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710B1 - 이동하는띠강판의형상및/또는평탄화측정방법과그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하는띠강판의형상및/또는평탄화측정방법과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710B1
KR100332710B1 KR1019940023829A KR19940023829A KR100332710B1 KR 100332710 B1 KR100332710 B1 KR 100332710B1 KR 1019940023829 A KR1019940023829 A KR 1019940023829A KR 19940023829 A KR19940023829 A KR 19940023829A KR 100332710 B1 KR100332710 B1 KR 10033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oint
height
steel sheet
strip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967A (ko
Inventor
프랑스와쥬니오스
마크밀홈
장-마크모레티
제랄드히랄렘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아노님 데스 포제스 엣 이실리이아 데 딜링
지티에스 인더스트리스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311254A external-priority patent/FR2710145B1/fr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아노님 데스 포제스 엣 이실리이아 데 딜링, 지티에스 인더스트리스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아노님 데스 포제스 엣 이실리이아 데 딜링
Publication of KR95000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710B1/ko

Links

Landscapes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버(fibre)의 형상 및/또는 평탄화 측정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버의 한 세트 지수(i)의 n포인트 높이가 읽혀지고 상기 파이버의 형상에 좌우되는 함수 y(l)가 결정된다. 지수(i)의 포인트 높이가 읽혀질 때 그 반대편에 위치한 적어도 두개의 다른 포인트의 높이가 동시에 읽혀지고, 지수(l)의 포인트 근방에 상기 파이버의 곡률 k(x)i이 대략 계산되고, 이후 지수1과
n의 포인트 간의 곡률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 k(l)가 결정되고 k(l)의 연속적분으로 지수l과 n의 포인트 간의 상기 파이버의 실제 형상을 나타내는 함수y(l)와 상기 파이버의 길이(L)가 신장율의 계산으로 결정된다.

Description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및/또는 평탄화 측정 방법과 그 장치
본 발명은 이동하는 물질, 특히 압연되어가는 철판이나 작은 띠강판(strip)의 형상 및/또는 평탄화 측정에 관한 것이다.
본 생산품이 평면에 배열되어질 때 이 철판이나 띠강판의 표면이 수평의 평면에 대해 어떠한 미세한 편차도 나타내지 않는다면 특별하게 강철로 만들어진 이제 막 압연된 철판과 띠강판은 "평평" 하다고 일컬어지며, 철판과 띠강판은 그 자체의 중량을 초과하는 어떠한 힘도 받지 않는다.
만약 상기의 조건 하에서 표면의 편차들이 발견되어 진다면 그 때 본 생산품은 평탄화에 있어서의 결점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모든 띠강판의 표면의 파이버(fiber)들이 실제로 띠강판 중앙부분의 파이버와 같은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의 결점들이 단순한 변형과 상응할 때 평탄화의 결점들은 "줄일 수 있음" 이라고 일컬어진다(즉, 표면의 파이버는 강판의 중앙에 놓여져 있다). "비-전개 가능" 이라고 불리는 결점들은 띠강판의 중앙부의 파이버와 여러 표면 파이버 사이의 구역에서 존재하는 상당한 정도의 길이의 차이에서 기인된다. 이러한 결점들은 띠강판 폭에서의 생산물의 두께가 축소된다는 동질의 결점으로부터 기인된다. 예로서, 압연작업을 수행하는 롤러들의 지나친 오목함이나 지나친 볼록함 때문에 상기의 결점들은 발생한다. 최소한으로 심각한 평탄화의 결점들은 연속 단계의 압연작업 동안에 교정된다. 예로서 무거운 철판에 대해서는 레벨러(leveller)나 냉간 압연된 철판에 대해서는 조질 압연기(skin-pass mill)로 교정한다. 이러한 결점들을 유발시키는 문제들을 가능한 한 빨리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결점들이 형성되는 즉시 이러한 결점들을 탐지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띠강판의 비평탄화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한정된다. 기준면에서 측정된 주어진 거리(L)를 능가하고 있는 이 띠강판의 길이 방향(압연되는 방향을 따라서)에서의 파이버의 길이 L+△L을 고려하면, 비율 Am =△L/L이 계산된다. 이 비율은 기준면에 놓여져 있는 뒤틀리지 않은 파이버에 관해서는 파이버의 신장율을 한정한다. 본 비율이 크면 클수록 평탄화의 결점은 더욱 더 명백해진다. 계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수량은 띠강판 표면 파이버의 평탄화 지수 Pm이다. 이 표면 파이버의신장율을 Am으로 가정하고 중앙 파이버의 신장률은 Ac로 가정하면, 그 때 Pm =(Am - Ac)/Ac 가 된다. 영이 아닌 평탄화 지수 Pm은 표면파이버와 중앙파이버 사이에서의 상이한 신장율을 함축하고 있다. 이것은(Pm) 탐지된 평탄화의 결점이 더 이상 줄어들지 않는 성질의 결과이다.
파이버의 신장율과 평탄화 지수의 만족할 만한 결정은 파이버의 형상의 정확한 측정 없이는 예상될 수 없다. 파이버의 평탄화와 관련된 어떠한 계산을 하기 전에 만약 이것이 본래의 형상이 아니라면 미리 파이버가 정확한 형상을 성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 획득할 데이터가 두개 함수에 있어서 같다는 사실을 이용함으로써 실제로 평탄화를 측정하는 대부분의 기기는 역시 파이버의 형상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실제로 하나의 함수에서 다른 하나의 함수로 통과해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마지막 몇몇 단계만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파이버가 움직이는 방향과 똑바로 가로지르는 곳의 생산물 위에 원격계기(telemeter)의 바테리를 배치함으로써 철판과 띠강판의 평탄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원격계기는 파이버가 지나갈 때 생산품의 표면 길이 방향에서의 파이버의 높이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결과를 저장하고 생산품의 이동속도와 측정된 자료를 결합시킴으로써 일련의 직선 선형 세그먼트로 동화된 파이버의 형상에 대한 대략적인 이미지가 얻어진다. 그래서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상기 파이버 길이의 대략적인 측정이 역시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모드의 결점은 실제로 주어진 순간에서의 표면 파이버의 높이가 그것의 실제 형상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역시 생산품의 병진운동에 추가되는 진동운동의 크기에 의해서 변경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운동은 순전히 수직적인 성분과 각 성분 때문에 생산품의 초기 회전(예로서 상승)운동을 초래한다. 두 개의 측정 중에서 생산품의 평탄화와 파이버의 실제형상과는 아무런 관계도 가지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격계기에 의해서 고려되어져야 하는 파이버의 운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기생적인 움직임(parasitic movement)은 일반적으로 파이버의 길이와 형상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분명한 오류를 불러일으키며, 결과적으로 신장율 A도 잘못되어진다. 하지만 만약 A가 파이버의 신장율이 아니고 공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파이버의 평탄화 지수 Pm 이라면, 상기의 방식은 받아들일 수 있는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왜냐하면 Ac와 Am 에서의 측정 오차는 Pm을 계산하는 동안에 보상되기 때문이다.
이 방식에 있어서의 개선된 점은 주어진 파이버의 길이와 형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나가 아닌 두 개의 원격계기로서 공지된 거리 △x에 의한 오프셋으로 수직으로 파이버 높이를 동시에 측정한다. 만약 두 개의 원격계기로 동시에 측정된 높이간의 차이가 △h로 불린다면, 두 개의 원격계기 사이의 파이버 길이 △1은 (결점 한개 당)로 평가된다. 측정된 △L 의 값을 합산함으로써 생산품의 운동에 있어서의 순수한 수직 벡터성분 때문에 확실하지 않는 파이버의 총길이를 측정할 수 있지만, 회전벡터 성분은 여전히 파이버의 길이 측정을 왜곡시키고 있다.
또 다른 하나의 방식은(일본공보 JP 62-172210 참조) 하기의 원리를 사용하는 광학 절단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에서는 편향된 레이져 판에 의해서 빛이 비춰지고 그래서 포인트 A,B,C와 광감요소(photosensitive elements)을 지닌 선형 카메라(CCD 카메라)에 의해서 얻어진 점들의 영상을 따라서 주어진 파이버를 절단한다. 이 평탄화 측정은 CCD 카메라에 의해서 얻어진 영상(Image)들로부터 계산된 AB, BC, AC 거리를 고려하는 지수 (index) e에 기초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e =(AB + BC - AC )/AC 이다.
이 지수 e는 선행된 신장율 Am 에 비교되어질 수 있고 지수 e는 신장율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생산품의 독립적인 기준면을 수반하지 않는 잇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탐지된 단점이 생산품의 종류에는 상관없이 생산품의 전체 폭 위에서 동일한 파장을 갖는다면 유효하다. 추가적으로 측정 포인트들 사이에서 거리를 아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다.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장비를 가지고는 이 거리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알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되는 철판 또는 띠강판의 형상 및/또는 평탄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전의 방식보다 보다 신뢰감 있고 더 정확한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요지는, 미리 설정된 기준 프레임(xOy)에서 띠강판의 이동속도(V(t))와 파이버의 한 세트의 n포인트 지수(i)의 높이(yi)가 읽혀지고, 상기 기준 프레임의 축(Ox)이 상기 띠강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향하며, 상기 파이버의 형상에 따른 함수(y(l))가 상기 높이(yi)와 상기 속도(V(t))로 결정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Ox)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파이버의 지수(l)의 포인트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파이버의 지수(l) 포인트의 높이가 읽혀지는 단계와; 한 포인트가 인접하고 다른 포인트가 반대편에 위치한 적어도 다른 두개의 포인트 높이가 동시에 읽혀지는 단계와; 상기 지수(i)의 포인트 근처에서 상기 파이버의 곡률(K(x)i)이 상기 높이를 이용하여 근사치로 계산되는 단계와; 상기 포인트에 대해 계산된 곡률을 이용하여, 지수(l)와 지수(n)의 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곡률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k(l)가 결정되는 단계와; 지수(l)과 지수(n)의 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실제 형상을 나타내는 함수(Y(L)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역시, 미리 설정된 기준 프레임(xOy)에서 띠강판의 이동속도(V(t))와 파이버의 한 세트의 n포인트 지수(i)의 높이(yi)가 읽혀지고, 상기 기준 프레임의 축(Ox)이 상기 띠강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향하며, 지수(l)의 포인트와 지수(n)의 포인트간의 파이버 길이(L)와 상기 축(Ox)상에서의 투사길이(Lo)가 상기 읽혀진 값으로 대략 계산되며, 평탄화를 나타내는 상기 파이버의 신장율(Am=(L-Lo)/Lo)이 계산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평탄화 측정방법에 있어서,
포인트에 대해 계산된 곡률을 이용하여 지수(l)과 지수(n)의 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곡률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k(l))가 결정되고; 지수(l)과 지수(n)의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길이(L)가 상기 함수(k(l))의 연속적분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역시 이러한 방법의 실행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이며, 하기의 기기들 중의 하나를 실행하는 것인데, 특히 본 기기는 상기 파이버의 한 세트의 n 포인트의 지수 i의 높이(Yi)를 읽는 장치이며, 지수 i의 각각의 포인트를 접하고 있는 적어도 상기 파이버의 두 개의 다른 포인트들의 높이를 동시에 읽는 장치이며, 따라서 지수(i)의 각각의 포인트에 근접한 곳에서 상기 파이버의 곡률 K(x)i의 계산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향후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을 일련의 직선 세그먼트가 아닌 일련의 구부러진 세그먼트로 융합함으로써 생산품 파이버의 형상 및/또는 길이를 측정하여 굽어진 단편의 계산된 곡률은 파이버의 상응하는 단편의 실제적인 곡률에 더 밀접하게 접근된다. 이렇게 파이버의 길이의 측정과 형상의 표시는 특히, 평탄화 결점이 짧은 파장을 가질 때 보다 정확하게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은 세 개의 측정 포인트를 갖는 원격계기를 이용하거나 그와 동등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생산품의 운동에서의 수직 성분과 각 성분 측정의 정확성에 해치는 효과를 가지는 영향들은 방지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방법의 기본으로, 이동하는 띠강판의 평탄화 및/또는 길이를 측정하는 원리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수직면에 길이 방향으로 철판(1)이 압연되기 위해서 회전하는 두 개의 압연 롤러(2,2')의 닙(nip)을 통해 뚫고 전진해가는 철판(sheet)을 도시한다. 철판은 롤러 테이블(4)를 따라서 움직여가는 보다 작은 두께의 철판(3)의 형태로 된 닙(nip)으로부터 나온다. 제1도는 절단 판(cutting plane)에 위치하고 있는 띠강판(3)의 길이 방향 파이버가 평탄화의 결점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도시하기에는 분명히 과장된 크기이다).
도 1은 측정이 실행되는 기준 프레임(xOy)을 도시한다. 이러한 기준 프레임의 축(Ox)은 제1도의 절단 평면에 위치한다. 예로서 만약 이 파이버가 똑바른 직선이라면 이 절단 평면에 위치하고 있는 철판(3)의 길이 방향에서의 파이버의 명목적인 경로와 부합하게 될 것이다.
축(Oy)가 Ox에 수직인 축으로 절단 면(Cutting plane)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 개의 측정설비(5,6,7)세트는 의심이 가는 띠강판(3)의 파이버위에 배치되어, 그것의 측정축은 길이(δ)만큼 동일하게 떨어져 위치하고, 기준 프레임(xOy)에서 파이버의 세 포인트 높이(ya, yb, yc)가 각각 얻어진다. 이 포인트들은 기준 프레임의 근원으로서 Xc-Xb=Xb-Xa=δ로 임의적으로 선택된 포인트 0으로부터 각각 xa, xb, yc거리에 위치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수행된 측정은, 주어진 두 순간 사이에서 측정 구역을 통과하는 파이버 총길이와 형상을 대략 만족할 정도로 계산 가능하게 한다. 의문시되어지는 지역에서 측정을 하는 동안에 파이버의 곡률이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대략적으로 사인곡선이라면 띠강판의 평탄화 결정이 긴 파장을 가지고, 설비(5,6,7)의 측정축을 분리하는 거리(δ)가 비교적 짧기에 그러한 근사치가 수용 가능하다. 상기 파이버의 곡률 k(x)는 수학적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측정의 예에서 측정 구역에 있는 함수 y=f(x)의 편차 측정은 아래와 같다;
이 측정구역에서의 도함수의 편차율은 역시 아래와 같이 측정된다.
즉,
세 개의 원격계기로부터 취해진 읽혀진 값에서 측정 구역에 있는 파이버 곡률의 대략적인 측정치 k(x)는 그러므로,
실제로, 파이버의 곡률반경은 δ와 비교하여 대단히 크고, y에서의 편차와 비교해도 크기 때문에 d2y/dx2는 1과 비교한다면 무시될 수도 있기에 아래와 같이쓰여질 수 있다.
그래서 일련의 지수 I의 n개 표본이 만들어지고 이것은 띠강판의 이동속도 함수인, 시차에 의해서 분리된 3개 한 벌인 (ya, yb, yc)i의 획득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렇게 측정파일의 획득은 지수 I의 각각의 샘플링을 결정 가능하게 한다.
-기준면(xOy)에 있는 파이버의 높이 yi에 있어서, 이 높이는 yb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며, 지수 I의 표본 작업동안에 수반된 측정구역의 중앙지점의 높이다.
-높이 yb의 지점이 중심이 된 측정구역에서 파이버의 곡률 k(x)i는 아래와 같이 도시된다.
상기 표본들 사이에 있는 띠강판(3)의 이동속도 V(t)뿐 아니라 각각의 표본 사이의 시차를 알면, 측정파일은 파이버 형상과 평탄화 측정의 공지된 방식에서처럼 높이(yi)로부터 첫 번째 표본(지수 l)과 수반된(지수n)마지막 표본사이에서 측정장치(5,6,7)의 아래로 지나가는 띠강판(3)의 부분위에서 측정된 파이버의 높이 변화를 나타내는 y=f(1)함수를 얻을 수 있다. 수량(1)은 다음처럼 정의된다. 상기 띠강판(3) 부분의 길이는 Lo로 불리고 축(Ox)에 있는 파이버의 돌출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취급된다. 길이(Lo)는 그래서 띠강판(3)의 모든 파이버에 대해 동일하며, 여러 파이버의 신장율이 계산되는데 대해 띠강판(3)의 기준길이를 나타낸다. 주어진 순간에서 0과 Lo사이에 놓인 l은 측정설비(5,6,7)의 아래로 통과해 가는 띠강판(3)의 기준길이를 나타낸다. 하지만 공지된 방식과는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적으로 함수y(l)로부터 파이버의 형상과 평탄화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이공정이 의문시 되어온 띠강판 부분 상에 파이버 곡률의 변화를 보여주는 함수k(l)를 통하여, 계산된 지역적인 곡률들과 속도 V(t)로부터 y(l)까지의 유사한 방식으로 얻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y(l)는 파이버 곡률에서의 단지 편차에 기인한 파이버 높이에서의 변화를 보여주는 함수로서, 이것은 띠강판(3)의 단지 수직 또는 각운동에 기인하는 높이에서의 변화와는 무관하다. 함수 k(l)의 첫 번째 수치적분은 함수 Y(l)의 도함수로 돌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두 번째 적분에 의해서, 파이버의 길이는 곡선 Y=f(1)이라는 현의 길이를 주는 공지된 공식을 이용함으로써 추론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이버의 신장율(Am)은 거기에서 아래의 공식을 이용함으로써 추론될 수 있다.
역시 파이버 자체의 형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해주는 방정식 Y(l)에 이르게 되고, 이 함수Y(l)는 예로서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 출현의 형태로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함수 Y(l)은 단지 파이버 의 형상과 신장율의 결정을 위한 중간단계의 계산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함수 Y(l)와 비교함으로써 본 생산품의 기생 움직임의 영향을 거기에서 추론해 내기 위해서 그것을 안다는 것은 유익한 것이다.
지금까지 한 세트의 세 개 측정장치(5,6,7)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측정이 고려되어 졌지만 파이버의 곡률 계산에 있어서 훨씬 큰 정확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수의 기기로 그것들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수반된 측정영역은 파이버의 높이 결정에 대한 기준으로 선택된 포인트에 대한 대칭을 나타내도록 흘수개의 기기가 있어야 한다.
띠강판의 완전한 폭위에서의 형상과 평탄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술된 장치처럼 다수 세트의 장치 상에 배열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파이버의 신장율(Am)을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Ac의 신장율인 띠강판의 중앙 파이버가 이러한 파이버들 사이에 있다면 각각의 다른 파이버들의 평탄화 지수 Pm=(Ac-Ac)/Ac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법의 또 하나의 장점은 계산이 높이(ya, yb, yc)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이러한 높이차가 고려되기에 띠강판(3)과 관련한 원격계기 위치의 경미한 변화로 기인하는 에러가 역시 방지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변화는 예를 들어 뜨거운 띠강판에서 복사열의 영향을 받고 있는 원격계기의 지지대가 확장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장치(5,6,7)의 측정축사이의 거리가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위한 기기의 실제적인 실시예는 2도에 도시된 것처럼 기술된다. 본 실시예는 여상삼각법을 이용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는 것과 그것의 편차를 측정하는 공지된 원리에 근거한다. 레이져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진 빛의 비임은 물체의 표면에 투시되고, 표면위의 비임의 영상은 다이오드(diode)카메라와 같은 광학 수신기로 얻어진다. 계기조정(캘리브레이션)후에, 이러한 임팩트(impact)의 높이 변화값은 수신기에서 영상의 움직임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2도에서 도식적으로 그려진 실시예는 도시되지 않은 지지대에 의한 띠강판(3)위에 놓여진 원격계기를 사용하는 데 있다.
레이져의 빔들이 평행한 세 개 레이져(9,10,11)가 거리 δ만큼 서로 떨어져 위치하여 띠강판(3)의 표면으로 투시되며 그 결과로 길이방향의 파이버중의 하나에 세 개의 임팩트(12,13,14)가 만들어지는데 상기 임팩트는 띠강판의 이동방향으로 정렬되고 어느 순간에서의 알려진 속도V(t)로 운전된다.
CCD 카메라 같은 선형카메라(15)는 상기 임팩트(12,13,14)에 초점이 맞혀지고 띠강판의 가능한 움직임과 변형을 고려하여 그 높이에 관계없이 이러한 임팩트의 영역은 그들 모두를 에워싸기에 충분히 넓다.
카메라(15)는 계산 모듈(16)에 연결되어, 임팩트(12,13,14) 위치에서 얻어진 정보를 계산 모듈로 보낸다. 이러한 계산 모듈(16)에는 시계가 제공되어 이러한 정보의 샘플링 주기를 제어한다. 이 계산 모듈은 역시 어느 순간에 띠강판(3)의 이동속도V(t)값을 기록한다. 지수i의 측정 샘플링에 대해 임팩트(12,13,14)의 위치에서 카메라(15)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와 메모리에 기억시켜 놓았던 이전의 계기조정동안 선택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계산 모듈은 앞에서 규정된 것처럼 임팩트(12,13,14)의 각각의 높이(ya, yb, yc)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마지막 n인 이러한 샘플링에 근거하여 계산모듈은 앞서 설명된 수학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이것은 지수1에서 n까지의 샘플들과 V(t)로부터 추론된 기준길이(Lo)간의 원격계기를 통과해가는 띠강판(3)의 파이버길이(L)상에 여러 측정 포인트의 영역에서 파이버의 곡률K(x)i계산을 한다. 함수k(l)가 그때 결정되며 그다음에 함수y(l)나 파이버의 길이(L)와 신장율 Am중 하나가 결정되며, 또는 이러한 데이터 둘다가 결정된다. 적어도 이러한 데이터들 중의 하나는 제철소를 운영하는 작업자에게 보여질 것이다. 그 결과 그는 점검된 파이버의 가용한 평탄화 결점의 출현을 고려할 수 있다. 최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들은 압연조건을 조정하도록 하는 설치기기로 보내져서 그 결과 그것은 이러한 결점이 고쳐지도록 하는 동작의 실행을 통제한다.
실제, 띠강판위에 대략적으로 2m간격으로 배치된 5mW He-Ne 레이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레이져 비임들의 분리도δ는 예를 들어 50mm이다. 대략적으로 이러한 분리도 δ와 동등한 길이의 생산품이 두개의 표본사이의 원격계기를 지나가는 식으로 표본들은 알맞은 시간에 분리된다.
상술된 것처럼 바람직하게 자체의 계산 유닛(16)을 갖는 여러 원격계기(8)는 몇몇 파이버의 형상과 평탄화를 평가하기 위하여(또는 그들이 전하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일한 계산회로에 연결된)띠강판(3)의 폭 위로 배급되어져야 한다. PM =(Am-Ac)/Ac로부터 각 파이버의 평탄화 지수 Pm을 축로 계산하기위해 중앙파이버를 고려하여 띠강판의 평탄화의 전체 이미지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Ac는 중앙 파이버의 신장율이다.)
띠강판(3)의 파이버 평탄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최적으로 띠강판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그들의 지지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원격계기가 설계되었다. 그래서 평탄화 결점의 정확한 측면의 한도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파이버의 크기가 최대인 파이버를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를 읽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방법이 동일한 출발선상의 아이디어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띠강판의 궤도를 벗어난 이동에 무관하도록 즉 움직이고 있는 띠강판의 가로방향의 파이버가 다양한 지점에서 곡률을 취한 독본을 기초로 하여 기술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파이버의 실제 형상이나 길이중의 하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평탄화를 보여주는 공지의 매개변수나 동시에 모든 이러한 수량들이 계산될 수 있다는 것에근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개별적인 기기들은 계산모듈의 최종단계의 단지 프로그램 모드에 의해서만이 달라지며 여기에서 역시 사용자의 선호에 근거하여 이러한 장치들은 이러한 방법 중 단지 하나나 또는 두개가 동시에 그 구현에 쉽게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방금 설명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영상 삼각 원격계기보다도 수량 ya, yb, yc를 측정하는 수단이 더 많이 사용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동하는 강철판 또는 띠강판의 평탄화와 형상의 측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하는 물체인 철이나 비철금속의 형상과 평탄화의 측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파이버 부분의 길이 및/또는 평탄화 측정원리를 도시하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기본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위한 기기의 예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철판 2. 롤러 3. 띠강판 4. 테이블
5.6.7. 측정설비 9.10.11. 레이져
12.13.14. 임팩트 15. 선형카메라 16. 계산모듈

Claims (9)

  1. 미리 설정된 기준 프레임(xOy)에서 띠강판의 이동속도(V(t))와 파이버의 한 세트의 n포인트 지수(i)의 높이(yi)가 읽혀지고, 상기 기준 프레임의 축(Ox)이 상기 띠강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향하며, 상기 파이버의 형상에 따른 함수(y(l))가 상기 높이(yi)와 상기 속도(V(t))로 결정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Ox)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파이버의 지수(l)의 포인트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파이버의 지수(l) 포인트의 높이가 읽혀지는 단계와;
    한 포인트가 인접하고 다른 포인트가 반대편에 위치한 적어도 다른 두개의 포인트 높이가 동시에 읽혀지는 단계와;
    상기 지수(i)의 포인트 근처에서 상기 파이버의 곡률(K(x)i)이 상기 높이를 이용하여 근사치로 계산되는 단계와;
    상기 포인트에 대해 계산된 곡률을 이용하여, 치수(1)와 지수(n)의 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곡률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k(l))가 결정되는 단계와;
    지수(l)과 지수(n)의 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실제 형상을 나타내는 함수(Y(L))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측정방법.
  2. 미리 설정된 기준 프레임(xOy)에서 띠강판의 이동속도(V(t))와 파이버의 한 세트의 n포인트 지수(i)의 높이(yi)가 읽혀지고, 상기 기준 프레임의 축(Ox)이 상기 띠강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향하며, 지수(l)의 포인트와 지수(n)의 포인트 간의 파이버 길이(L)와 상기 축(Ox)상에서의 투사길이(Lo)가 상기 읽혀진 값으로 대략 계산되며, 평탄화를 나타내는 상기 파이버의 신장율(Am=(L-Lo)/Lo)이 계산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평탄화 측정방법에 있어서,
    포인트에 대해 계산된 곡률을 이용하여 지수(l)과 지수(n)의 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곡률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k(l))가 결정되고;
    지수(l)과 지수(n)의 포인트 사이에 상기 파이버의 길이(L)가 상기 함수(k(l))의 연속적분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평탄화 측정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띠강판의 신장율(Ac)이 측정되고, 상기 각각의 길이 방향 파이버의 평탄화 지수가 Pm =(Am-Ac)/Ac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평탄화 측정방법.
  4. 미리 설정된 기준 프레임(xOy)에서 상기 파이버 지수(i)의 한 세트 n포인트의 높이(yi)를 판독하는 수단(8)과, 상기 높이(yi)값을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16)과, 상기 띠강판(3)의 속도(V(t))를 연속으로 기록하는 수단 및, 상기 높이(yi)와 상기 속도(V(t))로서 상기 파이버의 형상에 따른 함수(y(l))를 결정하는 수단(16)으로 이루어진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측정장치에 있어서,
    높이(yi)를 판독하는 수단(8)은 지수i의 각 포인트를 에워싸는 상기 파이버중 적어도 두개 포인트의 높이를 동시에 판독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지수i의 각 포인트 근처에 상기 파이버의 곡률(k(x)i)를 계산하는 수단(16)과 상기 곡률(k(x)i)로부터 지수 l과 지수n의 각 포인트 간의 상기 파이버 곡률변화를 나타내는 함수(k(l))를 결정차는 수단과, 상기 함수k(l)에서 상기 파이버의 실제 형상을 나타내는 함수y(l)를 결정하는 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5. 미리 설정된 기준 프레임(xOy)에서 상기 파이어 지수(i)의 한 세트 n포인트의 높이(yi)를 판독하는 수단(8)과, 상기 높이(yi)값을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16)과, 상기 띠강판(3)의 속도(V(t))를 연속으로 기록하는 수단 및, 평탄화를 나타내는 상기 파이버의 신장율(Am =(L-Lo)/Lo)을 추론할 수 있도록 지수 l의 포인트와 지수 n의 포인트 간의 파이버 길이(L), 상기 축(Ox)위에 투시된 길이(Lo)를 상기 높이로부터 계산하는 수단(16)을 포함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평탄화 측정장치에 있어서,
    높이(yi)를 판독하는 수단(8)은 상기 길이 L과 Lo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파이버의 적어도 두개 다른 포인트의 높이를 동시에 판독가능한데에 특징이 있고, 지수i의 각 포인트 근처에 상기 파이버 곡률을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곡률로부터 지수1과 n의 상기 포인트 간의 파이버 곡률 변화를 나타내는 함수k(l)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함수k(l)에서 상기 파이버의 실제 형상을 나타내는 함수(y(l))를 결정하는 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평탄화 측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높이(yi)를 판독하는 상기 수단(8)은 레이져 비임이 병렬로 상기 띠강판의 길이방향 파이버 상에 투시되는 적어도 세 개 레이져(9,10,11)를 구비한 원격계기와, 상기 띠강판상에 상기 비임의 임팩트(12,13,14) 방향으로 투시된 선형카메라(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띠강판(3)의 형상 및/또는 신장율(Am)을 측정하는 여러 독립된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장치는 상기 띠강판(3)의 신장율(Ac)을 측정하고 각각의 길이방향 파이버의 평탄화 지수(Pm)를 계산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yi)를 판독하는 수단(8)은 상기 띠강판(3)의 이동방향으로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띠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KR1019940023829A 1993-09-17 1994-09-17 이동하는띠강판의형상및/또는평탄화측정방법과그장치 KR100332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11254A FR2710145B1 (fr) 1993-09-17 1993-09-17 Procédé de mesure de la forme et/ou de la planéité d'un matériau en défilement,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FR9311254 199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967A KR950007967A (ko) 1995-04-15
KR100332710B1 true KR100332710B1 (ko) 2002-11-29

Family

ID=6668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829A KR100332710B1 (ko) 1993-09-17 1994-09-17 이동하는띠강판의형상및/또는평탄화측정방법과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7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8604A (ja) * 1981-08-14 1983-02-19 Kawasaki Steel Corp 走行体の平面形状測定装置
JPS62197221A (ja) * 1986-02-21 1987-08-31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板の横曲り修正方法
JPH0534125A (ja) * 1991-07-26 1993-02-09 Bridgestone Corp 帯状部材の形状測定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8604A (ja) * 1981-08-14 1983-02-19 Kawasaki Steel Corp 走行体の平面形状測定装置
JPS62197221A (ja) * 1986-02-21 1987-08-31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板の横曲り修正方法
JPH0534125A (ja) * 1991-07-26 1993-02-09 Bridgestone Corp 帯状部材の形状測定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967A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214A (en) Method of measuring the shape and/or the planarity of a running material,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JPH112511A (ja) 金属ストリップ用平面度測定システム
JP2000227326A (ja) 平坦度測定装置
JP4939304B2 (ja) 透明膜の膜厚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054013B2 (en) Process and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s on strips of bright metal strip
KR100332710B1 (ko) 이동하는띠강판의형상및/또는평탄화측정방법과그장치
JPS61281912A (ja) 運動中の圧延帯板の平面度を定める方法
JP3876758B2 (ja) H形鋼の熱間寸法・形状測定装置
EP0481496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izes of steel sections
GB2255636A (en) High-precision positional control
KR100498101B1 (ko) 측정 편차보정 기능을 갖는 스트립 폭 측정장치
JPH01113604A (ja) 非接触式長さ測定装置及び方法
JPH08128807A (ja) 圧延機のロール変位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20309B1 (ko) 열연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JPH10307008A (ja) 厚さ計
CN118111359A (zh) 一种非接触式板带平直度检测装置及方法
KR20190075564A (ko) 에지부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RU21272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верки и калибровки измерителей длины
JPH08122055A (ja) 表面粗さ形状測定機のワーク傾斜調整方法及びその 装置
JPH06102107A (ja) 金属製圧延板材の残留応力分布測定方法
JP2506730Y2 (ja) プレス型間距離測定器
JPH0428686A (ja)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据付誤差測定装置
SU9380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деформаций изделий
Gonzalez et al. Image processing automatic interferometric calibration system for line scales
JP2000329540A (ja) 帯状体の平坦度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