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595B1 -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595B1
KR102590595B1 KR1020160135366A KR20160135366A KR102590595B1 KR 102590595 B1 KR102590595 B1 KR 102590595B1 KR 1020160135366 A KR1020160135366 A KR 1020160135366A KR 20160135366 A KR20160135366 A KR 20160135366A KR 102590595 B1 KR102590595 B1 KR 10259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uel oil
seawater
oil tank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776A (ko
Inventor
오상환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5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B63B2702/04
    • B63B2702/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는, 잠수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잠수함의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탱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가 저장되는 제1 격실, 상기 제1 격실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해수가 저장되는 제2 격실, 및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을 완전히 분리하는 분리 격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The fuel oil tank apparatus compensated by seawater}
본 발명은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유 탱크 장치 내에 분리 격막을 설치하여 원천적으로 해수와 연료유를 분리하면서, 연료유 소모에 따른 중량 감소를 해수를 통해 보상할 수 있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은 중성부력 유지가 중요한데, 디젤엔진 작동을 위해 연료유 탱크 내 연료유를 소모할수록 중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료량만큼 해수를 채우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원리는 연료유와 해수의 상대적인 비중차에 따라 분리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탱크 상부로 연료유가 배출되면 탱크 하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하지만, 미미하게나마 연료유에 해수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디젤엔진 전단에 유수분리기를 설치하여 연료유와 해수를 분리한다. 유수분리기 안에 분리된 해수는 센서를 통해 감지하며, 분리된 해수는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출 감지센서의 작동 여부를 항상 감시해야 하며, 배출 감지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경고 신호를 항상 주시해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 10-2009-0023895 (공고일자 2009년 03월 0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잠수함의 연료유 탱크의 운용에 있어서의 관리상 불편함과 유수분리기와 같은 추가 설비 설치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유 탱크 내에 연료유와 해수가 원천적으로 혼합되지 않는 구조를 포함한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유 탱크 내에 소정의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의 분리 격막을 설치하여 상부의 연료유와 하부의 해수가 원천적으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는, 잠수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잠수함의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탱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가 저장되는 제1 격실, 상기 제1 격실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해수가 저장되는 제2 격실, 및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을 완전히 분리하는 분리 격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격막은 상기 연료유 탱크 장치 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격실은 상기 분리 격막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분리 격막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격막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분리 격막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격막은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분리 격막이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격막은 복수 개의 레일 기둥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분리 격막은 상기 복수 개의 레일 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격막은 측부에 제1 실링(sealing)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실링재는 상기 연료유 탱크 장치의 측벽과 접촉하여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링재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기둥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 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부싱(bushing)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싱 구조체의 내부에는 상기 레일 기둥과 접촉하여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을 완전히 분리하는 제2 실링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링재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격실에는 연료유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유 배출관은 엔진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유 배출관과 상기 엔진 장치의 사이에는 유수분리장치가 미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격실에 연결된 해수 유입관, 및 상기 해수 유입관과 연결된 해수 유입 펌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 유입 펌프 장치는 상기 해수 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2 격실로 해수를 제공하고,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제1 격실에 저장된 상기 연료유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료유가 상기 엔진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이용하면, 연료유 탱크 내의 연료유와 해수를 분리 격막을 이용하여 원천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유수분리기와 해수 수집 탱크(collecting tank)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의 설치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연료유 탱크의 운용에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며, 유수분리기에서의 배출 감지센서를 감시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A1-A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1-B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는, 연료유 탱크의 운용에 있어서의 관리상 불편함을 해소하고, 연료유 탱크와 디젤엔진 사이에 설치되는 유수분리기 및 해수 수집 탱크와 같은 추가적인 설비를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유 탱크 내에 수평 방향의 분리 격막을 설치하여 제1 격실과 제2 격실 구조로 분리하고, 각각의 격실은 상호간에 밀봉되어 연료유와 해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천적으로 연료유와 해수가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추후에 디젤엔진에서 연료유를 사용하고자 할 때 연료유로부터 해수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유와 해수를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수분리기 및 해수 수집 탱크와 같은 추가적인 설비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1)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는,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갖는 연료유 탱크(100),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완전히 분리하는 제1 분리 격막(200), 엔진 장치(300), 제1 격실(C1)과 엔진 장치(300)를 연결하는 연료유 배출관(P1), 해수 유입 펌프 장치(400), 제2 격실(C2)과 해수 유입 펌프 장치(400)를 연결하는 해수 유입관(P2) 등을 포함한다.
연료유 탱크(100)는 잠수함 내에 설치되어, 잠수함의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유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유 탱크(100)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로서, 연료유 소모에 따른 중량 감소를 연료유 탱크(100) 내로 해수를 유입시켜 잠수함의 중성부력 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분리 격막(200)은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공간적으로 완전히 분리하도록, 연료유 탱크(100) 내에 소정의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격실(C1)은 제1 분리 격막(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격실(C2)은 제1 분리 격막(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료유는 제1 격실(C1)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해수는 제2 격실(C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연료유는 연료유 탱크(100) 내의 상부에 위치한 제1 격실(C1) 내에 저장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해수는 연료유 탱크(100) 내의 하부에 위치한 제2 격실(C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분리 격막(200)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2 격실(C2)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제1 분리 격막(200)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리 격막(200)은 고무판, 테프론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격실(C2) 내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질수록 제1 분리 격막(200)이 상부 방향으로 유연하게 팽창하여, 제1 격실(C1) 내의 연료유가 모두 소모될 수 있다.
엔진 장치(300)는 예를 들어, 디젤엔진일 수 있다. 제1 격실(C1)과 엔진 장치(300)의 사이에는 연료유 배출관(P1)이 연결되어, 연료유 배출관(P1)을 통해 제1 격실(C1) 내의 연료유가 엔진 장치(3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연료유 배출관(P1)과 엔진 장치(300)의 사이 또는 제1 격실(C1)과 엔진 장치(300)의 사이에는 유수분리장치가 미형성된다. 왜냐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제1 격실(C1) 내의 연료유에는 해수가 미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제1 분리 격막(200)에 의해 연료유와 해수가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이다.
해수 유입 펌프 장치(400)는 해수 유입관(P2)을 통해 제2 격실(C2) 내로 해수를 제공하며, 제2 격실(C2)에 해수가 공급됨에 따라 제1 격실(C1)에 저장된 연료유가 상부로 이동하여, 연료유가 엔진 장치(3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는,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갖는 연료유 탱크(100),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완전히 분리하는 제2 분리 격막(201), 제2 분리 격막(201)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레일 기둥(R1~R4), 엔진 장치(300), 제1 격실(C1)과 엔진 장치(300)를 연결하는 연료유 배출관(P1), 해수 유입 펌프 장치(400), 제2 격실(C2)과 해수 유입 펌프 장치(400)를 연결하는 해수 유입관(P2)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의 차이점은 제2 분리 격막(201)에 대한 구조이다.
제2 분리 격막(201)은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2 격실(C2)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지면, 제2 분리 격막(201)은 연료유 탱크(100)의 벽면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 분리 격막(201)이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제1 격실(C1) 내의 연료유가 상부로 이동하여 엔진 장치(3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분리 격막(201)은 제1 내지 제4 레일 기둥(R1~R4)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레일 기둥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내지 제4 레일 기둥(R1~R4)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A1-A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1-B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3)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는,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갖는 연료유 탱크(100),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완전히 분리하는 제3 분리 격막(202), 제3 분리 격막(202)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레일 기둥(R1~R4), 엔진 장치(300), 제1 격실(C1)과 엔진 장치(300)를 연결하는 연료유 배출관(P1), 해수 유입 펌프 장치(400), 제2 격실(C2)과 해수 유입 펌프 장치(400)를 연결하는 해수 유입관(P2)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3)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의 차이점은 제3 분리 격막(202)에 대한 구조이다.
도 3에는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으나, 도 3의 A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레일 기둥(R3)에는 부싱(bushing) 구조체(B)가 형성될 수 있다. 부싱 구조체(B)란, 관 형태에 결합되는 부속품의 하나로, 제3 레일 기둥(R3)과 제3 분리 격막(202)이 맞닿는 부분에 제3 레일 기둥(R3)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제3 분리 격막(202)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경우 제3 레일 기둥(R3)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레일 기둥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싱 구조체(B)가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 기둥과 제3 분리 격막(202)이 맞닿는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3 분리 격막(202)의 측부에는 제1 실링재(S1, S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재(S1, S2)는 연료유 탱크(100)의 측벽과 접촉하여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완전히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부싱 구조체(B)의 내부에는 제3 레일 기둥(R3)과 접촉하는 부분에 제2 실링재(S3, S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재(S3, S4)는 제3 레일 기둥(R3)과 부싱 구조체(B) 사이를 완전히 밀봉하여, 제1 격실(C1)과 제2 격실(C2)을 완전히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실링재(S1, S2)와 제2 실링재(S3, S4)는 제3 분리 격막(202)의 슬라이딩 부위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링재(S1, S2)와 제2 실링재(S3, S4)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실링재 및 제2 실링재가 형성되는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연료유 탱크
C1, C2: 제1 및 제2 격실
200, 201, 202: 제1 내지 제3 분리 격막
300: 엔진 장치
P1: 연료유 배출관
400: 해수 유입 펌프 장치
P2: 해수 유입관

Claims (14)

  1. 잠수함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잠수함의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탱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가 저장되는 제1 격실;
    상기 제1 격실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해수가 저장되는 제2 격실; 및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을 완전히 분리하는 분리 격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격막은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분리 격막이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하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막은 상기 연료유 탱크 장치 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실은 상기 분리 격막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분리 격막의 하부에 배치되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막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분리 격막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막은 복수 개의 레일 기둥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상기 분리 격막은 상기 복수 개의 레일 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격막은 측부에 제1 실링(sealing)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실링재는 상기 연료유 탱크 장치의 측벽과 접촉하여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을 완전히 분리하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재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기둥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 기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부싱(bushing)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싱 구조체의 내부에는 상기 레일 기둥과 접촉하여 상기 제1 격실과 상기 제2 격실을 완전히 분리하는 제2 실링재가 형성된,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재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실에는 연료유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유 배출관은 엔진 장치와 연결된,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배출관과 상기 엔진 장치의 사이에는 유수분리장치가 미형성된,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실에 연결된 해수 유입관; 및
    상기 해수 유입관과 연결된 해수 유입 펌프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 펌프 장치는 상기 해수 유입관을 통해 상기 제2 격실로 해수를 제공하고,
    상기 제2 격실에 해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제1 격실에 저장된 상기 연료유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연료유가 상기 엔진 장치로 공급되는,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KR1020160135366A 2016-10-18 2016-10-18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KR10259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366A KR102590595B1 (ko) 2016-10-18 2016-10-18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366A KR102590595B1 (ko) 2016-10-18 2016-10-18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76A KR20180042776A (ko) 2018-04-26
KR102590595B1 true KR102590595B1 (ko) 2023-10-16

Family

ID=6208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366A KR102590595B1 (ko) 2016-10-18 2016-10-18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5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1187A (en) 1998-03-31 2000-08-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Isolated compensated fluid delivery system
KR100334038B1 (ko) * 2000-02-29 2002-04-26 김기삼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35B1 (ko) 2007-09-03 2009-1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디젤 엔진의 과급기 냉각 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1187A (en) 1998-03-31 2000-08-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Isolated compensated fluid delivery system
KR100334038B1 (ko) * 2000-02-29 2002-04-26 김기삼 무게보상기능을 갖춘 선박용 연료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76A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21630A (en) Gravitational separator for immiscible fluids of different densities
EA200801205A1 (ru) Гравитаци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и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смеси, содержащей воду, нефть и газ
MX2010006640A (es) Acumulador.
KR102590595B1 (ko) 해수 보상 연료유 탱크 장치
KR830005007A (ko) 유조선의 연부 발러스트 탱크 격자를 가진 분리식 발러스트장치
CN104781450A (zh) 气体发生装置及其组件
ATE499294T1 (de) Brennstoffbehälter für bernnstoffzellen
US20130195555A1 (en) Device for capturing and conducting away liquids and/or gases escaping from a bed of a body of water
CN203601534U (zh) 漂浮建筑
KR101547961B1 (ko) 휴대용 유수분리장치
WO2014037567A2 (en) A containment system
KR101455105B1 (ko) 오일제거장치
KR840005353A (ko) 액체 분리장치
FR3002743B1 (fr) Dispositif de separation gravitaire de liquides non miscibles de densites differentes
RU24215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газации бурового раствора
ATE469022T1 (de) Auftriebsmodul
JP2009236155A (ja) 液面自動制御装置
RU2007143378A (ru) Сепаратор для отделения материала из установки для бурения, расположенной на дне моря
TW200724216A (en) Separator
FR3042795B1 (fr) Fermenteur pour milieu liquide avec mise en communication fluidique automatique entre les circulations ascendante et descendante en fonction du niveau du milieu liquide
RU93450U1 (ru) Поплавковый дегазатор
US20160128212A1 (en) Volume compensation system
CN211232426U (zh) 一种新型防泄漏煤气排水器
KR20110135677A (ko) 원유 유출 방지장치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