을 누르는 힘이 약해지면서 해수(11)의 압력에 따라 측판(8)을 따라 상승하게 됨에 따라 이동형 격벽(7)을 누르는 압력과 이동형 격벽(7)의 상승력이 멈춰지는 지점, 즉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지점까지 해수유입구(3)를 통해 해수(11)가 자동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소모된 연료량 만큼 압축성튜브(9)가 압축되므로 연료탱크(5)에는 연료(12)가 유/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계속 확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해 신규한 구조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과 도 4에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2실시예는 1실시예에서의 이동형 격벽(7)대신 고무튜브(13)가 설치되어, 소모된 연료량 만큼 해수유입구(3)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11)에 의해 부풀려지면서 압축성 튜브(9)를 압축시키도록 되어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료탱크(5)내에서 연료가 유/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수거선박의 경우에는 흘수 및 종경사에 맞추어 수거기름저장탱크(14)를 만들고 이 수거기름저장탱크(14)에 수거된 기름이 채워지면 채워지는 양 만큼 1실시예 및 2실시예에서 설명한 원리에 따라 해수가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3실시예의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료탱트와 별도로 수거기름저장탱크(14)를 설치하고 출항전에 수거기름저장탱크(14)에 해수를 채워주게 된다. 그리고 연료수거작업을 하면서 수거기름저장탱크(14)로 수거한 기름이 유입되면 유입된 기름양 만큼 수거기름저장탱크(14)의 하부를 통해 해수가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유입구(도시되지 않음)에는 역지밸브(15)가 설치되어, 해수가 다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써 수거기름저장탱크(14)내에 수거기름(16)과 해수 (11)가 층을 이루면서 차여 있게 되어 선체가 흘수 및 종경사를 유지하는데에 기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항시 소비되는 연료만큼 해수로대체하거나 수거된 기름만큼 연료수거탱크에 수용되어 있던 해수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운항도중 선체의 무게중심이 변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홀수 및 종경사 변화로 엔진의 추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측판(8)을 따라 승강되는 유수분리수단을 갖추고 상부와 하부면에 각각 연료유/출입구(2) 및 해수유입구(3)가 형성된 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유/출입구 (3)에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유통로(4)가 형성된 신축수단이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기 해수유입구(3)가 선저(1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수단이 이동형 격벽(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수단이 고무튜브(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이 압축성튜브(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튜브(9)가 유수분리수단을 매개로 압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KR1020000010046A 2000-02-29 2000-02-29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KR100334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046A KR100334038B1 (ko) 2000-02-29 2000-02-29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046A KR100334038B1 (ko) 2000-02-29 2000-02-29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768A KR20010084768A (ko) 2001-09-06
KR100334038B1 true KR100334038B1 (ko) 2002-04-26

Family

ID=1965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046A KR100334038B1 (ko) 2000-02-29 2000-02-29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776A (ko) * 2016-10-18 2018-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5875A (zh) * 2014-06-17 2014-09-03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补重消耗燃油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776A (ko) * 2016-10-18 2018-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KR102590595B1 (ko) * 2016-10-18 2023-10-16 한화오션 주식회사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768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888B1 (ko) 선박의 능동적 및 수동적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US5215025A (en) Boat
US4117796A (en) Double sectioned tank
KR101173364B1 (ko) 논-밸러스트선
US3872814A (en) Twin-hull ship for drilling in ice-covered waters
GB1585922A (en) Semi-submersible vessels providing a loading mooring and storage facility
US4007700A (en) Multiple seafloor storage and supply system
CN103912245B (zh) 深水钻井生产立式储油平台及其操作方法
US3459150A (en) Open boat
GB2385564A (en) Semi-submersible vessel having a concrete storage tank
CA1157709A (en) Tanker vessel construction
KR910019849A (ko) 화물유(油)누출방지용 유조선
KR100334038B1 (ko)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KR950701874A (ko) 해안에서의 유조선의 기름선적 방법 및 상기 유조선의 구조(method for offshore loading of a tanker and construction of said tanker)
JP4401346B2 (ja) 船舶機関室のダブルハル構造
CN105947123A (zh) 一种甲板可潜至水下的双体半潜船
GB2174347A (en) Liquid ballasting and de-ballasting systems for a vessel
US3366087A (en) Anti-pitch systems
JP2831147B2 (ja) 貨油流出防止型タンカー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NO310550B1 (no) Stabiliseringsanordning for flytende produksjons-, lagrings- og lossefartöy
CN111959679B (zh) 一种船用首尖舱布局结构及船舶
KR102646244B1 (ko) 동적 안정화 폰툰
US5247896A (en) Leak-safe oil tanker
KR820001051B1 (ko) 액체 화물 탱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