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595B1 -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595B1
KR100332595B1 KR1019990054893A KR19990054893A KR100332595B1 KR 100332595 B1 KR100332595 B1 KR 100332595B1 KR 1019990054893 A KR1019990054893 A KR 1019990054893A KR 19990054893 A KR19990054893 A KR 19990054893A KR 100332595 B1 KR100332595 B1 KR 10033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bra
mold cup
polyest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208A (ko
Inventor
김충렬
황성학
Original Assignee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한국바이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한국바이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롤프 에취, 켈러, 카즈노리 이마무라
Priority to KR101999005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5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장 혹은 여러장의 부직포 몰드컵을 사용하여 브래지어의 탄력성 및 볼륨감이 뛰어나고, 세탁 후에도 초기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통기성도 뛰어난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 몰드컵은 기능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건식 부직포 제조 공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를 1장 혹은 여러장을 중첩하여 브래지어용 몰드컵으로 사용한 브래지어는 탄력성 및 볼륨감이 뛰어나고, 또 기존에 몰드컵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폰지에 비하여 통기성이 뛰어나며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 FOR MADE UP A BRASSIE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 FOR MADE UP A BRASSIE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력성과 볼륨감이 뛰어나며, 통기성이 양호하여 황변현상을 예방하는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성용 인너웨어(Inner wear)는 패션 및 기능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브래지어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패션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제조 방식에 따라 크게 패드를 안에 넣고 봉제를 하는 봉제형 브래지어 방식과, 패드와 원단을 몰드 형태를 통해 제조하는 몰드형 브래지어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봉제형 브래지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직포 소재가 패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반면 몰드형 브래지어의 경우는 브래지어 몰드컵용 소재로 현재 국내의 경우 부직포에 비하여 스폰지 소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 몰드컵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폰지는 기존 부직포에 비하여 몰드 작업성이 용이하고, 몰드 작업시나 세탁 후에도 브래지어의 탄력성과 브래지어의 형태를 유지하는 성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통기성이 매우 낮고 황변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폰지의 단점을 해결하여 통기성은 높으며, 황변현상도 일어나지 않고, 또한 기존 스폰지에 비하여 탄력성 및 볼륨감이 뛰어나고, 세탁 후에도 초기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는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브래지어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브래지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안감, 4: 부직포 몰드컵, 5: 겉감, 6: 브래지어
일반적인 부직포의 제조 공법은 여러가지 공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건식 부직포 제조공법 중 한 공정인 니들 펀칭법과, 니들 펀칭법과 케미컬 처리법이 복합된 공법을 사용한다.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원료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중 하나는 기능성을 지니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주로하는 합성섬유 단독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와 같은 합성섬유 및 아크릴계 성분의 아크릴계 바인더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합성섬유나 아크릴계 바인더로 구분할 수 있다. 부직포의 제조에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폴리프로필렌 등 다양한 합성섬유들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사용된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 그 중에서도 일반 폴리에스테르와는 달리 몇 가지 기능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기능성이란 첫째로 폴리에스테르 섬유 자체가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는 달리 탄력성을 지니고 있어 몰드컵을 제조한 후 섬유자체의 탄력성을 제품에 반영할 수 있는 섬유이고, 두번째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몰드 작업시 몰드 작업성이 용이하며 몰드컵의 형태를 잘 형성시키는 기능을 부여해 준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외에도 2성분섬유(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로 구성된 합성섬유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보다 기능성이 뛰어난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을 제조할 수 있다.
합성섬유 이외에도 액상의 아크릴계 바인더를 원료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바인더의 역할은 주로 표면의 합성섬유가 원단과의 마찰에 의하여 부직포 표면이 일어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이 된다. 마찰에 의해 합성섬유가 원단 밖으로 삼출될 경우 외관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바인더를 사용하게 되지만 바인더의 양이 많을 경우 몰딩 성능이 저하되거나 표면의 터치가 딱딱해질 수 있으므로적당한 사용량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인더는 의류용으로 적합한 포르말린 함량이 적은 아크릴계 바인더를 주 원료로 하고 기타 조제가 첨가된 바인더를 액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합성섬유의 경우 탄력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a)는 섬도가 2∼7데니어, 섬유길이는 30∼70㎜의 섬유를 사용하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b)는 섬도가 3∼7데니어, 섬유길이는 30∼70㎜, 그리고 2성분섬유(c)는 섬도가 1.5∼6데니어, 섬유 길이는 30∼70㎜의 단섬유들을 사용한다.
상기 단섬유의 혼합비율은 두 가지 혼합비율로 혼합하는데 첫번째 혼합비율은 a는 70∼98%로 b는 2∼30%로 혼합하고, 두번째 혼합비율은 a는 60∼90%로 하고, b는 2∼20%로 c는 5∼20%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아크릴계 바인더는 포르말린 함량이 적으면서 고형분이 40∼50%인 아크릴계 바인더를 10∼40% 약간의 기타 조제들이 첨가된 액상의 배합액을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합성섬유들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는 원료(합성섬유)혼합 단계(A)를 거쳐서 혼합된 합성섬유들이 다음 공정(카딩)에서 무리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뭉쳐져 있던 합성섬유들을 1차로 풀어주는 역할를 하는 개섬공정(B)을 거치게 된다.
카딩 공정(C)에서는 개섬 과정을 통해서 1차로 풀어진 함성섬유들을 카딩 머신기를 통과시키면서 합성섬유에 방향성을 부여해주며, 합성섬유에 원하는 비율만큼의 웨브(부지포 원단)를 형성한다.
상기의 카딩 머신기로는 롤러 카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부직포)의 중량에 따라 2대 또는 3대의 카딩머신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카딩공정을 통해서 형성된 웨브는 성형기를 통해서 원하는 중량 및 폭으로 웨브(부직포 원단)를 적층하는 적층공정(D)을 거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웨브의 적층 방식은 크로스 레이(Cross-lay)의 웨브 적층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적층된 웨브는 많은 부직포 제조방법들 중의 한가지 방법인 니들 펀칭공정(E)을 거치게 되며, 니들 펀칭기의 니들을 이용해서 웨브를 1차로 층간 교락을 시켜준다. 상기의 니들 펀칭공정은 3대의 니들펀칭기를 사용하여 첫번째 니들펀칭기에서는 웨브를 층간교착하는 프리(Pre) 니들펀칭 단계를 거치고, 두번째 니들펀칭기에서는 표면 니들펀칭을 하며, 세번째 니들펀칭기에서 이면 니들펀칭을 한다.
니들 펀칭에 의하여 1차로 교락된 웨브를 스프래이(Spray)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과 이면에 일정량의 액상의 바인더를 분사하는 바인더 처리공정(F)을 진행한다.
상기에서 바인더 처리된 웨브는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바인더들의 가교가 일어나며 합성섬유들의 열적특성도 발현되게 하는 건조공정(G)을 거친다. 건조기 내부의 온도는 150∼190℃를 유지하며 3단의 건조기를 사용하여 표면과 이면 모두 고루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조 공정(G)을 거치게 되면 부직포의 제품 형태가 갖추어지며, 권취(H)공정에서는 형성된 제품을 원하는 폭으로 절단을 해줌과 동시에 원하는 길이만큼 감게 된다. 바인더 처리를 하지 않는 제품의 경우는 스프래이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 니들펀칭에 의한 공정만 적용한다.
위와 같은 원료 및 공정을 거쳐서 중량이 100∼300g/m2, 후도가 1∼20㎜의 브래지어용 부직포몰드컵을 제조하였으며, 브래지어의 탄력성 및 세탁 후 형태 유지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는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사용원료 중량(g/㎡) 통기도(㏄/㎠·sec) 탄력성 세탁성
PET A 5D × 58㎜ 70%PET A 3D × 51㎜ 20%PET B 4D × 51㎜ 10%아크릴 바인더 첨가 180 239 양호 우수
230 195 우수 우수
280 172 우수 우수
실시예 2
사용원료 중량(g/㎡) 통기도(㏄/㎠·sec) 탄력성 세탁성
PET A 5D × 58㎜ 80%PET B 3D × 51㎜ 10%PET C 4D × 51㎜ 10%아크릴 바인더 첨가 안함 200 350 우수 우수
230 316 우수 우수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브래지어용 몰드컵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브래지어 단면도이다.
상기 부직포 몰드컵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4)의 내측에는 브래지어용 안감(3)을 대고, 부직포 몰드컵(4)의 외측에는 브래지어용 겉감(5)으로 브래지어(6)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브래지어(6)는 탄력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칠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 몰드컵(4)을 사용하여 탄력성이 우수하며, 통풍성이 양호하여 착용감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황변현상을 예방하여 변색없이 장기간 사용을 이루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를 통해서 제작된 부직포 제품을 1장 또는 다수 부직포의 조합으로 적층하여 브래지어용 몰드컵을 만들어본 결과 브래지어의 통기성 및 탄력성이 뛰어나며, 몰드 작업시에도 몰드 작업성이 용이하고, 시간이 지난후에도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세탁 후에도 초기의 탄력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탄력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주원료로 하고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섬유들을 소정의 혼합비율로 하고 배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와;
    상기 원료혼합단계에서 혼합된 섬유들의 뭉쳐져 있는 합성섬유들을 풀어주는 개섬단계와;
    상기 개섬단계를 거친 합성섬유에 방향성과 일정 비율로 웨브를 형성하는 카딩단계와;
    상기 카딩단계에서 얻어진 웨브를 소정 중량과 폭으로 적층하여 프리 니들펀칭, 표면 니들펀칭, 이면 니들펀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거쳐 층간 교락을 하는 니들 펀칭단계와;
    상기 니들 펀칭단계를 거친 웨브의 표면과 이면에 일정량의 액상 바인더를 분사하는 바인더 처리단계와;
    150~190℃를 유지하는 건조기를 통과하면서 합성섬유의 가교발생을 유도하여 열적특성을 발현되게 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탄력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는 섬도가 2~7데니어, 섬유길이는30~70㎜의 단섬유를 60~90%,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섬도가 3~7데니어, 섬유길이는 30~70㎜의 단섬유를 5~20%, 2성분섬유는 5~20%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탄력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는 섬도가 2~7데니어, 섬유길이는 30~70㎜의 단섬유를 70~95%,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섬도가 3~7데니어, 섬유길이는 30~70㎜의 단섬유를 5~3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제조방법.
  4.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을 형성함에 있어서;
    탄력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저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KR1019990054893A 1999-12-03 1999-12-03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KR10033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893A KR100332595B1 (ko) 1999-12-03 1999-12-03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893A KR100332595B1 (ko) 1999-12-03 1999-12-03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08A KR20010054208A (ko) 2001-07-02
KR100332595B1 true KR100332595B1 (ko) 2002-04-17

Family

ID=1962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893A KR100332595B1 (ko) 1999-12-03 1999-12-03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515B1 (ko) * 2001-04-23 2003-05-09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몰딩용 브래지어의 부직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4178B (zh) * 2019-07-24 2024-04-16 深圳全棉时代科技有限公司 模杯针刺成型方法、模杯针刺模具及模杯针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502A (ja) * 1992-12-25 1994-08-02 Furekishiii Kk ブラジャーカップクッション材
JPH0860410A (ja) * 1994-08-19 1996-03-05 Gunze Ltd ブラジャー等のモールドカ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6107A (ja) * 1997-07-16 1999-02-09 Gunze Ltd ブラジャー
KR19990037842A (ko) * 1999-02-02 1999-05-25 조웅 브래지어등의몰드컵제조방법및그몰드컵
JP2000027005A (ja) * 1998-07-09 2000-01-25 Kanai Hiroaki ブラジャーカップ用基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502A (ja) * 1992-12-25 1994-08-02 Furekishiii Kk ブラジャーカップクッション材
JPH0860410A (ja) * 1994-08-19 1996-03-05 Gunze Ltd ブラジャー等のモールドカ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6107A (ja) * 1997-07-16 1999-02-09 Gunze Ltd ブラジャー
JP2000027005A (ja) * 1998-07-09 2000-01-25 Kanai Hiroaki ブラジャーカップ用基材
KR19990037842A (ko) * 1999-02-02 1999-05-25 조웅 브래지어등의몰드컵제조방법및그몰드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515B1 (ko) * 2001-04-23 2003-05-09 주식회사 라크인더스트리 몰딩용 브래지어의 부직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08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6186C (en) Composite wipe
AU2002355421B2 (en) Thermoplastic constructs with improved softness
US20040248494A1 (en) Structurally stable flame-retardant nonwoven fabric
CN110670242B (zh) 一种抗菌无纺布及其制作工艺
CN113106631B (zh) 一种防水防油弹性柔软无纺布及其制作工艺
AU2002355421A1 (en) Thermoplastic constructs with improved softness
KR102338094B1 (ko) 양면 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양면 솜
KR100332595B1 (ko) 브래지어용 부직포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KR101056502B1 (ko) 분할형 극세사 부직포의 제조방법
CN105297284B (zh) 一种无纺针刺提花垫的制作方法
KR20110031744A (ko) 분할형 극세사 부직포
KR100311616B1 (ko) 부직포 인조피혁과 그 제조방법
KR100707143B1 (ko) 항균 부직포
CN116113655A (zh) 包含1,4-环己烷二甲醇的磺基聚酯
KR100681467B1 (ko) 해도형 필라멘트 섬유로 이루어진 장섬유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KR102161134B1 (ko)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112B1 (ko) 드라이어 시트(Dryer Sheet)용 장섬유 부직포및 그의 제조방법
JP4026279B2 (ja) 分割型複合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KR20000003012A (ko) 인열강도가 우수한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CA2112889A1 (en) Textile material
JPH044140A (ja) 積層布帛及び該布帛からなる成形体の製造方法
JPH0345701A (ja) 肌着
CN107109744A (zh) 具有缓冲性的纤维成形体及使用其所得的产品
CN114622344A (zh) 一种无纺布的干法制备方法及其在面膜中的应用
JPH1193054A (ja) 衛生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