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387B1 - 창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387B1
KR100332387B1 KR1020000001966A KR20000001966A KR100332387B1 KR 100332387 B1 KR100332387 B1 KR 100332387B1 KR 1020000001966 A KR1020000001966 A KR 1020000001966A KR 20000001966 A KR20000001966 A KR 20000001966A KR 100332387 B1 KR100332387 B1 KR 10033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
lock pin
auxilia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0801A (ko
Inventor
이강규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102000000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8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 창문의 측면 채널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로크핀이 상하부 창틀에 설치된 로크레일의 구멍에 삽탈되면서 일측 창문을 부분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 잠글 수 있게 하는 로크하우징과, 일측 창문의 측면 채널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크하우징의 로크핀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로크핀을 제어하는 레버하우징과, 또 타측 창문의 측면 채널 하부에도 설치되어 보조 로크핀이 하부 창틀에 설치된 로크레일의 구멍에 삽탈되면서 타측 창문을 부분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 잠글 수 있게 하는 보조 로크하우징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 환기 등의 이유로 창문을 조금 개방하거나 완전히 폐쇄하여도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동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및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창문 잠금장치{Apparatus For Locking Windows}
본 발명은 창문을 부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상태에서 자동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잠글 수 있는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창문 잠금장치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1, 2)의 중앙에 위치하는 일측 창문(1)의 측면 채널(1A)에 레버(3)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3)와 대응되는 타측 창문(2)의 측면 채널(2A)에도 레버(3)의 테두리면(3a)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편(4)이 설치되어 이루진 것으로, 창문(1, 2)을 잠글 때는 사용자가 창문(1, 2)을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레버(3)를 회전시켜 가이드편(4)이 레버(3)의 테두리면(3a)에 끼워지도록 하면 창문은 잠기게 되고, 또 창문(1, 2)을 열 때는 사용자가 레버(3)를 잠글 때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면 레버(3)의 테두리면(3a)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편(4)이 레버(3)에서 이탈되면 사용자는 창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 창문 잠금장치는 창문(1, 2)을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잠글 수 있기 때문에 실내 환기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창문(1, 2)을 조금 개방할 경우에는 창문(1, 2)을 아예 잠글 수 없게 만들어졌고,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부분 개방된 창문을 그대로 방치하면 어린이들이 추락사 등에 안전사고 또는 범죄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을 부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상태에서도 그 즉시 창문이 자동으로 잠겨지도록 하는 것을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 창문의 측면 채널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로크핀이 상하부 창틀에 설치된 로크레일의 구멍에 삽탈되면서 일측 창문을 부분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 잠글수 있게 하는 로크하우징과, 일측 창문의 측면 채널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크하우징의 로크핀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로크핀을 제어하는 레버하우징과, 또 타측 창문의 측면 채널 하부에도 설치되어 보조 로크핀이 하부 창틀에 설치된 로크레일의 구멍에 삽탈되면서 타측 창문을 부분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 잠글 수 있게 하는 보조 로크하우징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크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크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버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 로크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버하우징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로크하우징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레버하우징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로크레일 40 : 로크하우징
50 : 케이블 60 : 레버하우징
70 : 보조 로크하우징
이하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상하부 창틀(21, 22)의 레일(23) 중앙에는 그 길이가 상하부 창틀(21, 2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구멍(30a)을 형성한 로크레일(30)이 나사(B)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11, 12)의 중앙에 위치하는 일측 창문(11)의 측면 채널(11A) 상하부에 스프링(44) 작용에 의해 로크레일(30)의 구멍(30a)에서 삽탈되는 로크핀(43)을 형성한 로크하우징(40)이 각각 나사(B)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로크하우징(40)은 일측 창문 채널(11A)에 나사(B)로 고정되는 브래킷 (41a)을 일측에 갖는 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41) 내부에 둘레면 양측으로 브래킷(42a)을 형성한 원통형의 소켓(42)이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나사(B) 결합되고, 상기 소켓(42)의 일측 내부에 로크핀(43)과 스프링(44)을 안내하는 스프링 안착구(45)가 소켓(42)과 나사(B)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안착구(45)를 관통하는 로크핀(43)의 끝단에 케이블(50)과 연결된 로크핀 고정구(46)가 체결되고, 소켓(42)의 타측 끝단에 마감캡(48)이 체결되고, 상기 마감캡(48)의 중앙에 케이블 안내구(47)가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창문(11)의 측면 채널(11A) 중앙부에는 상기 로크하우징(40)의 로크핀(43)과 연결된 케이블(50)을 통해 로크핀 (43)을 제어하는 레버하우징(6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하우징(60)은 일측 창문(11)의 채널(11A)에 나사(B)로 고정되는 브래킷(61a)을 일측에 갖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개방면을 덮는 캡(64)으로 형성되어 나사(B) 결합되고, 상기 몸체(61)의 외부에 손잡이 (62)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61)의 내부에 각각의 로크하우징(40)의 로크핀(43)과 연결된 케이블(50)을 고정시킨 케이블고정판(66)과 일체로 형성된 레버(63)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레버(63)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부(65)가 몸체(61)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62)와 같은 선상에 위치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창문(12)의 측면 채널(12A) 하부에도 스프링(73) 작용에 의해 로크레일(30)의 구멍(30a)에서 삽탈되는 보조 로크핀(72)을 형성한 보조 로크하우징(70)이 각각 나사(B)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로크하우징(70)은 타측 창문(12)의 채널(12A)에 나사(B)로 고정되는 몸체(7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71)의 내부에 보조 로크핀(72)과 스프링(73)을 안내하는 보조 스프링 안착구(74)가 체결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 안착구(74)를 관통하는 보조 로크핀(72)의 끝단에 보조 로크핀 고정구(77)가 체결되고, 상기 보조 로크핀 고정구(77)의 둘레면에 몸체(71)의 둘레면에 형성된 안내공(75)을 따라 이동하는 보조 레버(7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혀진 일측 창문(11)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만큼 개방시킬 경우, 사용자는 레버하우징(60)의 손잡이(62)와 레버 (63)을 동시에 잡은 다음 레버(63)를 손잡이(62) 쪽으로 당긴다.
그러면 레버(63)는 힌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하면서 레버(63)에 각각 고정된 케이블(50)을 당기게 되고, 상기 케이블(50)은 일측 창문(11)의 측면 채널(11A)을 관통하면서 로크하우징(40)의 소켓(42) 내부에 설치된 로크핀 고정구 (46)와 로크핀(43)을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로크핀(43)은 상하 창틀 (21, 22)에 고정된 로크레일(30)의 구멍(30a)에서 빠져나와 로크하우징(40)의 몸체 (41)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소켓(42) 내부에 체결된 스프링 안착구(45)는 삽입되는 로크핀 (43)과 압축되는 스프링(44)을 안내하여 로크핀(43)이 수직 직선 운동하게 하는 동시에 로크핀(43)이 일정 길이 만큼만 후퇴하도록 단속한다.
그리고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일측 창문(11)이 창틀(21, 22)의 레일(23)을 따라 이동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손잡이(62) 쪽으로 잡고 있던 레버(63)를 풀게 되면,
사용자가 레버(63)를 당기고 있던 힘이 소멸되기 때문에 스프링 안착구(45)에 삽입된 로크핀(43)이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로크하우징(40)의 몸체(41)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일측 창문(11)이 이동 위치한 로크레일(30)의 다른 구멍(30a)에 삽입되면서 일측 창문(11)은 잠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크핀 고정구(46)는 로크핀(43)이 일정길이 만큼만 외부로 돌출 되도록 단속하고, 로크하우징(40)과 레버하우징(60)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50)은 일측 창문(11)의 측면 채널(11A)을 관통하면서 로크핀(43)에 의해 로크하우징(40) 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레버하우징(60)내에 레버(63)는 최초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타측 창문(12)을 부분 개방할 경우에 사용자는 보조 레버(76)를 잡고 상부로 끝까지 올린 다음 다시 옆으로 틀면, 상기 보조 레버(76)는 보조 로크하우징(70)의 몸체(71)에 형성된 안내공(75)을 따라 이동하다가 안내공(75)의 측부에 안착된다.
그러므로 보조 레버(76)에 연결된 보조 로크핀 고정구(77)와 보조 로크핀(72)이 보조 스프링 안착구(74)를 관통하는 동시에 스프링(73)을 압축시키면서 상부로 이동되기 때문에 보조 로크핀(72)은 하부 로크레일(30)의 구멍(30a)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타측 창문(12)을 원하는 위치만큼 개방시킨 다음, 안내공(75)의 측부에 안착된 보조 레버(76)를 풀면 보조 로크핀 고정구(77)와 보조 로크핀(72)은 스프링(73)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보조 로크핀(72)은 보조 로크하우징(70)의 몸체(71)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타측 창문(12)이 이동 위치한 하부 로크레일(30)의 다른 구멍(30a)에 삽입되면서 타측 창문(12)도 잠겨지게 된다.
한편, 로크핀(43)과 로크핀 고정구(46)는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핀(43)과 로크레일(30)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고, 소캣(42)에 체결된 마감캡(48)은 로크고정구(46)가 후퇴하는 유격을 조절할 수 있고, 케이블 안내구(47)는 이송하는 강선의 케이블(50)을 안전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 환기 등의 이유로 창문을 조금 개방하거나 완전히 폐쇄하여도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동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및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 창문(11)의 측면 채널(11A) 상하부에는 로크핀(43)이 상하부 창틀(21, 22)에 설치된 로크레일(30)의 구멍(30a)에 삽탈되면서 일측 창문(11)을 부분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 잠글수 있게 하는 로크하우징(40)이 각각 설치되고, 일측 창문(11)의 측면 채널(11A) 중앙부에는 상기 로크하우징(40)의 로크핀(41)과 연결된 각각의 케이블(50)을 통해 로크핀(41)을 제어하는 레버하우징(60)이 설치되고, 또 타측 창문(12)의 측면 채널(12B) 하부에도 보조 로크핀(72)이 하부 창틀(22)에 설치된 로크레일(30)의 구멍(31)에 삽탈되면서 타측 창문(12)을 부분 개방 및 폐쇄 상태에서 잠글수 있게 하는 보조 로크하우징(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하우징(40)은 몸체(41) 내부에 소켓(42)이 삽입되어 나사(B)로 결합되고, 상기 소켓(42)의 일측 내부에 로크핀(43)과 스프링(44)을 가이드 하는 스프링 안착구(45)가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 안착구(45)를 관통하는 로크핀(43)의 끝단은 케이블(50)과 연결된 로크핀 고정구(46)가 체결되고, 또 소켓(42)의 타측 끝단에 케이블 안내구(47)를 중앙에 갖는 마감캡(48)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하우징(60)은 몸체(61)의 외부에 손잡이(62)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61)의 내부에 각각의 로크하우징(40)의 케이블(50)과 연결된 레버(63)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레버(63)의 끝단이 몸체(61)의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로크하우징(70)은 몸체(71)의 일측 내부에 보조 로크핀(72)과 스프링(73)을 안내하는 보조 스프링 안착구(74)가 체결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 안착구(74)를 관통하는 보조 로크핀(72)의 끝단에 몸체(71)의 둘레면에 형성된 안내공(75)을 따라 이동하는 보조 레버(76)를 형성한 보조 로크핀 고정구(77)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KR1020000001966A 2000-01-17 2000-01-17 창문 잠금장치 KR10033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966A KR100332387B1 (ko) 2000-01-17 2000-01-17 창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966A KR100332387B1 (ko) 2000-01-17 2000-01-17 창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801A KR20010080801A (ko) 2001-08-25
KR100332387B1 true KR100332387B1 (ko) 2002-04-13

Family

ID=1963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966A KR100332387B1 (ko) 2000-01-17 2000-01-17 창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168B1 (ko) 2006-02-10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
KR101011045B1 (ko) * 2008-05-19 2011-01-25 장소영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90B1 (ko) * 2006-11-01 2007-05-14 채수경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KR101011977B1 (ko) * 2008-05-02 2011-02-07 신재혁 미닫이문 고정장치의 레버작동용 작동줄 안내장치
CN108756547B (zh) * 2018-04-19 2023-08-08 广东欧内德门窗有限公司 一种推拉窗用防盗器
KR102339123B1 (ko) * 2019-10-25 2021-12-13 김장후 구간별 록킹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 새시
WO2022119027A1 (ko) * 2020-12-04 2022-06-09 김장후 구간별 록킹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 새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168B1 (ko) 2006-02-10 2006-09-13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창문틀 내부 스톱장치 구조
KR101011045B1 (ko) * 2008-05-19 2011-01-25 장소영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801A (ko) 200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66805A (en) Breakaway for a sliding closure
KR100332387B1 (ko) 창문 잠금장치
KR101861845B1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078342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200269615Y1 (ko)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KR20180000246U (ko) 리프팅창호의 잠금장치
CN109779431A (zh) 用于平开窗的打开控制装置
US5647233A (en) Door locking mechanism
KR102516335B1 (ko) 출입문 손끼임 방지장치
KR100325842B1 (ko) 기밀 가능한 도어
KR200337224Y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KR101008362B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200196875Y1 (ko) 창문용 시건장치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AU5406801A (en) A braking system for retracting screens
KR102442051B1 (ko) 잠김방지 기능을 갖는 창호개폐장치
KR20030049418A (ko)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JPH10153032A (ja) アームストッパー付きドアおよびアームストッパー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JPH0510072A (ja) ド ア
JPH11315659A (ja) 折戸用錠装置
KR960004845Y1 (ko) 미닫이 (창)문의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
US2707646A (en) Window lock
KR0150603B1 (ko) 냉장고의 도어잠금장치
KR100211403B1 (ko) 절첩식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