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280B1 -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280B1
KR100333280B1 KR1019990044361A KR19990044361A KR100333280B1 KR 100333280 B1 KR100333280 B1 KR 100333280B1 KR 1019990044361 A KR1019990044361 A KR 1019990044361A KR 19990044361 A KR19990044361 A KR 19990044361A KR 100333280 B1 KR100333280 B1 KR 10033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board
support member
support
side frame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067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4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2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의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면서 플로워보드상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도록 된 지지부재의 내측부위에 접합면이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강부재가 고정되어 접합시 작업불량을 줄임과 더불어 하중에 대한 지지강성도 아울러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함(2)의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22)의 내측면으로 접합되어 상기 지지부재(22)가 플로워보드(2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지지력을 발휘함에 있어 지지부재(22)의 함몰을 방지하도록 된 보강부재(37)를 갖춘 화물차의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7)는 수직면(37a)의 양측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절곡되어 각각 지지부재(22)의 내측면과 면착되는 플랜지부(37b,37c)와, 이 플랜지부(37b,37c)의 내측면과 수직면(37a) 사이에 각각 면착되게 접합되는 강성보강재(37e)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loading box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함의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적재함으로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된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차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운전자가 승차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1)과, 이 캐빈(1)의 후방에 화물을 적재시킬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2)의 바닥부에 해당되는 플로워보드(21)가 적재함(2)의 전체 영역으로 깔리도록 배치되고, 이 플로워보드(21)의 하부에는 지지부재(22)를 매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사이드프레임(23)이 배치되며, 이 사이드프레임(23)의 하부에는 섀시프레임(24)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프레임(23)과 섀시프레임(24)은 각각 화물차의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 부위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2)의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 사이에는 상/하측부위가 각각 플로워보드(21)의 저면부와 사이드프레임(23)의 상면부상에 접촉되도록 대략 'ㄷ'자형태로 절곡된 다수개의 지지부재(22)가 일정간격을 두고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2)의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 사이에서 차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22)중 적재함(2)의 최후미로 배치되는 지지부재(22)는 이들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5)와 너트(26)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에는 플로워보드(2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함몰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27)가 용접을 통해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상기 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에 수직하게 직립한 상태로 보강부재(27)가 고정되고, 이 지지부재(22)의 하측으로 사이드프레임(23)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27)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상기 플로워보드(21)와 지지부재(22) 및 사이드프레임(23) 사이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5)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만곡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7)의 높이에 해당되는 전체 길이는 상기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2)에서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 사이가 지지부재(22)를 매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면, 상기 적재함(2)의 플로워보드(21)상에 하중이 무거운 화물이 적재될 때, 상기 지지부재(22)가 화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견디게 되고, 이때 상기 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로 접합된 보강부재(27)는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의한 지지부재(22)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적재함(2)의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의 사이로 고정되는 지지부재(22)상에 보강부재(27)를 설치할 때에는, 먼저 상기 지지부재(22)에 보강부재(27)를 용접으로 접합시켜야 하는데, 상기 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와 보강부재(27)의 상/하측 선단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좁음에 따라, 용접시 용접의 불균일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보강부재(27)의 길이를 지지부재(22)의 내측길이와 정확하게 일치되게 절단하지 못할 경우에 특히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재함의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면서 플로워보드상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도록 된 지지부재의 내측부위에 접합면이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강부재가 고정되어 접합시 작업불량을 줄임과 더불어 하중에 대한 지지강성도 아울러 보강할 수 있도록 된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내측면으로 접합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플로워보드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지지력을 발휘함에 있어 지지부재의 함몰을 방지하도록 된 보강부재를 갖춘 화물차의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수직면의 양측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절곡되어 각각 지지부재의 내측면과 면착되는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의 내측면과 수직면 사이에 각각 면착되어 접합되는 강성보강재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형태의 화물차를 도시한 후방사시도,
도 2는 종래 화물차의 적재함에서 후미 선단부위의 종단면으로서,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의 (a),(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적재함의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함에서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a),(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적재함의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요부사시도,
도 6은 지지부재상에 설치되는 또 다른 형태의 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캐빈 2-적재함
21-플로워보드 22-지지부재
23-사이드프레임 24-섀시프레임
25-볼트 26-너트
37-보강부재 37a-수직면
37b,37c-플랜지부 37d-절개부
37e-강성보강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화물차의 적재함에서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적재함의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요부사시도인 바, 종래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의 적재함의 플로워보드(21)와 차체의 사이드프레임(23)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도록 대략 'ㄷ'자형태로 절곡된 지지부재(22)가 상기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의 사이에서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배치되고, 이 사이드프레임(23)의 하부에는 사이드프레임(23)과 동일하게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섀시프레임(24)이 배치되며,상기 적재함의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 사이에서 차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22)중 적재함(2)의 최후미로 배치되는 지지부재(22)는 이들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5)와 너트(26)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에는 플로워보드(2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함몰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37)가 용접을 통해 접합되어 있는 데,이 보강부재(37)는 도 5의 (a),(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상으로 보아 대략 'ㄷ'자형태를 형성하도록 수직면(37a)의 양측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절곡되어 각각 지지부재(22)의 내측면과 면착되는 플랜지부(37b,37c)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37)의 플랜지부(37b,37c)는 대략 중앙부위에 상기 플로워보드(21)와 지지부재(22) 및 사이드프레임(23) 사이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5)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구간이 절개된 형태의 절개부(37d)를 마련하도록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하측부위로 플랜지부(37b,37c)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보강부재(37)가 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에 면착된 다음 용접을 통해 고정되도록 접합되면, 상기 지지부재(22)상에 보강부재(37)의 접합공정시 지지부재(22)의 내측면과 보강부재(37)의 상/하측 플랜지부(37b,37c) 사이의 접촉면적이 확대됨으로써 용접시 발생될 수 있는 용접의 불균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37)를 매개로 지지부재(22)의 내측부위에 설치되면, 상기 적재함의 플로워보드(21)상에 중량이 무거운 화물의 적재에 따른 큰 하중의 작용시에도 상기 지지부재(22)가 보강부재(37)를 매개로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 사이의 이격거리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하측으로 각각 절곡된 형태의 플랜지부(37b,37c)를 갖춘 보강부재(3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7b,37c)의 내측면과 수직면(37a) 사이로 각각 강성보강재(37e)를 면착시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 강성보강재(37e)는 상기 보강부재(37)의 수직면(37a)과 플랜지부(37b,37c) 사이에 접합되어 보강부재(37)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더욱 더 보장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에 의하면, 화물차의 적재함에서 플로워보드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이격거리를 보장하면서 플로워보드로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내측부위에 접촉면적이 확대된 형태의 보강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는 플로워보드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부재내에 보강부재의 접합시 접촉면적의 확대에 따른 용접의 불균일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적재함(2)의 플로워보드(21)와 사이드프레임(23)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22)의 내측면으로 접합되어 상기 지지부재(22)가 플로워보드(2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지지력을 발휘함에 있어 지지부재(22)의 함몰을 방지하도록 된 보강부재(37)를 갖춘 화물차의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7)는 수직면(37a)의 양측선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절곡되어 각각 지지부재(22)의 내측면과 면착되는 플랜지부(37b,37c)와, 이 플랜지부(37b,37c)의 내측면과 수직면(37a) 사이에 각각 면착되게 접합되는 강성보강재(37e)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KR1019990044361A 1999-10-13 1999-10-13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KR10033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361A KR100333280B1 (ko) 1999-10-13 1999-10-13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361A KR100333280B1 (ko) 1999-10-13 1999-10-13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067A KR20010037067A (ko) 2001-05-07
KR100333280B1 true KR100333280B1 (ko) 2002-04-25

Family

ID=1961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361A KR100333280B1 (ko) 1999-10-13 1999-10-13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553A (ko) 2020-11-16 2022-05-24 안방수 대형 화물차용 적재함 지지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031B1 (ko) * 2005-01-06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553A (ko) 2020-11-16 2022-05-24 안방수 대형 화물차용 적재함 지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067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4017A (en) Trailer construction
US8262155B2 (en) Overmolded joint for beam assembly
US20170217353A1 (en) Glass transport trailer
US7942473B2 (en)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JP4301321B2 (ja) 車両用デッキ構造
US8020925B2 (en) Front structure of cab-over type vehicle
US20120126561A1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RU2701639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ижней ча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20126576A1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4679820A (en) Reinforcing unit for a longitudinal bearer
US6905137B2 (en) Composite cross member system
KR100333280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지지구조
US20120126579A1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6973881B2 (en) Railcar nailable floor
US7401849B2 (en) Tower structure supporting bed on frame
CN214932662U (zh) 集装箱底架及具有其的集装箱
KR19980070719A (ko) 독립 자동차 동체를 위한 바닥 구조물
WO2015080089A1 (ja) 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の構造
KR102565018B1 (ko)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추가설비 장착구조
KR102565016B1 (ko) 알루미늄 결합구조 평판 트레일러
CN217049983U (zh) 集装箱地板及具有其的集装箱
KR101365154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CN217625383U (zh) 集装箱底架及具有其的集装箱
JP2519838Y2 (ja) 構造部材
KR102565017B1 (ko)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미끌림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